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693B1 - A bottle cap for drink intake - Google Patents

A bottle cap for drink int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693B1
KR101484693B1 KR20130075263A KR20130075263A KR101484693B1 KR 101484693 B1 KR101484693 B1 KR 101484693B1 KR 20130075263 A KR20130075263 A KR 20130075263A KR 20130075263 A KR20130075263 A KR 20130075263A KR 101484693 B1 KR101484693 B1 KR 10148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lid
outlet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2024A (en
Inventor
이호원
Original Assignee
이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원 filed Critical 이호원
Priority to KR2013007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693B1/en
Publication of KR2015000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를 용이하게 취수하기 위해 용기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배출구에 고정되고, 중앙이 통공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출부; 상기 유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음료 외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 및 상기 유출부 및 거름망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내외부 공기가 공유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유입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에 따르면,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출부에 의해 과실을 1차적으로 거를 수 있고, 과실 외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거름망을 통해 2차적으로 거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beverage intak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d for a beverage intake container which is coupled to an outlet of a container for easily taking a beverage, the lid being fixed to an outlet of the container, Fixed government; An outlet disposed at a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A filter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utlet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everage; And an air inflow portion formed through the outflow portion and the filtering net, and configured to share air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beverage contain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uit can be primarily frozen by the outflow portion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foreign matter generated in addition to the fruit can be secondarily removed through the sieve.

Description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A BOTTLE CAP FOR DRINK INTAKE}{A BOTTLE CAP FOR DRINK INTAKE}

본 발명은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출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홀을 통해 음료가 배출되므로 용기 내부의 과실을 거를 수 있고, 한번에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내외부 공기를 공유시켜주는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beverage intak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d for a beverage intake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n outlet, And an air inlet portion for shar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of the container in order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일반적으로 과실주는 용기에 술과 과실을 함께 넣어 담금으로써, 과실의 맛이나 빛깔 같은 성질이 술에 우러나게 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술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방식의 과실주 제조에 주로 항아리를 사용하였다. 즉, 큰 항아리에 과실주를 담근 후, 이를 다시 국자로 떠서 주전자에 옮겨 따라 마시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Generally, fruit wine is made by putting alcohol and fruit together in a container and dipping it in a way that makes the flavor and color of the fruit taste like alcohol. Traditionally, pots were used mainly for the manufacture of fruit flour in this manner. In other words, after immersing the fruit in a large jar, it was mostly used as a scoop and moved to the kettle.

하지만, 큰 항아리에 과실주를 담그게 될 경우 용량면에서 제한을 두기 힘들었을 뿐 아니라 사람들이 손쉽게 구매하여 먹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적정 용량의 용기에 과실주를 담궈서 구매자들에게 판매를 하고 있다.However, it was not easy to limit the amount of fruit to be stored in a large pot, and it was difficult for people to buy it easily. So recently, we have been selling fruit juices to buyers by putting them in containers of appropriate capacity.

예를 들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8640호의 과실주 용기용 마개의 과실주 인출장치는 과실주 용기에 결합되어 과실은 인출되지 않고, 인출공을 통해 주류만 인출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For example, in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78640, the fruit wine extracting device of the wine bottle stopper is combined with the fruit wine container so that the fruits are not drawn out but only the main drink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drawout hole.

하지만 해당 고안은 하단부의 인출공에서 주류가 나오고, 상단부의 인출공에서 공기가 유입된다고 하였으나, 이는 과실주를 천천히 인출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많은 양의 과실주를 인출하게 될 경우 인출공이 모두 막히게 되어 공기의 유입이 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양의 과실주가 갑자기 쏟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said that the main idea is that the main stream flows out from the bottom drawer and the air flows from the top drawer. When a large amount of fruit wine is to be drawn out, all of the drawing balls are clogged, and air is not introduced, so that a large amount of fruit wine is suddenly poured out.

또한, 인출부가 상하부에 각각 한 위치에만 형성되어 과실주를 따르게 될 때 과실주 용기의 방향을 신경써서 따라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주류에 과실을 담궈 놓을 경우 과실을 제외한 이물질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구조가 없어 목 넘김에 문제가 발생되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drawer is formed at only one position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follows the fruit wi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rection of the fruit wine container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f fruits are dipped in the main alcohol, foreign materials other than fruits may be generated.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neck turn because there was no structure to hang.

(특허 00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8640호 (2005.03.04.자 등록)(Patent 001) Utility Model No. 20-0378640 registered in Korea Registered on March 4, 20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출부에 의해 과실을 1차적으로 거를 수 있고, 과실 외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거름망을 통해 2차적으로 거를 수 있는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fruit from a fruit by an outlet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provide a lid for a beverages receipt receptacle that can be secondarily lifted through the lid.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용기의 내외부 공기가 공유되도록 공기유입부가 형성되어 용기 내부로 산소가 공급되지 않음에 따라 많은 양의 음료가 한번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하는 만큼의 음료만 배출할 수 있는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prevents an excessive amount of beverage from being discharged at a time as oxygen is not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y forming an air inflow portion so as to share air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to provide a lid for drinking beverage containers.

본 발명의 제3목적은, 공기유입부가 이중 빨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장하여 용기를 기울이지 않아도 음료를 취수할 수 있는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d for a beverage intake container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double straw so that the air inflow portion can be extend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and can receive the beverage without tilting the contain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음료를 용이하게 취수하기 위해 용기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배출구에 고정되고, 중앙이 통공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출부; 상기 유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음료 외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 및 상기 유출부 및 거름망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내외부 공기가 공유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유입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d of a beverage intake container which is coupled to an outlet of a container for easily taking a beverage, the lid being fixed to an outlet of the container, A fixing part in which a central hole is formed; An outlet disposed at a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A filter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utlet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everage; And an air inflow portion formed through the outflow portion and the filtering net, and configured to share air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외주연을 따라 하부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배출구 외부에 돌리는 형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a screw is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유출부는 과실에 의해 상기 관통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portion is protruded inward of the container to prevent the through-hole from being clogged by the fruit.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과실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hol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iameter such that the fruit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장되어 음료를 취수할 수 있도록 이중 빨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nflow portion is formed in a double straw shape so that it can be extend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and can receive the beverage.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에 따르면,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출부에 의해 과실을 1차적으로 거를 수 있고, 과실 외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거름망을 통해 2차적으로 거를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contain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uit can be primarily frozen by the outflow portion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foreign matter generated in addition to the fruit can be secondarily removed through the sieve.

또한, 용기의 내외부 공기가 공유되도록 공기유입부가 형성되어 용기 내부로 산소가 공급되지 않음에 따라 많은 양의 음료가 한번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하는 만큼의 음료만 배출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air inflow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air of the container are shared, oxygen is not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o that a large amount of beverage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at once and only a desired amount of beverage can be discharged.

또한, 공기유입부가 이중 빨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장하여 용기를 기울이지 않아도 음료를 취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inflow portion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aw shape so that the beverage can be withdrawn without extend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user's n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의 유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의 공기유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실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of a beverage intak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of Fig. 1 is coupled to the containe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let portion of the lid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lid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of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inflow portion of the lid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of FIG. 1,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use of the lid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of Fig. 1;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lid of a beverage intak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of a beverage intak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lid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of FIG. 1 is coupled to the container.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10)의 입구에 고정되어 음료를 용이하게 취수하기 위해 결합되는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에 관한 것이다.1 to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intake container lid 100 that is fixed to an inlet of a container 10 and is coupled to facilitate the intake of beverage.

상기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은 고정부(110), 유출부(120) 거름망(130) 및 공기유입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은 유출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홀을 통해 음료가 배출되므로 용기 내부의 과실을 거를 수 있고, 용기의 내외부 공기를 공유시켜주는 공기유입부가 형성되어 한번에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lid 100 includes a fixing portion 110, an outlet portion 120, a filtering net 130, and an air inlet portion 140. Since the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outflow portion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lid 100, an air inflow portion for allow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to share the air can be formed. A large amount of beverag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용기(10)의 배출구(11)에 고정되고, 중앙이 통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10)는 외주연을 따라 하부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11)의 내부에 스크류(112)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10)의 배출구 외부에 돌리는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110 is fixed to the discharge port 11 of the container 10, and is formed with a central hole. 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11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a screw 112 is formed inside the extending portion 111 an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outlet of the container 10 .

또한, 상기 고정부(110)가 용기(10)에 결합되는 방식은 용기(10)의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anner in which the fixing unit 1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10 can be modified in any wa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ntainer 10. [

상기 유출부(120)는 상기 고정부(110)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용기(10)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출부(120)는 상기 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flow portion 12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11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are formed to discharge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10. [ At this time, the outflow portion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ortion 110.

또한, 상기 관통홀(121)은 상기 용기(10) 내부에 위치하는 과실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지름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121)의 지름은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121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such that the fruit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10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121 may be variously formed.

상기 거름망(130)은 상기 유출부(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음료 외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러한 상기 거름망(130)은 상기 유출부(120)에 1차적으로 걸러진 음료 내부의 이물질을 2차적으로 거를 수 있다.The sieve 130 is formed on the outlet 12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other than the beverage. The sieve 130 may secondar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beverage primarily filtered by the outflow portion 120.

또한, 상기 거름망(130)은 일반적으로 찌꺼기나 건더기가 있는 액체를 걸러내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creen 130 is generally formed in a mesh shape to filter out liquids such as debris and moss.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121)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단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에 의해 상기 관통홀(121)을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지는 음료 내부의 이물질을 2차적으로 거를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거름망(130)은 음료를 3차적으로 거르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steps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through-hole 121.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beverage primarily filter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can be secondarily removed by the step, and as a result, the filtering net 130 can be used as a means for tertiaryly filtering the beverage .

상기 공기유입부(140)는 상기 유출부(120) 및 거름망(13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용기(10)의 내외부 공기가 공유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공기유입부(140)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음료를 배출할 때 상기 용기(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한번에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ir inlet 140 is formed through the outlet 120 and the sieve 130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air of the container 10 is shared. The air inlet 140 prevents air from flowing into the container 10 when the beverage i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0, thereby preventing a large amount of beverage from being discharged at a time.

또한, 상기 공기유입부(140)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연장하여 음료를 취수할 수 있도록 이중 빨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 상기 용기(10)를 기울이지 않고, 상기 용기(10) 내부의 음료를 취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inlet 140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aw shape so as to extend the drink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user. With this shape,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10 can be collected without tilting the container 10.

도 3은 도 1의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의 유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의 유출부(12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let portion of the lid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of Fig. 1;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flow portion 120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lid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유출부(120)는 과실에 의해 상기 관통홀(12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1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유출부(120)는 상기 용기(10)의 내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돌출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관통홀(121)의 길이가 달라지는 형상이고, 용기(10) 내부의 과실이 차례로 정렬되어 음료가 배출되지 않도록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outflow portion 120 may protrude inward of the container 10 to prevent the through hole 121 from being clogged by the fruit. The outflow portion 120 having such a shape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ength of each of the through holes 121 is varied by being inclined inwardly of the container 10 and the fruits inside the container 10 are aligned in ord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beverage is clogged so as not to be discharged.

상기 유출부(120)의 형상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과실에 의해 상기 유출부(120)의 관통홀(12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The shape of the outflow portion 120 can be modified as long as it can prevent the through hole 121 of the outflow portion 120 from being clogged by the fruit inside the container 10.

도 4는 도 1의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의 고정부(11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of the lid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of Fig. 1. Fig.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ortion 110 of the lid 100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의 고정부(110)는 상기 용기(10)의 배출구(11)에 용이하게 고정되기 위해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중 한가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fixing part 110 of the lid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o easily fix the lid 100 to the outlet 11 of the container 10. In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고정부(110)는 외주연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고, 내부에 스크류(112)가 형성되어 돌리는 형상으로 상기 용기(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의 크기는 상기 용기(10)의 배출구(11)의 크기에 따라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110 extends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10 in a shape in which a screw 112 is formed therein.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lid 100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11 of the container 10.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10)가 용기(10)의 배출구(1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110)와 용기(10) 사이의 벌어짐 등에 의해 음료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xing portion 110 is firmly coupled to the outlet 11 of the container 10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flowing due to a gap between the fixing portion 110 and the container 10.

도 5는 도 1의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의 공기유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유입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inflow portion of the lid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of Fig. 1;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inflow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의 공기유입부(140)는 상기 용기(10)의 내외부 공기가 서로 공유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많은 양의 음료가 한꺼번에 쏟아지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air inlet portion 140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lid 100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air of the container 10 are shared with each other so that air does not flow into the container 10 and a large amount of beverage is poured This prevents the problem from being overcome.

상기 공기유입부(14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장되어 음료를 취수할 수 있도록 이중 빨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공기유입부(140)는 상기 용기(10)를 기울이지 않아도 음료를 취수할 수 있고, 상기 용기(10) 내부의 과실 외에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The air inlet 140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aw shape so that it can be extend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and can receive the beverage. The air inlet 140 can be used when the beverage can be taken without tilting the container 10 and foreign substances are not generated in addition to the fruit inside the container 10.

도 6은 도 1의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실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의 사용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use of the lid of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of Fig. 1; Fig.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using a lid of a beverage intake contai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최초 상기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은 일반적으로 과실 등을 담그는 용기(10)의 배출구(11)에 결합된다. 이러한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은 상기 용기(10)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의 과실 등을 걸러 음료만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한다.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lid 100 is initially joined to the outlet 11 of the container 10 in which the fruit or the like is immersed.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lid 10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10 so as to filter fruit or the like inside the container 10 so that only beverage can be taken.

상기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이 결합된 용기(10)는 내부의 음료를 배출할 때 상기 고정부(110)의 중앙에 위치되고, 다수개의 관통홀(121)이 형성되는 유출부(120)에 의해 1차적으로 과실을 거르게 된다. 이때, 상기 유출부(120) 및 거름망(13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입부(140)에 의해 상기 용기(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한꺼번에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container 10 to which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lid 100 is coupled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110 when the beverage is discharg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 The fruit is primarily filtered. At this tim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 by the air inflow part 140 formed through the outflow part 120 and the sieve 130, so that a large amount of beverage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at a time .

상기 유출부(120)에 의해 1차적으로 과실을 거르게 된 음료는 상기 유출부(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거름망(130)에 의해 2차적으로 음료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과실을 담근 상태에서 일정 기간이 지날 경우 과실에서 일부 잔해물이 나오는 등의 현상에 의해 음료에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구조이다.The beverage primarily filtered by the outflow part 120 is secondarily filtered by foreign objects contained in the beverage by the sieve 130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outflow part 120. Such a structure is generally a structure in which a foreign matter is generated in a beverage due to a phenomenon that some debris comes out from a fruit when a fruit is dipp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에 따라, 상기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100)은 다수개의 관통홀(121)이 형성되는 상기 유출부(120)에 의해 과실을 1차적으로 거를 수 있고, 과실 외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상기 거름망(130)을 통해 2차적으로 거를 수 있기 때문에 목 넘김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lid 100 is capable of primarily dropping the fruit by the outflow portion 120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are formed, 130), so it is effective to turn around the tre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hat you can do it.

10 : 용기 11 : 배출구
100 :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
110 : 고정부 111 : 연장부
112 : 스크류
120 : 유출부 121 : 관통홀
130 : 거름망 140 : 공기유입부
10: container 11: outlet
100: Beverage container lid
110: Fixing portion 111: Extension portion
112: Screw
120: Outflow portion 121: Through hole
130: filter 140: air inlet

Claims (5)

음료를 용이하게 취수하기 위해 용기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배출구(11)에 고정되고, 중앙이 통공형성되는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용기(10)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과실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다수개의 관통홀(121)이 형성되며, 과실에 의해 상기 관통홀(12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1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유출부(120);
상기 유출부(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음료 외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130); 및
상기 유출부(120) 및 거름망(13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용기(10)의 내외부 공기가 공유되도록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음료를 취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유입부(140);
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
A lid of a beverage-receiving container, which is coupled to an outlet of the container for easily taking a beverage,
A fixing part 110 fixed to the discharge port 11 of the container 10 and having a center hol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110 and have a diameter such that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10 is discharged and the fruit located therein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outlet 120 protruding inwardly of the container 10 to prevent the through-hole 121 from being clogged by the fruit;
(130)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utlet (120)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from the beverage; And
An air inlet 140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outlet 120 and the sieve 130 and configured to share air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10 and to receive a beverage if necessary;
And a lid for receiving the beverage intake contai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는
외주연을 따라 하부로 연장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11)의 내부에 스크류(112)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10)의 배출구 외부에 돌리는 형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110)
Characterized in that an extension part (111) is formed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a screw (112) is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11) so as to be pivoted outside the outlet of the container (10) The lid of the drinking vess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30075263A 2013-06-28 2013-06-28 A bottle cap for drink intake KR101484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263A KR101484693B1 (en) 2013-06-28 2013-06-28 A bottle cap for drink int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263A KR101484693B1 (en) 2013-06-28 2013-06-28 A bottle cap for drink int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24A KR20150002024A (en) 2015-01-07
KR101484693B1 true KR101484693B1 (en) 2015-01-20

Family

ID=5247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5263A KR101484693B1 (en) 2013-06-28 2013-06-28 A bottle cap for drink int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6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4033A (en) * 2020-01-10 2021-10-20 Pure Hydration Ip Llc A closure for a multi-use drinks bott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459A (en) * 2001-09-29 2001-11-09 한상관 Bottle caps and stoppers
KR200250733Y1 (en) * 2001-07-27 2001-11-22 주식회사 비젼테크 air inlet structure for bottle
KR101180814B1 (en) * 2012-06-15 2012-09-07 윤성호 Bottle container for dipping food and dipping food used Bottle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733Y1 (en) * 2001-07-27 2001-11-22 주식회사 비젼테크 air inlet structure for bottle
KR20010099459A (en) * 2001-09-29 2001-11-09 한상관 Bottle caps and stoppers
KR101180814B1 (en) * 2012-06-15 2012-09-07 윤성호 Bottle container for dipping food and dipping food used Bottl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24A (en)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0327C2 (en) Glass for beverage with internal decanting, filtering, mixing and aerating element
US10206411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rewed drink
US20150366395A1 (en)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US9215953B2 (en) Sealed filtering and mixing jar
US20150329255A1 (en) Jar Lid Including an Accessory
US20130118358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US10420361B2 (en) Citrus press drinking vessel
KR20150074521A (en)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US20140291236A1 (en) Multifunction Strainer and Bowl
JP3200071U (en) Dripper
KR101484693B1 (en) A bottle cap for drink intake
US20180042411A1 (en)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US2178500A (en) Shaker
JP2015208668A (en) teapot
KR20180106647A (en) Container for ripening food
KR20180014448A (en) A cap with a tea filter
KR100851541B1 (en) Apparatus for instantly producing mixed liquor
CN106263929B (en) A kind of separable teapot of tealeaves millet paste
JP5108245B2 (en) teapot
US201702312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using coffee beans with an aromatic flavor
JP2016054893A (en) Beer pitcher and method for providing beer-based beverage using the same
KR200261750Y1 (en) Cap of a vessel
CN208425840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a set of cups
TWM555836U (en) Water bottle
KR100806757B1 (en) A wide mouth bottle having auxiliary hole and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