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771B1 - 다용도 패드 - Google Patents

다용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771B1
KR101483771B1 KR20130079775A KR20130079775A KR101483771B1 KR 101483771 B1 KR101483771 B1 KR 101483771B1 KR 20130079775 A KR20130079775 A KR 20130079775A KR 20130079775 A KR20130079775 A KR 20130079775A KR 101483771 B1 KR101483771 B1 KR 101483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eg
panel
support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238A (ko
Inventor
김우석
Original Assignee
(주) 베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베른 filed Critical (주) 베른
Priority to KR2013007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7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0Travelling or trunk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1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 Rack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본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패드{Multipurpose pad}
본 발명은 다용도 패드에 관한 것이다.
주 오일 근무 등으로 인해 취미 활동이나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산과 강, 그리고 바다 등으로 나가 즐기는 캠핑 레저 활동을 즐기고 있다.
이러한, 캠핑 레저 활동에 있어 텐트, 의자, 그늘막, 테이블 등과 같은 각종 장비를 필요로 한다.
테이블의 경우 야외에서 물품을 올려놓는 보관대의 용도뿐만 아니라 식탁, 취사대 등과 같은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테이블은 보관대, 취사대, 식탁 따위의 용도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 변경이 쉽게 이루어지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것을 요구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73447호 (2013.06.04)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1825호 (2013.03.18)
본 발명은 여행시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다용도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패드는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가지는 지지대 및 일측이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타측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접지부 및 상기 접지부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분할되어 있고, 분할된 상기 결합부는 접힘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부재가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패널 및 상기 제2 부재가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가 분할부분을 기준으로 접히면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도 함께 접힐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접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용도 패드는 상기 다리의 타측과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다리를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패드는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대, 일측이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다리 및 상기 다리의 타측과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다리를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다리 타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돌출된 돌기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대와 상기 다리가 접히는 상태에 따라,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다리의 일면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본체의 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다리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면 상기 다리와,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본체는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다리 일측 단부는 지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상기 본체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대 회전시 상기 다리는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상기 본체의 중앙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다리 일측 단부는 상기 지지대의 타측보다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 다리, 그리고 본체의 접히는 상태에 따라 다용도 패드를 식탁, 취사대, 깔게, 받침대 따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용도 패드의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널과 제2 패널로 이루어진 본체가 다리의 힌지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면서 다용도 패드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용도 패드의 보관 및 휴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의 결합부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본체에 연결된 끼움홈에 결합되면서 다리가 지지된다. 이에 따라 다용도 패드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다리는 지지대가 본체와 다리를 힌지 연결함으로 다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용도 패드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다용도 패드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Ⅳ-Ⅳ선을 따라 다용도 패드를 자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다용도 패드가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한 다용도 패드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패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용도 패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다용도 패드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Ⅳ-Ⅳ선을 따라 다용도 패드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패드(1)은 전체적으로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판 형태의 다용도 패드(1)은 캠핑 시 간이용으로 식탁, 취사대, 깔판, 바람막이 따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용도 패드(1)은 본체(11), 지지대(21, 22), 다리(31, 32), 그리고 고정부(41)를 포함한다.
본체(11)에는 음식, 식기 따위의 다양한 물품이 놓일 수 있다. 또한, 본체(11)는 방석 대용 깔게, 바람 따위를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진다. 본체(11)를 평면에서 본 모양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11)를 평면에서 본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는 제1 패널(111) 및 제2 패널(112)을 포함한다.
제1 패널(111) 및 제2 패널(112)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의 외측과 내측 가장자리 즉, 본체(11)의 외곽은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체(11)의 외곽이 날카롭게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날카로운 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의 내측 가장자리는 서로 마주한다. 그러나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은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의 저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지지대(21, 22)는 본체(1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대(21, 22)는 본체(11)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대(21, 22)는 각각 제1 부재(211, 221) 및 제2 부재(212, 222)를 포함한다.
제1 부재(211, 221)는 제1 패널(111)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외측 부분에 위치한다. 제1 부재(211, 221)의 외측 가장자리와 제1 패널(111)의 외측 가장자리는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재(221, 221)와 제1 패널(111)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 일체감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부재(211, 22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제1 부재(211, 221)는 제1 패널(111)에서 멀어질수록 그 단면적이 협소해진다. 이러한, 제1 부재(211, 221)의 일측은 제1 패널(111)에 접힘 가능하게 힌지(113) 연결되어 있다.
제2 부재(212, 222)는 제2 패널(112)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외측 부분에 위치한다. 제2 부재(212, 222)의 외측 가장자리와 제2 패널(112)의 외측 가장자리는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부재(222, 222)와 제2 패널(112)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 일체감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부재(212, 22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제2 부재(212, 222)는 제2 패널(112)에서 멀어질수록 그 단면적이 협소해진다. 이러한 제2 부재(212, 222)의 일측은 제2 패널(112)에 접힘 가능하게 힌지(114)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부재(211, 221)와 제2 부재(212, 222)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그리고 제1 부재(211, 221)와 제2 부재(212, 222)가 힌지(113, 114)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면 본체(11)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제1 부재(211, 221)와 제2 부재(212, 222)가 힌지(113, 114)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본체(11)의 저면에 접할 수 있다.
다리(31, 32)는 지지대(21, 22)에 각각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리(31, 32)는 지지대(21, 22)와 함께 본체(1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다리(31, 32)는 본체(11)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다리(31, 32)는 각각 접지부(311, 321) 및 결합부(312, 322)를 포함한다.
접지부(311, 321)는 제1 부재(211, 221)와 제2 부재(212, 222)의 타측에 접힘 가능하게 힌지(313, 323) 연결되어 있다. 접지부(311, 321)는 힌지(213, 223)를 기준으로 접히는 정도에 따라 제1 부재(211, 221) 및 제2 부재(212, 222)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거나,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접지부(311, 321)가 경사지면, 접지부(311, 321)의 단부는 지면에 접할 수 있다.
결합부(312, 322)는 접지부(311, 321)가 제1 부재(211, 221) 및 제2 부재(212, 222)와 평행할 때 접지부(311, 321)에서 제1 부재(211, 221)와 제2 부재(212, 222) 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된 결합부(312, 322)의 단부는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의 내측과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결합부(312, 322)는 접지부(311, 321)에서 멀어질수록 그 단면적이 넓어진다. 결합부(312, 322)의 형상은 제1 부재(211, 221)와 제2 부재(212, 222)의 내측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접지부(311, 321)가 제1 부재(211, 221) 및 제2 부재(212, 222)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면 결합부(312, 322)의 단부는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의 저면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31, 32)와 지지대(21, 22) 사이에는 다리(31, 32)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걸림편(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5 참조) 걸림편(51)은 다리(31, 32)의 가장자리에서 지지대(21, 22)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걸림편(51)은 지지대(21, 22)의 제1 부재(211, 221)와 제2 부재(212, 222)에 접할 수 있다. 걸림편(51)이 제1 부재(211, 221)와 제2 부재(212, 222)에 접하면 다리(31, 32)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다리(31, 32)는 본체(11)의 저면 방향으로만 회전된다.
고정부(41)는 결합부(312, 322)를 본체(11)에 고정한다. 고정부(41)는 돌기부(411) 및 삽입부(412)를 포함한다.
돌기부(411)는 결합부(312, 322)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돌기부(411)는 기설정된 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삽입부(412)는 본체(11)의 일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삽입부(412)는 돌기부(411)와 마주한다. 삽입부(412)에는 돌기부(411)가 삽입되는 끼움홈(4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끼움홈(413)의 바닥면은 본체(11)의 일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삽입부(412)는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돌기부(411)가 끼움홈(413)에 삽입되면 지지대(21, 22)에 힌지(213, 223) 연결된 다리(31, 32)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삽입부(412)가 배열된 경우, 돌기부(411)가 삽입부(412)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다리(31, 32)의 경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위 설명과 도 3에서 고정부(41)를 돌기부와 삽입부로 설명하였지만, 고정부(41)는 벨크로, 영구자석, 양면 테이프 따위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접지부(311, 321)와 결합부(312, 322)로 이루어진 다리(31, 32)는 분할되어 있다. 다리(31, 32)의 분할부분은 힌지(313, 323)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리(31, 32)는 힌지(313, 323)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다리(31, 32)가 힌지(313, 323)를 기준으로 접히면 본체(11)의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이 중첩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 지지대(21, 22), 그리고 다리(31, 32) 표면에는 보강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참조) 보강부(61)는 외력에 의해 본체(11), 지지대(21, 22), 그리고 다리(31, 32)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부(61)는 펀칭 공정으로 일면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1), 지지대(21, 22), 다리(31, 32), 그리고 고정부(41)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체(11), 지지대(21, 22), 다리(31, 32)는 합성수지, 유리 섬유 따위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패드가 접히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패드(1)의 지지대(21, 22) 및 다리(31, 32)는 힌지(113, 114, 213, 223)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접히는 상태)에 따라 본체(11)의 저면(일면)에 접하거나, 본체(11)의 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고하면, 돌기부(411)가 끼움홈(413)에 결합되면 지지대(21, 22) 및 다리(31, 32)는 본체(11)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지지대(21, 22)는 다리(31, 32)의 타측과 본체(11)를 연결한다. 지지대(21, 22)가 본체(11)와 다리(31, 32)를 연결하게 되면서 다리(31, 32)는 접히지 않는다. 이에 따라 다리(31, 32)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이때 다리(31, 32)와 지지대(21, 22)는 본체(11)의 저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본체(11)의 일부분과 지지대(21, 22) 및 다리(31, 32)는 안정적인 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이 다리(31, 32)가 기설정된 각도로 세워지면 본체(11)는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본체(11) 위에 음식, 식기 따위가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다용도 패드(1)을 보관하기 위하여, 접어 보관할 수 있다. 돌기부(411)를 끼움홈(413)에서 분리하면 지지대(21, 22)는 힌지(113, 114)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지지대(21, 22)가 힌지(113, 114)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다리(31, 32) 또한 힌지(213, 223)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다리(31, 32)의 결합부(312, 322)는 지지대(21, 22)의 제1 부재(211, 221)와 제2 부재(212, 22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참고) 이렇게 지지대(21, 22)와 다리(31, 32)가 힌지(113, 114), (213, 223)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지지대(21, 22) 및 다리(31, 32)는 본체(11)의 저면에서 벗어나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와 평행하게 펼쳐질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한 본체(11)와 평행한 지지대(21, 22) 및 다리(31, 32)를 힌지(113, 114)를 기준으로 본체(11) 저면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지지대(21, 22)와 다리(31, 32)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저면에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체(11)는 깔게, 받침대 따위로 사용될 수 있다.
지지대(21, 22) 및 다리(31, 32)가 본체(11)의 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을 힌지(313, 323)를 기준으로 접는다. 이때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의 저면은 서로 마주하면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널(111)과 제2 패널(112)의 저면이 서로 접하여 본체(11)가 반으로 접힌 상태가 된다. 본체(11)가 반으로 접히게 되면 다용도 패드의 부피는 축소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6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형성하고자 할 경우, 지지대(21, 22)를 힌지(213, 223)를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지지대(21, 22)의 타측은 힌지(21, 22)를 기준으로 본체(11)의 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지지대(21, 22)를 회전 시키면서 다리(31, 32)를 힌지(313, 223)를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다리(31, 32)는 지지대(21, 22)의 회전 반대 방향 즉, 본체(11)의 저면을 향하여 회전시킨다. 다리(31, 32)를 본체(11) 저면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부(411)는 끼움홈(413)에 결합할 수 있다. 돌기부(411)가 끼움홈(413)에 결합되면 지지대(21, 22)와 다리(31, 32)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때 다리(31, 32)의 일측 단부는 지지대(21, 22)의 타측보다 하부측에 위치하여 지면에 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1, 22)와 다리(31, 32)가 본체(11)와 평행한 상태에서 힌지(113, 114)를 기준으로 도 8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저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용도 패드(1)가 지면에 설치되면 세워질 수 있다. 이때 다용도 패드(1) 주변에 버너(B) 따위가 배치되면 다용도 패드(1)은 바람막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411)를 끼움홈(412)에 결합한 상태에서 다용도 본체(11)를 눕혀 세워 다용도 패드(1)를 바람막이 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지면이 평탄하지 않을 경우,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로부터 지지대(21, 22) 및 다리(31, 32)를 펼친 상태에서, 버너(B) 따위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 따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본체(1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31, 32) 또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다용도 패드 11: 본체
111: 제1 패널 112: 제2 패널
113, 114: 힌지 21, 22: 지지대
211, 221: 제1 부재 212, 222: 제2 부재
213, 223: 힌지 31, 32: 다리
311, 321: 접지부 312, 322: 결합부
313, 323: 힌지 41: 고정부
411: 돌기부 412: 삽입부
413: 끼움홈 51: 걸림편
61: 보강부

Claims (10)

  1.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가지는 지지대 및
    일측이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다리
    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타측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접지부 및
    상기 접지부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분할되어 있고, 분할된 상기 결합부는 접힘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다용도 패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부재가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패널 및
    상기 제2 부재가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가 분할부분을 기준으로 접히면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도 함께 접히는
    다용도 패드.
  5. 제4항에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접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용도 패드.
  6. 제1항에서,
    상기 다리의 타측과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다리를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패드.
  7.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대,
    일측이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다리 및
    상기 다리 타측과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다리를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다리의 타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돌출된 돌기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
    를 포함하는
    다용도 패드.
  8. 제1항 또는 제7항에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다리가 접히는 상태에 따라,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다리의 일면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본체의 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다용도 패드.
  9. 제8항에서,
    상기 다리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면 상기 다리와,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본체는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다리 일측 단부는 지면에 접하는 다용도 패드.
  10. 제8항에서,
    상기 지지대는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상기 본체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대 회전시 상기 다리는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상기 본체의 중앙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다리 일측 단부는 상기 지지대의 타측보다 하부측에 위치하는 다용도 패드.
KR20130079775A 2013-07-08 2013-07-08 다용도 패드 KR101483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775A KR101483771B1 (ko) 2013-07-08 2013-07-08 다용도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775A KR101483771B1 (ko) 2013-07-08 2013-07-08 다용도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238A KR20150006238A (ko) 2015-01-16
KR101483771B1 true KR101483771B1 (ko) 2015-01-19

Family

ID=5256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9775A KR101483771B1 (ko) 2013-07-08 2013-07-08 다용도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7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5793A (en) * 1990-05-09 1994-07-05 Teston Investement Pty. Lt. Folding ta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5793A (en) * 1990-05-09 1994-07-05 Teston Investement Pty. Lt. Folding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238A (ko)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3394C (en) Modular folding table
US20170340100A1 (en) Foldable Banquet Table and Bench Set
CA2221914C (en) Ready to use foldable computer desk
US20140250593A1 (en) Portable configurable furniture
US20160220015A1 (en) Foldable table having legs of unequal length
KR20180119745A (ko) 캠핑용 조립식 테이블
KR20110092436A (ko) 절첩식 지지대를 구비한 가구
KR200472125Y1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KR200475341Y1 (ko) 야외 테이블
KR101483771B1 (ko) 다용도 패드
CN204764074U (zh) 一种多功能侧架及使用其的折叠桌
AU2003200501B2 (en) Outdoor table and chair set
KR200457904Y1 (ko) 접이식 간이 테이블
KR101914753B1 (ko) 장 테이블
KR101654910B1 (ko) 사단 접이식 테이블
KR200473929Y1 (ko) 평상 기능을 가진 테이블
KR101440035B1 (ko) 접이식 테이블
CN104799566B (zh) 一种多功能侧架及使用其的折叠桌
KR100753111B1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101791141B1 (ko) 접이식 받침대
CN211431483U (zh) 折叠桌
GB2360700A (en) Folding picnic table
KR200328004Y1 (ko) 접이식 침대
KR200494643Y1 (ko) 휴대가 가능한 가변형 낚시좌대
KR102279091B1 (ko) 포터블 접이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