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826B1 - 데이터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826B1
KR101485826B1 KR20130066169A KR20130066169A KR101485826B1 KR 101485826 B1 KR101485826 B1 KR 101485826B1 KR 20130066169 A KR20130066169 A KR 20130066169A KR 20130066169 A KR20130066169 A KR 20130066169A KR 101485826 B1 KR101485826 B1 KR 101485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ate
setting key
data
aud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103A (ko
Inventor
김태진
김경식
유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바일
Priority to KR2013006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826B1/ko
Priority to PCT/KR2014/005084 priority patent/WO2014200246A2/ko
Publication of KR2014014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1 설정 키의 온(on)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입력된 음성을 제1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설정 키의 온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관리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의 발달에 따라 각 노드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의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 중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각종 메시지 등의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음향적으로 표시되는 음성 데이터의 관리리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49956호에는 음성 데이터를 주문 정보로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저장, 활용 방안 등 음성 데이터의 관리 방안이 언급되지 않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49956호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1 설정 키의 온(on)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입력된 음성을 제1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설정 키의 온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1 설정 키의 오프(off)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1 설정 키의 오프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1 설정 키의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설정 키의 온 상태에서 구동되고 입력된 음성을 제1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1 설정 키의 오프 상태에서 구동되고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1 설정 키의 온오프(on-off) 상태에 따라 입력된 음성을 제1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설정 키의 조작으로 음성 데이터의 생성과 음성 데이터의 재생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방안 및 저장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음성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입력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설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관리 장치는 감지부(110) 및 변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 PDA,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마련되거나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요구되는 마이크, 스피커, 송수신 수단 등의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단말기에는 데이터 관리 장치가 소프트웨어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제1 설정 키(191)의 온(on)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설정 키(191)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190)를 구성하는 여러 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설정 키(191)는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버튼 또는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버튼일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장치는 단말기와 별도로 마련된 하드웨어적 구성, 예를 들어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 회로, 전자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관리 장치는 단말기에 형성된 버튼 또는 자체적으로 마련된 버튼을 제1 설정 키(191)로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장치가 단말기에 소프트웨어 형태로 탑재될 경우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1 설정 키(191)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메뉴 버튼일 수 있다.
물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물리적 버튼 역시 제1 설정 키(191)로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볼륨 버튼, 전원 버튼, 홈 버튼,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의 제어 버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제어하는 무선 리모컨/이어폰의 버튼 등이 제1 설정 키(191)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설정 키(191)의 온(on) 상태는 변환부(120)의 구동을 요구하는 전기적 신호가 제1 설정 키(191)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제1 설정 키(191)의 온(on) 상태는 제1 설정 키(191)가 눌려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온 상태는 터치 스크린이 장비된 단말기 또는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1 설정 키(191)를 터치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설정 키(191)는 온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감지부(110)는 제1 설정 키(191)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감지 및 분석함으로써 제1 설정 키(191)의 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설정 키(191)의 오프(off) 상태는 변환부(120)의 구동을 요구하지 않거나, 변환부(120)의 구동을 중지시킬 것을 요구하는 전기적 신호가 제1 설정 키(191)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제1 설정 키(191)의 오프(off) 상태는 제1 설정 키(191)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이거나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설정 키(191)의 오프 상태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는 0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설정 키(191)의 온 상태를 제1 설정 키(191)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설정하고, 오프 상태를 제1 설정 키(191)가 눌려진 상태로 설정해도 무방하다.
변환부(120)는 입력된 음성을 제1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120)는 사용자의 육성 또는 주변의 다양한 소리를 받아들여 제1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변환부(120)는 제1 설정 키(191)의 온 상태에서만 구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변환부(12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의 (a)와 같이 제1 설정 키(191)가 ① 구간과 ② 구간에서 온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구간에서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의 육성 또는 주변의 다양한 소리가 도 2의 (b)와 같은 파형으로 입력되고 있는 경우 도 2의 (c)와 같이 ① 구간과 ② 구간의 음성에 대해서만 제1 음성 데이터가 출력된다.
① 구간과 ② 구간에서만 제1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이 가능하다. 일예로 변환부(120)에는 ① 구간과 ② 구간에서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는 변환부(120)의 출력단에 스위치를 마련하고, ① 구간과 ② 구간에서만 스위치를 온시키고, 다른 구간에서는 스위치를 오프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변환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성 데이터는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직접 활용되거나 다른 외부 기기에서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외부 기기에서 제1 음성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 관리 장치는 송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30)는 수신 대상인 목표 노드(외부 기기 또는 외부 단말기)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제1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신속한 제1 음성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송신부(130)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1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스트리밍(streaming)은 음성 파일을 저장 수단에 다운로드받아 재생하던 것을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재생해 주는 기법이다. 이에 따르면 목표 노드에서는 실시간으로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제1 음성 데이터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지 않는다면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1 음성 데이터를 음성 파일의 형태로 저장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저장부(150) 등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스트리밍은 통신망의 통신 속도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가능한 데이터량이 적은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송신부(130)는 제1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시켜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130)에 대응하는 수신부(180)는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음성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불특정인의 관할 하에 있는 외부 기기로 전송된다면 정보의 보안이 위협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목표 노드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설정부(140)는 송신부(130)와 통신 가능한 복수의 노드 중 하나 이상의 목표 노드를 설정할 수 있다. 목표 노드의 설정은 입력부(190)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할 수 있다.
설정부(140)는 하나 이상의 목표 노드가 포함된 그룹(group)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설정부(14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는 설정부(140)에 의해 단말기 또는 데이터 관리 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목표 노드의 설정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가 개시된다.
화면에는 목표 노드의 후보로 node1, node2, node3,..., node3이 표시되고 있다. 사용자에 의해 node1과 함께 표시되는 입력부(190)인 체크 박스(211)가 체크되면, 설정부(140)는 node1을 목표 노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node1의 식별 정보가 송신부(130)로 전달되고, 송신부(130)는 node1으로 제1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1 음성 데이터가 송신되기 위해 목표 노드의 설정은 송신부(130)의 구동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node1, node2, node3이 함께 설정되면, 설정부(140)는 위 3개의 목표 노드를 송신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송신부(130)는 node1, node2, node3으로 제1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음성 데이터의 송신시마다 복수의 목표 노드를 설정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설정부(140)는 그룹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설정부(140)는 그룹을 생성하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후보 노드 중 그룹화가 요구되는 후보 노드를 지시하는 체크 박스(211) 등이 체크된 상태에서 도 3의 하단에 마련된 group 메뉴(213)가 선택되면 설정부(140)는 체크 박스(211)가 체크된 모든 후보 노드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그룹에는 다른 그룹이 포함될 수 있다.
그룹에는 하나 이상의 목표 노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group1에 node1, node2, node3 3개의 목표 노드가 포함되고 있다. 이때, 송신부(130)는 그룹을 분석하고, 그룹에 포함된 각 목표 노드로 제1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는 group1의 체크 박스(211)가 체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group1에 포함된 node1, node2, node3를 목표 노드로 하여 제1 음성 데이터가 송신될 것이다.
한편, 송신부(130)는 그룹에 포함된 목표 노드로 그룹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 사용자 z가 node1의 사용자 a, node2의 사용자 b, node3의 사용자 c와 함께 음성 데이터를 공유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a, b, c, z 간의 의견 교환을 희망할 때, 목표 노드의 사용자인 a, b, c의 의사를 타진할 필요가 있다.
송신부(130)로부터 그룹의 정보가 각 목표 노드로 전달된다면 목표 노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그룹의 대화에 참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b에 의해 node2가 해당 그룹의 대화에 참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node2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 a, b, c, z로 송신될 수 있다.
사용자 c에 의해 node3이 해당 그룹의 대화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node3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 a로만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공유의 형평성을 위해 그룹에 참여한 node1, node2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 c로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예는 그룹의 설정 메뉴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예로 입력부(190)를 이용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부(140)는 사용자 a의 음성을 node1, node2, node3으로 모두 전송하고, 각 목표 노드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 a로만 전달되도록 사전에 그룹을 설정할 수도 있다.
목표 노드는 통신 서버로부터 부여된 전화 번호로 구분될 수 있다. 송신부(130)는 전화 번호로 제1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node1은 node1의 전화 번호인 1234-5678로 대체되거나, 1234-5678을 나타내는 식별자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1 음성 데이터의 관리를 위해 제1 음성 데이터를 제1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부(150)에 저장된 제1 음성 파일은 재생부(170)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이때, 제1 음성 파일은 온 상태 단위로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에서 온 상태는 ① 구간과 ② 구간 2번 존재한다. 이 경우 제1 음성 파일은 ① 구간에 대해 1개가 생성되고 ② 구간에 대해 1개가 생성될 수 있다.
저장부(150)와 재생부(170)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1 음성 데이터의 전송 후에도 자신이 전송한 음성 데이터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복수의 제1 음성 파일 중 특정 음성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신부(130)는 특정 음성 파일을 목표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데이터 관리 장치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1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추후 동일한 내용의 제1 음성 데이터를 다시 입력받아 송신하는 대신 기저장된 제1 음성 파일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음성 데이터 외에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각종 음성 파일의 전송도 가능하다.
또한, 재생부(170)는 선택부(160)에서 선택된 특정 음성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선택부(160)는 입력부(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생부(170)는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재생부(170)를 통해 제2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는 중이라도 제1 설정 키(191)가 온 상태로 변경되면 제1 음성 데이터의 변환 및 송신을 위해 재생부(170)의 기능이 정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재생부(170)는 제1 설정 키(191)의 오프(off) 상태에서만 구동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감지부(110)는 제1 설정 키(191)의 오프(off)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재생부(1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다. 제2 음성 데이터는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재생부(170)는 제1 설정 키(191)의 오프 상태에서 구동되므로, 제1 설정 키(191)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10)의 구동이 선행된 후 구동되거나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재생부(170)의 구동이 가능한 제1 환경에서 구동될 수 있다. 일예로 데이터 관리 장치가 앱 형태로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경우 해당 앱이 구동된 상태가 제1 환경일 수 있다. 해당 앱이 구동되면 데이터 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재생부(170)의 구동이 가능하게 되고, 감지부(110)는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위 재생부(170)에 의하면 제1 환경에서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2 음성 데이터를 제2 음성 파일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음성 데이터의 실시간 재생이 가능하고, 추후 제2 음성 파일을 재생함으로써 기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의 확인이 가능하다.
저장부(150)에는 제1 음성 파일, 제2 음성 파일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된 각 음성 파일은 음성을 녹취하는 기능이 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2 음성 파일은 연속된 스트리밍 단위로 구분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① 구간과 ② 구간에서 제1 음성 데이터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신되고, 이를 수신하여 생성된 제2 음성 파일은 연속된 스트리밍 단위인 ① 구간과 ② 구간 각각에 대한 음성 파일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재생부(17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제2 음성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재생부(170)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음성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에 저장된 제2 음성 파일을 이용하면 제1 환경이 아니거나 제2 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환경과 같이 제2 음성 데이터의 실시간 재생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환경이 아닌 상태, 다시 말해 해당 앱이 실행되지 않아 재생부(170)가 구동될 수 없는 상태에서 제2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2 음성 데이터의 실시간 재생이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 제1 환경을 만족한 상태에서 저장부(150)에 저장된 제2 음성 파일을 재생함으로써 기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설정 키(191)가 온된 상태에서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도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신부(180)가 통신 서버가 관할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제2 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경우 통신 서버의 상태 또는 유무선 통신망의 상태에 따라 제2 음성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데이터 관리 장치가 탑재된 상태일 때,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신 가능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제2 음성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신부(180)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없는 시간을 불능 구간이라 할 때, 불능 구간 동안에 수신되어야 할 제2 음성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요구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수신부(180)는 불능 구간이 해소되면 불능 구간에 수신될 제2 음성 데이터를 대신하여 통신 서버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제2 음성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통신 서버는 수신부(180)가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하고,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수신부(180)로 송신할 제2 음성 데이터를 제2 음성 파일로 변환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수신부(180)와의 통신이 재개되면 제2 음성 파일을 수신부(18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신부(180)는 제2 음성 파일을 수신하게 된다. 저장부(150)는 통신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2 음성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재생부(170)는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되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제2 음성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내용을 정리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1 설정 키(191)의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10), 제1 설정 키(191)의 온 상태에서 구동되고 입력된 음성을 제1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120) 및 제1 설정 키(191)의 오프 상태에서 구동되고 제1 음성 데이터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10) 및 변환부(120)는 재생부(170)의 구동이 가능한 제1 환경에서 구동될 수 있다. 제1 환경은 앱 형태로 마련된 데이터 관리 장치가 구동된 상태이거나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된 데이터 관리 장치가 구동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1 설정 키(191)가 눌려졌을 때 음성이 전송되고, 제1 설정 키(191)가 떼어졌을 때 음성이 수신되는 무전기와 유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가 탑재되는 단말기에 따라 무전기보다 넓은 통신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데이터 관리 장치가 설비된다면 전세계를 통신 커버리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140)를 통해 하나의 데이터 관리 장치를 통해 n개의 다른 데이터 관리 장치로 한번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데이터의 실시간 송수신이 가능하며, 특정 상황에서는 음성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추후 기송신 내용, 기수신 내용의 확인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따르면 음성 데이터의 생성, 저장, 송신, 수신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감지부 120...변환부
130...송신부 140...설정부
150...저장부 160...선택부
170...재생부 180...수신부
190...입력부 191...제1 설정 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설정 키의 오프(off)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1 설정 키의 오프 상태에서 구동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재생부의 구동이 가능한 제1 환경에서 구동되는 데이터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제2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성 파일은 연속된 스트리밍 단위로 구분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며,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12.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하는 재생부; 및
    통신 서버가 관할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없는 시간을 불능 구간이라 할 때,
    상기 수신부는 상기 불능 구간이 해소되면 상기 불능 구간에 수신될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대신하여 상기 통신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제2 음성 파일을 수신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13. 삭제
  14. 제1 설정 키의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설정 키의 온 상태에서 구동되고 입력된 음성을 제1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1 설정 키의 오프 상태에서 구동되고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 및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재생부의 구동이 가능한 제1 환경에서 구동되는 데이터 관리 장치.
KR20130066169A 2013-06-10 2013-06-10 데이터 관리 장치 KR101485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169A KR101485826B1 (ko) 2013-06-10 2013-06-10 데이터 관리 장치
PCT/KR2014/005084 WO2014200246A2 (ko) 2013-06-10 2014-06-10 데이터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169A KR101485826B1 (ko) 2013-06-10 2013-06-10 데이터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103A KR20140144103A (ko) 2014-12-18
KR101485826B1 true KR101485826B1 (ko) 2015-01-22

Family

ID=5202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169A KR101485826B1 (ko) 2013-06-10 2013-06-10 데이터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5826B1 (ko)
WO (1) WO2014200246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900A (ko) * 2005-04-01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푸시-투-토크 단말기의 오디오 저장 방법
KR100665433B1 (ko) * 1999-02-05 2007-01-0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ptt 인터넷 브로드캐스트
KR100744307B1 (ko) * 2006-02-2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무전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121490A (ko) * 2011-04-27 2012-11-0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겸용 무전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433B1 (ko) * 1999-02-05 2007-01-0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ptt 인터넷 브로드캐스트
KR20060105900A (ko) * 2005-04-01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푸시-투-토크 단말기의 오디오 저장 방법
KR100744307B1 (ko) * 2006-02-2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무전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121490A (ko) * 2011-04-27 2012-11-0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겸용 무전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103A (ko) 2014-12-18
WO2014200246A2 (ko) 2014-12-18
WO2014200246A3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9867B (zh) 在对等配置中共享多媒体内容
US8532715B2 (en) Method for generating audible location alarm from ear level device
CN103607678B (zh) 一种无线同步音箱
CN104301399A (zh) 一种语音远程控制音箱的系统及方法
CN101370204A (zh) 媒体转发和控制系统
CN103023866A (zh) 无线音频信号的易共享
CN105554755A (zh) 无线网络接入方法及装置
CN103986700A (zh) 移动个性化卡拉ok音效系统
CN105659525A (zh) 联网的回放设备在操作模式之间的转换
KR2016013204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4522394B2 (ja) 動画・音声オンデマンド配信システム
CN105682010B (zh) 音频播放系统中的蓝牙连接控制方法、装置及播放设备
CN113518297A (zh) 音箱交互方法、装置、系统和音箱
KR101485826B1 (ko) 데이터 관리 장치
CN104008634A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5307007A (zh) 节目分享方法、装置及系统
US200802504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asks
JP428154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KR20100076442A (ko) 미디어 재생 시스템, 미디어 재생기의 제어 스위치가 장착된 휴대용 출력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60316502A1 (en) Job Site Radio with Wireless Control
CN104053042A (zh) 一种语音推送方法、设备和系统
JP2008123621A (ja) 携帯型電子機器、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2015144332A (ja) 端末装置、管理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通信方法
CN103957461A (zh) 媒体播放控制的方法、终端及系统
JP2013246350A (ja) 楽曲データ出力装置及び楽曲データ出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