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681B1 - 분산 바스켓 압력식 여과기 - Google Patents

분산 바스켓 압력식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681B1
KR101483681B1 KR20140086053A KR20140086053A KR101483681B1 KR 101483681 B1 KR101483681 B1 KR 101483681B1 KR 20140086053 A KR20140086053 A KR 20140086053A KR 20140086053 A KR20140086053 A KR 20140086053A KR 101483681 B1 KR101483681 B1 KR 10148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pipe
water
filter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현
Original Assignee
강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현 filed Critical 강영현
Priority to KR2014008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수의 유입측에 분산 바스켓을 설치하여, 오염수의 고른 분배를 통하여 안정적인 처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역세시에도 여재층과 분산 바스켓에 가해지는 입체적인 버블을 이용하여 여재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압력식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여재가 장입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여재의 상측으로 배치되고, 오염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를 주위로 분산하도록 망체로 포위되는 공간을 가지는 분산 바스켓; 및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재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망체로 포위되는 공간을 가지며, 처리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집수관과 연통되는 집수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산 바스켓 압력식 여과기{Pressure filter apparatus with a dispersion basket}
본 발명은 압력식 여과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수의 유입측에 분산 바스켓을 설치하여, 오염수의 고른 분배를 통하여 안정적인 처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역세시에도 여재층과 분산 바스켓에 가해지는 입체적인 버블을 이용하여 여재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압력식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압력식 여과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급속여과방법의 하나로 기존의 중력여과방식과는 다르게 비교적 높은 속도로 유입수를 통과시켜 부유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부유물질을 제거하여 수질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이다. 수질측정 항목중 직접적으로는 SS(Suspended Solid)농도를 저하시키며, 동시에 각종 성분(유기물, 인, 질소 등) 중에서 부유물질에 포함되는 부분이 제거되는 방식이다. 또한 용존성 영양염류 등을 제거하기 위해 특정한 여재를 사용하여 이를 처리하는 방법도 있으나, 처리효율이 높지는 않은 방법이다.
특히, 수처리중 응집침전법을 실현하기 위해 약품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고형물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처리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급속 여과방법은 하수처리와 같이 비교적 저농도의 부유물을 포함한 오염수를 두께 30~100㎜정도의 불활성입상체(모래, 안스라사이트(Anthracite), 부석), 섬유상의 여재, 폴리에틸렌 등의 다양한 여재로 구성되며, 100~400m/day의 빠른 속도로 통과시켜, 물리적인 저지 작용이나 침전 작용으로 부유물을 여층내에 포착해 물로부터 분리, 제거하는 것이다.
여재층은 입자성의 여재를 사용하며 다공성에 흡착력이 있고,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특정 오염물질에 대해서 제거력이 우수한 여재를 선정하여 운영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여재는 탁도 제거용과 최근 조류제거용으로 사용하는 안스라사이트(Anthracite), 사여과기의 여재로 사용하는 모래(왕사), 오염수의 색도와 냄새를 제거해주는 활성탄, 인산염 제거를 위한 제올라이트 등을 사용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이들은 유입수의 오염성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여재층을 구성하여 조성한다.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으로 여과방식이 가지고 있는 공극막힘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여재와 여재 사이의 공극이 오염물에 의해 막힘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여재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역세와 여재 교체 등의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여과방법은 여과압 확보 방법, 오염수의 여과 방향, 여재층의 운전 방식에 따라 구분하며, 여과압은 일반적으로 중력식과 압력식으로 구분되고, 여과 방향은 하향류, 상향류, 수평류, 상하향류의 방식으로 구분되며, 여층의 운동 방식은 고정상형, 이동상형으로 구분되어 진다.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현장의 상황에 맞게 설계하여 설치한다.
압력식 여과기는 중력식 여과방식에 비하여 처리효율은 높으나 밀폐형에 따른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제거해야 하는 대상에 따라 설치대수를 늘려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내부를 다단으로 구성시 공극의 막힘으로 인해 여재교체 주기 빈도가 늘어나고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운영중에 발생하는 비용이 비경제적으로 발생하여 시설의 운영이 어려워지며, 형식적인 역세시설은 시설내 역세시 여재의 탈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기존의 압력식 여과기는 처리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고형물의 제거를 목적으로 설치되어 최근 문제가 되는 특정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중금속류와 유기물류, 냄새, 색 등의 오염이 동시적으로 발생할 경우 여러 개의 압력식 여과기를 설치하여 각각의 오염원에 맞는 여재로 구성하여 오염수를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럴 경우는 처리효율대비 경제성이 떨어져 압력식 여과기를 사용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일반적으로 다단의 여재층을 구성하고 역세를 통한 여재세척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다단으로 여재층이 구성되는 경우는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여과기들의 문제로 처리수와 함께 손실되는 여재는 현장과 시설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발생하여 일반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추가적인 여재 충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과다한 유지관리비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여재 충진 작업은 시설에 작은 관찰창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작업자가 매우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비효율적인 시설이 대부분이다. 관찰정의 경우 크기가 클수록 시설에 영향을 주어 가급적이면 크기를 작게 하여 설치하며 유입되는 여재량에 비해 작게 설치된다.
기존의 슬러지 배출배관의 경우 단일배관으로 설치되어 배출되고, 역세관 역시 하부에 단일로 설치되어 역세를 실시한다. 하향류식의 경우 여재층의 상부에서 슬러지가 발생을 하기 때문에 하부에 설치된 역세시설이 여재층 상부의 슬러지를 처리하기 어려워 여재막힘 현상을 해결하기 어렵다. 시설의 설치 현장에 따라 24시간 관리인이 상주하기 어려운 경우 기존의 수동으로 작동되던 시설은 부재시 처리효율이 저하되어도 역세가 작동하지 않아 안정적인 처리효율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011162호
압력식 여과기는 압력을 가하여 여과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자연유하방식에 비하여 처리시간이 빠르고 처리율이 높은 방법이다. 이러한 압력식 여과기는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해 펌프를 이용하여 오염수를 유입한다. 이러한 경우 배관에서 쏟아져 나오는 오염수가 전체 여재층에 고르게 유입되지 않아 수로화(channeling)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고압에 의해 발생되는 처리효율은 높기 때문에 기존 중력식에 비하여 슬러지 발생량이 높다.
이로 인해 압력식 여과의 처리 방식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차적인 문제는 유입수의 유입방법에 있다. 유입수를 유입하는 방법은 단일 배관을 통하여 고르게 분배되지 않을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다층의 구조로 조성된 여재의 교란이 발생하여 처리가 안되거나, 특정 방향으로만 처리가 이루어져 부분별 여재 막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여과조의 처리효율을 감소시키고 수면을 단축시켜 여재 교체 및 역세를 잦은 빈도로 해줘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해 역세 과정을 수행하는데 역세과정에서 슬러지를 탈리하지 않고 역세수와 공기를 한 쪽 방향에서만 유입시키다 보니 효과적인 역세를 수행하지 못하고 일정 부분만 역세가되어 설계한 용량대로 수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탈리된 슬러지를 상부로 이동시켜 배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역세수가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비중이 작은 여재의 손실이 발생하여 여재를 보충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수의 유입측에 분산 바스켓을 설치하여, 오염수의 고른 분배를 통하여 안정적인 처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역세시에도 여재층과 분산 바스켓에 가해지는 입체적인 버블을 이용하여 여재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압력식 여과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여재가 장입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여재의 상측으로 배치되고, 오염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를 주위로 분산하도록 망체로 포위되는 공간을 가지는 분산 바스켓; 및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재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망체로 포위되는 공간을 가지며, 처리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집수관과 연통되는 집수 바스켓을 포함하는 압력식 여과기이다.
상기 여재는 비중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여재로 이루어지며, 비중은 최하측의 여재의 비중이 가장 크고 상측으로 갈수록 비중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여재 중 가장 비중이 작은 최상측에 위치하는 여재의 하부에 측방향 또는 상향으로 에어가 공급되는 중부에어주입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중부에어주입관에는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중부슬러지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중부슬러지배출관에는 중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여재는 안스라사이트, 모래, 쇄석, 골재, 제올라이트, 패각, 부석 중 어느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오염수유입관은, 상기 분산 바스켓의 상부로 오염수를 유입하는 바스켓상부관과, 상기 분산바스켓의 하부로 오염수를 공급하는 바스켓하부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바스켓상부관과 상기 바스켓하부관에는 상부에어공급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바스켓상부관과 상기 바스켓하부관은 상부슬러지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오염수유입관에는 오염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오염수유입조절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슬러지배출관에는 슬러지의 배출을 단속하는 상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집수관에는 에어와 함께 역세수가 공급되는 역세수유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역세수유입관에는 역세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역세수유입조절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배출관에는 처리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처리수배출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집수관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하부에어공급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여과기는 기존의 압력식 여과기에 비하여 역세에 의한 슬러지 배출이 용이하고, 이로인해 처리효율이 안정적으로 지속되며,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입수의 균등 분배를 유도하는 분배 슬러지 바스켓을 설치하여 여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역세시 탈리되는 슬러지 인발을 안정적으로 처리한다. 또한, 여재 중간에 중부에어주입관을 설치하여 공기와 역세수를 통한 입체적인 역세과정이 생성되며, 슬러지 탈리를 수행하여 동일한 용량에 동일한 여재를 사용한 기존의 압력식 여과기에 비하여 유지관리 및 여재 교체 기간이 긴 것이 특징이다.
즉, 정세시 사용하지 않는 공간 없이 전체 면적을 고르게 사용하기 때문에 편중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여재의 투과 속도가 항상 높게 유지 되며, 정세과정에서도 처리용량이 항상 안정적으로 높게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여과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식 여과기의 분산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식 여과기의 집수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여과기를 지시한다. 상기 압력식 여과기(100)는, 내부에 여재가 장입되는 케이싱(102)과, 상기 케이싱(102)의 상부에 배치되고, 오염수유입관(128)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를 주위로 분산하도록 폐쇄되고 망체로 포위되는 공간을 가지는 분산 바스켓(106)과, 상기 케이싱(10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재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망체로 포위되는 공간을 가지며, 처리수배출관(140)과 연결되는 집수관(124)과 연통되는 집수 바스켓(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102)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여재가 장입된다. 상기 여재로는 안스라사이트, 모래, 쇄석, 골재, 제올라이트, 패각, 부석 중 어느 2개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여재의 구성은 안스라사이트, 모래(왕사), 자갈이 각각 0.45:0.30:0.25의 비율(부피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재의 조성은 현장의 오염수의 성상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서 조성비 또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여재는 높이에 따라 비중을 달리 하여 2종 이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싱(102)의 하부에 장입되는 하부여재(118)와, 상기 하부여재(118)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상부여재(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상부여재(116)의 비중은 상기 하부여재(118)의 비중보다 작은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여재(116)의 상면은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하부면에 대하여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결과, 상기 상부여재(116)에 의해 슬러지탈리가 유리하게 유도되며, 상기 하부여재(118)는 슬러지가 탈리된 처리수를 2차로 여과하여 잔여 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여재(116)와의 비중 차에 의해 역세후에도 제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2)의 상부에는 내부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창(1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산 바스켓(10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에 의해 둘러쌓여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주위 전방향으로 오염수를 분산할 수 있다. 상기 분산 바스켓(106)은 대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나, 단면이 다각형인 통상(筒狀)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염수는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스켓상부관(132)이나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스켓하부관(134)을 통해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거나, 동시에 바스켓상부관(132)와 바스켓하부관(134)를 통해 상기 분간 바스켓(106)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망체의 눈 크기는 여재보다는 작게 하여 여재손실을 막는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2)의 내부공간,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내부공간, 상기 집수 바스켓(122)의 내부공간의 비율은 1:0.3~0.5:0.5~0.8의 비율로 할 수 있으며, 현장 여건에 따라 각각 조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상부관(132)과 상기 바스켓하부관(134)은 바스켓연결관(130)을 통해 오염수유입관(128)과 연통된다. 이 때, 상기 오염수유입관(128)에는 오염수의 유입을 단속할 수 있는 오염수유입조절밸브(14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연결관(130)은 상부슬러지배출관(136)과도 연결되며, 상기 상부슬러지배출관(136)은 역세에 의해 생성되는 슬러지를 농축조(미도시)로 보내게 된다. 상기 상부슬러지배출관(136)에는 상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146)가 설치되어, 슬러지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다.
또, 상기 바스켓연결관(130)에는 상부에어공급관(110)이 연결된다. 다만, 오염수 또는 역세시의 슬러지 이동시에는 상기 상부에어공급관(110)과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상기 상부에어공급관(119)에는 상부에어조절밸브(142)가 배치된다.
상기 집수 바스켓(122)은 상기 케이싱(102)의 내부공간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처리된 처리수를 수집한다. 상기 집수 바스켓(122)은 망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상기 집수 바스켓(122)의 망체의 눈 크기는 여재보다는 작게 하여 여재손실을 막는다.
상기 집수 바스켓(122)에는 집수관(124)이 설치되며, 상기 집수관(124)은 상기 집수 바스켓(122)의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집수관(124)는 집수를 위해서, 상기 집수 바스켓(12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관(124)은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배출관(140)과 연결되며, 상기 처리수배출관(140)에는 처리수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처리수배출조절밸브(154)가 배치된다.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 배출관(140)을 통해 방류조(미도시)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관(124)에는 역세수가 공급되는 역세수유입관(138)이 연결되며, 상기 역세수유입관(138)에는 역세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역세수유입조절밸브(150)가 배치된다. 또, 상기 집수관(124) 또는 상기 역세수유입관(138)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하부에어공급관(114)이 연결되며, 상기 하부에어공급관(114)에는 에어의 공급을 단속하는 하부에어조절밸브(152)가 설치된다. 이 결과, 상기 집수관(124)에는 에어를 가지는 역세수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산 바스켓(106)과 상기 집수 바스켓(122) 사이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중부에어주입관(120)이 배치된다.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은 에어를 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에어공이 복수개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에어공이 중부에어주입관(120)의 측면과 상부에만 배치된다. 즉,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은 상측을 향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역세시 슬러지와 여재의 탈리를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처리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은 비중차에 따른 2종 이상의 여재 중 가장 비중이 작은 여재(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여재)의 하부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가장 슬러지의 이동이 어렵고 폐색되기 쉬운 여재인 최상측의 여재에서 슬러지와 여재의 탈리를 보조하게 된다.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은 중부에어공급관(112)과 연결된다. 상기 중부에어공급관(112)에는 에어를 단속하는 중부에어조절밸브(148)가 설치된다.
또,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을 통해 슬러지를 추가적으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에는 농축조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는 중부슬러지배출관(113)이 연결되며, 상기 중부슬러지배출관(113)에는 중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149)가 설치되어, 슬러지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여과기(10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압력식 여과기(100)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수처리과정과 역세과정은 모두 상술한 조절밸브, 타임스위치, 및 압조절장치를 가지는 제어반(미도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결과, 무인으로 운전이 가능하다.
먼저, 오염수의 처리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오염수유입관(128)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는 상기 바스켓연결관(130)을 거쳐 상기 바스켓상부관(132)과 상기 바스켓하부관(134)을 통해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상부에어조절밸브(142), 상기 상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146), 상기 중부슬러지배출조절배브(149), 상기 중부에어조절밸브(148), 상기 하부에어조절밸브(152), 및 상기 역세수유입조절밸브(150)는 폐쇄상태이고, 상기 오염수유입조절밸브(144)와 상기 처리수배출조절밸브(154)는 개방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는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망체를 통하여 고르게 분산된다.
따라서, 오염수가 여재 내로 고르게 분산되고, 분산된 오염수는 상기 상부여재(116)와 상기 하부여재(118)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상기 집수 바스켓(122)으로 차집된다. 상기 집수 바스켓(122)의 내부로 모인 처리수는 상기 집수관(124)을 지나 상기 처리수배출관(140)을 거쳐 방류조(미도시)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역세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오염수유입조절밸브(144)와, 상기 처리수배출조절밸브(154)를 폐쇄하고, 상기 상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146) 및 상기 중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149)를 개방한다. 몰론, 이 때 상기 상부에어조절밸브(142), 상기 중부에어조절밸브(148), 상기 하부에어조절밸브(152), 및 상기 역세수유입조절밸브(150)는 폐쇄상태이다.
그리고, 상부에 위치한 상기 분산 바스켓(106)과 중부에 위치한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에 의해 오염수를 상기 상부슬러지배출관(136) 및 상기 중부슬러지배출관(113)으로 방류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상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146) 및 상기 중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149)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에어조절밸브(142)와 상기 중부에어조절밸브(148)가 개방되면서, 상기 분산 바스켓(106)과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 결과, 상기 분산 바스켓(106)의 주위와,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의 주위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서, 버블을 형성하게 된다. 형성된 버블은 슬러지를 여재로부터 탈리시킨다.
이러한 슬러지의 여재로부터의 탈리 과정이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역세수유입조절밸브(150)와 상기 하부에어조절밸브(152)를 개방하여, 역세수와 공기가 동시에 상기 분지관(1126)을 통해 상기 집수 바스켓(122) 내부로 공급되고, 역세수와 공기의 혼합물이 상승하면서 탈리된 슬러지가 상부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상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146) 및 상기 중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149)는 개방하고, 동시에 상기 상부에어조절밸브(142), 상기 중부에어조절밸브(148), 상기 하부에어조절밸브(152), 및 상기 역세수유입조절밸브(150)는 폐쇄한다.
이동된 슬러지와 여재의 일부(파쇄된 입자 등)는 상기 분산 바스켓(106)을 통하여 분리되어 상부슬러지배출관(136)을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중부슬러지배출관(113)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탈리된 슬러지는 여재손실을 최소화 하여 농축조로 이동하여 역세과정이 이루어지고, 모든 역세과정이 완료되면 공기와 역세수 유입이 차단된다.
즉, 상기 분산 바스켓(106), 상기 집수 바스켓(122), 및 상기 중부에어주입관(120)의 총 3개의 위치에서 입체적인 버블 워쉬와 역세수 워쉬가 수행된다. 따라서, 다공 바스켓을 포함하는 압력식 여과기로 기존의 시설에 비하여 처리효율이 높고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고, 여재의 수명 및 향후 역세시 여재의 막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 역세보다 슬러지 인발율이 20~40% 정도로 향상되어 역세 빈도는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또, 상기 분산 바스켓(106)으로 오염수를 고르게 분산 유입시켜 여재내 수로화(Channeling) 등의 현상을 방지하며, 여재의 수명을 길게 운영할 수 있고, 여과시 편중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여재를 통한 여과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전체 여과면적에서 사용하지않는 공간 없이 운영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압력식 여과기 102: 케이싱
104: 관찰창 106: 분산 바스켓
110: 상부에어공급관 112: 중부에어공급관
113: 중부슬러지배출관 114: 하부에어공급관
156: 상부여재 158: 하부여재
120: 중부에어주입관 122: 집수 바스켓
124: 집수관 128: 오염수유입관
130: 바스켓연결관 132: 바스켓상부관
134: 바스켓하부관 136: 상부슬러지배출관
138: 역세수유입관 140: 처리수배출관
142: 상부에어조절밸브 144: 오염수유입조절밸브
146: 상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 148: 중부에어조절밸브
149: 중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 150: 역세수유입조절밸브
152: 하부에어조절밸브 154: 처리수배출조절밸브

Claims (10)

  1. 내부에 여재가 장입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여재의 상측으로 배치되고, 오염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를 주위로 분산하도록 망체로 포위되는 공간을 가지는 분산 바스켓; 및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재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망체로 포위되는 공간을 가지며, 처리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집수관과 연통되는 집수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수유입관은, 상기 분산 바스켓의 상부로 오염수를 유입하는 바스켓상부관과, 상기 분산바스켓의 하부로 오염수를 공급하는 바스켓하부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는 비중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여재로 이루어지며, 비중은 최하측의 여재의 비중이 가장 크고 상측으로 갈수록 비중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여과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 중 가장 비중이 작은 최상측에 위치하는 여재의 하부에 측방향 또는 상향으로 에어가 공급되는 중부에어주입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여과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부에어주입관에는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중부슬러지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중부슬러지배출관에는 중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여과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상부관과 상기 바스켓하부관에는 상부에어공급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여과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상부관과 상기 바스켓하부관은 상부슬러지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오염수유입관에는 오염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오염수유입조절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슬러지배출관에는 슬러지의 배출을 단속하는 상부슬러지배출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여과기.
  9. 삭제
  10. 삭제
KR20140086053A 2014-07-09 2014-07-09 분산 바스켓 압력식 여과기 KR101483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6053A KR101483681B1 (ko) 2014-07-09 2014-07-09 분산 바스켓 압력식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6053A KR101483681B1 (ko) 2014-07-09 2014-07-09 분산 바스켓 압력식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681B1 true KR101483681B1 (ko) 2015-01-16

Family

ID=5259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6053A KR101483681B1 (ko) 2014-07-09 2014-07-09 분산 바스켓 압력식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6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74B1 (ko) * 1991-05-22 1994-06-20 박한성 복합층 고도 여과방법 및 장치
JP2005152778A (ja) * 2003-11-25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ろ過槽およびろ過槽内の洗浄方法
KR101150675B1 (ko) * 2011-09-20 2012-05-25 신지훈 역세기능을 구비한 상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1300767B1 (ko) * 2013-07-24 2013-08-29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여과 및 세척효율이 우수한 적층형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74B1 (ko) * 1991-05-22 1994-06-20 박한성 복합층 고도 여과방법 및 장치
JP2005152778A (ja) * 2003-11-25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ろ過槽およびろ過槽内の洗浄方法
KR101150675B1 (ko) * 2011-09-20 2012-05-25 신지훈 역세기능을 구비한 상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1300767B1 (ko) * 2013-07-24 2013-08-29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여과 및 세척효율이 우수한 적층형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CN102223933B (zh) 水处理方法
US20220176276A1 (en) Multilayer Media Bed Filter with Improved Backwash
AT511926B1 (de) Verfahren zur mechanischen Feststoffabscheidung aus Abwasser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US83235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filter media support structures
KR101446273B1 (ko) 수두차를 이용한 상향류 모래 여과장치의 운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0949823B1 (ko) 수처리장치
KR100989049B1 (ko) 하천오염원 고도처리 여과장치
RO201400001U1 (ro) Dispozitiv pentru tratarea şi post-tratarea biologică a apei uzate şi metodă de tratare şi post-tratare biologică a apei uzate
KR100949058B1 (ko) 여과장치
KR101483681B1 (ko) 분산 바스켓 압력식 여과기
KR101194030B1 (ko) 여과지의 집수거를 이용한 역세공기 공급구조
KR101350537B1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KR101784886B1 (ko) 분배챔버를 이용한 연속여과장치
KR101543548B1 (ko) 중력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총인여과방법
KR101271089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의 다공성 플레이트 장치
US20020023869A1 (en)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liquids
KR102050980B1 (ko) 여과공정 및 역세공정을 갖는 여과 시스템
KR101623039B1 (ko) 다중 여과 장치
KR101527466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220157207A (ko) 압력제어를 통해 정세 및 역세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압력식 여과기
KR101374915B1 (ko) 정수처리장치
KR100644104B1 (ko) 염료폐수처리 방법과 그에 관한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