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597B1 - 단말 바인딩 키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바인딩 키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597B1
KR101485597B1 KR20070117457A KR20070117457A KR101485597B1 KR 101485597 B1 KR101485597 B1 KR 101485597B1 KR 20070117457 A KR20070117457 A KR 20070117457A KR 20070117457 A KR20070117457 A KR 20070117457A KR 101485597 B1 KR101485597 B1 KR 101485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bk
terminal
subscribed
smart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1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817A (ko
Inventor
이병래
황승오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11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597B1/ko
Priority to PCT/KR2008/006758 priority patent/WO2009064145A2/en
Priority to CN2008801164800A priority patent/CN101861711B/zh
Priority to EP08850243.0A priority patent/EP2210364B1/en
Priority to JP2010529884A priority patent/JP4917673B2/ja
Priority to US12/739,081 priority patent/US8615659B2/en
Publication of KR2009005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7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hallenge-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1Broadcast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 시스템은,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를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저장하고,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TBK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스마트카드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달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TBK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상기 제2 단말을 포함한다.
TBK, 인증, 스마트카드.

Description

단말 바인딩 키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TERMINAL BINDING KEY}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의 휴대 이동 방송(Mobile Broadcast(BCAST)) 기술인 OMA(Open Mobile Alliance) 방송 버전 1.0(BCAST v1.0) 표준의 스마트카드 프로파일(Smartcard Profile)에서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방송서비스 및 컨텐츠가 안전한 단말에서 사용 될 수 있도록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 이하, DRM) 관련 정보를 사용하고 있다. 이하, 일예로 상기 DRM 관련 정보 중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이하, TBK)를 이용하여 방송서비스 및 컨텐츠를 안전한 단말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TBK는 단말이 방송 가입 관리 장치(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 이하, BSM)과 인증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에 발급 받는 암호키로써, 트래픽 암호화 키 (Traffic Encryption Key : 이하, TEK)를 암호화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TEK는 방송 서비스 및 컨텐츠(이하, 서비스)를 암호화하는 암호키이다. 따라서, 상 기 TBK를 소유하고 있는 단말만이 TEK를 복호화하고, 복호한 TEK로부터 암호화된 서비스를 복호화하여 서비스를 재생 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현재 사용 중인 단말(이하, 제1 단말)이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상기 설명한 TBK를 발급받기 위해, BSM와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110 단계에서 BSM(101)과 제1 단말(103)은 HTTPS(Secure 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통하여 인증 및 안전한(Security) 채널을 설정한다. 그리고 130 단계에서 상기 제1 단말(103)은 150 단계에서 제1 단말의 구분자인 BCAST_Client_ID를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BSM(101)에 전송한다. 170 단계에서 BSM(101)은 상기 BCAST_Client_ID를 전송받은 후, 상기 BCAST_Client_ID에 기반하여 제1 단말 안전성 검증을 수행하여 TBK를 발급한다. 그리고 190 단계에서 BSM(101)는 상기 발급한 TBK를 상기 채널을 통해 제1 단말(103)에게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단말(103)은 TBK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BSM(101)은 결정한 TBK를 제1 단말(103)에게 전송하므로, 사용자가 새로 가입한 새로운 단말(이하, 제2 단말)은 사용자가 기 가입한 서비스를 재생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2 단말에서 기 가입한 서비스를 다시 가입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단말에서 제2단말로 변경 시, 상기 제2단말에서 기 가입한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해 제1 단말에서 획득한 TBK를 제2 단말에서도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새로운 단말에서 기 가입된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도록 단말 바인딩 키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TBK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 시스템은,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를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저장하고,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TBK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스마트카드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달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TBK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상기 제2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BK) 획득 시스템은,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암호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TBK 관련 정보를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스마트카드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상기 제2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BK) 획득 방법은, 제1 단말에서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저장하는 과정과, 제2 단말에서 TBK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상기 저장한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서비스의 ID을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BK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BK) 획득 방법은, 제1 단말에서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암호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TBK 관련 정보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제2 단말에서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상기 저장한 TBK 관련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새로운 단말은 단말 바인딩 키를 발급받아 사용자가 기 가입된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표준인 3GPP 또는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표준 기구인 OMA에서 정의하고 잇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주된 요지는, 사용자의 제2단말에서 제1단말을 통해 기 가입한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도록, 스마트가드에 저장된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TBK를 획득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상기 TBK 관련 정보는 가입한 서비스의 아이디인 GlobalServiceID와, TerminalBindKeyID 와, TBK를 획득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나타낸 PermissionIssuer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PermissionIssuerURL은 제 2 단말이 TBK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BSM의 주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BK 발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BCAST 서비스 분배/적응부(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 BSD/A)(100)은 서비스 관련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를 생성하여 제1 단말(300) 및 제2단말(500)에게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1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를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에 가입하고,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서비스에 대한 TBK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스마트카드(400)에 전송한다.
스마트카드(400)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 및 TBK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함으로써, 여러 단말에서 기 가입한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는 저작권 이동성(Rights Portability)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스마트카드(400)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 및 TBK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 경우, 제2 단말(500)로부터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아래 <표 1>의 RetrieveRequest 메시지를 수신 받으면 아래 <표2>의 RetrieveRequest 메시지로 상기 저장한 서비스 가이드 및 TBK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단말(500)에 전송한다.
동일한 사용자가 제2 단말(500)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BSM(200)은 제2 단말(500)이 현재 재생하기 위해 선택한 서비스에 대한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전, 상기 제2 단말(500)과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제2 단말(500)은 스마트카드(400)에 상기 Retrieve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스마트카드(400)로부터 상기 RetrieveRequest 메시지에 대한 RetrieveResponse 메시지로 상기 저장한 서비스 가이드 및 TBK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현재 재생하기 위한 서비스에 대한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2 단말(500)은 상기 획득한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BSM(200)과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TBK를 발급받는다. 이에 따라 제2 단말(500)은 발급받은 TBK를 이용하여 기 가입된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다.
Figure 112007082515057-pat00001
Figure 112007082515057-pat00002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단말에서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TBK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TBK 관련 정보는 GlobalServiceID 및 TBK 정보(TerminalBindingKeyID, PermissionIssuerURL)를 포함한다.
310 단계에서 BSD/A(100)은 서비스 관련 정보들이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를 제1 단말(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서비스 가이드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들로 TBK 정보를 포함한다.
330 단계에서 제1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를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에 가입한다.
350 단계에서 제1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와 가입한 서비스들의 GlobalServiceID를 스마트카드(400)에 전송한다.
370 단계에서 스마트카드(400)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와, GlobalServiceID들을 각각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카드(400)은 이전에 제1 단말(300)로부터 전달받은 다른 서비스에 대한 GlobalServiceID와 상기 전달받은 GlobalServiceID를 같이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TBK를 발급받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10 단계에서 제2 단말(500)은 스마트카드가 삽입되거나, 임의의 서비스가 요청될 시,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표 1>과 같은 RetrieveRequest 메시지를 스마트카드(400)에 전송한다. 그리고 430 단계에서 스마트카드(400)는 상기 Retrieve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저장한 서비스 가이드와 적어도 하나의 GlobalServiceID가 포함된 <표 2>의 RetrieveResponse 메시지를 제2 단말(500)에 전송한다.
450 단계에서 제2 단말(500)은 상기 RetrieveResponse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와 GlobalServiceID를 서비스 재생 요청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한 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GlobalServiceID에서 현재 재생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GlobalServiceID를 선택하여,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에서 상기 선택한 GlobalServiceID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제 2 단말(500)은 서비스 가이드에 존재하는 PermissionIssuerURL을 통하여 TBK를 발급하는 BSM의 주소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470 단계에서 제2 단말(500)은 상기 획득한 TBK 정보 중 PermissionIssuerURL이 지정 하는 BSM(200)과 OMA BCAST v1.0에 정의된 TBK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490 단계에서 BSM(200)으로부터 TBK를 발급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단말은 상기 제2단말(500)은 상기 선택한 GlobalServiceID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TBK를 획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단말에서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TBK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10 단계에서 BSD/A(100)은 서비스 가이드를 제1 단말(300)에게 전송한다.
530 단계에서 제1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하여 서비스에 가입한다. 그리고 550 단계에서 제1 단말(300)은 상기 가입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TerminalBindingKeyID, PermissionIssuerURL)와 GlobalServiceID을 스마트카드(400)에 전송한다.
570 단계에서 스마트카드(400)는 상기 수신된 TBK 정보 및 GlobalsercieID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TBK를 발급받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10 단계에서 제2 단말(500)은 스마트카드(400)가 삽입되거나, 임의의 방송서비스 요청 시,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표 1>의 RetrieveRequest 메시지를 스마트카드(400)에 전송한다.
630 단계에서 스마트카드(400)는 <표2>의RetrieveResponse 메시지를 통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GlobalServiceID들을 제2 단말(500)에 전송한다.
그리고 650 단계에서 제2 단말(500)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GlobalServiceID를 서비스 재생 요청이 있을 시 사용될 수 있도록 저장한 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GlobalServiceID 중 현재 재생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GlobalService ID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한 GlobalServiceID를 스마트카드(400)에 전송한다.
670 단계에서 스마트카드(400)는 상기 선택한 GlobalServiceID에 해당하는 TBK 정보(TerminalBindingKeyID, PermissionIssuerURL)를 획득하고, <표 2>의 RetrieveResponse 메시지를 통해 상기 획득한 TBK 정보를 제2 단말(500)에 전송한다.
690 단계에서 제2 단말(500)은 상기 획득한 TBK 정보 중 PermissionIssuerURL이 지칭하는BSM(200)과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695 단계에서 BSM(200)으로부터 TBK를 발급받는다. 이에 따라 제2단말(400)은 상기 선택한 GlobalServiceID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TBK를 획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단말에서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TBK를 획득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10 단계에서 제2 단말(500)은 스마트카드(400)가 삽입되거나 임의의 방송서비스 요청 시,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표1>의 RetrieveRequest 메시지를 스마트카드(400)에 전송한다.
730 단계에서 스마트카드(400)는 <표2>의 RetrieveResponse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저장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들의 식별자인 GlobalServiceID와, TBK 정보(TerminalBindingKeyID, PermissionIssuerURL)를 제2 단말(500)에 전송한다.
750 단계에서 제2 단말(500)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TBK 관련 정보를 서비스 재생 요청시 사용될 수 있도록 저장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TBK 관련 정보 중 재생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GlobalService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GlobalServiceID에 해당하는 TBK 정보(TerminalBindingKeyID 와, PermissionIssuerURL)를 획득한다.
그리고 770 단계에서 제2 단말(500)은 상기 획득한 TBK 관련 정보 중 PermissionIssuerURL이 지칭하는 BSM(200)과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790 단계에서 BSM(200)으로부터 TBK를 발급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단말(500)은 상기 선택한 GlobalServiceID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TBK를 획득한다.
상기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제1 단말(300)이 스마트카드(500)에 TBK 관련 정보 전송 시, 추가적으로 서비스 재생 빈도에 따른 우선도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카드(500)에 TBK 관련 정보와, 우선도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2 단말(500)에서 현재 재생을 위해 선택한 서비스의 우선도가 높으면 제2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카드(400)에 GlobalServiceID와, TerminalBindingKeyID 와 PermissionIssuerURL을 저장하여 빠르게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500)에서 현재 재생을 위해 선택한 서비스의 우선도가 낮으면, 제1 실시 예에 따라 GlobalServiceID만을 저장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만을 파악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BK 발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TBK를 발급받기 위한 TBK 관련 정보 저장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TBK를 발급받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TBK를 발급받기 위한 TBK 관련 정보 저장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TBK를 발급받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TBK를 발급받는 방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Claims (36)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 시스템에 있어서,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를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저장하고,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TBK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스마트카드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달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TBK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상기 제2 단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BK 정보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URL)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시스템.
  3.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 시스템에 있어서,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암호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TBK 관련 정보를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스마트카드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상기 제2 단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BK 관련 정보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TBK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스마트카드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요청하여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달하며,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TBK ID와 상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시스템.
  7.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에서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저장하는 과정과,
    제2 단말에서 TBK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상기 저장한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서비스의 ID을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BK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TBK 정보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URL)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9.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에서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암호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TBK 관련 정보를 스마트카드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제2 단말에서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상기 저장한 TBK 관련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TBK 관련 정보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TBK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스마트카드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요청하여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ID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달하며,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가 포함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TBK ID와 상기 주소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ID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서비스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13.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이 스마트카드로 TBK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를 수신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제1 단말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되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BK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TBK 정보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URL)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1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이 스마트카드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암호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TBK 관련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제1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되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TBK 관련 정보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TBK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스마트카드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요청하여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ID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달하며,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가 포함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TBK ID와 상기 주소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ID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19.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카드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제1 단말로부터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가 제2 단말로부터 TBK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저장한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을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BK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TBK 정보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URL)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2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카드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암호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TBK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가 제2 단말로부터 상기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저장한 TBK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후,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을 참조하여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BK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TBK 관련 정보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TBK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TBK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가 포함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TBK ID와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ID 중에서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서비스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TBK 획득 방법.
  2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를 획득하는 단말에 있어서,
    스마트카드로 TBK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여기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제1 단말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되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참조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TBK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TBK 정보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URL)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 획득하는 단말에 있어서,
    스마트카드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암호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여기서 서비스 가이드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제1 단말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되며, 여기서 상기 TBK 관련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되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TBK 관련 정보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TBK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스마트카드로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요청하여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 중에서 상기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달하며,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TBK ID와 상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 중에서 상기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를 획득하는 스마트카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된 제1 단말로부터 각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를 수신하고, 제2 단말로부터 TBK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서비스 가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전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서비스 가이드와 상기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TB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BK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TBK 정보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URL)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33.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바인딩 키(Terminal Binding Key : TBK)를 획득하는 스마트카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가입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암호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TBK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로부터 상기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TBK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TBK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TBK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TBK 관련 정보는,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아이디(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TBK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를 전달하며,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포함하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ID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TBK ID와 주소를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ID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재생될 것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 ID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ID에 해당하는 TBK를 발급 받을 수 있는 주소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KR20070117457A 2007-11-16 2007-11-16 단말 바인딩 키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85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7457A KR101485597B1 (ko) 2007-11-16 2007-11-16 단말 바인딩 키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CT/KR2008/006758 WO2009064145A2 (en) 2007-11-16 2008-11-17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terminal binding key
CN2008801164800A CN101861711B (zh) 2007-11-16 2008-11-17 用于获取终端绑定密钥的系统和方法
EP08850243.0A EP2210364B1 (en) 2007-11-16 2008-11-17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terminal binding key
JP2010529884A JP4917673B2 (ja) 2007-11-16 2008-11-17 端末バインディングキーを取得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2/739,081 US8615659B2 (en) 2007-11-16 2008-11-17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terminal binding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7457A KR101485597B1 (ko) 2007-11-16 2007-11-16 단말 바인딩 키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17A KR20090050817A (ko) 2009-05-20
KR101485597B1 true KR101485597B1 (ko) 2015-01-22

Family

ID=4085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17457A KR101485597B1 (ko) 2007-11-16 2007-11-16 단말 바인딩 키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15659B2 (ko)
KR (1) KR101485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1675B2 (en) * 2007-12-19 2012-12-25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gram guide data from a content provider to a user device through a partner service provider based upon user attribut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2517A (ja) 2003-04-09 2004-11-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経路最適化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301887A (ja) 2005-04-19 2006-11-02 Toshiba Corp 情報記憶再生システムとその情報端末及び情報バックアップ装置
US20070133805A1 (en) 2005-11-10 2007-06-14 Sung-Oh Hwang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encryption information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and system therefor
US20070177550A1 (en) 2005-07-12 2007-08-02 Hyeok Chan Kwo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private network services to mobile node in IPv6 network and gatewa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419A (ja) * 2001-05-11 2002-11-29 Sony Corp 共同顧客管理システム及び受信端末装置
KR20050008081A (ko) * 2003-07-14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패킷 데이터 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등록 방법
JP2007094992A (ja) 2005-09-30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JP2007158420A (ja) 2005-11-30 2007-06-21 Toshiba Corp 情報端末装置
WO2007097604A1 (en) 2006-02-27 2007-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broadcast service/content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hort term key message therefor
EP1830589B1 (en) * 2006-03-03 2017-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2517A (ja) 2003-04-09 2004-11-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経路最適化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301887A (ja) 2005-04-19 2006-11-02 Toshiba Corp 情報記憶再生システムとその情報端末及び情報バックアップ装置
US20070177550A1 (en) 2005-07-12 2007-08-02 Hyeok Chan Kwo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private network services to mobile node in IPv6 network and gateway using the same
US20070133805A1 (en) 2005-11-10 2007-06-14 Sung-Oh Hwang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encryption information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and syste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17A (ko) 2009-05-20
US20100262826A1 (en) 2010-10-14
US8615659B2 (en)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5108B2 (ja) 復号鍵配信方法
JP4705958B2 (ja) 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におけるデジタル著作権管理方法
TWI273846B (en) Process for point-to-point secured transmission of data and electronic module for implementing the process
JP2006340296A5 (ko)
JP4763806B2 (ja) 無線通信におけるコンテンツ保護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1172276A (ja) コンテンツの保護のためのエンティティ同士の関連付け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システム
JP2012507195A (ja) 現場キャストサービスに対する、請求およびセキュリティアーキテクチャ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2514923A (ja) 端末に放送されるデータに関する視聴率をモニタするための方法、及び対応する端末トークン及びシステム
KR101473488B1 (ko) 휴대 방송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로 전달되는 응답 메시지를생성하는 스마트 카드 및 방법 그리고 그 이동 단말
KR100975386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컨텐츠 보호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기 키 메시지의 생성 방법
CN102546597B (zh) 通讯终端消息加密传输的方法、通讯终端、服务器及系统
KR101158155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암호화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KR101485597B1 (ko) 단말 바인딩 키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94560A1 (en) Method of storing content
KR100866194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암호화된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572708A (zh) 多播广播业务处理方法与系统、广播多播业务平台
JP4917673B2 (ja) 端末バインディングキーを取得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WI220625B (en) Service data multi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security key generating system
KR101300427B1 (ko)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통해 암호키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413418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에서 변경된 단말의 암호화키 획득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78659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암호화 정보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시스템
CN103139722B (zh) 彩信处理方法、系统及媒体交换中心
JP4847555B2 (ja) 復号鍵配信方法および認証装置
JP4319691B2 (ja) 認証装置
CN102457774A (zh) 电视节目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