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155B1 -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 Google Patents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155B1
KR101484155B1 KR1020130082959A KR20130082959A KR101484155B1 KR 101484155 B1 KR101484155 B1 KR 101484155B1 KR 1020130082959 A KR1020130082959 A KR 1020130082959A KR 20130082959 A KR20130082959 A KR 20130082959A KR 101484155 B1 KR101484155 B1 KR 10148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flector
main
sub
main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to KR1020130082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8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having two or more spaced reflecting su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복사 소자에서 방사되는 방사 패턴의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수동 상호 변조 왜곡) 발생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 주 반사판, 부 반사판 및 유전판을 포함한다. 주 반사판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설치된다. 부 반사판은 안쪽에 주 반사판이 위치하는 설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설치된 주 반사판의 면이 노출되게 상부로 개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전판은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에 개재되어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을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Antenna comprising multi reflector}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방사 패턴의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수동 상호 변조 왜곡) 발생을 개선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무선통신에서 통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파를 공간으로 보내거나 받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용 중계기의 안테나는 복사 소자와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사 소자는 서비스 지역 내의 가입자 단말기로 전파를 복사하거나, 또는 서비스 지역 내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파를 흡수한다. 그리고 반사판은 복사 소자의 후방에 배치되어 복사 소자로부터 복사된 전파를 가입자 단말기로 반사하거나, 또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흡수된 전파를 안테나로 반사한다.
이러한 종래의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전파는 주방향 빔과, 주방향 빔에 대해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발생되는 역방향 빔과, 주방향 빔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발생되는 측방향 빔을 포함하는 방사 패턴을 형성한다. 즉 방사 소자에서 방사되는 전파는 반사판 끝면(edge)에서 발생되는 산란파에 의해, 전후방비(FTBR : front to back ratio) 및 전측방비(FTSR : front to side ratio) 특성을 갖는 복사 패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 제어를 통하여 전후방비 또는 전측방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방사 소자의 뒤편에 마련된 하나의 반사판만으로는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후방비 또는 전측방비를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후방비 또는 전측방비를 개선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IMD 발생을 개선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 주 반사판, 부 반사판 및 유전판을 포함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주 반사판은 상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설치된다. 상기 부 반사판은 안쪽에 상기 주 반사판이 위치하는 설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설치된 상기 주 반사판의 면이 노출되게 상부로 개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전판은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에 개재되어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을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주 반사판은 제1 반사판과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판은 상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복사하는 전파를 반사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제1 반사판의 마주보는 양쪽에서 상기 제1 반사판의 하부로 절곡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부 반사판은 억제판과 제2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억제판은 상기 주 반사판의 하부를 둘러싸며, 상기 유전판을 매개로 상기 연결판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반사판의 끝면에서 발생되는 산란파를 감쇄시켜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반사판은 상기 억제판의 마주보는 양쪽에서 상기 제1 반사판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사판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복사하는 전파를 반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억제판은 덮개판과 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은 상기 제1 반사판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은 상기 덮개판의 마주보는 양쪽에서 상기 연결판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전판이 개재되어 상기 연결판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상부로 상기 제2 반사판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주 반사판은 상기 제1 반사판에 대해서 상기 제1 반사판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상기 연결판이 형성된다. 상기 부 반사판은 상기 덮개판에 대해서 상기 결합판이 상기 유전판을 매개로 상기 연결판이 결합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의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결합판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상기 제2 반사판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주 반사판은 상기 유전판을 매개로 상기 덮개판의 상부면에서 이격되게 상기 부 반사판의 설치 공간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는, 상기 부 반사판 뒤에 유전판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유전판은 절연판이거나, 절연판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유전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배열된 방향으로 양쪽의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유전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배열된 상기 주 반사판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복사 소자는 수직 편파 안테나, 수평 편파 안테나, 이중 편파 안테나, 야기 안테나, 로그 안테나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 소자가 배치되는 주 반사판의 후방을 둘러싸는 부 반사판을 배치하고,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이 유전판을 매개로 서로 결합된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 소자가 배치되는 주 반사판의 후방을 둘러싸는 부 반사판을 배치하고,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이 유전판을 매개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방사되는 방사 패턴의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PIMD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즉 방사 소자에 대해서 뒤편에 다중로 반사판이 설치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하나의 반사판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후방비 또는 전측방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통상 금속 소재인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을 물리적으로 접촉시켜 서로 연결할 경우, PIMD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유전판을 매개로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을 서로 연결할 경우, PIMD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주 반사판이 부 반사판에 유전판을 매개로 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주 반사판이 부 반사판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외력에 의한 손상이나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양면에 금속층이 형성된 유전판을 매개로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로서, 내부에 금속층이 형성된 유전판을 매개로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100)는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10), 주 반사판(20), 부 반사판(30) 및 유전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 반사판(20)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10)가 설치된다. 부 반사판(30)은 안쪽에 주 반사판(20)이 위치하는 설치 공간(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10)가 설치된 주 반사판(20)의 면이 노출되게 상부로 개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전판(40)은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에 개재되어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을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다중 반사판은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을 의미하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 소자가 배치되는 주 반사판(20)의 후방을 둘러싸는 부 반사판(30)을 배치하고,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이 유전판(40)을 매개로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 실시예에서는 유전판(40)이 복사 소자(10)가 배열된 방향으로 양쪽에 마련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복사 소자(10)가 배열된 주 반사판(2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유전판(40)은 복사 소자(10)가 배열된 주 반사판(20)의 상하좌우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사 소자(10)로는 전파를 공간으로 보내거나 받기 위한 소자로서, 예컨대 수직 편파 안테나, 수평 편파 안테나, 이중 편파 안테나, 야기 안테나, 로그 안테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주 반사판(20)의 상부에 4개의 복사 소자(10)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 반사판(20)은 금속 소재의 판으로, 제1 반사판(21)과 연결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반사판(21)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10)가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10)가 복사하는 전파를 반사한다. 연결판(23)은 제1 반사판(21)의 마주보는 양쪽에서 제1 반사판(21)의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반사판(21)은 상부가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판(23)은 제1 반사판(21)에 설치된 복사 소자(10)의 배열 방향으로 양쪽의 제1 반사판(2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반사판(21)의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1 반사판(21)에 대해서 양쪽에 배치되는 연결판(23)은 제1 반사판(21) 보다는 폭이 좁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반사판(21)과 연결판(23)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내지 90도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부 반사판(30)은 억제판(31)과 제2 반사판(3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 반사판(20)과 동일한 금속 소재의 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억제판(31)은 주 반사판(20)의 하부를 둘러싸며, 유전판(40)을 매개로 연결판(23)에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억제판(31)은 제1 반사판(21)의 끝면에서 발생되는 산란파를 감쇄시켜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한다.
제2 반사판(37)은 억제판(31)의 마주보는 양쪽에서 제1 반사판(21)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반사판(21)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10)가 복사하는 전파를 반사한다.
여기서 억제판(31)은 덮개판(33)과 결합판(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덮개판(33)은 제1 반사판(21)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결합판(35)은 덮개판(33)의 마주보는 양쪽에서 연결판(23)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유전판(40)이 개재되어 연결판(23)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상부로 제2 반사판(37)이 형성된다. 예컨대 덮개판(33)은 제1 반사판(21)에 평행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판(35)은 연결판(23)에 평행한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억제판(31)에 있어서, 덮개판(33)과 결합판(35)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내지 150도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주 반사판(20)이 부 반사판(30)의 설치 공간(39)에 삽입되어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반사판(21)과 연결판(23)이 이루는 각도와 덮개판(33)과 결합판(35)이 이루는 각도의 합은 180도이거나 180ㅁa도 범위일 있다. 여기서 a는 1 내지 9이다.
물론 주 반사판(20)을 부 반사판(30)의 개방부를 통하여 설치 공간(39)에 삽입할 수 있도록, 부 반사판(30)의 개방부는 주 반사판(20)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는다. 억제판(31)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게 유전판(40)을 매개로 주 반사판(20)이 억제판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주 반사판(20)은 제1 반사판(21)에 대해서 제1 반사판(21)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결판(23)이 형성된다. 부 반사판(30)은 덮개판(33)에 대해서 결합판(35)이 유전판(40)을 매개로 연결판(23)이 결합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부 반사판(30)은 결합판(35)의 경사진 방향으로 결합판(35)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제2 반사판(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전판(40)이 개재된 상태에서 주 반사판(20)이 부 반사판(30)의 설치 공간(39)의 결합판(35)에 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주 반사판(20)이 부 반사판(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외력에 의한 손상이나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주 반사판(20)은 유전판(40)을 매개로 덮개판(33)의 상부면에서 이격되게 부 반사판(30)의 설치 공간(39)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주 반사판(20)을 부 반사판(30)의 설치 공간(39)에 설치하되 서로 이격시켜 설치하는 이유는, 금속 소재인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의 기계적인 접촉에 따른 PIMD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유전판(40)은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 사이에 개재되어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이 물질적으로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전판(40)은 금속 소재인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의 기계적인 접촉에 따른 PIMD 발생을 억제한다. 유전판(40)은 제1 반사판(21)의 끝면에서 발생되는 산란파를 흡수하여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한다. 이러한 유전판(40)의 소재로는 플라스틱 소재의 절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유전판(40)을 매개로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이 결합되기 때문에, 부 반사판(30)에 주 반사판(20)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은 서로 반대되는 형상으로 서로 물리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형태, 즉 유전판(40)을 매개로 연결판(23)이 결합판(35)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부 반사판(30)에 주 반사판(20)을 쉽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제1 반사판(21)과 제2 반사판(37)이 복사 소자(10)에서 복사되는 전파에 따른 주방향 빔의 발생에 관여한다. 연결판(23), 억제판(31) 및 유전판은 복사 소자(10)에서 복사되는 전파에 따른 역방향 및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 소자가 배치되는 주 반사판(20)의 후방을 둘러싸는 부 반사판(30)을 배치하고,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이 유전판(40)을 매개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방사되는 방사 패턴의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PIMD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즉 방사 소자에 대해서 뒤편에 다중로 반사판이 설치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하나의 반사판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후방비 또는 전측방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통상 금속 소재인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을 물리적으로 접촉시켜 서로 연결할 경우, PIMD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유전판(40)을 매개로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을 서로 연결할 경우, PIMD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유전판(40)으로 절연판을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판(40)은 절연판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이 형성된 유전판(40)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양면에 금속층이 형성된 유전판(40)을 매개로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 사이에 유전판(40)이 개재된다. 이때 유전판(40)은 절연판의 양면에 금속층(4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유전체만 형성된 구조도 가능하다.
금속층(43)의 소재로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전판(40)은 절연판에 금속 포일을 적층하여 형성하거나, 통상적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 외 구조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로서, 내부에 금속층(45)이 형성된 유전판(40)을 매개로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 반사판(20)과 부 반사판(30) 사이에 유전판(40)이 개재된다. 이때 유전판(40)은 절연판의 내부에 한 쌍의 금속층(4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금속층(45)의 소재로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전판(40)은 3개의 절연판 사이에 금속 포일을 개재하여 형성하거나, 통상적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 외 구조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3에 따른 유전판(40)은 양면에 금속층(43)이 형성되고, 도 4에 따른 유전판(40)은 내부에 한 쌍의 금속층(43)이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유전판(40)은 양면과 내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금속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다중 반사판으로 2개의 반사판(20,30)을 구비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반사판(20)의 뒤 쪽에 복수의 부 반사판(30,5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부 반사판(30,50) 사이에는 유전판(40,60)이 개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2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200)는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10), 주 반사판(20), 한 쌍의 부 반사판(30,50) 및 한 쌍의 유전판(40,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부 반사판(30,50)은 주 반사판(20)에 결합되는 제1 부 반사판(30)과, 제1 부 반사판(30)의 뒤에 결합되는 제2 부 반사판(5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유전판(40,60)은 주 반사판(20)와 제1 부 반사판(3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유전판(40)과, 제1 부 반사판(30)과 제2 부 반사판(5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유전판(6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20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10), 주 반사판(20), 제1 부 반사판(30) 및 제1 유전판(40)이 결합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도 2의 10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200)는 제1 부 반사판(30) 뒤에 제2 유전판(60)을 개재하여 제2 부 반사판(50)이 결합된 구조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 반사판(20) 뒤에 제1 및 제2 부 반사판(30)을 설치함으로써, 방사 소자(10)에서 방사되는 방사 패턴의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PIMD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부 반사판(30,50) 두 개가 사용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복사 소자
20 : 주 반사판
21 : 제1 반사판
23 : 연결판
30, 50 : 부 반사판
31 : 억제판
33 : 덮개판
35 : 결합판
37 : 제2 반사판
39 : 설치 공간
40, 60 : 유전판
100, 200 : 안테나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
    상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설치되는 주 반사판;
    안쪽에 상기 주 반사판이 위치하는 설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설치된 상기 주 반사판의 면이 노출되게 상부로 개방부가 형성된 부 반사판;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에 개재되어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을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유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주 반사판은,
    상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복사하는 전파를 반사하는 제1 반사판;
    상기 제1 반사판의 마주보는 양쪽에서 상기 제1 반사판의 하부로 절곡된 연결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반사판은,
    상기 주 반사판의 하부를 둘러싸며, 상기 유전판을 매개로 상기 연결판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반사판의 끝면에서 발생되는 산란파를 감쇄시켜 역방향 또는 측방향 빔의 발생을 억제하는 억제판;
    상기 억제판의 마주보는 양쪽에서 상기 제1 반사판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사판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복사하는 전파를 반사하는 제2 반사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판은,
    상기 제1 반사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마주보는 양쪽에서 상기 연결판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전판이 개재되어 상기 연결판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상부로 상기 제2 반사판이 형성되는 결합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반사판은 상기 제1 반사판에 대해서 상기 제1 반사판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상기 연결판이 형성되며,
    상기 부 반사판은 상기 덮개판에 대해서 상기 결합판이 상기 유전판을 매개로 상기 연결판이 결합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의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결합판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상기 제2 반사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반사판은 상기 유전판을 매개로 상기 덮개판의 상부면에서 이격되게 상기 부 반사판의 설치 공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7.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
    상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설치되는 주 반사판;
    안쪽에 상기 주 반사판이 위치하는 설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설치된 상기 주 반사판의 면이 노출되게 상부로 개방부가 형성된 부 반사판;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에 개재되어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을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유전판;
    상기 부 반사판 뒤에 유전판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 반사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판은,
    절연판이거나, 절연판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배열된 방향으로 양쪽의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가 배열된 상기 주 반사판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상기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소자는
    수직 편파 안테나, 수평 편파 안테나, 이중 편파 안테나, 야기 안테나, 로그 안테나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12. 삭제
KR1020130082959A 2013-07-15 2013-07-15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KR10148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959A KR101484155B1 (ko) 2013-07-15 2013-07-15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959A KR101484155B1 (ko) 2013-07-15 2013-07-15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155B1 true KR101484155B1 (ko) 2015-01-21

Family

ID=5259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959A KR101484155B1 (ko) 2013-07-15 2013-07-15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1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396B1 (ko) * 1997-07-25 2000-02-15 이돈신 전후방비의 조정이 가능한 테 안테나
KR20060087800A (ko) * 2005-01-31 2006-08-03 주식회사 와이어리스데이터커뮤니케이션 안테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396B1 (ko) * 1997-07-25 2000-02-15 이돈신 전후방비의 조정이 가능한 테 안테나
KR20060087800A (ko) * 2005-01-31 2006-08-03 주식회사 와이어리스데이터커뮤니케이션 안테나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6466B2 (ja) 通信デバイス
KR100731278B1 (ko) 안테나 어셈블리
KR100441146B1 (ko) 이동통신 서비스용 중계기의 노치형 안테나
JP5722112B2 (ja) 複反射鏡アンテナ給電部
US11862846B2 (en) Antenna module and vehicle
WO2013168319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アンテナ装置の取りつけ方法
US20120056790A1 (en) Multi-loop antenna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TWI518992B (zh) 高增益天線及無線裝置
US11201394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23226541A1 (zh) 信号发射装置以及天线系统
CN111525276B (zh) 电子设备
KR100399619B1 (ko) 다 측방향 측대파 억압형 지향성 안테나
KR101484155B1 (ko) 다중 반사판을 구비하는 안테나
JP5565319B2 (ja) セクタアンテナ
EP2889961B1 (en) Reflecting board of base station antenna, and base station antenna
KR20130088289A (ko) 안테나 격리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 어셈블리
JP5777172B2 (ja) ドナーアンテナ及びリピータ
KR100947239B1 (ko) 다수 반사기를 이용한 안테나
JP5926133B2 (ja) 無線基地局のアンテナ装置
KR102549577B1 (ko) Rfic 일체형 안테나
CN112310652B (zh) 电子设备
KR102571790B1 (ko) Rfic 일체형 안테나
JP201207503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EP4170821A1 (en) Rfic assembled antenna
EP3883059B1 (en) Antenna, microwave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