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13B1 - 발 매트 - Google Patents

발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13B1
KR101485713B1 KR20130159196A KR20130159196A KR101485713B1 KR 101485713 B1 KR101485713 B1 KR 101485713B1 KR 20130159196 A KR20130159196 A KR 20130159196A KR 20130159196 A KR20130159196 A KR 20130159196A KR 101485713 B1 KR101485713 B1 KR 101485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t
upper case
lower ca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슬기
Original Assignee
박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슬기 filed Critical 박슬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68Edge finis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81Resisting skidding or creeping

Landscapes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 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욕실 또는 문지방 앞의 바닥면에 놓이는 발 매트를 상부 및 하부케이스로 분리하고, 그 사이에 매트를 개재시켜, 매트가 더러워지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매트가 항시 평평한 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편리함의 도모 및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발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사이에 개재되며, 가장자리영역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 매트{Met for feet}
본 발명은 발 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욕실 또는 문지방 앞의 바닥면에 놓이는 발 매트를 상부 및 하부케이스로 분리하고, 그 사이에 매트를 개재시켜, 매트가 더러워지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매트가 항시 평평한 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편리함의 도모 및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발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서 묻은 물기를 닦거나 또는 현관에서 외부의 흙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욕실 또는 현관 입구 바닥면에 발수건, 발매트 등을 깔아 놓고 사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발 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항목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1. 비위생적이다.
샤워로 인하여 물기가 묻은 상태로 나올 때 발 매트의 수분이 그대로 묻게 되어 늘 축축한 상태가 유지되고, 이로 인하여 곰팡이 등의 서식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족 중 누구 한사람이라도 무좀 등과 같은 발의 질병이 있을 시 장기간 발 매트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타 가족들에게 전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재질이 화학섬유로 구성되는 털실이므로 보풀이 일고, 정전기에 의하여 먼지가 흡착되며, 이 때문에 영, 유아기의 아이 및 성인들이 호흡기 질병 또는 알러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는 집진드기가 발생될 수 있는 비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2. 미끄럽다.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가 가정 내 안전사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중 장시간 사용에 의해 미끄럼 방지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 발 매트에 의해 미끄러짐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발 매트를 치우고 수건 등을 깔아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수건을 밟고 미끄러져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3. 세탁이 용이하지 않다.
기존의 발 매트의 경우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손세탁이 어려우며 손세탁을 하더라도 오염된 부분이 제대로 세탁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세탁기를 이용하여 단독세탁을 하게 되므로 시간 및 세제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4. 건조가 용이하지 않다.
기존의 발 매트의 경우 두꺼운 화학섬유로 구성되기 때문에 세탁기로 세탁을 하여도 실내건조 기준으로 건조시간이 2~3일 정도가 소요되므로 순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손세탁 시에는 실내 건조기준으로 건조시간이 4~5일 정도가 소요되므로 순환성을 높이기 위해 발 매트를 여러 장 구입해야 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5. 수분흡수율이 떨어진다.
재질이 화학섬유로 구성되는 털실이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흡수율이 떨어지고, 이 때문에 수건 등을 이용하여 다시 발을 닦아야 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6.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
기존의 발 매트의 경우 두께감과 재질의 특수성 때문에 일반수건과 같이 보관이 어려우며, 특히 크기와 두께 때문에 접거나 말아서 수납할 수 없으므로 별도로 보관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7. 악취의 원인이 된다.
특히 장마철과 같은 우기에 수분이 과다하게 흡수되었을 경우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바이러스 또는 곰팡이 등이 서식하게 되어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3125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욕실 또는 문지방 앞의 바닥면에 놓이는 발 매트를 상부 및 하부케이스 사이에 매트를 개재시켜, 매트가 더러워지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얼굴을 닦는 수건과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어 위생적임과 동시에 정리정돈이 용이하며, 매트가 항시 평평한 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편리함의 도모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발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일회용 발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중심부에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11)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 및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의 사이에 개재되며, 가장자리영역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매트(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테두리 전체가 절개되어 상부로 회동되되, 서로 대칭되도록 회동편(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편(12)의 내면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13);와 상기 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13)와 결속되도록 하부케이스(2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23)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가 서로 결합되어 매트(3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여,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되, 사용하지 않은 매트(30)가 수납되는 수납함(5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여, 상기 매트(30)는, 가장자리영역이 내측으로 소정구간 말려서 재봉되어 형성되는 말림부(31)와, 상기 말림부(31)가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의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고, 상기 매트(30)의 일면에만 타올부(3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0);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0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일측에 매트인출공(220)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0); 및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매트인출공(220)을 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말려있는 매트(300)가 수납되는 수납함(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2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상기 매트인출공(220)을 제외한 테두리 전체가 절개되어 상부로 회동되는 회동편(120)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편(120)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130); 및 상기 돌기(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130)와 결속되도록 하부케이스(20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23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200)가 서로 결합되어 매트(30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610)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600); 상기 상부케이스(600)의 하부에 결합되고 그 사이에는 스프링(622)이 개재되되, 상기 상부 관통공(610)과 대응되는 크기의 프레임공(621)이 형성되는 프레임(620); 상기 상부케이스(6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60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일측에 매트인출공(740)이 형성되며, 중심부에 하부 관통공(710)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스프링(622)이 위치되는 영역에 관통공(701)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700); 및 상기 하부케이스(700)의 하부에 삽입되되, 상기 관통공(701)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620)과 접하는 가압돌기(721)가 돌출형성되고, 저면부에는 힌지(722)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722)를 가압력에 의해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힌지(722)와 연결되는 가압편(723)이 구비되는 지지판(720); 상기 하부케이스(700)의 외측부를 수용하되, 일측에 상기 가압편(723)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공(731)이 형성되는 하우징(730); 및 상기 하우징(7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매트인출공(720)을 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말려있는 매트(800)가 수납되는 수납함(9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여, 상기 상부케이스(600) 및 하부케이스(700)는, 상기 상부케이스(600)의 상기 매트인출공(740)을 제외한 테두리 전체가 절개되어 상부로 회동되는 회동편(630)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편(630)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640); 및 상기 돌기(6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640)와 결속되도록 하부케이스(70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75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600) 및 하부케이스(700)가 서로 결합되어 매트(80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 매트에 의하면, 첫째, 상부 및 하부케이스 사이에 매트를 개재시킨 뒤 고정할 수 있어 안정적인 물기제거 및 더러워진 매트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편리한 생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발 매트의 하부에 보관함을 구성하여 일반 수건과 발 매트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정리정돈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매트가 상부 및 하부케이스에 의해 고정되어 팽팽함이 항상 유지되어 미관상 깔끔하며, 그로 인하여 발을 닦으면서 넘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케이스가 돌기 및 걸림돌기가 회동편에 의해 모두 덮여서 외부로는 이들이 노출되지 않아서, 외관상으로 돌출부가 없으므로 발이 걸려서 다치거나 넘어질 위험이 없다.
넷째, 롤 형태의 매트의 경우 1회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수시로 교체가 가능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섯째, 1회용의 경우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원하는 대로 쉽게 절취할 수 있어서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 매트의 제1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결합되는 부분이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발 매트의 제2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발 매트의 제3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발 매트의 제4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발 매트가 결합되었을 때의 단면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발 매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 매트의 제1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결합되는 부분이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 매트는,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11)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케이스(10, 2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하부면 네 귀에는 러버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는, 후술할 수납함(50)의 돌기(51)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2)의 주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실리콘(22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욕실의 문턱이 낮아 수납함 없이 사용될 경우를 위한 것이다.
결합홈(22)의 주변에 형성되는 실리콘(22a)은 수납함(50)의 돌기(51)와 결합홈(22)의 결합시 완충작용을 하여 이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음을 최소화시키고, 아울러 수납함(5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 부분이 바닥과 맞닿아서 발 매트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0)의 가장자리의 상부면 형상은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이를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발을 씻은 뒤 닦을 때 부딪히거나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상부케이스(10)에서 욕실과 접하는 일면은 욕실문의 바닥턱과 밀착시켜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직각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의 사이에 개재되며, 가장자리영역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매트(30)가 구비된다.
상기 매트(30)는, 가장자리영역이 내측으로 소정구간 말려서 재봉되어 형성되는 말림부(31)와, 상기 말림부(31)가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의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고, 상기 매트(30)의 양면 또는 일면(상부면)에만 타올부(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말림부(31)가 형성됨에 의해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가 보다 안정적으로 매트(30)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매트(3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하부케이스(20)에는 소정깊이 함몰형성되는 가이드(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발을 닦을 시 매트(3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테두리에 전체구간이 절개되어 상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되, 서로 대칭되도록 회동편(12)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편(12)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13)와, 상기 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13)와 결속되도록 하부케이스(2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23)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가 서로 결합되어 매트(30)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편(12)은 힌지등을 부착시켜서 만들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케이스(10)와 연결되는 부분을 얇게 만들어서 회동될 수 있게 만든 것으로서 상부케이스(1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돌기(13) 및 걸림돌기(23)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발을 씻은 뒤 닦을 때 부딪히거나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23)는 측면으로 돌출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0)의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23)는 발 매트 전체의 형상을 고려하여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개수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된 회동편(12)에 관한 설명은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매트(30)가 수납되는 수납함(5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함(5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매트(30)가 수용되어 상부에 있는 매트(30)가 수차례 사용되어 더러워졌을 시 이를 쉽게 교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매트(30)의 경우 발을 닦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 수건과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함(5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러버가 부착되어 바닥에서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하부면에는 결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2)에 결합되기 위하여 수납함(50)의 상부면에는 돌기(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22)에 돌기(51)가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 하부케이스(10, 20)와 수납함(5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함(50)은 별도로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고, 수납함(50)이 별도로 분리되어 사용될 경우에는 수납함(50)이 별도의 덮개가 필요하므로, 수납함(50)의 상부에 덮개(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된 상태로 하부케이스(20)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수납함(50)이 추가로 설치된 경우에는 하부케이스(20)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3)가 하부케이스가 아닌 수납함(50)의 측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매트를 제외한 부분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는데, 차갑지 않으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부케이스(1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타올부(32)는 섬유재질의 타올뿐 아니라, 펄프 재질도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발 매트의 제2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 발 매트의 제2 실시예는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0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일측부에 매트인출공(220)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2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테두리 전체가 절개되어 상부로 회동되는 회동편(120)이 형성되되, 상기 매트인출공(220)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편(120)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130) 및 상기 돌기(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130)와 결속되도록 하부케이스(20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23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200)가 서로 결합되어 매트(300)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매트(30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하부케이스(200)에는 소정깊이 함몰형성되는 가이드(250)가 더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발을 닦을 시 매트(30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가이드의 구성은 후술할 제3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매트인출공(220)을 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말려있는 매트(300)가 수납되는 수납함(500)이 구비된다. 상기 수납함(500)은 상기 매트(300)의 유동방지 및 원활한 풀림을 위해 격벽(5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하부면 네 모서리 영역에는 결합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40)에 상기 수납함(5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돌기(510)가 상기 결합홈(24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매트(300)가 더러워졌을 시 상기 상부케이스(100)를 하부케이스(200)에서 결속을 해제한 뒤 상기 매트(300)을 파지하여 인출하여 더러워진 부분을 절단한 후 다시 상기 상부케이스(100)를 하부케이스(200)에서 결속시켜 1회용으로 사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롤 형태의 매트(300)를 다 사용하게 되면, 상기 수납함(500)에 있는 또 다른 매트를 상기 격벽(520)의 내측으로 수납시켜 상기한 방법과 같이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제2 실시예와 후술하는 제3 및 제4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1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여기서의 매트는 제1 실시예의 타올부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이 또한 부직포를 포함하는 섬유로 제작될 수도 있고, 펄프로 제작될 수도 있다. 부직포 또는 펄프를 1-5mm 두께의 다소 두툼한 형태로 제작하면, 매트로서 사용이 가능할 정도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는 표면적을 증대시켜서 닦기도 편리하고 빨리 건조될 수 있도록 표면에 엠보싱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더러워진 부분을 간편하게 절단하기 위한 다수의 절취선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발 매트의 제3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 발 매트의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상부케이스(1000)의 일측부에 매트수납함(5100)이 구비되는 것이 상이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1100)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00)와, 상기 상부케이스(10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00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0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하부에는 결합되며, 말려있는 매트(3000)가 수납되되, 일측에 매트보관함(5100)이 형성되는 수납함(5000)이 구비된다. 상기 매트보관함(5100)은 상부 및 하부케이스(1000, 2000)의 일측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그 높이가 상부케이스(100)보다 같거나 더 높도록 형성된다. 이는 말려있는 매트(3000)의 굵기가 굵을 경우에 적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매트수납부(5000)는, 상부가 분리되어 회동되되, 일측부에는 힌지(5200)가, 타측부에는 자석(5300)이 구비되어 매트(3000)가 다 소진되었을 시 다른 매트로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000) 및 하부케이스(20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0)의 테두리 전체가 절개되어 상부로 회동되는 회동편(1200)이 형성되되, 상기 매트수납함(5100)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편(1200)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1300) 및 상기 돌기(1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1300)와 결속되도록 하부케이스(200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230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000) 및 하부케이스(2000)가 서로 결합되어 매트(3000)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발 매트의 경우, 매트(3000)가 더러워졌을 시 상기 상부케이스(1000)를 하부케이스(2000)에서 결속을 해제한 뒤 상기 매트(3000)을 파지하여 인출하여 사용하여 더러워진 부분을 절단한 후 다시 상기 상부케이스(1000)를 하부케이스(2000)에서 결속시켜 1회용으로 사용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후 롤 형태의 매트(3000)를 다 사용하게 되면, 다른 매트를 상기 매트수납함(5100)의 내측으로 수납시켜 상기한 방법과 같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발 매트의 제4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발 매트가 결합되었을 때의 단면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 매트의 제4 실시예는 상기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구성이 조금 상이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610)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6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600)의 하부에 결합되고 그 사이에는 스프링(622)이 개재되되, 상기 상부 관통공(610)과 대응되는 크기의 프레임공(621)이 형성되는 프레임(62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6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60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일측에 매트인출공(740)이 형성되며, 중심부에 하부 관통공(710)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스프링(622)이 위치되는 영역에 관통공(701)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70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700)의 하부에 삽입되되, 상기 관통공(701)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620)과 접하는 가압돌기(721)가 돌출형성되고, 저면부에는 힌지(722)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722)를 가압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상기 힌지(722)와 연결되는 가압편(723)이 구비되는 지지판(7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700)의 외측부를 수용하되, 일측에 상기 가압편(723)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공(731)이 형성되는 하우징(730)이 구비된다.
상기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7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매트인출공(720)을 통하여 매트(800)가 인출될 수 있도록 말려있는 매트(800)가 수납되는 수납함(9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매트(80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하부케이스(700)에는 소정깊이 함몰형성되는 가이드(711)가 더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발을 닦을 시 매트(80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600) 및 하부케이스(700)는, 상기 상부케이스(600)의 상기 매트인출공(740)을 제외한 테두리 전체가 절개되어 상부로 회동되는 회동편(630)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편(630)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6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돌기(6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640)와 결속되도록 하부케이스(70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75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600) 및 하부케이스(700)가 서로 결합되어 매트(80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경우 상기 매트(800)가 더러워졌을 시 이를 교체할 때 마다 상부 및 하부케이스(600, 700)를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매트(800)를 교체할 시 상기 가압편(723)을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힌지(722)에 의해 회동되어 지지판(720)이 상승(점선 화살표 참조)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가압돌기(721)도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721)가 상기 프레임(620)을 가압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스프링(622)이 상기 상부케이스(600)를 가압하여 상부케이스(600)가 약간의 상승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편(723)을 가압한 상태에서 더러워진 매트(800)부분을 인출하여 절단한 뒤 상기 가압편(723)에 가해졌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부케이스(600)는 하강하여 매트(80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구성인 상부 및 하부케이스는 모두 돌기와 걸림돌기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그러나 이외에도 일측 단부에 경첩을 구성할 수도 있고, 각각이 접하는 부위에 자석을 부착하여 각각을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원터치 방식으로 버튼을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경첩이 구성될 경우에는 경첩이 어느 방향이던지 무관하나, 바람직하게는 욕실쪽에서 실내쪽으로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케이스의 결합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경첩등을 사용하고도 경첩을 사용하지 않은 부분은 상기된 돌기와 걸림돌기에 의한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발 매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상부케이스 11 : 상부 관통공
12 : 회동편 13 : 돌기
20 : 하부 케이스 22 : 결합홈
23 : 걸림돌기 30 : 매트
31 : 말림부 32 : 타올부
50 : 수납함 51 : 돌기
100 : 상부케이스 110 : 상부 관통공
120 : 회동편 130 : 돌기
200 : 하부 케이스 220 : 매트인출공
230 : 걸림돌기 240 : 결합홈
300 : 매트 500 : 수납함
510 : 돌기 520 : 격벽
600 : 상부케이스 610 : 상부관통공
620 : 프레임 621 : 프레임공
630 : 회동편 640 : 돌기
700 : 하부케이스 701 : 관통공
710 : 하부 관통공 720 : 지지판
721 : 가압돌기 722 : 힌지
723 : 가압편 730 : 하우징
731 : 삽입공 740 : 매트인출공
750 : 걸림돌기 800 : 매트
900 : 수납함 1000 : 상부케이스
1100 : 상부 관통공 1200 : 회동편
1300 : 돌기 2000 : 하부 케이스
2300 : 걸림돌기 3000 : 매트
5000 : 수납함 5100 : 매트수납함
5200 : 힌지 5300 : 자석

Claims (7)

  1.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11)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 및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의 사이에 개재되며, 가장자리영역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매트(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테두리 전체가 절개되어 상부로 회동되되, 서로 대칭되도록 회동편(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편(12)의 내면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13);와
    상기 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13)와 결속되도록 하부케이스(2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23)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가 서로 결합되어 매트(3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되, 사용하지 않은 매트(30)가 수납되는 수납함(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매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30)는,
    가장자리영역이 내측으로 소정구간 말려서 재봉되어 형성되는 말림부(31)와, 상기 말림부(31)가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의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고, 상기 매트(30)의 일면에만 타올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매트.
  4.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일측에 매트인출공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매트인출공을 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말려있는 매트가 수납되는 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매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기 매트인출공을 제외한 테두리 전체가 절개되어 상부로 회동되는 회동편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편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와 결속되도록 하부케이스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서로 결합되어 매트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매트.
  6. 중심부에 상부 관통공(610)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600);
    상기 상부케이스(600)의 하부에 결합되고 그 사이에는 스프링(622)이 개재되되, 상기 상부 관통공(610)과 대응되는 크기의 프레임공(621)이 형성되는 프레임(620);
    상기 상부케이스(6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60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일측에 매트인출공(740)이 형성되며, 중심부에 하부 관통공(710)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스프링(622)이 위치되는 영역에 관통공(701)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700); 및
    상기 하부케이스(700)의 하부에 삽입되되, 상기 관통공(701)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620)과 접하는 가압돌기(721)가 돌출형성되고, 저면부에는 힌지(722)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722)를 가압력에 의해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힌지(722)와 연결되는 가압편(723)이 구비되는 지지판(720);
    상기 하부케이스(700)의 외측부를 수용하되, 일측에 상기 가압편(723)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공(73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731)의 반대측 바닥면에 매트인출공(732)이 형성되는 하우징(730); 및
    상기 하우징(7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매트인출공(732)을 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말려있는 매트(800)가 수납되는 수납함(9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매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600) 및 하부케이스(700)는,
    상기 상부케이스(600)의 상기 매트인출공(740)을 제외한 테두리 전체가 절개되어 상부로 회동되는 회동편(630)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편(630)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640); 및
    상기 돌기(6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640)와 결속되도록 하부케이스(70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75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600) 및 하부케이스(700)가 서로 결합되어 매트(80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매트.
KR20130159196A 2013-12-04 2013-12-19 발 매트 KR101485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603 2013-12-04
KR1020130149603 2013-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713B1 true KR101485713B1 (ko) 2015-01-22

Family

ID=5259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9196A KR101485713B1 (ko) 2013-12-04 2013-12-19 발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402B1 (ko) 2015-12-31 2017-05-22 예일토탈싸인 주식회사 미끄럼방지 유흡착 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512Y1 (ko) 2001-08-22 2001-11-22 전상빈 발매트
JP2002085240A (ja) 2000-09-20 2002-03-26 Koichiro Hayashi 機能性カーペット
KR20040014074A (ko) * 2002-08-09 2004-02-14 윤 호 김 내·외피 착탈형 카펫
KR200343723Y1 (ko) 2003-12-05 2004-03-09 윤미경 광고수단을 갖는 발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240A (ja) 2000-09-20 2002-03-26 Koichiro Hayashi 機能性カーペット
KR200253512Y1 (ko) 2001-08-22 2001-11-22 전상빈 발매트
KR20040014074A (ko) * 2002-08-09 2004-02-14 윤 호 김 내·외피 착탈형 카펫
KR200343723Y1 (ko) 2003-12-05 2004-03-09 윤미경 광고수단을 갖는 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402B1 (ko) 2015-12-31 2017-05-22 예일토탈싸인 주식회사 미끄럼방지 유흡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1895B2 (en) Portable warming device and method for warming an article
KR102608682B1 (ko)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
US20130269134A1 (en) Cleaning cloth
US20100247841A1 (en) Mat configuration
KR20160086060A (ko) 발 매트
KR101485713B1 (ko) 발 매트
US20140047655A1 (en) Broom and mop combination and methods for converting a broom to mop
KR20120006540U (ko) 발 세척기
KR101802208B1 (ko) 발 세척 매트
US3048938A (en) Support for soap bars
KR101367256B1 (ko) 핸드폰 세척기
US20200109547A1 (en) Urinal protectors
KR20170137323A (ko) 물티슈를 공급하는 장치
KR10178804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74787A (ko) 물티슈 용기
KR200430597Y1 (ko) 욕실용 슬리퍼 건조대
KR200408119Y1 (ko) 수건 발매트
KR200468223Y1 (ko) 실내용 매트
KR200447567Y1 (ko) 티슈수납부가 구비된 발매트
JP3184087U (ja) 生地を有するフロアマット
KR200312565Y1 (ko) 발 매트
KR20230001845U (ko) 커버교체형 규조토 발매트
KR101934477B1 (ko) 물티슈 케이스 커버
KR200390840Y1 (ko) 발 매트
WO2022049155A1 (en) Decontamination device for shoe outs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