KR101485886B1 -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의 이용 - Google Patents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886B1
KR101485886B1 KR1020127031043A KR20127031043A KR101485886B1 KR 101485886 B1 KR101485886 B1 KR 101485886B1 KR 1020127031043 A KR1020127031043 A KR 1020127031043A KR 20127031043 A KR20127031043 A KR 20127031043A KR 101485886 B1 KR101485886 B1 KR 10148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stream
data stream
determining
mimo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579A (ko
Inventor
지아 탕
아툴 에이. 살베카르
산타누 카레
고칸 머젠
조나단 시디
종현 박
수브라만야 피. 라오
아브히나브 굽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14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305Joint sequence estimation and interference remov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48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detection of multiuser or interfering signals, e.g. iteration between CDMA or MIMO detector and FEC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4Maximum-likelihood or sequential decoding, e.g. Viterbi, Fano, ZJ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331Arrangements for the joint estimation of multiple sequ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에서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이 결정된다. 무선 송신 채널을 위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 및 MIMO 신호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이 또한 결정된다.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 및 제 1 심볼 스트림이 백색화된다. 백색화된 제 1 심볼 스트림에 관하여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가 실시되어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한다. 제 1 데이터 스트림이 디-레이트 매칭되고 디코딩되어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의 이용{USING A JOINT DECODING ENGINE IN A WIRELESS DEVICE}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물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전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통신을 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각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는 다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기 위해 다중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다중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이 더욱 대중적이게 됨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품질 및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이한 신호 처리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술들 그 자체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에서 계산적 복잡성을 추가하는 것과 같이 새로운 도전들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필수인 기존의 프로세스들 또는 새로운 프로세스들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디바이스 리소스들을 소모할 수 있는 현대의 디바이스들 내에서의 일 프로세스는 무선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이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이용하는 개선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의해 이점들이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MIMO 데이터 경로 내의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조인트 디코딩 엔진에 대한 스케일링 계산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법에 대응하는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맥스 로그 최대 사후(max log maximum a posteriori : MLM) 처리를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방법에 대응하는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무선 디바이스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에서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이 결정된다. 무선 송신 채널을 위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 및 MIMO 신호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이 또한 결정된다.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 및 제 1 심볼 스트림이 백색화된다(whitened). 백색화된 제 1 심볼 스트림에 관하여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가 실시되어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한다. 제 1 데이터 스트림이 디-레이트 매칭되고 디코딩되어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연속 간섭 제거(SIC;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 2 심볼 스트림에 관하여 하드 SIC 또는 소프트 SIC가 실시될 수 있다. 제 2 심볼 스트림은 백색화되고, MLM 처리가 실시되고, 디-레이트 매칭되고, 그리고 터보 디코딩되어 디코딩된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SIC는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reproduce)하는 것 및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이용하여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일 칼럼을 제로 아웃(zero out)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의 진폭 및 에너지에 기초하여, 수신된 MIMO 신호의 채널 추정치 및 잡음 공분산에 대한 스케일링 인자들이 결정될 수 있다. 채널 추정치 및 잡음 공분산이 스케일링 인자들을 이용하여 스케일링되어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생성할 수 있다. 수신된 MIMO 신호로부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을 결정하는 것은 수신된 MIMO 신호를 역확산 또는 디스크램블링하여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백색화하는 것은 MIMO 신호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에 기초하여 백색화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것 및 백색화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제 1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MLM 처리는, 비트 bk가 s1내에 있는 경우 다음 동작들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s1은 제 1 심볼 스트림 내의 심볼이다. bk=1이도록, 가능한 s1 값들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가능한 s1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2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가 결정될 수 있고 -여기서, s2는 제 2 심볼 스트림 내의 심볼임- 그리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2의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2 값들을 결정한다.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L2 norm max sum approximation)를 이용하여 값
Figure 112012098135250-pct00001
가 추정될 수 있고, 여기서, y는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이고, h1은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제 1 컬럼이고, 그리고 h2는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제 2 컬럼이다. 최소 d1 값, min(d1)이 결정될 수 있다. bk=0이도록, 가능한 s1 값들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가능한 s1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2의 MMSE 추정치가 획득될 수 있고 그리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2의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2 값들이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값
Figure 112012098135250-pct00002
가 추정될 수 있다. 최소 d0 값, min(d0)이 결정될 수 있다. bk의 로그 우도 비율(LLR), L(bk)이 L(bk)=
Figure 112012098135250-pct00003
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비트 bk가 s2내에 있는 경우, 다음 동작들이 실시될 수 있다. bk=1이도록, 가능한 s2 값들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가능한 s2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1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가 획득될 수 있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1의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1 값들이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s1, s2) 쌍에 대한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값
Figure 112012098135250-pct00004
가 추정될 수 있다. 최소 d1 값, min(d1)이 결정될 수 있다. bk=0이도록, 가능한 s2 값들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가능한 s2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1의 MMSE 추정치가 획득될 수 있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1의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1 값들이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값
Figure 112012098135250-pct00005
가 추정될 수 있다. 최소 d0 값, min(d0)이 결정될 수 있다. bk의 로그 우도 비율(LLR), L(bk)이 L(bk)=
Figure 112012098135250-pct00006
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d1 및 d0을 추정하는 것은
Figure 112012098135250-pct00007
를 정의하고 d를
Figure 112012098135250-pct00008
와 같이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i 및 j는 증분 인덱스들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실행가능한 명령들이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이 명령들은,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 무선 송신 채널에 대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MIMO 신호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하다. 이 명령들은 또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제 1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도록 실행가능하다. 이 명령들은 또한 백색화된 제 1 심볼 스트림에 관하여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실행가능하다. 이 명령들은 또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레이트 매칭 및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실행가능하다.
또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 무선 송신 채널에 대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MIMO 신호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제 1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백색화된 제 1 심볼 스트림에 관하여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레이트 매칭 및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이 개시된다.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 명령들은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에서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 무선 송신 채널에 대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MIMO 신호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이 명령들은 또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제 1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이 명령들은 또한 백색화된 제 1 심볼 스트림에 관하여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이 명령들은 또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레이트 매칭 및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도 1은 조인트 디코딩 엔진(120)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기지국(104)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의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들, 개인 디지털 보조기들(PDA들), 휴대용 디바이스들, 무선 모뎀들, 랩톱 컴퓨터들, 퍼스널 컴퓨터들 등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대안적으로,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모바일국, 원격국, 사용자 단말, 단말, 가입자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가입자국, 사용자 장비, 또는 몇몇 다른 유사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4)은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Node B, 이벌브드 Node B, 또는 몇몇 다른 유사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4)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06)(기지국 제어기 또는 패킷 제어 기능부로도 또한 지칭됨)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06)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110),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108) 또는 인터네트워킹 기능부(IWF),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SPTN)(114)(통상적으로 전화 회사)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112)(통상적으로 인터넷)와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스위칭 센터(11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114)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책임이 있을 수 있는 반면,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8)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와 IP 네트워크(112) 간에 패킷들을 라우팅하는 책임이 있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120a)을 포함할 수 있고 기지국(104)은 조인트 디코딩 엔진(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디코딩 엔진들(120)은 심볼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 심볼 등화 대신 조인트 디코딩을 이용할 수 있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데이터 스트림의 조인트 디코딩은 심볼 등화를 통해 상당한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몇 가지 조인트 디코딩 방법들이 존재한다. 일 방법은 전체 조인트 로그 우도 비율(JLLR)이고 다른 방법은 맥스 로그 최대 사후(MAP), 또는 MLM이다. 조인트 디코딩 엔진(120)은 하드/소프트 연속 간섭 제거(SIC) 및 논-SIC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디코딩 엔진들(120)의 맥스 로그 MAP/조인트 로그 우도 비율(MLM/JLLR) 코어는 채널간 간섭(ICI) 및 심볼간 간섭(ISI)을 포함하는 미처리 수신 심볼들을 처리할 수 있다. 채널간 간섭(ICI)은 잡음 공분산에서 측정될 수 있고 심볼간 간섭(ISI)은 채널 매트릭스를 계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잡음 공분산 및 채널 매트릭스, 또는 잡음 백색화 등가물들은 처리를 위해 MLM/JLLR 코어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채널 매트릭스 계산, 잡음 공분산, 데이터의 잡음 백색화, LLR들의 계산, 후속하는 후처리, 예를 들어, 터보 디코딩 또는 하드/소프트 연속 간섭 제거(SIC)를 포함한다.
도 2는 MIMO 데이터 경로(221)에서의 조인트 디코딩 엔진(22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MIMO 데이터 경로(221)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 또는 기지국(104)에 존재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은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도시된 MIMO 데이터 경로(221)는 펌웨어(222) 및 하드웨어(2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IMO 데이터 경로(221)의 도시된 하드웨어(224) 부분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의 복조기에 존재할 수 있다.
칩 레벨 MIMO 신호는, 칩 레벨 MIMO 신호를 제 1 MIMO 심볼 스트림(230a) 및 제 2 MIMO 심볼 스트림(230b)으로 변환하는 역확산기/디스크램블러(228)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기록-제어기 버퍼(229)는 MIMO 심볼 스트림들(230)을 저장할 수 있다. 기록-제어기 버퍼(229)내의 수신된 심볼(y)은 식(1)에 따라 기술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09
y는 수신된 심볼이고, H는 채널 추정치이고,
Figure 112012098135250-pct00010
는 전송된 심볼의 2개의 스트림들이고, n은 수신된 신호 상의 잡음이다. 전송된 심볼의 2개의 스트림들, s1 및 s2는 상이한 변조 기술들, 예를 들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64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MIMO 심볼 스트림들(230)은, 선형 최소 평균 자승 오차(LMMSE) 가중치 계산기(233)에 대한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중간 공분산(Ryy)(232)을 결정하기 위해 중간 공분산 계산기(231)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LMMSE 가중치 계산기(233)는 MMSE 가중치(234)를 출력할 수 있다. 선형 최소 평균 자승 오차(LMMSE) 등화기(235)는 MMSE 가중치(234)를 데이터 스트림들에 적용하여 2개의 등화된 심볼 스트림들(236)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등화된 심볼 스트림들(236) 그리고 진폭(μ)(240) 및 에너지(ν)(241)는 맥스 로그 MAP(MLM) 스케일링 계산기(242)에 의해 사용되어 채널 추정치 및 잡음 공분산에 대한 스케일링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진폭(μ)(240) 및 에너지(ν)(241)는 진폭 및 에너지 계산기(239)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은 백색화 매트릭스(W)(252)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HSDPA에서, 반송파-대-간섭 비율(CIR) 매트릭스(H) 및 잡음 공분산 매트릭스(Rnn)는 고속-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에 대한 미공지 전력 오프셋을 가질 수 있는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을 통해 추정될 수 있다. 이 미공지 스케일링을 고려할 때, MIMO 심볼 스트림(230)은 식(2)에 따라 기술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11
α및 β는 맥스 로그 MAP(MLM) 스케일링 계산기(242)에서 계산되는 미공지 스케일링 파라미터들이다.
다수의 MIMO 심볼 스트림들(230)을 디코딩하는 일 가능한 접근법은 심볼 등화기 다음에 로그 우도 비율(LLR) 근사화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대조적으로, 조인트 디코딩 엔진들(220a-c)은 잡음 백색화, 맥스 로그 MAP(MLM) 처리, 및 터보 디코딩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220a)은 잡음 백색화기(246a), 맥스 로그 MAP(MLM) 모듈(248a), 및 디-레이트 매칭 터보 디코더(250a)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디코딩 엔진(220a)은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244), 백색화 매트릭스(W)(252), 및 MIMO 심볼 스트림들(230)을 수신하고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을 출력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백색화 매트릭스(W)(252)는 식(3)에 따라 펌웨어(222)에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12
잡은 백색화기(246a)는 식(4)에 따라, 수신된 심볼을 백색화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13
Yw는 백색화된 수신된 심볼이다. 잡음 백색화기(246a)는 또한 식(5)에 따라,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244)를 백색화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14
Hw는 백색화된 채널 추정치이다.
따라서, 잡음 백색화기(246a)의 출력은 백색화된 채널 추정치(Hw) 및 백색화된 수신된 심볼들(Yw)일 수 있다. 맥스 로그 MAP(MLM) 모듈(248a)은 이후, 맥스 로그 MAP(MLM)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맥스 로그 MAP(MLM) 모듈(248a)이 제 1 MIMO 심볼 스트림(230a)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그리고 제 2 MIMO 심볼 스트림(230b)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더라도, 맥스 로그 MAP(MLM) 모듈(248a)은, 조인트 디코딩 엔진들(220)이 단지 하나의 디-레이트 매칭 터보 디코더(250a)만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데이터 스트림만을 생성할 수 있다. 디-레이트 매칭 터보 디코더(250a)는 이후,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레이트 매칭하고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을 생성할 수 있다. 디-레이트 매칭은 인코딩 시에 실시된 레이트 매칭을 원상태로 돌리기 위해 실시될 수 있다. 즉, 송신기에서의 레이트 매칭은, 송신하기 전에 데이터 스트림의 비트들을 펑처링/제거 또는 확장/반복함으로써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코드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다. 역으로, 디-레이트 매칭은, 터보 디코딩 전에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비트들 중 일부를 디-평처링, 또는 대체할 수 있다. 이는, 터보 디코더로 하여금, 확장된 데이터 레이트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 1 조인트 디코딩 엔진(220a)은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을 생성할 수 있다. 연속 간섭 제거(SIC) 결정 모듈(264)은, 하드-SIC 특징(feature) 또는 소프트-SIC 특징이 MIMO 데이터 경로(221)에서 인에이블되는지 그리고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이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CRC)를 통과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디코딩된 제 2 스트림(258)을 생성하기 위한 3개의 구성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제 1 구성에서, 하드-SIC 특징이 인에이블되고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이 CRC를 통과한 경우, 연속 간섭 제거 모듈(260)은 하드-SIC를 사용하여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 제 2 구성에서, 소프트-SIC 특징이 인에이블되는 경우,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이 CRC를 통과하는지 또는 그렇지 않든지 간에, 연속 간섭 제거 모듈(260)은 소프트-SIC를 사용하여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 제 3 구성에서, 하드-SIC 특징이 인에이블되지만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이 CRC에 실패하는 경우, 제 2 데이터 스트림은 제 1 데이터 스트림과 동일한 방식으로 디코딩될 수 있다.
하드-SIC가 인에이블되고 CRC가 성공인 경우, 또는 소프트-SIC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연속 간섭 제거(SIC) 모듈(260)은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을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SIC를 이용하여, 디코딩된 제 2 데이터 스트림(258a)을 생성할 수 있다. 하드-SIC가 사용되는 경우, 디코딩된 제 2 데이터 스트림(258a)은 하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SIC가 사용되는 경우, 디코딩된 제 2 데이터 스트림(258a)은 소프트 값들, 즉, 데이터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MIMO 심볼 스트림(230b)에서,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의 리-인코딩된(re-encoded) 버전을 공제(subtract)하기 위해 SIC가 수행될 수 있다. SIC가 사용되는 경우, 식(1)로부터의 신호 모델은 식(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15
h1은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244)의 제 1 컬럼이고 h2는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244)의 제 2 컬럼이다. 연속 간섭 제거 모듈(260)은,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s1)이 먼저 디코딩되어 상쇄되었다(cancelled out)고 가정하여, 신호로부터,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s1)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연속 간섭 제거 모듈(260)은, 제 2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전에, 식(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isolate)시킬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16
따라서, SIC를 위해 사용된 조인트 디코딩 엔진(220b)에 대한 입력은 식(8)에 따를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17
즉,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244)의 하나의 칼럼이 제로 아웃될(zeroed out) 수 있도록, 인코더(262)가,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을 리-인코딩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제로 아웃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244)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220b)으로 공급되고, 잡음 백색화기(246b), 맥스 로그 MAP(MLM) 모듈(248b) 및 디-레이트 매칭 터보 디코더(250b)에 의해 처리되어 디코딩된 제 2 데이터 스트림(258a)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SIC(하드 또는 소프트)가 인에이블되지 않았거나 또는 CRC가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제 3 조인트 디코딩 엔진(220c)은, 상술된 바와 같이 잡음 백색화기(246a), 맥스 로그 MAP(MLM) 모듈(248c), 및 디-레이트 매칭 터보 디코더(250c)를 이용하여 디코딩된 제 2 데이터 스트림(258b)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조인트 디코딩 엔진(220a)과 같이 제 3 조인트 디코딩 엔진(220c)은, 예를 들어, 펌웨어(222)로부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244) 및 백색화 매트릭스(W)(252)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조인트 디코딩 엔진(320)에 대한 스케일링 계산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앞서와 같이, MIMO 데이터 경로(321)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 또는 기지국(104)에 존재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지만, 도시된 MIMO 데이터 경로(321)는 펌웨어(322) 및 하드웨어(324a-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MIMO 데이터 경로(321)의 하드웨어(324) 부분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의 복조기에 존재할 수 있다.
기록-제어기 버퍼(329)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IMO 심볼 스트림들(330)을 저장할 수 있다. 선형 최소 평균 자승 오차(LMMSE) 등화기(335)는 식(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등화된 심볼 스트림들(E)(336)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18
Ryy(332)는 LMMSE 가중치 계산기(233)로부터 수신된 중간 공분산이고, ei는 매트릭스 E의 i번재 로우(row)이고, fscale(·)는 심볼들의 비트폭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케일링 함수이다. 각각의 스트림의 기록-제어기 버퍼(329) 비트폭을 피팅시키기 위해서, 2개의 스트림들에 대한 스케일링 인자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2개의 별개의 스트림들이 식(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19
H 및 Rnn은 스케일링되지 않는다(unscaled). 다음 설명에서, A=EH이고
Figure 112012098135250-pct00020
이다. 따라서, 스트림들은 식(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21
LMMSE 등화기(335) 다음에, 진폭 및 에너지 계산기(339)가 심볼 진폭(μ)(340) 및 에너지(ν)(341)를 추정할 수 있다. 수신된 2개의 MIMO 심볼 스트림들(330)은 식(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22
식(12) 및 식(11)을 비교하면, 신호 부분은 식(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23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최소 자승법(least squares) 솔루션은 식(14)로 표현된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24
여기서, [·]+는 무어-펜로즈 의사-역행렬(Moore-Penrose pseudo-inverse of the matrix)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잡음 부분은 식(15)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25
여기서, E{·}는 예상된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β는 식(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26
대안으로, β는 fscale(·)알고리즘에 의존하여 고정된 수에 가까울 수 있다 (공통 파일럿 채널(CPICH) 및 고속-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이 동일한 잡음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일한 차는 2개의 채널들의 확산 이득일 수 있다). 이 경우, β는 계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α는 항상 계산될 수 있다.
이후, 맥스 로그 MAP(MLM) 스케일링 계산기(342)는, 계산된 α 및 β를 각각 이용하여,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344) 및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βRnn)(364)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인버터(366)는 식(17)에 따라,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βRnn)(364)을 이용하여 백색화 매트릭스(W)(352)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27
조인트 디코딩 엔진(320)은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344), 백색화 매트릭스(W)(352) 및 MIMO 채널 스트림들(330)을 입력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잡음 백색화기(346)는 채널 백색화기(368a) 및 심볼 백색화기(370)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백색화기(368a)는 백색화 매트릭스(W)(352)를 사용하여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344)를 백색화하여 백색화된 채널 추정치(Hw)(372a)를 생성할 수 있다. 비슷하게, 심볼 백색화기(370)는 백색화 매트릭스(W)(352)를 이용하여 MIMO 심볼 스트림들(330)을 백색화하여 백색화된 수신된 심볼들(Yw)(374)를 생성할 수 있다. 맥스 로그 MAP(MLM) 모듈(348)은 Hw(372a) 및 Yw(374)를 입력들로서 수신하고 아래에 논의되는 맥스 로그 MAP(MLM) 처리를 이용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376)을 생성할 수 있다. 맥스 로그 MAP(MLM) 모듈(348)은 또한, 터보 디코더 스케일링 계산기(382)로부터 계산되는 고정점(fixed point) 스칼라(여기서, β''는, 2개의 스트림들에 대해 2개의 가능한 상이한 β''를 계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378)를 사용할 수 있다. 터보 디코더 스케일링 계산기(382)는 채널 백색화기(368b)로부터 백색화된 채널 추정치(Hw)(372b)를 수신할 수 있다. 맥스 로그 MAP(MLM) 모듈(348)은 또한, 상이한 스트림들이 상이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변조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심볼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타입들(380)(예를 들어, QPSK, 16QAM, 64QAM)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 1 데이터 스트림(376)은, 디-레이트 매칭 터보 디코더(350)에 의해 디-레이트 매칭되고 터보 디코딩되어 디코딩된 제 1 스트림 데이터(356)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420)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401)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401)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 또는 기지국(104)을 사용할 수 있다. 역확산기/디스크램블러(428)는 칩 레벨 MIMO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MIMO 심볼 스트림(430a) 및 제 2 MIMO 심볼 스트림(430b)을 생성할 수 있다. MIMO 심볼 스트림들(430)은 백색-제어기 버퍼(429)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401)는 또한, 조인트 디코딩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저장 매체(482)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추정치(H)(484) 및 잡음 공분산(Rnn)(486)은 공통 파일럿 채널(CPICH)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그러나, CPICH는 고속-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에 대한 미공지 전력 오프셋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채널 추정 스칼라(α)(488) 및 잡음 공분산 스칼라(β)(490)는 식(9) 내지 식(16)에 따라 맥스 로그 MAP(MLM) 스케일링 계산기(44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중간 공분산 계산기(431)는 α(488) 및 β(490)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중간 공분산(Ryy)(432)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2개의 등화된 스트림들(E)(436), 및 수신된 심볼들에 대한 진폭(μ)(440) 및 에너지(ν)(441)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형 최소 평균 자승 오차 가중치 계산기(433)는 또한, α(444) 및 β(490)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조인트 디코딩 엔진(420)은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444), 백색화 매트릭스(W)(452), 및 MIMO 심볼 스트림(430)을 입력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잡은 백색화기(446)의 채널 백색화기(468)는 식(5)에 따라,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αH)(444)를 백색화하여 백색화된 채널 추정치(Hw)(472)를 생성할 수 있다. 비슷하게, 심볼 백색화기(470)는 식(4)에 따라 MIMO 심볼 스트림(430)을 백색화하여 백색화된 수신된 심볼들(Yw)(474)을 생성할 수 있다.
맥스 로그 MAP(MLM) 모듈(448)은 백색화된 채널 추정치(Hw)(472) 및 백색화된 수신된 심볼들(Yw)(474)을 수신하고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맥스 로그 MAP(MLM) 모듈(448)은 또한, 고정점 효과를 설명하는 고정점 스칼라(478)(2개의 스트림들에 대해 2개의 β''를 나타낼 수 있는 β'')를 수신할 수 있다. 맥스 로그 MAP(MLM) 모듈(448)은 또한, MIMO 심볼 스트림들(430)의 변조 타입들(480)을 수신할 수 있다. 디-레이트 매칭 터보 디코더(450)는 맥스 로그 MAP(MLM) 모듈(448)로부터 출력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디-레이트 매칭 및 터보 디코딩을 실시하여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256)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320)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5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50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 또는 기지국(104)에서 실시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무선 송신 채널을 통해 MIMO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502). MIMO 신호는 칩 레벨에서 수신되고 역확산기/디스크램블러에 의해 심볼들로 변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또한, MIMO 신호의 제 1 MIMO 심볼 스트림(230a) 및 제 2 MIMO 심볼 스트림(230b), 무선 송신 채널에 대한 채널 추정치(H), 및 MIMO 신호의 잡음 공분산(Rnn)을 결정할 수 있다(504). 채널 추정치(H)는 고속-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의 추정치인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추정치(H)는 공통 파일럿 채널(CPICH), 즉, (αH)(244)의 스케일링된 추정치와 등가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채널 추정치(H) 및 제 1 MIMO 심볼 스트림(230a)을 백색화할 수 있다(506). 이는 잡음 공분산(Rnn)으로부터 유도된 백색화 매트릭스(W)(252)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추정치(H)와 같이, 잡음 공분산(Rnn)은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βRnn)(364)과 등가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백색화된 제 1 MIMO 심볼 스트림 상에서 맥스 로그 MAP(MLM)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508). 이는, 아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백색화된 제 1 MIMO 심볼 스트림의 비트들에 대한 로그 우도 비율들(LLR들)을 결정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또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레이트 매칭 및 터보 디코딩할 수 있다(510). 디-레이트 매칭은, 송신기에서, 펑쳐링되었거나 또는 제거되었던 비트들을 터보 디코딩, 즉 대체하기 전에 데이터 스트림 내 비트들 중 일부를 디-펑쳐링/대체하거나 또는 확장/반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터보 디코더로 하여금, 예상된 데이터 레이트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게 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또한, 연속 간섭 제거(SIC)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 2 MIMO 심볼 스트림에 관하여 SIC를 실시할 수 있다(512). 연속 간섭 제거(SIC)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 예를 들어, 전송된 데이터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비트들을 임베딩하는 것, 디바이스에 비트를 설정하는 것 등을 이용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또한, 제 2 MIMO 심볼 스트림(230b)에 관하여 백색화, 맥스 로그 MAP(MLM) 처리의 실시, 디-레이트 매칭 및 터보 디코딩을 할 수 있다(514).
상술된 도 5의 방법(500)은, 도 6에 도시된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600)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블록들(502 내지 514)은 도 6에 도시된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602 내지 614)에 대응한다.
도 7은 맥스 로그 최대 사후(max log maximum a posteriori : MLM) 처리를 위한 방법(7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70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 또는 기지국(104)에서 맥스 로그 MAP(MLM) 모듈(250)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MA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트 bk의 LLR은 식(18)으로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28
최대 우도(M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트 bk의 LLR은 식(19)으로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29
그리고, 맥스 로그 MAP(ML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트 bk의 LLR은 식(20)에 의해 근사화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30
식(20)은 식(21)으로 더욱 간단해 질 수 있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31
여기서,
Figure 112012098135250-pct00032
이다. 또한, σ는 잡음 공분산이고, 식(12) 및 식(15)은 유사하다. 그러나, 잡음 백색화 이후에, 잡음이 단위 공분산을 가질 수 있고, 잡음 백색화 이후의 σ는 1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따라서 1/σ 항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맥스 로그 MAP(MLM) 처리는 식(21)을 푸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식(21)을 풀기 위해서,
Figure 112012098135250-pct00033
를 가정하면, MLM 모듈(250)은 bk=1이도록 콘스텔레이션 다이어그램 내의 모든 s1 포인트들을 결정할 수 있다(716). MLM 모듈(250)은 또한, 각각의 s1 포인트에 대응하는 s2 포인트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를 획득할 수 있다(718). MLM 모듈(250)은 또한, 새로운 s2 포인트로서, 각각의 s2 포인트를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할 수 있다(720). 즉, 각각의 s1에 대하여, MMSE 및 슬라이스하는 것은 s2를, 직접적으로, 즉, 각각의 s1을 탐색하지 않고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MMSE 및 슬라이스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s2를 획득할 것이다. MLM 모듈(250)은 또한, 식(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L2 norm max sum approximation)를 이용하여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d1을 계산할 수 있다(722).
Figure 112012098135250-pct00034
i 및 j는 인덱스들이고 z는
Figure 112012098135250-pct00035
에 대해 식(23)에 따라 정의된다.
Figure 112012098135250-pct00036
MLM 모듈(250)은 bk=0이도록, 콘스텔레이션 다이어그램 내의 모든 s1 포인트들을 결정할 수 있다(724). MLM 모듈(250)은 또한, 각각의 s1 포인트에 대응하는 s2 포인트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를 획득할 수 있다(726). MLM 모듈(250)은 또한, 새로운 s2 포인트로서 각각의 s2 포인트를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할 수 있다(728). MLM 모듈(250)은 또한, 식(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2 노름 근사화를 이용하여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d0을 계산할 수 있고(730), 여기서 i 및 j는 인덱스들이고 z는
Figure 112012098135250-pct00037
에 대하여 식(23)에 따라 정의된다.
MLM 모듈(250)은 최소치 d0 및 최소치 d1을 결정할 수 있다(732). MLM 모듈(250)은 이후, 식(24)을 계산할 수 있다(734).
Figure 112012098135250-pct00038
기본적으로, 식(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노름 근사화를 이용하는 것은
Figure 112012098135250-pct00039
대신 맥스 합계 근사화에 의해
Figure 112012098135250-pct00040
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제곱하는 것은 단지 최종 LLR 계산 단계에서만 실시될 수 있다, 즉, 모든 가능한 콘스텔레이션들에 대해 한번 만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보다 적은 비트-폭 및 메모리를 사용하는 더 작은 동적 범위뿐만 아니라, 더 빨리 실시될 수 있는 메트릭 계산 상태의 더 낮은 계산 복잡성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s1이 64QAM을 사용하는 경우, 총 64개의 가능한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이 존재하고, 여기서 이들 중 32개가 bk=1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MLM 모듈(250)은 모든 가능한 32개의 콘스텔레이션 가설을 시도할 수 있으며, 여기서 bk=1이다. s1의 각각의 가설의 경우, MLM 모듈(250)은 (MMSE 및 슬라이스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s2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MLM 모듈(250)은, 하나의 (s1, s2) 쌍에 각각 대응하는 32개의 d^2(s) 항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MLM 모듈(250)은 식(21)의 첫 번째 항인 32개의 항들 중 최소치를 획득할 수 있다. 식(21)의 두 번째 항을 획득하기 위해 비슷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두 번째 항의 경우 다른 32개의 s1 콘스텔레이션들을 시도할 것이고, 여기서 bk=0이다.
상술된 도 7의 방법(700)은 도 8에 도시된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800)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블록들(716 내지 734)은 도 8에 도시된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816 내지 834)에 대응한다.
도 9는 무선 디바이스(901)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901)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 또는 기지국(104)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901)는 프로세서(90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03)는 범용 단일-칩 또는 다중-칩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ARM),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마이크로제어기,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903)는 중앙 처리 장치(CPU)로 지칭될 수 있다. 도 9의 무선 디바이스(902)에는 오직 단일 프로세서(903)가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구성에서,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ARM 및 DSP)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901)는 또한 메모리(905)를 포함한다. 메모리(905)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일 수 있다. 메모리(905)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RAM 내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프로세서에 포함된 온-보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들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907) 및 명령들(909)은 메모리(905)에 저장될 수 있다. 명령들(909)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프로세서(903)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명령들(909)을 실행하는 것은 메모리(905)에 저장된 데이터(907)의 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3)가 명령들(907)을 실행하는 경우, 명령들(909a)의 다양한 부분들이 프로세서(903)에 로딩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907a)의 조각들이 프로세서(903)에 로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901)는 또한 송신기(911) 및 수신기(913)를 포함하여, 무선 디바이스(901)와 원격 위치 간의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송신기(911) 및 수신기(913)는 총괄적으로 트랜시버(915)로 지칭될 수 있다. 안테나(917)는 트랜시버(9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901)는 또한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무선 디바이스(901)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버스들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버스들은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다양한 버스들이 버스 시스템(919)으로서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서, 참조 번호들은 때때로, 다양한 용어들과 연결하여 사용되었다. 용어가 참조 번호와 연결하여 사용되는 경우, 이는, 도면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도시되는 특정 엘리먼트를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용어가 참조 번호 없이 사용되는 경우, 이는, 임의의 특정 도면들로 제한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그 용어를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결정"은 매우 다양한 동작을 포함하고, 따라서, "결정"은 계산, 연산, 처리, 유도, 검사, 검색(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검색), 확인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예를 들어, 정보 수신), 액세스(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로의 액세스)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해결, 선택, 선정, 설정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어구 "기초하는"은, 달리 특정하여 표현되지 않는 한 "...에만 기초하는"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어구 "기초하는"은 "...에만 기초하는" 및 "적어도 ...에 기초하는" 둘 모두를 나타낸다.
용어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들 하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소,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를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리고/또는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지칭된다. 프로세서에 통합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한다.
용어 "명령들" 및 "코드"는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스테이트먼트(들)를 포함하는 것으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용어 "명령들" 및 "코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그램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함수들, 절차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명령들" 및 "코드"는 단일 컴퓨터 판독가능 스테이트먼트 또는 다수의 컴퓨터 판독가능 스테이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로 저장될 수 있다.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또는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Blu-ray
Figure 112012098135250-pct00041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또한 송신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송신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설명되는 방법의 적절한 동작을 위해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한 순서가 요구되지 않으면, 특정한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청구항들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들이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로드되고/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바이스가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는, 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이 저장 수단(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들 및 기술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상술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청구항들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의 어레인지먼트,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30)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joint)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 무선 송신 채널에 대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MIMO 신호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는 단계;
    상기 백색화된 제 1 심볼 스트림에서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레이트 매칭 및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디-레이트 매칭하는 것은 터보 디코딩 전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서 비트들을 대체하는 것을 포함함 ―;
    연속 간섭 제거(SIC;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에서 하드 SIC 또는 소프트 SIC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고,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고, 디-레이트 매칭하고, 그리고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 간섭 제거(SIC)는 상기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reproduce)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하나의 칼럼을 제로 아웃(zero out)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의 진폭 및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채널 추정치 및 잡음 공분산에 대한 스케일링 인자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링 인자들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잡음 공분산을 스케일링하여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MIMO 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또는 디스크램블링하여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화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상기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에 기초하여 백색화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백색화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는,
    비트 bk가 s1내에 있는 경우,-여기서, s1은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내의 심볼임-:
    bk=1이도록, 가능한 s1 값들을 콘스텔레이션(constellation) 포인트들로서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가능한 s1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2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를 획득하고 -여기서, s2는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 내의 심볼임- 그리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2의 상기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2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L2 norm max sum approximation)를 이용하여
    Figure 112014087742984-pct00042
    를 추정하는 단계 -여기서, y는 상기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이고, h1은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제 1 컬럼(column)이고, 그리고 h2는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제 2 컬럼임-;
    최소 d1 값, min(d1)을 결정하는 단계;
    bk=0이도록, 가능한 s1 값들을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가능한 s1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2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를 획득하고 그리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2의 상기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2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Figure 112014087742984-pct00043
    를 추정하는 단계;
    최소 d0 값, min(d0)을 결정하는 단계; 및
    bk의 로그 우도 비율(LLR), L(bk)을 L(bk)=
    Figure 112014087742984-pct00044
    과 같이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는,
    비트 bk가 s2내에 있는 경우:
    bk=1이도록, 가능한 s2 값들을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가능한 s2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1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를 획득하고 그리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1의 상기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1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Figure 112014087742984-pct00045
    를 추정하는 단계;
    최소 d1 값, min(d1)을 결정하는 단계;
    bk=0이도록, 가능한 s2 값들을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가능한 s2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1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를 획득하고 그리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1의 상기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1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Figure 112014087742984-pct00046
    를 추정하는 단계;
    최소 d0 값, min(d0)을 결정하는 단계; 및
    bk의 상기 로그 우도 비율(LLR), L(bk)을 L(bk)=
    Figure 112014087742984-pct00047
    과 같이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상기 d1 및 d0을 추정하는 단계는
    Figure 112012098135250-pct00048
    를 정의하는 단계; 및
    d를
    Figure 112012098135250-pct00049
    와 같이 결정하는 단계 -여기서 i 및 j는 증분 인덱스들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11.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 무선 송신 채널에 대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MIMO 신호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고;
    상기 백색화된 제 1 심볼 스트림에서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레이트 매칭 및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 디-레이트 매칭하는 것은 터보 디코딩 전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서 비트들을 대체하는 것을 포함함 ―하고;
    연속 간섭 제거(SIC)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에서 하드 SIC 또는 소프트 SIC를 실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고,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고, 디-레이트 매칭하고, 그리고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간섭 제거(SIC)를 실시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상기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하나의 칼럼을 제로 아웃(zero out)시키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의 진폭 및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채널 추정치 및 잡음 공분산에 대한 스케일링 인자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스케일링 인자들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잡음 공분산을 스케일링하여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생성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상기 수신된 MIMO 신호를 역확산 또는 디스크램블링하여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화하기 위하여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상기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상기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에 기초하여 백색화 매트릭스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백색화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17. 제 11 항에 있어서,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기 위하여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비트 bk가 s1내에 있는 경우,-여기서, s1은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내의 심볼임-:
    bk=1이도록, 가능한 s1 값들을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하고;
    각각의 가능한 s1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2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를 획득하고 -여기서, s2는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 내의 심볼임- 그리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2의 상기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2 값들을 결정하고;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Figure 112014087742984-pct00050
    를 추정하고 -여기서, y는 상기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이고, h1은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제 1 컬럼이고, 그리고 h2는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제 2 컬럼임-;
    최소 d1 값, min(d1)을 결정하고;
    bk=0이도록, 가능한 s1 값들을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하고;
    각각의 가능한 s1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2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를 획득하고 그리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2의 상기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2 값들을 결정하고;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상기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Figure 112014087742984-pct00051
    를 추정하고;
    최소 d0 값, min(d0)을 결정하고; 그리고
    bk의 로그 우도 비율(LLR), L(bk)을 L(bk)=
    Figure 112014087742984-pct00052
    와 같이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비트 bk가 s2내에 있는 경우:
    bk=1이도록, 가능한 s2 값들을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하고;
    각각의 가능한 s2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1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를 획득하고, 그리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1의 상기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1 값들을 결정하고;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상기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Figure 112014087742984-pct00053
    를 추정하고;
    최소 d1 값, min(d1)을 결정하고;
    bk=0이도록, 가능한 s1 값들을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로서 결정하고;
    각각의 가능한 s1 값에 대하여, 대응하는 s2의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추정치를 획득하고 그리고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로 슬라이스된 s2의 상기 MMSE 추정치들로서 가능한 s2 값들을 결정하고;
    각각의 (s1, s2) 쌍에 대해 상기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Figure 112014087742984-pct00054
    를 추정하고;
    최소 d0 값, min(d0)을 결정하고; 그리고
    bk의 상기 로그 우도 비율(LLR), L(bk)을 L(bk)=
    Figure 112014087742984-pct00055
    과 같이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L2 노름 맥스 합계 근사화를 이용하여 상기 d1 및 d0을 추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Figure 112012098135250-pct00056
    를 정의하고; 그리고
    d를
    Figure 112012098135250-pct00057
    와 같이 결정하도록 -여기서 i 및 j는 증분 인덱스들임-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21.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로서,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 무선 송신 채널에 대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MIMO 신호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기 위한 수단;
    상기 백색화된 제 1 심볼 스트림에서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레이트 매칭 및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디-레이트 매칭하는 것은 터보 디코딩 전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서 비트들을 대체하는 것을 포함함 ―;
    연속 간섭 제거(SIC)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에서 하드 SIC 또는 소프트 SIC를 실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고,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고, 디-레이트 매칭하고, 그리고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22. 삭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간섭 제거(SIC)를 실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일 칼럼을 제로 아웃(zero out)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의 진폭 및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채널 추정치 및 잡음 공분산에 대한 스케일링 인자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스케일링 인자들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잡음 공분산을 스케일링하여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수신된 MIMO 신호를 역확산 또는 디스크램블링하여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26.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을 구비하고,
    상기 명령들은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에서 제 1 심볼 스트림 및 제 2 심볼 스트림, 무선 송신 채널에 대한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MIMO 신호의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기 위한 코드;
    상기 백색화된 제 1 심볼 스트림에서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디-레이트 매칭 및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 디-레이트 매칭하는 것은 터보 디코딩 전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서 비트들을 대체하는 것을 포함함 ―;
    연속 간섭 제거(SIC)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에서 하드 SIC 또는 소프트 SIC를 실시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백색화하고, 맥스 로그 최대 사후(MLM) 처리를 실시하고, 디-레이트 매칭하고, 그리고 터보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7. 삭제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간섭 제거(SIC)를 실시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의 일 칼럼을 제로 아웃(zero out)시키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의 진폭 및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의 채널 추정치 및 잡음 공분산에 대한 스케일링 인자들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스케일링 인자들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잡음 공분산을 스케일링하여 상기 스케일링된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스케일링된 잡음 공분산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수신된 MIMO 신호를 역확산 또는 디스크램블링하여 상기 제 1 심볼 스트림 및 상기 제 2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조인트 디코딩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127031043A 2010-04-29 2011-04-27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의 이용 KR101485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69,916 US8634332B2 (en) 2010-04-29 2010-04-29 Using joint decoding engine in a wireless device
US12/769,916 2010-04-29
PCT/US2011/034140 WO2011139770A1 (en) 2010-04-29 2011-04-27 Using a joint decoding engine in a wireless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579A KR20130014579A (ko) 2013-02-07
KR101485886B1 true KR101485886B1 (ko) 2015-01-26

Family

ID=4453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043A KR101485886B1 (ko) 2010-04-29 2011-04-27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의 이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34332B2 (ko)
EP (1) EP2564535B1 (ko)
JP (1) JP5529343B2 (ko)
KR (1) KR101485886B1 (ko)
CN (1) CN102959889B (ko)
WO (1) WO20111397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9981B2 (en) * 2009-10-23 2012-10-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post detection improvement in MIMO
US8687751B1 (en) 2010-04-02 2014-04-01 Marvell International Lt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receivers using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cyclic redundancy check
US8694851B1 (en) 2010-08-17 2014-04-08 Marvell International Ltd Adaptive multiple-input multiple-ouput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ivers
TWI426733B (zh) * 2010-11-15 2014-02-11 Univ Nat Chiao Tung 處理一分頻多工訊號之系統及方法
US20130156139A1 (en) * 2011-12-15 2013-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rferenc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014109B2 (en) * 2012-06-05 2015-04-21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it-level PDSCH muting and/or receiver puncturing in LTE-advanced heterogeneous networks
US9007942B2 (en) 2012-08-02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covariance inversion based on linear receiver designs
US20140098757A1 (en) * 2012-10-09 2014-04-10 Qualcomm Incorporated Cqi reporting and generation in wireless network
US20140098688A1 (en) * 2012-10-10 2014-04-10 Qual Comm Incorporated Outer loop control of cqi reporting and generation in wireless network
US9001920B2 (en) 2013-02-19 2015-04-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9197461B1 (en) 2013-03-12 2015-11-24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mory efficient architecture of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MIMO systems
US9197267B2 (en) * 2013-04-09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joint demodulation with max-log MAP (MLM)
US9094029B2 (en) 2013-05-03 2015-07-28 Marvell World Trad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rdering codewords based on posterior information in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receivers
CN103346869B (zh) * 2013-06-19 2016-05-2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接收方法及装置
US9602239B2 (en) 2013-06-27 2017-03-21 Telecom Italia S.P.A. Re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US9806827B2 (en) * 2013-09-13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490938B1 (en) 2014-01-06 2016-11-08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itera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EP3048766B1 (en) 2015-01-22 2019-07-24 Vodafone GmbH Double iterative MIMO receiver
CN107124213B (zh) * 2016-02-23 2019-12-24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多入多出系统中基于直接自适应的双向turbo均衡方法
US10743201B2 (en) * 2017-01-25 2020-08-11 Ceva D.S.P. Ltd. System and method for blind detec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of an interfering cell
JP6730215B2 (ja) * 2017-03-22 2020-07-29 キオクシア株式会社 メモリコントローラ、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4910B2 (ja) * 2001-02-20 2005-1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ターボ受信方法及びその受信機
JP2007508758A (ja) * 2003-10-14 2007-04-0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反復的な干渉推定および時空間的白色化による単一アンテナ干渉除去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4936B2 (en) * 2001-12-03 2006-12-26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detection and decoding for a MIMO-OFDM system
EP1392017B1 (en) 2002-08-21 2006-10-04 Lucent Technologies Inc. A MIMO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level-coded modulation operative by iterative determination of soft estimates, and a corresponding method
US7218690B2 (en) * 2003-07-24 2007-05-15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Hybrid turbo-mud for multiple access systems
EP1589672B1 (fr) * 2004-04-22 2014-06-04 Orange Procédé d'égalisation vectorielle itérative pour systèmes de communications CDMA sur canal MIMO
US7590195B2 (en) * 2005-02-23 2009-09-15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Reduced-complexity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hannel detection via sequential Monte Carlo
US8023581B2 (en) 2006-09-19 2011-09-20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ax-log receiver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US8391389B2 (en) * 2006-11-06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MIMO detection with on-time symbol level interference cancellation
EP1971063B1 (en) 2007-03-14 2018-10-10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s, and related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US8213368B2 (en) * 2007-07-13 2012-07-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compression of channel feedback based on second order channel statistics
KR100926563B1 (ko) 2007-08-23 2009-1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로그우도비 산출 방법, 송신 신호 검출 방법 및 수신기
TWI339956B (en) * 2007-12-31 2011-04-0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olutional turbo decoding
US7957485B2 (en) * 2008-02-25 2011-06-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duced complexity parametric covariance estimation for precoded MIMO transmissions
US8279954B2 (en) 2008-03-06 2012-10-02 Ntt Docomo, Inc. Adaptive forward-backward soft output M-algorithm receiver structures
US8675793B2 (en) * 2008-08-20 2014-03-18 Lg Innotek Co., Ltd. MIMO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758533C (en) * 2009-04-27 2017-01-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ybrid-qrd-sic and imbalanced mcs system and method for mimo
US20110013684A1 (en) * 2009-07-14 2011-01-20 Nokia Corporation Channel estimates in a SIC receiver for a multi-transmitter array transmission scheme
US8355471B2 (en) 2009-08-27 2013-01-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Joint demodulation and interference suppression using serial localization with indecision
US8976903B2 (en) 2009-09-02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iterative decoding architecture using joint LLR extraction and a priori probabi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4910B2 (ja) * 2001-02-20 2005-1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ターボ受信方法及びその受信機
JP2007508758A (ja) * 2003-10-14 2007-04-0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反復的な干渉推定および時空間的白色化による単一アンテナ干渉除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68019A1 (en) 2011-11-03
WO2011139770A1 (en) 2011-11-10
KR20130014579A (ko) 2013-02-07
EP2564535B1 (en) 2019-06-19
CN102959889A (zh) 2013-03-06
JP5529343B2 (ja) 2014-06-25
US8634332B2 (en) 2014-01-21
JP2013526219A (ja) 2013-06-20
EP2564535A1 (en) 2013-03-06
CN102959889B (zh)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886B1 (ko)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인트 디코딩 엔진의 이용
KR101333222B1 (ko) 간섭 제거된 스트림들에 대한 채널 및 잡음 적응을 갖는 단일 하드웨어 엘리먼트의 사용에 의한 sic-mimo 디코딩의 하드웨어 단순화
US9577786B2 (en) Pilot symbol generation for highly-spectrally-efficient communications
JP5538395B2 (ja) 通信信号処理における低複雑度干渉相殺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8666000B2 (en) Reduced state sequence estimation with soft decision outputs
US8345784B2 (en) Reduced-complexity equalization with sphere decoding
CN1703032A (zh) 利用决策回馈的可调适性通道估测方法和系统
CN1398477A (zh) 通过组合匹配滤波抽样与硬码元判断对码元解码的方法和系统
EP2131544B1 (en) Receiver architecture
EP2131543B1 (en) Receiver architecture
US200701657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mproved cellular interference cancelling diversity receiver
JP2009212586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llr算出装置及び方法
CN107836100B (zh) 用于使用稀疏不连续的时域导频的低复杂度isi估计的方法和装置
EP26805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MIMO reception with reduced complexity
CN105337685B (zh) 一种图拨检测方法及其装置
CN105827556B (zh) 双向turbo均衡方法及系统,水声通信系统
TWI593257B (zh) 處理序列估測的裝置及方法
JP2011139294A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Wan et al. Joint channel estimation and Markov Chain Monte Carlo detection for frequency-selective channels
Wu et al. LLR optimization for iterative MIMO BICM receivers
Wan et al. Markov chain Monte Carlo detection over time-varying frequency-selective channels
Higashinaka et al. Soft Decision Directed Channel Estimation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a MIMO System Using Iterative Equalization and Dec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