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846B1 -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846B1
KR101484846B1 KR20130052257A KR20130052257A KR101484846B1 KR 101484846 B1 KR101484846 B1 KR 101484846B1 KR 20130052257 A KR20130052257 A KR 20130052257A KR 20130052257 A KR20130052257 A KR 20130052257A KR 101484846 B1 KR101484846 B1 KR 10148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ire
light emitting
electrode
light
emit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922A (ko
Inventor
유-초우 예
Original Assignee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30052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84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복수의 제1 전극와이어, 복수의 제2 전극와이어 및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며, 그 중 제1 전극와이어는 기판에 설치되고, 제2 전극와이어는 제1 전극와이어 상부에 설치되어 제1 전극와이어와 교차 설치되며, 발광층은 제1 전극와이어와 제2 전극와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전극와이어와 제2 전극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극세 금속 도선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양호한 투광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높은 전도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각종 가요성 디스플레이에 실시하기에 유리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극와이어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종래 기술 중 흔히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에는 예를 들어 액정(LCD)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이 있는데, 전압 또는 전기장을 공급하여 구동해야 하는 이외에, 화소가 미리 설정된 그레이스케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각 화소들마다 그것에 배속되는 박막트랜지스터 스위치가 추가될 수 있다. 그런데, 박막트랜지스터를 추가한 디스플레이는 그레이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는 있으나, 또한 이 때문에 기판에는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약간의 영역을 별도로 제공해야 하며,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 자체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광선을 차폐할 수 있어,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진일보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극세 금속 전극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판, 복수의 제1 전극와이어, 복수의 제2 전극와이어 및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며, 그 중 제1 전극와이어는 기판에 설치되고, 제2 전극와이어는 제1 전극와이어 상방에 설치되면서 제1 전극와이어와 교차 설치되며, 발광층은 제1 전극와이어와 제2 전극와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제1 전극와이어와 제2 전극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을 형성하는 재료는 플라스틱, 유리, 실리콘 기판 또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와이어를 형성하는 재료는 구리, 금, 은, 크롬, 니켈, 아연, 알루미늄, 주석, 티타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및 그의 합금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의 하나를 포함하며, 또한 제2 전극와이어를 형성하는 재료는 투명 도전성 재료이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와이어 및 제2 전극와이어를 형성하는 재료는 구리, 금, 은, 크롬, 니켈, 아연, 알루미늄, 주석, 티타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및 그의 합금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의 하나를 포함하며,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되는 개구율은 95%와 99.5%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2 전극와이어는 그 하부의 발광층을 국부적으로만 복개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일렉트로크로믹 재료(Electrochromic; EC), 유기발광재료 또는 무기발광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발광층은 적색광, 녹색광 또는 청색광 중의 하나를 담당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발광층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또는 황색광 중의 하나를 담당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2 전극와이어에 형성되는 다수의 컬러필터를 더 포함하며, 이 때 발광층은 백색광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층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2 전극와이어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또한 보호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질화규소 화합물 또는 고분자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과 제2 전극와이어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절연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산화규소 화합물 또는 고분자 재료이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은 다수의 제2 전극와이어에 의해 복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전극와이어 및 제2 전극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구동회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배치를 통하여,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구동회로, 예를 들어 칩으로 박막트랜지스터를 대체하여 제1 전극와이어와 제2 전극와이어의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각각의 발광층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A-3D는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층을 각기 다른 형상으로 배열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에 다수의 컬러필터를 더 포함하는 입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에 다수의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채택한 기술, 방법 및 효과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목적, 특징과 특징을 심도 있고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리라 믿으며, 단 첨부된 도면과 명세서는 단지 참고 및 설명용으로만 제공되는 것일 뿐,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인 일종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결코 본 발명이 아래와 같이 설명되는 어떠한 특정 환경, 응용 또는 특수한 방식으로만 실시되어야 하는 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목적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입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11), 복수의 제1 전극와이어(13), 복수의 제2 전극와이어(12), 복수의 발광층(14) 및 외부구동회로(15)를 포함하며, 그 중 제1 전극와이어(13)는 기판(11)에 설치되고, 제2 전극와이어(12)는 제1 전극와이어(13) 상부에 설치되면서 제1 전극와이어(13)와 교차 설치되며, 발광층(14)은 제1 전극와이어(13)와 제2 전극와이어(12)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전극와이어(13)와 제2 전극와이어(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부구동회로(15)는 외부로부터 제1 전극와이어(13)와 제2 전극와이어(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외부구동회로(15)는 기판(11)에 장착되는 칩일 수 있으나, 단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 작동 시, 제1 전극와이어(13) 및 제2 전극와이어(12)는 발광층(14)이 발광할 수 있도록 전압을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외부구동회로(15)는 제1 전극와이어(13) 및 제2 전극와이어(12)의 전압을 조정하여 발광층(14)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전극와이어(13), 제2 전극와이어(12)와 발광층(14)의 수량 관계 및 배치 방식은 모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전극와이어(13) 및 하나의 제2 전극와이어(12)를 하나의 발광층(14)에 배치할 수도 있고, 다수의 제1 전극와이어(13) 및 하나의 제2 전극와이어(12)를 하나의 발광층(14)에 배치할 수도 있으며, 또한 하나의 제1 전극와이어(13) 및 다수의 제2 전극와이어(12)를 하나의 발광층(14)에 배치할 수도 있고, 심지어 다수의 제1 전극와이어(13) 및 다수의 제2 전극와이어(12)를 하나의 발광층(14)에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전극와이어(12)는 발광층(14)의 상층에 위치하며, 제2 전극와이어(12)가 발광층(14)이 발생시키는 광선을 차폐하는 정도를 저하시켜 발광 휘도를 높이도록 제2 전극와이어(12)는 발광층(14)을 국부적으로만 복개한다는 점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일한 발광층(14)은 한 가지 색상의 빛, 예를 들어 적색광, 녹색광 또는 청색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발광층(14)은 황색광을 발생시킴으로써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 영역을 높여 화면이 선명한 색상을 갖게 하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 기판(11)의 재료는 플라스틱, 유리, 실리콘 기판 또는 가요성 고분자재료,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14)의 재료는 일렉트로크로믹 재료(Electrochromic; EC), 유기발광재료 또는 무기발광재료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은 단지 참고 및 설명용일 뿐, 사용되는 재료는 모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극와이어(13)의 재료는 구리, 금, 은, 크롬, 니켈, 아연, 알루미늄, 주석, 티타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및 그의 합금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일반 금속 전극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전극와이어(12)에 배합되는 재료는 투명 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인듐주석산화물(ITO) 및 인듐아연산화물(IZO)이다. 제2 전극와이어(12)의 선폭은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투광율을 제고시키도록 10미크론(㎛)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극와이어(13) 및 제2 전극와이어(12)의 재료는 구리, 금, 은, 크롬, 니켈, 아연, 알루미늄, 주석, 티타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및 그의 합금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일반 금속 전극 재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전극와이어(12)의 선폭은 10미크론(㎛)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것이 바람직하나, 단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치에 따라,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되는 개구율은 95%와 99.5%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배치 이외에, 보호층(16) 및 절연층(17)을 더 포함하며, 그 중 보호층(16)은 제1 전극와이어(13), 제2 전극와이어(12)와 발광층(14)에 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제2 전극와이어(12)에 형성된다. 따라서 보호층(16)을 형성하는 재료는 질화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수성 재질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나,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연층(17)은 제1 전극와이어(13)와 제2 전극와이어(12)에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판(11)과 제2 전극와이어(12)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절연층(16)을 형성하는 재료는 산화규소 화합물 또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재질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나,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3A-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층(14)을 각기 다른 형상으로 배열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층(14)은 필요에 따라 다르며 한정된 형상이 없다. 예를 들면,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일 수 있으며, 도 3A-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 배열될 수 있으나,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컬러필터(18)를 더 포함한다. 컬러필터(18)는 제2 전극와이어(12)에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14)의 바로 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층(14)은 백색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컬러필터(18)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는 광선의 색상이 결정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은 전극와이어로 구동되어 박막트랜지스터(TFT)를 사용할 필요 없이 즉시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발광층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전극와이어는 극세 금속 도선을 사용하여 발광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투광율에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은 전도성을 지닌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와이어의 금속 연성을 운용하여 가요성 기판에 결합시킬 수 있어 각종 가요성 디스플레이에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특허출원범위에 따라 실시되는 균등한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1: 기판 12: 제2 전극와이어
13: 제1 전극와이어 14: 발광층
15: 외부구동회로 16: 보호층
17: 절연층 18: 컬러필터

Claims (19)

  1.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와이어;
    상기 제1 전극와이어들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극와이어들과 교차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와이어;
    상기 제2 전극와이어에 형성되는 보호층; 및,
    상기 제1 전극와이어와 상기 제2 전극와이어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질화규소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제1 전극와이어와 상기 제2 전극와이어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제1 전극와이어 및 상기 제2 전극와이어로부터 전압을 제공받음으로써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와이어의 선폭은 10미크론(㎛)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와이어를 형성하는 재료는 구리, 금, 은, 크롬, 니켈, 아연, 알루미늄, 주석, 티타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및 그의 합금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의 하나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 전극와이어를 형성하는 재료는 투명 도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와이어의 선폭은 10미크론(㎛)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와이어 및 제2 전극와이어를 형성하는 재료는 구리, 금, 은, 크롬, 니켈, 아연, 알루미늄, 주석, 티타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및 그의 합금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와이어는 상기 발광층을 국부적으로 복개하며, 또한 상기 제2 전극와이어 사이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의 개구율은 95%와 99.5%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형성하는 재료는 플라스틱, 유리, 실리콘 기판 또는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일렉트로크로믹 재료(Electrochromic; EC), 유기발광재료 또는 무기발광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발광층은 적색광, 녹색광 또는 청색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발광층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또는 황색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발광층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와이어에 형성되는 다수의 컬러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발광층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4. 삭제
  15. 삭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기판과 상기 제2 전극와이어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산화규소 화합물 또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8.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이 다수의 제2 전극와이어에 의해 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와이어 및 상기 제2 전극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구동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20130052257A 2013-05-09 2013-05-09 디스플레이 패널 KR101484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257A KR101484846B1 (ko) 2013-05-09 2013-05-09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257A KR101484846B1 (ko) 2013-05-09 2013-05-09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922A KR20140132922A (ko) 2014-11-19
KR101484846B1 true KR101484846B1 (ko) 2015-01-20

Family

ID=5245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2257A KR101484846B1 (ko) 2013-05-09 2013-05-09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8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5221A (ja) * 2001-03-30 2003-01-08 Au Optronics Corp Tft式液晶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形成方法
WO2006103863A1 (ja) * 2005-03-25 2006-10-05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多機能有機ダイオード及びそのマトリクスパネル
JP2013037138A (ja) * 2011-08-05 2013-02-21 Panasonic Corp 自発光型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5221A (ja) * 2001-03-30 2003-01-08 Au Optronics Corp Tft式液晶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形成方法
WO2006103863A1 (ja) * 2005-03-25 2006-10-05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多機能有機ダイオード及びそのマトリクスパネル
JP2013037138A (ja) * 2011-08-05 2013-02-21 Panasonic Corp 自発光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922A (ko)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008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KR101983888B1 (ko) 투명 oled 부품 및 그 부품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EP301286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356077B2 (en)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US20080204619A1 (en) Display device
CN106501998B (zh) 背光源、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2440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7762B1 (ko) 표시 장치
KR2018007775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62279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US985764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20130131693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구비한 투명 표시장치
US2018008307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isplay panel
US9678378B2 (en) Display device
JP6938323B2 (ja) 表示装置
US9024336B2 (en) Display panel driven by electrode wires
CN116009325B (zh) 显示面板
KR10216686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484846B1 (ko)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8471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010950B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8995047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converter therefor
TWI532153B (zh) 顯示面板
JP2015200765A (ja) 発光素子表示装置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