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670B1 - 전기습윤을 이용한 유체 렌즈 및 이에 있어서 줌 및 초점 가변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습윤을 이용한 유체 렌즈 및 이에 있어서 줌 및 초점 가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670B1
KR101485670B1 KR20130052685A KR20130052685A KR101485670B1 KR 101485670 B1 KR101485670 B1 KR 101485670B1 KR 20130052685 A KR20130052685 A KR 20130052685A KR 20130052685 A KR20130052685 A KR 20130052685A KR 101485670 B1 KR101485670 B1 KR 101485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luid
unit
spa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635A (ko
Inventor
정상국
채정병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04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7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n element with variable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전기습윤을 이용한 유체 렌즈 및 이에 있어서 줌 및 초점을 가변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유체 렌즈는 렌즈부;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의 내부 공간인 구동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렌즈부의 내부 공간인 렌즈 공간으로 유체가 배열되고, 상기 구동부 공간 내의 유체의 높이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렌즈 공간 내의 유체의 높이가 가변된다.

Description

전기습윤을 이용한 유체 렌즈 및 이에 있어서 줌 및 초점 가변 방법{FLUIDIC LENS USING ELECTROWETTING AND METHOD OF CHANGING ZOOM AND FOCUS IN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습윤을 이용하는 유체 렌즈 및 이에 있어서 줌 및 초점을 가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유체 렌즈는 줌이나 초점을 자유롭게 조절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줌과 초점을 동시에 제어할 방법이 전혀 없었다.
한국공개특허번호 제2012-0093290호(2012년 8월 22일 공개)
본 발명은 전기습윤을 이용한 유체 렌즈 및 이에 있어서 줌 및 초점을 가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렌즈는 렌즈부;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의 내부 공간인 구동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렌즈부의 내부 공간인 렌즈 공간으로 유체가 배열되고, 상기 구동부 공간 내의 유체의 높이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렌즈 공간 내의 유체의 높이가 가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렌즈는 렌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에는 내부 공간인 렌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렌즈 전극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 공간에는 유체가 배열되고, 상기 전극부에 특정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유체의 계면이 변화되어 초점이 가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렌즈에서의 줌 및 초점 가변 방법은 전기습윤을 이용하여 유체의 높이를 변화시켜 줌을 가변시키는 단계; 및 전기습윤을 이용하여 상기 유체의 계면을 변화시켜 초점 거리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체 렌즈는 유체의 자유로운 이동을 통하여 렌즈부의 유체의 높이를 변화시켜 줌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렌즈는 렌즈부의 유체의 계면을 변화시켜 초점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체 렌즈는 구동부로 상기 렌즈부를 제어하여 줌을 가변시키고 상기 렌즈부 내측면에 형성된 렌즈 전극부로 전원을 인가하여 초점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줌 및 초점의 가변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렌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유체 렌즈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유체 렌즈에서의 줌 기능 구현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유체 렌즈에서의 초점 거리 가변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유체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줌(Zoom) 또는 초점(Focus)을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는 유체 렌즈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줌 및 초점을 동시에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는 유체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습윤(Electrowetting) 기술을 이용한다.
종래의 유체 렌즈는 줌 또는 초점을 임의로 조절할 수가 없었으며, 특히 줌과 초점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체 렌즈는 예를 들어 물 또는 전해액 등과 같은 유체의 이동을 통하여 줌을 조절하고, 유체의 계면을 가변시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체 렌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줌을 조절하는 수단 및 초점을 조절하는 수단이 별도로 존재하므로, 상기 줌 및 초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유체 렌즈는 줌 및 초점의 조절이 자유롭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기기들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는 액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기체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유체 렌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렌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유체 렌즈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유체 렌즈에서의 줌 기능 구현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유체 렌즈에서의 초점 거리 가변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체 렌즈(100)는 렌즈부(102) 및 구동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02)와 구동부(104)는 연결부(124)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렌즈부(102)는 예를 들어 카메라 등의 렌즈 역할을 수행하며, 렌즈 몸체(110) 및 렌즈 전극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몸체(110)는 원통형 형상, 직육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렌즈 몸체(110)의 내부에는 렌즈 공간(130)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공간(130)은 예를 들어 요부로서 연결부(124)의 연결 채널(134)과 연결되고, 유체(126)가 렌즈 공간(130)에 채워진다.
렌즈 전극부(112)는 렌즈 몸체(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유체(126)의 접촉각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 전극부(112)가 렌즈 몸체(110)에 결합되는 한 결합 방법은 제한이 없다.
유체 렌즈(100)의 초점 거리를 가변시키고자 할 때, 렌즈 전극부(112)에 특정 전원이 인가된다. 전원이 인가되면 유체(126)와 렌즈 전극부(112) 사이의 면의 장력이 변화되며, 그 결과 유체(126)의 접촉각이 달라진다. 따라서, 유체(126)의 계면(상면)의 형상이 변화되며, 그 결과 유체 렌즈(100)의 초점 거리가 가변된다. 물론, 전원의 세기가 달라지면 유체(126)의 계면 형상이 달라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전극부(112)로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를 특정 개수로 한정하면, 유체 렌즈(100)는 특정 개수의 초점 거리 가변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전극부(112)로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를 특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면, 유체 렌즈(100)는 초점 거리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유체 렌즈(100)의 용도에 따라서 전원의 세기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유체 렌즈(100)가 초점 거리 가변 기능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유체 렌즈(100)는 렌즈 전극부(112)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렌즈 전극부(112)의 상세 구조는 후술하겠다.
렌즈 전극부(112)는 렌즈 몸체(110)의 내측면 전체 둘레를 따라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렌즈 몸체(110)의 내측면 중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호 분리된 복수의 렌즈 전극부들(112)이 렌즈 몸체(1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렌즈 전극부들(112)이 형성되면 유체(126)의 계면의 형상을 더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초점 거리의 상세 조절이 가능하여질 수 있다.
구동부(104)는 줌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동부 몸체(120) 및 구동부 전극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몸체(120)는 직육면체 형상, 원통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구동부 몸체(120)의 바닥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체(126)는 구동부 몸체(120)의 공간인 구동부 공간(132)으로 유입되어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구동부 공간(132)은 연결 채널(134)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유체(1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공간(130), 연결 채널(134) 및 구동부 공간(132) 내에 위치하게 된다. 렌즈 공간(130) 및 구동부 공간(132) 내에서 유체(126)의 높이는 설계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유체(126)의 높이는 렌즈 공간(130) 및 구동부 공간(132)의 폭들을 적절히 설계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공간(130) 내에서 유체(126)의 상하 이동폭이 크도록 구동부 공간(132)의 폭을 렌즈 공간(130)의 폭보다 크게 설계할 수 있다.
구동부 전극부(122)는 구동부 몸체(120)의 바닥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유체(126)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유체 렌즈(122)는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 전극부(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전극(300), 절연막(Dielectric layer, 302) 및 소수성막(Hydrophobic layer, 304)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300)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AU/CR, Al 및 전도성 폴리머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막(302)은 단일층 또는 연속층일 수 있으며, 페럴린 C, 테프론 및 금속 산화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소수성막(304)는 소수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전극(3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도 2의 (A) 및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126)는 구동부 공간(132) 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전극(300)에 소정 전원이 인가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126)의 접촉각이 조절되며, 그 결과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126)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연결 채널(134)로 유체(126)가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공간(130) 내의 유체(126)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Object)의 상이 커질 수 있다. 전극(300)에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에 따라 구동부 공간(132) 내에서 유체(126)의 높이 변화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다양한 전원을 전극(300)에 인가할 수 있으면, 유체 렌즈(100)는 세밀하게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줌 기능 구현시에는 구동부 전극부(122)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렌즈부(102)의 렌즈 전극부(112)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초점 거리도 가변시킬 때는 렌즈 전극부(112)에도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 전극부(112)로 인가되는 전원과 구동부 전극부(122)로 인가되는 전원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렌즈 전극부(112)는 구동부 전극부(122)와 유사하게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전극, 절연막 및 소수성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전극부(112) 및 구동부 전극부(122)는 절연막 없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전극 및 소수성막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절연막을 사용하면 유체(126)의 전기 분해가 방지되고 전극-유체 계면의 전기 이중층이 고전압을 견딜 수 있으므로, 절연막을 전극과 소수성막 사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유체 렌즈(100)는 구동부(104)를 제어하여 렌즈부(102)의 유체(126)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줌을 조절하며, 렌즈부(102)의 내측면에 위치한 렌즈 전극부(112)에 전원을 인가함에 의해 렌즈부(102) 내의 유체(126)의 계면 형상을 가변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전극부(112)에 전원을 인가하고 구동부 전극부(122)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음에 의해 유체 렌즈(100)의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도 1 및 도 5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5는 초점 거리 및 줌이 모두 가변되었을 때의 유체 렌즈(100)의 구조를 보여준다. 한편, 구동부 몸체(110)의 내측면의 면들에 복수의 렌즈 전극부들(112)을 형성하고 각기 전원을 제공하면, 다양한 계면 형상들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유체 렌즈(100)의 초점 거리를 상세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렌즈(100)를 포함하는 기기의 외부 환경이 조명이 달라지더라도, 유체(126)의 계면 형상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동일한 초점 거리를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전극부(112)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구동부 전극부(122)에 전원을 인가하여 유체 렌즈(100)의 줌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것은 도 1 및 도 4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전극부(112)에 전원을 인가하고 구동부 전극부(122)에 전원을 인가하여 유체 렌즈(100)의 초점 거리 및 줌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것은 도 1 및 도 5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체 렌즈는 패키징될 수 있으며, 렌즈부의 몸체와 구동부의 몸체는 하나의 몸체(6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유체 렌즈는 렌즈 전극부(610), 구동부 전극부(612) 및 연결부(602)를 포함하며, 유체(604)가 구동부, 연결 채널 및 렌즈부 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604) 위에는 유체(604)와 다른 밀도를 가지는 액체(614), 예를 들어 오일(614)이 배열될 수 있다. 오일(614)은 몸체(600) 내의 공간 중 유체(604)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전부 채워질 수도 있고, 일부 공간에만 채워질 수도 있다.
한편, 유체 렌즈의 패키징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구조 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유체 렌즈 102 : 렌즈부
104 : 구동부 110 : 렌즈 몸체
112 : 렌즈 전극부 120 : 구동부 몸체
122 : 구동부 전극부 124 : 연결부
126 : 유체 130 : 렌즈 공간
132 : 구동부 공간 134 : 연결 채널

Claims (15)

  1. 유체 렌즈에 있어서,
    렌즈부(102);
    구동부(104); 및
    상기 렌즈부(102)와 상기 구동부(104)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24)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1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연결부(124) 내의 유체가 상기 렌즈부(102)의 렌즈 공간(130)으로 이동하고, 상기 렌즈 공간(130)으로의 유체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 공간(130) 내의 유체의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유체 렌즈의 줌이 조절되며, 상기 렌즈부(102) 중 상기 렌즈 공간(130)에 대응하는 내측면에는 렌즈 전극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 전극부(112)로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시킴에 따라 상기 유체 렌즈의 초점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4)의 바닥에는 구동부 전극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 전극부(122)에 특정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부(104)의 구동부 공간(132) 내의 유체의 높이가 변화되어 상기 유체 렌즈의 줌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전극부(122)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전극, 절연막 및 소수성막을 포함하며, 상기 소수성막 위에는 상기 유체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렌즈.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전극부(112)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전극, 절연막 및 소수성막을 포함하며, 상기 소수성막 위에는 상기 유체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및 상기 구동부는 하나의 몸체(600)에 의해 패키징되며, 상기 몸체(60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유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유체와 다른 밀도를 가지는 액체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렌즈.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20130052685A 2012-09-28 2013-05-09 전기습윤을 이용한 유체 렌즈 및 이에 있어서 줌 및 초점 가변 방법 KR101485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9428 2012-09-28
KR1020120109428 2012-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635A KR20140042635A (ko) 2014-04-07
KR101485670B1 true KR101485670B1 (ko) 2015-01-23

Family

ID=5065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2685A KR101485670B1 (ko) 2012-09-28 2013-05-09 전기습윤을 이용한 유체 렌즈 및 이에 있어서 줌 및 초점 가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784B1 (ko) * 2014-12-18 2016-07-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 렌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293A (ko) * 2003-05-06 2006-01-3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기습윤 모듈
KR20080029870A (ko) * 2006-09-29 2008-04-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일렉트로 웨팅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가변초점 렌즈, 광픽업 장치, 광 기록/재생장치, 액적 조작 장치, 광학소자,줌렌즈, 촬상장치, 광변조 장치 및 표시장치
US20090244718A1 (en) 2004-01-07 2009-10-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 N.V. Zoom optical system
JP2012048244A (ja) * 2011-09-09 2012-03-08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 Research 可変焦点マイクロレン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293A (ko) * 2003-05-06 2006-01-3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기습윤 모듈
US20090244718A1 (en) 2004-01-07 2009-10-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 N.V. Zoom optical system
KR20080029870A (ko) * 2006-09-29 2008-04-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일렉트로 웨팅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가변초점 렌즈, 광픽업 장치, 광 기록/재생장치, 액적 조작 장치, 광학소자,줌렌즈, 촬상장치, 광변조 장치 및 표시장치
JP2012048244A (ja) * 2011-09-09 2012-03-08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 Research 可変焦点マイクロ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635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199B1 (ko) 광학 장치
JP4719736B2 (ja) エレクトロウェッティング現象に基づくマクロスイッチを有する集束レンズ
KR101163082B1 (ko) 전환가능형 소자에서의 구동전압의 감소
US879765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vature of lens surface
JP4332176B2 (ja) 流体チャンバーの一端に多重突起が形成された可変焦点レンズ
US9188774B2 (en) Microelectrofluidic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0434940C (zh) 变焦光学系统
JP4369442B2 (ja) 可変焦点レンズ
DE602005016789D1 (de) Linse mit variablem fokus mit zwei flüssigkeiten und elektronische einrichtung
JP4872364B2 (ja) 液体移動装置
US9140891B2 (en) Electrowetting device
US11662568B2 (en) Liquid lenses and methods for operating liquid lenses
JP2006250974A (ja) 光学素子
KR101920729B1 (ko)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
JP2013092701A (ja) エレクトロウェッティングディスプレイ
KR101485670B1 (ko) 전기습윤을 이용한 유체 렌즈 및 이에 있어서 줌 및 초점 가변 방법
JP2008500574A (ja) 可変焦点レンズ
KR20160074202A (ko) 유체 렌즈
JP4879532B2 (ja) 表示素子および表示装置
KR101845367B1 (ko) 전계 구동 표시 장치
EP3745186A1 (en) Glasses
TWI524133B (zh) 光圈裝置
EP3021143A1 (en) Electrohydrodynamic liquid lens
CN114740555A (zh) 一种面形和光阑可调的多功能液体透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