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401B1 -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401B1
KR101484401B1 KR1020130088287A KR20130088287A KR101484401B1 KR 101484401 B1 KR101484401 B1 KR 101484401B1 KR 1020130088287 A KR1020130088287 A KR 1020130088287A KR 20130088287 A KR20130088287 A KR 20130088287A KR 101484401 B1 KR101484401 B1 KR 10148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rial
communication
serial networ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박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1020130088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37Interconnected r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시리얼(serial) 네트워크 및 제2 시리얼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이중 링 네트워크(dual-ring network)에 위치하는 노드의 통신장치는, 상기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각각 인터페이싱되어 다른 노드의 통신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각각 인터페이싱되고,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지하고, 각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싱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싱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하는 채널 선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SERIAL COMMUNICATION APPARATUS FOR DUAL RING NETWORK NODE}
본 발명은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RS-422나 RS-485 통신방식으로 구현되는 산업용 통신 네트워크를 이중 링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상기 이중 링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통신접속장치에 시리얼 방식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각 네트워크 별로 구비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 자원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하면서 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는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통신에는 시리얼 통신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S-232C는 전송 속도가 느리고 전송 거리가 짧으며 잡음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RS-422나 RS-485 등과 같은 직렬 통신 방식이 나타났으며, 전송 거리 등 여러 면에서 RS-232C보다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먼저, RS-232는 IBM 호환 PC 등에서 사용되는 시리얼 연결 인터페이스이다. RS-232는 컴퓨터를 센서 또는 모뎀에 연결하거나 계측기 컨트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RS-232 하드웨어는 최장 15m까지 통신이 가능하며, PC 시리얼 포트와 디바이스간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로만 사용이 국한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추가의 RS-232 시리얼 포트가 요구되기도 한다. RS-422는 애플사의 매킨토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시리얼 연결 인터페이스이다. RS-232가 접지 참조된 불균형(unbalanced) 신호를 채택하고 있는 것과 달리 RS-422는 차동 전기 신호를 사용한다. 차동 전송 방법은 신호 송수신시 2개의 라인을 각각 사용하며 따라서 RS232에 비해 소음이 적고 장거리 통신을 보장할 수 있다. 소음 제거 및 확장된 통신 거리는 산업 어플리케이션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RS-485는 디바이스 수를 10개에서 32개로 확대하고, 최대 부하에서 적절한 신호 전압이 있음을 확인하는 전자 특성을 정의하기 때문에 RS-422 보다 강화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향상된 멀티드롭(multidrop) 기능을 통해 단일-RS485 시리얼 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 PC에 네트워크 연결된 여러 분산 디바이스가 필요하거나 데이터 수집, HMI 또는 기타 작업을 위해 컨트롤러를 필요로 하는 산업용 어플리케이션에 있어 소음 제거 및 멀티드롭(multidrop) 기능을 갖춘 RS-485는 최상의 선택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RS-422나 RS-485 등의 시리얼 통신방식은 오래 전부터 산업용이나 기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편적인 통신방식이다.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고 저렴하며, 저렴한 비용 대비 통신회선에 운용 가능한 장치가 많이 구성될 수 있어 그 효율이 높고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송 데이터가 변질되거나 손실되는 부분에 대한 대응책이 미비하고, 전송 데이터가 쉽게 파악될 수 있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종래의 시리얼 통신장치는 단순제어나 데이터를 단지 수집만 하는 등 일반적인 용도나 상황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보안기능의 강화와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도모하면서 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리얼 통신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로 RS-422나 RS-485 통신방식으로 구현되는 산업용 통신 네트워크를 이중 링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상기 이중 링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통신접속장치에 시리얼 방식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각 네트워크 별로 구비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 자원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하면서 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는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시리얼(serial) 네트워크 및 제2 시리얼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이중 링 네트워크(dual-ring network)에 위치하는 노드의 통신장치는, 상기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각각 인터페이싱되어 다른 노드의 통신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각각 인터페이싱되고,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지하고, 각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싱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싱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하는 채널 선택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제1 데이터와 다른 노드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로 전송되는 전송되는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의 비교 검증하는 데이터 비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의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제1-1 송수신 포트;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제1-2 송수신 포트; 상기 제1-1 송수신 포트 및 상기 제1-2 송수신 포트와 각각 연결되어 통신경로를 절체하는 제1 포트 절체 모듈; 및 상기 제1 포트 절체 모듈, 상기 제1-1 송수신 포트, 및 상기 제1-2 송수신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1 통신 접속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의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제2-1 송수신 포트;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제2-2 송수신 포트; 상기 제2-1 송수신 포트 및 상기 제2-2 송수신 포트와 각각 연결되어 통신경로를 절체하는 제2 포트 절체 모듈; 및 상기 제2 포트 절체 모듈, 상기 제2-1 송수신 포트, 및 상기 제2-2 송수신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2 통신 접속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에 따르면, 산업용 시리얼 네트워크에 이중 링 네트워크 구성을 도입하여 장애발생에 대한 대비가 가능하며, 프로토콜 인코딩을 통해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고, 데이터 피드백 확인을 통해 전송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전송방향의 변경 및 송수신 포트의 절체 기능으로 통신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가 구비되는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 통신장치가 구비되는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얼 통신장치(110)는 이중 링 네트워크(dual-ring network)에 위치하는 노드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131) 및 제2 네트워크(132)로 구현되는 이중 링 네트워크에는 다수의 노드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에는 마스터 디바이스(100), 제어 디바이스 1(121) 내지 제어 디바이스 N(126)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얼 통신장치(110)는 이중 링 네트워크에는 마스터 디바이스(100), 제어 디바이스 1(121) 내지 제어 디바이스 N(126)의 각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시리얼 통신장치(110)는 이중 링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각 노드 간의 시리얼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분야나 철도분야, 항공분야 등 통신망을 이용한 제어가 신뢰성과 안전성, 보안성을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사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야에서는 통신 회선의 장애, 데이터의 오류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많은 비용의 손실과 더 크게는 인명 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인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시리얼 통신장치(110)는 이러한 분야의 시리얼 통신망에 있어서 이중 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듀얼 시리얼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이중 링 네트워크(131, 132)에 위치하는 각 제어 디바이스(121 내지 제126)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121 내지 126)는 이중 링 네트워크(131, 132)를 통해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하며 현장 시설물을 제어하거나 현장에 대하여 센싱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코디네이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제어 디바이스(121 내지 126)을 통해 현장의 데이터를 입력 박고, 상기 입력 받은 데이터와 내부 제어처리 알고리즘에 의해 발생한 데이터를 슬레이브 장치인 제어 디바이스(121 내지 126)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얼 통신장치는(11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제어 디바이스(121 내지 126)의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시리얼 통신장치(110)는 제1-1 송수신 포트(111)와 제1-2 송수신 포트(113)를 통해 제1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될 수 있고, 제2-1 송수신 포트(112)와 제2-2 송수신 포트(114)를 통해 제2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11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채널 선택부(230), 프로토콜 코덱부(241, 242), 데이터 비교부(251, 252), 상태 표시부(260),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70)를 포함한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각각 인터페이싱되어 다른 노드의 통신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제1-1 송수신 포트(211), 제1-2 송수신 포트(212), 제1 포트 절체 모듈(213), 및 제1 통신 접속모듈(214)를 포함한다.
제1-1 송수신 포트(211)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1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된다. 제1-2 송수신 포트(212)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된다. 제1 포트 절체 모듈(213)은 제1-1 송수신 포트(211) 및 제1-2 송수신 포트(212)와 각각 연결되어 통신경로를 절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1 통신 접속모듈(214)은 제1-1 송수신 포트(211), 제1-2 송수신 포트(212), 제1 포트 절체 모듈(213)을 통해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제어한다.
평상시 통신장치(110)는 제1-1 송수신 포트(211)를 통해 제1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싱되어 다른 노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제1 포트 절체 모듈(213)은 제1-1 송수신 포트(211)를 OFF 하고 제1-2 송수신 포트(212)를 활성화시켜 제2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노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장치에 통신 회선을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함에 있어, 장애가 많이 발생하는 부분은 통신 회선의 문제와 접속부의 불량, 통신 포트의 전자 회로적인 고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애 발생 시 포트 절체 모듈은 내부적으로 송수신 경로를 절체(다른 경로로 변경)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드웨어적인 조치를 할 수 있다. 포트 절체 모듈은 비정상적인 데이터의 수신이나 송신 데이터에 대한 수신 데이터의 타임아웃(Time-Out) 장애(수신 예정시간 내에 데이터 수신되지 않음) 발생 시 내부에 스탠바이(Standby) 상태로 대기중인 송수신 포트로 경로를 변경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각각 인터페이싱되어 다른 노드의 통신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2-1 송수신 포트(221), 제2-2 송수신 포트(222), 제2 포트 절체 모듈(223), 및 제2 통신 접속모듈(224)를 포함한다.
제2-1 송수신 포트(221)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1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된다. 제2-2 송수신 포트(222)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된다. 제2 포트 절체 모듈(223)은 제2-1 송수신 포트(221) 및 제2-2 송수신 포트(222)와 각각 연결되어 통신경로를 절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2 통신 접속모듈(224)은 제2-1 송수신 포트(221), 제2-2 송수신 포트(222), 제2 포트 절체 모듈(223)을 통해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제어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로 전송되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제1 데이터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로도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여 다른 노드로부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로 전송되는 제2 데이터 또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가 수신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프로토콜 디코딩부(242)를 통해 디코딩되어 Raw 데이터의 형태로 제1 데이터 비교부(251) 및 제2 데이터 비교부(252)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비교부(251) 및 제2 데이터 비교부(252)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비교 검증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명령신호가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다른 노드로 전송된다면, 다른 노드는 상기 제어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전송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비교부(251) 및 제2 데이터 비교부(252)는 제어명령신호인 제1 데이터와 응답신호인 제2 데이터를 선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어명령신호에 따른 동작을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수행하는지에 대해 검증할 수 있다.
채널 선택부(230)는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제2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지하고, 각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의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싱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싱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포트 절체 모듈(213, 223)의 동작, 즉 송수신 포트의 문제로 인하여 절체가 발생하여 제1 네트워크가 본래의 통신 주체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제1 통신 접속모듈(214) 및 제2 통신 접속모듈(224)의 기능 변경을 채널 선택부(230)가 제어할 수 있다. 즉, 채널 선택부(230)는 제1 통신 접속모듈(214) 및 제2 통신 접속모듈(224)의 상태 및 그 하부의 포트 절체 모듈(213, 223)의 절체 상태 등을 관장하며, 채널의 사용 상태를 변경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1 통신 접속모듈(214) 및 제2 통신 접속모듈(224)은 채널 선택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능이 변경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70)는 마스터 디바이스(110)로부터 제어신호나 명령신호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외부의 다른 노드로 전송하는 중계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70)는 범용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는데, PCI 등의 표준 버스 인터페이스나 USB, Ethernet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상태 표시부(260)에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70)에 입출력 되는 Raw 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현재 이중 링 네트워크 및 통신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각 모듈의 절체 상태 및 프로토콜 코딩 알고리즘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정보 확인은 관리자용 로그인 패스워드 인증을 통과해야 만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일반 동작상태에서의 화면에는 장치의 운용상태 및 통신 상태 정보가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211: 제1-1 송수신 포트
212: 제1-2 송수신 포트
213: 제1 포트 절체 모듈
214: 제1 통신 접속모듈
220: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221: 제2-1 송수신 포트
222: 제2-2 송수신 포트
223: 제2 포트 절체 모듈
224: 제2 통신 접속모듈
230: 채널 선택부
241: 프로토콜 코딩부
242: 프로토콜 디코딩부
251: 제1 데이터 비교부
252: 제2 데이터 비교부
260: 상태 표시부
270: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Claims (4)

  1. 제1 시리얼(serial) 네트워크 및 제2 시리얼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이중 링 네트워크(dual-ring network)에 위치하는 노드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각각 인터페이싱되어 다른 노드의 통신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되,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제1-1 송수신 포트,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제1-2 송수신 포트, 상기 제1-1 송수신 포트 및 상기 제1-2 송수신 포트와 각각 연결되어 통신경로를 절체하는 제1 포트 절체 모듈, 및 상기 제1 포트 절체 모듈, 상기 제1-1 송수신 포트, 및 상기 제1-2 송수신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1 통신 접속모듈을 포함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각각 인터페이싱되고,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제2-1 송수신 포트;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제2-2 송수신 포트; 상기 제2-1 송수신 포트 및 상기 제2-2 송수신 포트와 각각 연결되어 통신경로를 절체하는 제2 포트 절체 모듈; 및 상기 제2 포트 절체 모듈, 상기 제2-1 송수신 포트, 및 상기 제2-2 송수신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2 통신 접속모듈을 포함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지하고, 각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제1 시리얼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싱 및 상기 제2 시리얼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싱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하는 채널 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제1 데이터와 다른 노드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로 전송되는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의 비교 검증하는 데이터 비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30088287A 2013-07-25 2013-07-25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 KR10148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287A KR101484401B1 (ko) 2013-07-25 2013-07-25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287A KR101484401B1 (ko) 2013-07-25 2013-07-25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401B1 true KR101484401B1 (ko) 2015-01-19

Family

ID=5259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287A KR101484401B1 (ko) 2013-07-25 2013-07-25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4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420A (ko) * 2016-08-22 2018-03-05 주식회사 루텍 통합모듈 및 통신의 이중화 구조를 구비한 모터제어반용 시스템
KR102216803B1 (ko) * 2020-10-27 2021-02-16 진연상 서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642A (ko) * 2000-12-06 2002-06-19 강광복 공중 전화망과 전용회선망의 자동 절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642A (ko) * 2000-12-06 2002-06-19 강광복 공중 전화망과 전용회선망의 자동 절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420A (ko) * 2016-08-22 2018-03-05 주식회사 루텍 통합모듈 및 통신의 이중화 구조를 구비한 모터제어반용 시스템
KR101863761B1 (ko) 2016-08-22 2018-06-01 주식회사 루텍 통합모듈 및 통신의 이중화 구조를 구비한 모터제어반용 시스템
KR102216803B1 (ko) * 2020-10-27 2021-02-16 진연상 서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2911C2 (ru) Двусторонний разъем для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RU2665890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шлюзовой модуль, модуль ввода/вывод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ами
CN108287519B (zh) 用于质子治疗设备安全联锁的逻辑结构和实现方法
CN103684845A (zh) 网络备用装置及具备该网络备用装置的网络系统
CN103701665A (zh) 线路连接错误的检测方法及装置
CN105471569B (zh) 多节点电流环全双工通信电路
KR101484401B1 (ko) 이중 링 네트워크 노드의 시리얼 통신장치
CN103941625A (zh) Can总线数据传输监控系统
CN102147640A (zh) 一种具有多个主板的服务器
CN102768561A (zh) 一种双桥片主板冗余的设计方法
CN101188488B (zh) 半双工通讯收发控制方法及装置
AU2014340374B2 (en) A robust and simple to configure cable-replacement system
EP38364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eld device with high speed optical communication
CN107340733B (zh) 具有功能装置的电气设备
US20150005909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Management Device
CN102609388B (zh) 一种从节点电路、通信方法及通信装置
KR101463692B1 (ko) 통신 네트워크 노드의 통신접속장치
CN114488871A (zh) 控制方法、变频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7115689U (zh) 闸道装置
CN104601221A (zh) 一种合并单元和智能终端的状态监测系统
CN103268075A (zh) 一种电源反送装置
CN114338265B (zh) 一种基于ttp/c总线的程序下载系统及方法
TW201903725A (zh) 閘道裝置及其保全監控方法
CN112118163B (zh) 在自动化系统中进行能量传输和数据传输的系统和方法
CN215990319U (zh) 换流站交流滤波器断路器的故障预警信号传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