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530B1 - Method of refinig molten steel - Google Patents

Method of refinig molten st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530B1
KR101485530B1 KR20130074515A KR20130074515A KR101485530B1 KR 101485530 B1 KR101485530 B1 KR 101485530B1 KR 20130074515 A KR20130074515 A KR 20130074515A KR 20130074515 A KR20130074515 A KR 20130074515A KR 101485530 B1 KR101485530 B1 KR 101485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converter
charcoal
phosphorus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1379A (en
Inventor
김영화
이영식
최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7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530B1/en
Publication of KR2015000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5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2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21C1/025Agents used for 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4Removing impurities other than carbon, phosphorus or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blowing
    • C21C5/32Blowing from abov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6Processes yielding slags of speci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87Treatment of slags covering the steel bath, e.g. for separating slag from the molten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선 정련 방법은 전(前) 조업공정에서 생산된 용강의 출강을 완료하는 단계와, 전로를 경동시켜 상기 전(前) 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의 일부를 배제하는 단계,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 내에 부원료를 투입하고 공취하는 단계, 상기 전로에 본 조업공정에 이용할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상기 용선을 취련하는 단계 및 상기 취련 후, 취련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를 배재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용선 중의 인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전(前) 공정이 완료된 전로에 수용된 슬래그를 일부 배재한 후, 전로에 잔류하는 다른 일부의 슬래그에 석회 CP를 투입하고 공취하여 슬래그내 Fe2O3의 생성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인과 Fe2O3의 반응에 의해 인을 기화탈린 시킴으로써 1차취련 전에 인을 일부 제거시킬 수 있어 탈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1차 취련 공정에서 용선 내에 투입되는 CaO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용선 정련에 소모되는 CaO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 환경 제어를 함으로써 전체 공정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종래에 성분 제어 미스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fining a molten iron, comprising the steps of completing the ladle furnace produced in the previous refining step, tilting the converter to exclude a part of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process, Charging a charcoal to be used in the present process, charging the charcoal, and discharging the slag generated by the cigarette after the cigarette is introduced into the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The phosphorus in the charcoal can be easily removed. That is, after partially disposing the slag accommodated in the converter where the previous process is completed, the lime CP is added to another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to increase the amount of Fe 2 O 3 produced in the slag, By vaporizing phosphorus by phosphorus, phosphorus can be partially removed prior to the first blowing, thereby increasing the talline rati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aO injected into the molten iron in the primary refining step,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CaO consumed in refining the molten iron.
Further, by controlling the process environment, the entire process can be stably performed,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mponent control mistake can be solved in the past, and the quality of the finally produced product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용선 정련 방법 {Method of refinig molten steel}[0001] METHOD OF REFINING MOLTEN STEEL [0002]

본 발명은 용선 정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선 중 인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용선 정련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couring a molten ir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couring a molten iron which can easily remove molten iron.

일반적으로 용강 중의 함유되는 인(P) 성분은 연속 주조 중 주편 내부에 편석되어 품질불량을 야기하며, 특히 극한 환경하에서 소재의 균열을 유발하여 제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극한 환경하에서 압력 용기나 파이프 등의 소재로는 수소 유기 균열이나 황화물에 의한 응력 부식 균열 특성에 강한 극저린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In general, the phosphorus (P) component contained in molten steel is segregated in the cast steel during continuous casting, causing quality defects, and particularly cracking of the material under extreme environments, adversely affecting the product. As a result, under extreme conditions, materials such as pressure vessels and pipes are mainly used for ultra-low-strength steels which are resistant to stress corrosion cracking caused by hydrogen organic cracking or sulfides.

한편, 제강공정은 용선 예비처리 공정, 전로 정련 공정, 이차 정련 공정 및 연속 주조 공정 순으로 진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eelmaking process proceeds in the order of the iron pre-treatment process, the converter refining process, the secondary refining process, and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이때, 전로 정련 공정은 용선(hot metal)과 고철(scrap)을 전로에 장입하여 랜스를 통해 고순도의 산소(O2) 가스를 취입함으로써 용선 중 탄소와 불순 원소를 CO가스 또는 슬래그 중 산화물 형태로 제거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용선을 용강이라고 한다. At this time, the converter refining process charges hot metal and scrap into the converter and blows oxygen (O 2 ) gas of high purity through the lance, so that the carbon and impurities in the charcoal are converted into the oxide of CO gas or slag The molten steel from which impurities have been removed through this process is called molten steel.

상기 슬래그 중 산화물 형태로 제거하는 반응에서 형성된 슬래그 층은 저취 가스(N2, Ar)와 순 산소의 충돌 에너지에 의해 교반 작용으로 용선과 활발히 반응하여 용선 내 불순 원소들을 안정적으로 제거하고, 특히 인(P) 성분을 제거 및 안정화시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e slag layer formed in the reaction of removing the oxide form of the slag actively reacts with the molten iron by stirring action by the impact energy of the off-gas (N 2 , Ar) and pure oxygen to stably remove the impurities in the molten iron, Lt; / RTI >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removing and stabilizing the component (P).

이에, 종래에는 인(P)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위해 더블 슬래그 조업과 탈린 조업을 수행하면서 용선 중 인을 제거하며, 슬래그의 염기도는 인(P)과 반응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Conventionally, for the process of removing the phosphorus (P) component, the phosphorus phosphorus is removed while the double slag operation and the talline operation are performed, and the basicity of the slag is an important factor in reacting with phosphorus (P).

그러나, 제강조업의 특성상, 동일한 설비를 이용하여 용강을 제조하기 때문에, 전(前) 조업공정의 슬래그를 모두 배재한다 하더라도,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가 발생하고, 이는 후(後) 조업 공정에 있어서 취련 공정의 편차를 발생시켜 성분 제어 미스 사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elmaking operation, molten steel is produced using the same equipment. Therefore, even if all of the slag in the previous operation is discharged, the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is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a variation in the curing process is caused to cause a component control mistake.

또한, 종래와 같은 더블 슬래그 조업과 탈린 조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저린재인 저질소강 생산시, 질소(N)의 격외가 발생한다. 이때, 질소의 발생을 억제 및 방지하기 위해서 용선 내에 CaO를 다량 투입하는 과정이 요구되고, 이는 CaO 다량 투입으로 인한 재화불량 발생과 CaO원에 소모되는 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을 초래하고 있다.Also, in the process of double slag operation and talline operation as in the prior art, nitrogen (N) is neglected in the production of low-grade low-carbon steel, which is a damper. At this time, in order to suppress and prevent the generation of nitrogen, it is required to input a large amount of CaO into the charcoal line, which causes a failure of goods due to the input of CaO and a cost increase in the CaO source.

KRKR 2000-00200602000-0020060 A1A1

본 발명은 슬래그의 염기도 제어를 통해 용선 내 인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용선 정련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ten iron refining method capable of easily removing iron phosphorus through controlling the basicity of slag.

본 발명은 용선의 취련 전 용선의 T.Fe(Total Fe)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용선 정련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coal refining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content of T.Fe (Total Fe) in a charcoal line before charcoal.

본 발명은 용선의 취련시에 투입되는 CaO(생석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용선 정련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coal refin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CaO (burnt lime) to be charged at the time of refilling of charcoal.

본 발명은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선 정련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coal refining method capabl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 product to be produc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선 정련 방법은 전(前) 조업공정에서 생산된 용강의 출강을 완료하는 단계와, 전로를 경동시켜 상기 전(前) 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의 일부를 배제하는 단계,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 내에 부원료를 투입하고 공취하는 단계, 상기 전로에 본 조업공정에 이용할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상기 용선을 취련하는 단계 및 상기 취련 후, 취련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를 배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fining a molten iron, comprising the steps of completing the ladle furnace produced in the previous refining step, tilting the converter to exclude a part of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process, Charging a charcoal to be used in the present process, charging the charcoal, and discharging the slag generated by the cigarette after the cigarette is introduced into the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

상기 부원료는 CaO함유율이 50% 이상인 석회 CP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ditive may include a lime CP having a CaO content of 50% or more.

상기 공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의 양은 상기 전(前) 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의 최대 50% 이내의 슬래그가 잔류할 수 있다. The amount of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in the step of mixing may remain within 50% of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상기 공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로 내 슬래그의 염기도를 4.5이상 내지 5.5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The basicity of the slags in the converter can be adjusted to 4.5 or more to 5.5 or less.

상기 부원료는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양의 10 내지 15%의 양을 투입할 수 있다. The additive may be charged in an amount of 10 to 15% of the amount of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상기 용선을 취련하는 단계는 1차 취련 과정 및 2차 취련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1차 취련과 상기 2차 취련은 시간차를 두고 실시할 수 있다. The step of blowing the charcoal includes a primary winding process and a secondary winding process, and the primary winding and the secondary winding can be performed with a time lag.

상기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전로에 돌로마이트를 투입하고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상기 전로 내벽을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Before the step of charging the charcoal,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tep of injecting dolomite into the converter and blowing an inert gas to coat the inner wall of the convert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전(前)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의 일부에 석회CP를 투입하고 공취하여 슬래그의 염기도를 제어함으로써 후에 전로에 수용되는 용선 중의 인(P)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전(前) 공정이 완료된 전로에 수용된 슬래그를 일부 배재한 후, 전로에 잔류하는 다른 일부의 슬래그에 석회 CP를 투입하여 슬래그의 염기도를 제어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phosphorus (P) in the charcoal accommodated in the converter later by controlling the basicity of the slag by introducing the lime CP into a part of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have. That is, after the slag accommodated in the converter where the previous process is completed is partially discharged, the basicity of the slag is controlled by introducing the lime CP into another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이처럼, 슬래그 내에 석회 CP가 투입되면 슬래그 내 Fe의 농도가 증가되기 때문에 Fe2O3의 생성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인(P)과 Fe2O3의 반응이 증가로 탈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lime CP is introduced into the slag, the amount of Fe 2 O 3 is increased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Fe in the slag is increased, and the reaction of phosphorus (P) and Fe 2 O 3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talline ratio have.

또한, 종래에 용선이 장입된 후 취련 공정에서 슬래그의 염기도를 제어하고, T.Fe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투입되는 CaO(생석회)의 일부를 석회 CP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CaO 사용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basicity of the slag is controlled in the curing process after the charcoal is charged in advance and a portion of the CaO (burnt lime) to be added to increase the amount of T.Fe can be replaced with the lime CP,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취련 전에 슬래그 염기도 조절에 의한 공정 환경 제어를 함으로써, 전체 공정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종래에 성분 제어 미스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by controlling the process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slag basicity before the blowing, the whole process can be stably performed, and the problem caused by the component control mistake can be solved in the past, and the quality of the finally produced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일반적인 전로 및 랜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선 정련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는 도 2의 정련 방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석회 CP 투입에 따른 1차 취련 완료시 까지의 용선 중 [P]의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잔류슬래그의 슬래그 이온비에 따른 비교예와 실시예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1차 취련 시간에 따른 석회 CP 투입후 공취시 용선의 탈린율 및 석회 CP의 재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typical converter and lanc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couring a charco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refining method of Fig. 2 in order.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behavior of [P] in the molten iron until the completion of the first refining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lime CP.
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lag ion ratio of the residual slag.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talline ratio of the molten iron and the firing rate of the lime CP at the time of feeding after the lime CP is charged according to the primary winding ti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선 정련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2의 정련 방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용선 정련 방법과 본 발명의 용선 정련 방법을 비교한 도면이다.
FIG. 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scouring a charco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fining method of Fig. 2 in order. 3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conventional scouring method and a sco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로(100) 및 랜스(200)는 제강 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간단하게 설명한다.The converter 100 and the lance 2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ly used in a steelmaking process and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전로(100)는 용선 및 고철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용기로서, 상측은 개방되어 있고(노구), 측부에는 용강이 배출되는 출강구(110)가 마련된다. 또한, 출강구(110)에는 다트(미도시)가 마련되고, 다트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슬롯이 다수개 형성되어, 출강구(110)를 폐쇄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제조된 다트헤드와, 다트헤드의 하부에 연결되어 출강구에 삽입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verter 100 includes a vessel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molten iron and scrap iron are received. The vessel 100 is open at its upper side and is provided at its side with a discharge port 110 through which molten steel is discharged. The darts 110 are provided with darts (not shown). The darts are formed in a funnel shape so as to close the lances 110 though a plurality of slots are not shown, And a protrus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ead and inserted into the opening.

여기서, 전로(100)의 노구로는 랜스(200)가 삽입 설치되어, 용선의 정련을 위한 산소가 취입된다. 그리고, 전로(100)의 하부로는 용강의 교반을 위한 불활성 가스가 취입되는 노즐(미도시)이 삽입 설치된다.
Here, the lance 200 is inserted into the furnace of the converter 100, and oxygen for refining the molten iron is taken in. A nozzle (not shown) for injecting an inert gas for stirring the molten steel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rter 100.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선 정련 방법은, 전(前) 조업공정에서 생산된 용강의 출강을 완료하는 단계(S100), 전로를 경동시켜 상기 전(前) 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의 일부를 배제하는 단계(S200),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 내에 부원료를 투입하고 공취하는 단계(S300), 상기 전로에 본 조업공정에 이용할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S400), 상기 용선을 취련하는 단계(S500, S700) 및 상기 취련 후, 취련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를 배재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일련의 단계들이 반복적으로 복수 반복되어 실시된다. 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refining a molten ir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mpleting ironing of molten steel produced in a previous operation (S100), tilting a converter, (S300) of charging the molten iron into the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S300), charging the molten iron to be used in the present ironing process (S400) (S500, S700), and discharging the slag produced by the blowing after the blowing (S600). And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steps are repeated and repeated.

출강 완료 단계(S100)는 전(前) 조업 공정 중 생산된 용강을 출강하여 상기 용강의 출강이 완료되는 단계로, 용강의 출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전로(100) 내의 잔류 슬래그의 양은 보통 25 내지 30톤(ton)이다. In step S100, the molten steel produced during the previous operation is introduced and the molten steel is poured. The amount of the residual slag in the converter 100 at the time point when the molten steel is completely drained, 30 tons.

출강이 완료되면, 슬래그 상에 CaO(생석회)를 투입함으로써, 후속 공정에서 슬래그와 용간간의 교반 시에 P2O5가 복 P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P가 픽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P2O5가 용강 속으로 혼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석회를 투입한다. When ladle is completed, CaO (calcium oxide) is added to the slag to prevent the P 2 O 5 from being blended during stirring of the slag and the slag in the subsequent process, thereby preventing P from being picked up. That is, quicklime is put in order to prevent P 2 O 5 from being mixed into molten steel.

이후, 고로에서 출선된 용선을 전로에 장입하기 전에 용선을 예비정련하여, S를 제거한다. 이때, CaO나 CaC2와 같은 탈류제를 투입하여 탈류를 진행한다. 또한, 출선된 용선을 전로(100)에 장입하기 전에 예비 탈류 뿐만 아니라, 예비 탈규소, 탈린 조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after, the charcoal is pre-refined before removing the S from the furnace before charging it to the converter. At this time, a desulfurizing agent such as CaO or CaC2 is added to perform desulfurization. Furthe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preliminary desiliconization, preliminary desiliconization, and talline operation before loading the charged charcoal into the converter 100.

예비 정련이 종료되면, 전로(100) 벽체를 코팅하기 전, 전로(100)를 경동시켜 슬래그의 일부를 배재하고, 다른 일부의 슬래그를 잔류시킨다(S200). 즉, 전(前)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 중 일부만 배재한 후, 다른 일부의 슬래그를 본 조업공정에 사용될 전로(100)에 잔류시킨다. 이때, 전로(100)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의 양은 전(前)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의 50%의 양이 잔류할 수 있다. 예컨대, 출강 완료 시점에서의 전로(100) 내 잔류 슬래그의 양이 25 내지 30톤(ton)인 경우, 12 내지 15톤(ton)의 슬래그 양만 잔류시키고 나머지 슬래그는 배재한다. After the pre-refining is completed, the converter 100 is tilted so as to discharge part of the slag and to retain the remaining part of the slag (S200) before coating the wall of the converter 100. That is, only a part of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is discharged, and then another part of the slag is left in the converter 100 to be used in the present operating process.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100 may be 50% of the amount of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the residual slag in the converter 100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excavation is 25 to 30 tons, only 12 to 15 tons of slag is left and the remaining slag is discharged.

이처럼, 전(前) 조업 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의 50%를 잔류시키고 배재하는 이유는, 전(前) 조업 공정의 슬래그를 인을 제거하기 용이한 염기도로 제어한 후, 용선을 투입하여 용선의 탈린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잔류시키는 것으로서, 전(前) 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 전체의 염기도를 제어한 후, 용선을 장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前) 조업공정의 슬래그 전부를 사용하는 경우, 슬래그의 염기도를 조절하기 위해 투입되는 석회 CP의 양이 증가되고, 슬래그의 양이 증가하는 만큼 슬래그를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선 배재하는 슬래그의 양은 전(前) 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의 50%의 양을 잔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ason why 50% of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operation is left and discharged is that the slag in the previous operation is controlled to a basicity that makes it easy to remove phosphorus, And the molten iron may be charged after the basicity of the entir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operation is controlled.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ll of the slag in the previous operation, since the amount of the lime CP to be added for controlling the basicity of the slag is increased and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slag as the amount of the slag is increased, The amount of slag discharged is preferably 50% of the amount of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operation.

한편, 전로(100)의 사용 횟수(노령)에 따라 전로(100)의 경동 각도를 상이하게 조절하는데, 전로(100)의 사용 횟수가 증가할수록 경동 각도를 감소시킨다. 이는 전로(100)의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로(100) 내 용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산소 취련 시에 산소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dead zone)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즉, 전로(100)의 사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로(100) 내벽의 내화물이 침식되어 전로(100) 내 용적이 증가한다. 이에, 사용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전로(100)와 사용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전로(100)를 동일한 각도로 경동시켜 슬래그를 배재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사용 횟수가 많은 전로(100)에서 슬래그가 좌우 방향(즉, 수평 방향)으로 넓게 퍼진다. 그리고 슬래그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사용 횟수가 많은 전로(100)에서 낮다. 또한, 일반적으로 랜스(200)는 전로(100)의 중심으로 투입되기 때문에 산소 취입 시에, 전로(100) 내 가장자리 영역과 같은 영역으로는 산소가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영역이 사각지대(dead zone)이며, 사각지대의 면적이 늘어날수록, 취련과정에서의 정련 효율이 떨어진다. 이에, 전로(100)의 사용 횟수가 증가할수록 경동 각도를 감소시켜, 잔류하는 슬래그의 양을 증가시켜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ilting angle of the converter 100 is adjus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old age) of the converter 100, and the tilting angle is decreased a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verter 100 increases. This is because a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verter 100 increases, the volume of the converter 100 increases and a dead zone is created in which oxygen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oxygen blowing. That is, a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verter 100 increases, the refractory on the inner wall of the converter 100 is eroded and the volume of the converter 100 increases. In the case where the converter 100 having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times of use and the converter 100 having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times of use are tilted at the same angle to dispense slag, in the converter 100 hav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use, (I.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eight of the slag is low in the converter (100), which is relatively frequently used. Generally, since the lance 20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onverter 100, oxygen is not supplied to the same region as the edge region in the converter 100 at the time of oxygen injection. This area is a dead zone, and as the area of the blind spot increases, the refining efficiency in the process of blowing is lowered. Accordingly, a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verter 100 increases, the tilting angle is reduced, and the amount of the residual slag is increased to minimize the blind spot.

슬래그의 선배재가 완료되면, 슬래그 내에는 슬래그의 염기도를 제어하기 위한 부원료가 투입되고, 공취과정이 실시된다(S300). 즉, 슬래그의 염기도를 4.5 내지 5.5로 제어하기 위한 부원료가 투입되고, 이때 부원료는 생석회가 50%이상 포함된 석회 CP가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slag is preheated, an additive for controlling the basicity of the slag is introduced into the slag and an aural process is performed (S300). That is, an additive for controlling the basicity of the slag to 4.5 to 5.5 is added, and a lime CP containing 50% or more of burnt lime can be used as the additive.

석회 CP는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생석회의 가루와 고형재인 시멘트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원료로써, 원료배합은 석회석 슬러지를 기반으로 백운석 더스트를 약 2 내지 3%, 시멘트를 6%로 구성된다. 즉, 석회 CP는 생석회의 소성 과정 중 발생하는 폐기물로서, 본 발명에서는 슬래그 내에 석회 CP를 투입함으로써 슬래그의 T.Fe를 증가시켜 탈린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투입된다. The lime CP is a raw material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owder of quicklime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and the solid cement, and the raw material mixture is composed of about 2 to 3% of dolomite dust and 6% of cement based on limestone sludge. That is, the lime CP is a waste generated during the calcination process of the quickl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e CP is introduced into the slag to increase the T.Fe of the slag and increase the talline ratio.

즉, 석회 CP를 전로에 잔류한 슬래그에 투입한 후 공취함으로써 슬래그 내의 Fe와 산소가 반응하여 Fe2O3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더블 슬래그 조업으로 과취와 고염기도 조업을 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과취 성향이 적다. 그 이유로는 석회 CP 투입과 공취하여 생성된 Fe2O3와 슬래그간의 반응으로 하기의 반응이 일어나면서 용선을 취련작업 전까지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the lime CP is added to the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and then the Fe and O in the slag react with each other to increase Fe 2 O 3 . Theref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ess tendency to deodorize compared to conventional double-slag operation with deodorization and high-salt operatio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reaction between Fe 2 O 3 and slag generated by the addition of lime CP can reduce the charcoal until the following operation, as the following reaction occurs.

1) 슬래그 중 (Fe2+) 및 (O2-)가 반응계면으로 이동1) In the slag, (Fe2 +) and (O2-) move to the reaction interface

2) 슬래그와 Fe2O3 계면에서의 화학반응2) Chemical reaction at slag and Fe 2 O 3 interface

3) 반응계면으로부터 슬래그 중으로 인산화물(P2O5)의 이동3) Migration of phosphorus (P 2 O 5 ) from the reaction interface to the slag

4) Fe2O3로부터 환원된 Fe가 반응계면에서 슬래그로 이동4) Fe reduced from Fe 2 O 3 moves to the slag from the reaction interface

한편, 슬래그에 투입되는 석회 CP의 양은 잔류하는 슬래그의 양을 기준으로 10 내지 15%을 투입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전(前)조업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 중 잔류하는 슬래그가 15톤인 경우에 석회 CP는 2톤이 투입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lime CP to be introduced into the slag is preferably 10 to 15% based on the amount of the remaining slag. For example, when the slag remaining in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operation is 15 tons, 2 tons of lime CP is added.

한편, 인을 용이하게 슬래그에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해서는 슬래그의 염기도는 4.5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슬래그의 염기도가 4.5 이하인 경우에는 염기도가 낮아 탈린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고, 슬래그의 염기도가 5.5 이상인 경우 슬래그의 점섬이 높아지게 되어 유동성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탈린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ity of the slag is 4.5 to 5.5 in order to easily capture and remove phosphorus in the slag. When the basicity of the slag is less than 4.5,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sicity is low and the talline ratio is decreased. When the basicity of the slag is 5.5 or more, the viscosity of the slag increases and the fluidity decreases. As a result, the talline ratio decreases.

이처럼, 석회 CP를 투입 후 랜스(200)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므로 T,Fe의 증가와 슬래그 염기도가 4.5 내지 5.5 범위가 되므로 Fe2O3-CaO-Slag의 반응시 산소공급에 의한 CO가스와의 상관관계를 조화시켜 P2O5를 슬래그층에서 기화탈린 작업을 하므로 CO가스와 함께 P2O5에 의한 노내 볼륨 증가에 의한 석회 CP 사용에 의한 염기도를 유지하여 용선 중의 인을 슬래그층(P2O5)으로 유도하므로 1차 취련중 인을 낮게 유도할 수 있다. 이에, 공정의 안정된 취련 조업으로 슬래그와 석회 CP의 재화로 인을 낮춰 노 내에서 P의 픽업이 덜 되도록 할 수 있다. Since the supply of oxygen is performed using the lance 200 after the lime CP is charged, the increase of T and Fe and the basicity of the slag are in the range of 4.5 to 5.5, so that the CO 2 gas by the oxygen supply during the reaction of Fe 2 O 3 -CaO- And the P 2 O 5 is used for vaporization talline operation in the slag lay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asicity by using the lime CP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furnace by P 2 O 5 together with the CO gas, (P 2 O 5 ), so that phosphorus can be induced to a low level during the primary blowing. Therefore, the stable phosphorus operation of the process lowers the phosphorus content of the slag and the lime CP, so that the pick-up of P in the furnace can be reduced.

이와 같은 인의 기화탈린 반응식을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vaporization talline reaction formula of such phosphorus can be represented as follows.

1/2O2 + 2e = O2 - 1 / 2O 2 + 2e = O 2 -

[P]+4O2-=(PO3 - 4)+5e[P] + 4O 2 - = (PO 3 - 4 ) + 5e

[P]+5/4O2+3/2O2 -=(PO3 - 4)[P] + 5 / 4O 2 + 3 / 2O 2 - = (PO 3 - 4 )

부원료의 투입 및 공취가 완료되면, 전로(100) 내로 코팅제 및 질소를 분사하고, 전로(100)를 경동시켜, 질소 분사 코팅을 실시한다. 이때, 전로(100)에 장입되는 코팅제의 양 및 분사되는 질소 유량은 잔류 슬래그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팅제로는 생돌로마이트(dolomite) 및 경소돌로마이트(dolomi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질소 코팅 전에 수행된 석회 CP 투입 후 공취 공정을 통해 증가된 Fe3 +는 코팅제로 투입되는 돌로마이트의 MgO 성분의 포화용해도를 증가시키므로 노체 코팅을 용이하게 한다. When the addition of the additives and the anatomy are completed, the coating agent and nitrogen are injected into the converter 100, the converter 100 is tilted, and a nitrogen spray coating is per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the coating agent charged into the converter 100 and the nitrogen flow rate injected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residual slag. As the coating agent, at least one of dolomite and dolomite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the Fe 3 + increased through the saturation process after the lime CP injection before the nitrogen coating increases saturation solubility of the MgO component of the dolomite introduced into the coating, thus facilitating the coating of the hearth.

한편, 코팅 조업에서 돌로마이트 투입후, Fe2O3-Slag-돌로마이트 반응계면에서 CO2가스가 발생하고, 전로 경동 및 냉각에 의해 슬래그의 점도가 어느 이상 상승하면 CO2가스가 슬래그 층으로 픽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량의 가스라도 슬래그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율(volume fraction)이 클 뿐 아니라 CO2 생성열에 의한 슬래그 온도 하강 효과도 있기 때문에 슬래그의 점성을 급격하게 상승시킬 수도 있다. 이때, 슬래그 코팅시, 최적의 전로 부착성을 보이는 적정 슬래그의 점도는 약 70poise 이며, 이러한 점도 값을 가지는 슬래그의 온도범위는 1300 ~ 1350℃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CO 2 gas is generated at the Fe 2 O 3 -Slag-dolomite reaction interface after the dolomite introduction in the coating operation, and the viscosity of the slag increases by the tilt and the cooling by the transfer, the CO 2 gas is picked up into the slag layer It is possible. In this case, even a small amount of gas may not only have a large volume fraction in the slag, but also cause a slag temperature lowering effect due to the CO 2 generation heat, so that the viscosity of the slag may be rapidly increased. At this time, when the slag coating is carried out, the viscosity of the optimum slag exhibiting optimum transfer adhesion is about 70 poise, and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slag having such a viscosity value is preferably 1300 to 1350 ° C.

질소 분사 코팅 및 잔류슬래그 코팅 완료 후에, 전로(100) 내로 본 조업공정(전(前) 조업 공정 이후에 실시되는 후속 조업 공정)에 참여할 고철 및 용선을 장입한다(S400). 이때, 전로(100)에는 고철이 먼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공정을 통해 제어된 액상 슬래그 상에 용선을 먼저 투입하는 경우, 반응에 의한 폭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고철을 먼저 슬래그 상에 투입하여 슬래그를 액상에서 고상으로 만든 후, 용선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completing the nitrogen spray coating and residual slag coating, scrap and charcoal are charged into the converter 100 to participate in the present operating process (subsequent operating process after the previous operating process) (S4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ap iron is put into the converter 100 first. This is because, when the molten iron is first put on the liquid slag controll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plosion occurs due to the reaction, so that the scrap is first put on the slag to solidify the slag from the liquid phase, .

고철 및 용선의 장입이 완료되면, 랜스(200)를 이용하여 산소를 취입하는 취련을 실시하는데(S500, S700),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취련(S500) 및 2차 취련(S700)을 실시하며, 1차 취련(S500)과 2차 취련(S700)은 시간차를 두고 실시한다. 그리고, 1차 취련(S500)과 2차 취련(S700) 시의 랜스의 높이 및 산소 취입 유량(즉, 송산 유량)을 다르게 하여 화점을 조절함으로써, 정련 효율을 향상시킨다.When the charging of the scrap iron and the molten iron is completed, the lance 200 is used to blow oxygen (S500, S700). In this embodiment, the primary (S500) and the secondary (S700) , The primary blowing (S500) and the secondary blowing (S700) are performed with a time lag. The refin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ance at the time of the first blowing (S500) and the blowing at the second blowing (S700) and the oxygen blowing flow rate (that is, the blowing flow rate).

먼저, 1차 취련 단계(S500)에서는 소프트 블로잉으로 취련을 실시하여, 캐비티의 깊이를 낮게하고, 화점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랜스(200)의 높이(탕면에서부터 랜스의 끝단까지의 간격)을 예컨대, 11.5 내지 12.5가 되도록 하고, 30000 N㎥/hr으로 취입한다. 그리고 1차 취련시에 1차 2차를 합한 총 산소 취입량의 20% 내지 30%를 취입한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취련의 전체 공정에서 20 내지 30% 시점까지 취련을 실시한다. First, in the first blowing step (S500), the blowing is performed by soft blowing to lower the depth of the cavity and enlarge the blowing point. For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lance 200 (the distance from the bath surface to the end of the lance) is set to, for example, 11.5 to 12.5 and blown in at 30000 Nm3 / hr. And 20% to 30% of the total amount of oxygen injected by the first secondary is taken in the first blowing. In other words, the blowing is performed until the point of 20 to 30% in the entire process of blowing.

이와 같은 조건으로 산소가 취련됨에 따라 용강 내로 투입된 탈류제 즉, CaO와 용강 중 인이 반응하여 P2O5가 생성되며, 생성된 슬래그는 용탕면 상측에 위치한 슬래그층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실시예에 따른 1차 취련 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랜스(200)의 높이를 11.5m 내지 12.5m로 하고 30000 N㎥/hr으로 산소를 취입하여, 화점의 직경이 확대되고, 캐비티의 깊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T.Fe의 증가로 슬래그의 인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어 인의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화점의 직경을 확대하고 캐비티의 깊이를 낮추는 이유는, 슬래그 층과 취입되는 산소가 반응하는 표면적을 확대하여, 슬래그층의 온도를 승온시키고, 반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As oxygen is blown under these conditions, the desulfurizing agent added to the molten steel, that is, CaO reacts with phosphorus in the molten steel to form P 2 O 5 , and the resulting slag moves to the slag layer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lten bath surface. However, in the primary blowing ste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oxygen is blown at 30000 Nm3 / hr with the height of the lance 200 being 11.5 m to 12.5 m, the diameter of the burning point is enlarged, Lower. Therefore, the increase of T.Fe can reduce the phosphorus of the slag by 60% or more,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phosphorus can be improved. Here, the reason why the diameter of the burning point is enlarged and the depth of the cavity is reduced is to enlarge the surface area where the slag layer reacts with oxygen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lag layer, thereby maximizing the reaction efficiency.

한편, 이와 같이 1차 취련 완료시까지의 인[P]의 거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도 4 그래프의 (a)는 용선 중 P, (b)는 공취작업 공정 시 P, (c)는 1차 취련완료시 P을 나타낸다. 또한, △는 석회 CP 투입 및 공취작업 공정이 수행되지 않은 종래의 작업을 나타내며, □는 석회 CP 1ton 투입 후 공취 작업 실시, ○는 석회 CP 2ton 투입 후 공취 작업 실시를 나타낸다. 즉, □와 ○는 용선 장입 후 공취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공취를 한 후, 용선 중 P와 1차 취련 후 용철 P의 거동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behavior of phosphorus [P] till completion of the primary winding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t this time, P in FIG. 4 (a) of FIG. 4 shows P in the charcoal, (P) in P Represents the conventional work in which the lime CP input and the saturation work process are not performed, the letter " q " represents the execution of the afterglow operation after the lime CP 1 ton input, and the " lime CP 2 ton input " That is, □ and ○ indicate the behavior of the molten iron P and the molten iron P after the first blowing, after not having an aftertaste, but after having been awakened.

이를 살펴보면, 공취 작업후 고철과 용선을 장입하여 취련작업을 실시하면서, 1차 취련 작업 완료 후 용강 샘플링 분석 결과, 공취작업을 실시한 것과 공취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a)는 (b)에서 거의 같은 범위의 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는 슬래그 중에 함유된 T.Fe와 슬래그 중에 있는 CaO의 반응으로 (a)가 낮아진것이지만, 1차 취련 완료후 P(즉, (c))는 공취에 의해 인이 기화탈린 됨으로써 공취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a)에 비해 인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molten steel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imary refining operation and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leaning operation and the results of (a) and (b) in which the lean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are almost the same Range of < / RTI > This is because (a) is lowered due to the reaction of T. Fe contained in the slag with CaO in the slag, but after completion of the first tinning, P (i.e., (c) And the phosphorus is lower than that of (a).

한편, 본 발명은 전(前)공정에서 발생된 슬래그를 일부 잔류시킨 후, 전로를 정립 후 공취를 실시하며 이때 투입되는 부원료 석회 CP를 투입함으로써 슬래그를 고염기도 슬래그로 제어하며 공취에 의한 Fe2O3의 양이 증가하게되어 슬래그 중 산화철은 Fe2 +이온 뿐만 아니라 Fe3 +이온을 함유하므로 다성분계인 전로슬래그에서 이온비(R=Fe3+/Fe2+)를 정략적으로 표시하기보다 도 5의 그래프 및 하기의 식과 같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前) was some residual a slag generated in the process, by then establishing a converter performs gongchwi and inject additives lime CP which case input control slag by high salt airway slag and by gongchwi Fe 2 the amount of O 3 is increased, rather than show the ion ratio (R = Fe 3+ / Fe 2+ ) in the multi-component system containing Fe 3 + ion, so iron oxide in slag, as well as Fe 2 + ion converter slag in quantitative The relationship shown in the graph of FIG. 5 and the following equation can be derived.

LogR = 0.082K-1.9Log R = 0.082K-1.9

도 5를 살펴보면, 공취시 발생된 T.Fe와 석회 CP투입으로 슬래그 염기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탈린 조건인 T.Fe의 증대와 석회 CP 투입에 의한 고염기도 조업으로 용철 중 인이 제어된 것을 나타내었다. 이때, K는 슬래그 조성함수로 석회CP 투입량과 공취시 T.Fe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R은 슬래그의 이온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취 작업시 발생되는 T.Fe와 Fe의 이온비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 5는 비교예와 실시예의 작업 비교로 용철 중 인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5, by increasing the slag basicity with the addition of T. Fe and lime CP generated at the time of the awakening, it was shown that the molten iron was controlled by the increase of T.Fe, which is a tallin condition, and the high salt feeding operation by the introduction of lime CP. In this case, K is the slag composition function and shows the amount of lime CP input and the T.Fe at the time of saturation. In addition, R represents the ion ratio of slag, which represents the ion ratio of T. Fe and Fe generated in the operation of the saturation. That is, FIG. 5 shows that the molten iron content can be controlled by comparing the operations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mbodiment.

이처럼, 공취시 석회 CP 투입량에 따라 잔류 슬래그의 염기도와 철산화물의 비의 증가는, 슬래그의 염기도가 증가할수록 철산화물도 증가하므로 탈린 조건에 적합하여 인의 제어에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increase of the basicity and the ratio of iron oxide to the residual slag increases with increasing basicity of slag, and the amount of iron oxide increases as the basicity of slag increases.

한편, 도 6의 그래프는 석회 CP 투입 후 공취시, 1차취련시간에 따른 용선의 탈린율과 재화율을 나타내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graph of FIG. 6 shows the tearing rate and the firing rate of the molten iron according to the primary smelting time when the lime CP is fed after the feeding.

도 6의 (a)는 석회 CP 투입후 공취 작업 후, 1차 취련시간별로 인을 제어한 탈린율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6의 (b)는 취련시간에 따른 석회 CP 재화율을 나타낸다. 이때, 석회 CP 재화율은 산소 취입시 석회 CP가 슬래그와 반응하여 슬래그 중에 녹아, 인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6 (a) shows a talline ratio in which the phosphorus was controlled by the primary smelting time after the lime CP insertion, and FIG. 6 (b) shows the lime CP firing rate according to the smell time. At this time, the lime CP charging rate indicates that the lime CP reacts with the slag to melt phosphorus in the slag when oxygen is supplied.

이에, 석회 CP 투입후 공취함으로써 취련시간의 증가에 따라 탈린율 및 재화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alline ratio and the materialization rate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winding time by the after-feeding of the lime CP.

이후, 1차 취련이 완료되면, 전로(100)를 경동시켜 슬래그를 배재시킨다(S600). 이는 1차 취련 중 생성된 슬래그로서, 슬래그의 배재에 의해 P가 전로(100)로부터 제거되는 것이므로, 가능한 다량의 슬래그를 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전로(100)의 사용 횟수에 따라 전로(100) 내부 용적이 커지므로, 전로(100)의 사용 횟수가 증가할수록 경동 각도를 증가시켜, 슬래그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Thereafter, when the primary blowing is completed, the converter 100 is tilted to dislodge the slag (S600). This is a slag generated during the primary blowing, and since P is removed from the converter 100 by discharging the slag, it is preferable to discharge a large amount of slag as much a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ternal volume of the converter 100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verter 100,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tilting angle and remove the slag a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verter 100 increases.

2차 취련 단계(S700)에서는 1차 취련 시에 비해 캐비티의 깊이가 깊게 형성되도록 하여, 취입되는 산소가 슬래그 층을 뚫고 그 하측에 위치한 용선으로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2차 취련 단계에서, 1차 취련 시에 비해 랜스(200)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고, 산소 취입 유량을 증가시킨다. 이에, 내부 용선의 산소 증가로 종래에 비해 재화가 양호하게 일어나며, 인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이와 같은 2차 취련 시에 용선 중에 C가 취입되는 산소와 반응하여, 탈탄이 진행된다. In the secondary smelting step (S700), the depth of the cavity is formed to be deeper than that at the time of the first blowing so that the blown oxygen can penetrate the slag layer and easily reach the molten iron located at the lower side.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lance 200 is adjusted to be lower and the oxygen blowing flow rate is increased in the secondary blowing step,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first blowing. Accordingly, the increase of oxygen in the internal charcoal is favorable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the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is improved. Further, during such secondary blowing, C reacts with the oxygen to be blown in the molten iron, and decarburization proceeds.

이와 같은 2차 취련 중 취련이 75%이상 진행된 시점에서는 용선으로 돌로마이트를 투입한다(S). 이때, 돌로마이트는 500㎏단위로 나누어 2회 분할 투입하며, 노내의 후드 압을 상향시킨다. 따라서, 2차 취련 후반에 대기가 전로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슬래그 층을 경화시켜 외부공기에 흡입된 질소(N)가 용선으로 픽업(Pick up)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e time when the blowing is advanced by 75% or more during the second blowing, dolomite is put into the furnace (S). At this time, the dolomite is divided into 500 kg units twice, and the hood pressure in the furnace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tmosphere from entering the converter in the second half of the second tinning, and to prevent the nitrogen N taken into the outside air from being picked up by the molten iron by hardening the slag layer.

2차 취련이 종료되면, 생산된 용강을 레이들로 출강한다(S800). 실시예에서는 출강 중에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로마이트와 함께 진정재를 투입하한다. 여기서 진정재는 종이 펄프 재질의 재료일 수 있다. 이처럼 출강 중에 돌로마이트 및 진정재를 투입하면, 슬래그의 온도가 저하되어 슬래그가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출강 중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ary blowing is completed, the produced molten steel is introduced into the ladle (S800). In the embodiment, the sediment is fed together with the dolomite to prevent the slag from flowing out during the running. Here, the soaking material may be a material made of paper pulp. When the dolomite and the sediment are introduced during the ladle feeding, the temperature of the slag is lowered and the slag is prevented from boiling.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slag during the running.

또한, 출강 시에는 전로(100)의 사용 횟수에 따라 개방되는 복수의 슬롯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다트 헤드에 4개의 슬롯이 마련된다고 할 때, 전로(100)의 사용 횟수가 60회 이하에서는 4개의 슬롯을 사용하고, 61회 이상이면 3개의 슬롯을 사용함으로써, 유출되는 슬래그의 양을 저감한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slots that are ope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onverter 100 can be adjusted at the time of touring. For example, when four slots are provided in the dart head, four slots are used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converter 100 is used is 60 or less, and three slots are used when the number of times is 100 or more. Reduc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교예와 실시예의 조업 공정 변화를 나타내는 표가 제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 table showing changes in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구분divis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Example 소강 [P] 제어 범위Low [P] Control range ≤ 120ppm≤ 120 ppm ≤ 120ppm≤ 120 ppm 용선 중 [P]Chartered [P] 1200 ~ 1500 ppm1200 to 1500 ppm 1200 ~ 1500 ppm1200 to 1500 ppm 1차 취련 후 [P]After first blowing [P] 200 ~ 320ppm200 to 320 ppm 110 ~ 200ppm110 to 200 ppm 종점 [O] End point [O] 850 ppm850 ppm 650 ppm650 ppm 종점 [N]End point [N] 30 ~ 40 ppm30 to 40 ppm 20 ~ 25 ppm20 to 25 ppm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소강 인의 제어 범위는 120ppm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용선 중 인의 함량 또한 1200 ~ 1500ppm으로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 range of the phosphorus phosphorus in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is 120 ppm or less, and phosphorus content in the phosphorus is 1200 to 1500 ppm.

이때, 실시예의 조업에서는 용선의 1차 취련 전에 전(前) 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에 석회 CP 투입 및 공취를 실시하여 슬래그 내 Fe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1차 취련에서 인을 탈린하기 위한 탈린제 투입 전에, 인을 기화탈린 시킬 수 있다. 이에, 1차 취련 후 인은 비교예에 비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ent of Fe in the slag by introducing lime CP into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operation step before the primary firing of the molten iron and performing an aeration. Therefore, phosphorus can be vaporized before the talline agent is introduced to tannin the phosphorus in the primary blown.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hosphorus after the first blowing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또한, 취련 후에 돌로마이트를 용선에 투입하여 슬래그 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외부공기에 흡입된 질소가 용강속으로 침투되지 않게 함으로써 종점 질소의 농도가 비교예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urther, it is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end point nitrogen is low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by injecting dolomite into the molten iron after curing to harden the slag layer, thereby preventing the nitrogen introduced into the outside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molten stee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용선을 정련하는 데에 있어, 전로에 용선을 장입하기 전에 전(前) 조업 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의 50%를 잔류시킨 후, 슬래그 상에 석회 CP를 투입하고 공취함으로써 슬래그의 염기도를 제어하여 인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석회 CP를 투입하고 공취함으로써 슬래그 내의 Fe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증가된 Fe의 함량에 의해 용선의 탈린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용선의 인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fining the charcoal, after 50% of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operation is left before charging the charcoal into the converter, the lime CP To control the basicity of the slag,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phosphorus. That is, the content of Fe in the slag can be increased by introducing and liquefying the lime CP, and the phosphorus content of the molten iron can be easily controlled by increasing the talline ratio of the molten iron by the increased content of Fe.

그리고, 용선을 전로에 투입하기 전에 인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탈린 공정에서 투입되는 CaO(생석회)의 투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용선 장입 전 투입되는 석회 CP에 의해 용선 취련 공정 전에 인을 일부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석회 CP의 투입량만큼 생석회의 투입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생석회 투입에 따른 소모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amount of CaO (burnt lime) introduced in the tallin process can be reduced by forming an atmosphere in which phosphorus can be efficiently removed before charging the molten iron into the converter. In other words, the phosphorus CP can be partially removed before the molten iron is blown by the lime CP introduced before molten iron charging. By reducing the input amount of quicklime by the amount of the lime CP, the consumption cost due to the input of quicklime can be reduced.

또한, 종래에는 슬래그를 전부 배재하고 공정을 진행하더라도 잔류하는 슬래그의 양 및 염기도 조건에 의해 공정의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Further, even if the slag is entirely discharged and the process is proceeded in the past, the problem of deviation of the process due to the amount of residual slag and the basicity condition can be solved.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전로 200 : 랜스
110 : 출강구
100: converter 200: lance
110: Slots

Claims (7)

전(前) 조업공정에서 생산된 용강의 출강을 완료하는 단계;
전로를 경동시켜 상기 전(前) 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의 일부를 배제하는 단계;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 내에 CaO 함유율이 50% 이상인 석회 CP를 투입하고 공취하는 단계;
상기 전로에 본 조업공정에 이용할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상기 용선을 취련하는 단계; 및
상기 취련 후, 취련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를 배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선 정련 방법.
Completing the tapping of the molten steel produced in the previous operation;
Tilting the converter to exclude a portion of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Introducing a lime CP having a CaO content of 50% or more into the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and collecting the same;
Charging a charcoal for use in the present process to the converter;
Culling said charcoal; And
And discharging the slag produced by the blowing after said blowing.
삭제delete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공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의 양은 상기 전(前) 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의 최대 50% 이내의 슬래그가 잔류하는 용선 정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mount of the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in the step of collecting remains within a maximum of 50% of the slag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공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로 내 슬래그의 염기도를 4.5이상 내지 5.5이하로 조절하는 용선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ag in the converter to not less than 4.5 to not more than 5.5 in the step of adding.
청구항 3 에 있어서,
부원료는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양의 10 내지 15%의 양을 투입하는 용선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dditive feeds an amount of 10 to 15% of the amount of slag remaining in the converter.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용선을 취련하는 단계는 1차 취련 과정 및 2차 취련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1차 취련과 상기 2차 취련은 시간차를 두고 실시하는 용선 정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blowing the charcoal includes a primary chopping process and a secondary chopping process, wherein the primary chopping and the secondary chopping are performed with a time difference.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전로에 돌로마이트를 투입하고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상기 전로 내벽을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용선 정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harging dolomite to the converter and blowing in an inert gas to coat the inner wall of the converter is carried out prior to charging the charcoal.
KR20130074515A 2013-06-27 2013-06-27 Method of refinig molten steel KR101485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515A KR101485530B1 (en) 2013-06-27 2013-06-27 Method of refinig molten st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515A KR101485530B1 (en) 2013-06-27 2013-06-27 Method of refinig molten st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79A KR20150001379A (en) 2015-01-06
KR101485530B1 true KR101485530B1 (en) 2015-01-28

Family

ID=5247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515A KR101485530B1 (en) 2013-06-27 2013-06-27 Method of refinig molten st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53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947A (en) * 1995-08-21 1997-03-29 니시무로 다이조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KR19980075702A (en) * 1997-03-31 1998-11-16 김종진 How to remove slag and furnace now
KR20060043998A (en)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포스코 Fluorite-less refining methed in converter
KR20130057660A (en)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포스코 Converter refining method and device of molten steel using residual sla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947A (en) * 1995-08-21 1997-03-29 니시무로 다이조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KR19980075702A (en) * 1997-03-31 1998-11-16 김종진 How to remove slag and furnace now
KR20060043998A (en)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포스코 Fluorite-less refining methed in converter
KR20130057660A (en)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포스코 Converter refining method and device of molten steel using residual sl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79A (en)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023B1 (en) Method for refining extra low phosphorous steel in converter
CN105603156B (en) The production method of super-low sulfur IF steel
CN105525055B (en) A kind of control method of converter less-slag melting carbon period splash
CN111670258B (en) Method for dephosphorizing molten iron
KR20170043868A (en) The converter operation method
KR20000042510A (en) Method for refining electric furnace
KR102189097B1 (en) Pre-treatment method of molten ir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ultra-low-tough steel
JP2008063645A (en) Steelmaking method
KR101485530B1 (en) Method of refinig molten steel
KR101736586B1 (en) Dephosphorizing method for molten steel in electric furnace
KR101366573B1 (en) Method of refining molten steel
JP2002220615A (en) Converter steelmaking method
KR101665069B1 (en) Method of refining molten steel
KR20000042514A (en) Method of refining electric furnace to upturn terminal carbon
KR101526447B1 (en) Method of refining molten steel
KR20010047206A (en) A Method For Refining Using High Si Contained Hot Metal
KR100349160B1 (en) Converter refining method for manufacturing low carbon steel
KR100423452B1 (en) A method for desulfurizing hot metal in converter
JP2000129329A (en) Method for dephosphorizing molten iron
KR100554139B1 (en) flux having low melting points for BOF refining using low Manganese hot metal and the BOF refining method
JP4411934B2 (en) Method for producing low phosphorus hot metal
KR101091957B1 (en) Fluorite-less refining Methed In Converter
JP7036993B2 (en) Method for producing low carbon ferromanganese
JP5949627B2 (en) Method of refining hot metal in converter
KR101008074B1 (en) Method for Refining Return Molten Steel Mixed Molten Pig Iron in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