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362B1 -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 Google Patents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3362B1 KR101483362B1 KR1020130080528A KR20130080528A KR101483362B1 KR 101483362 B1 KR101483362 B1 KR 101483362B1 KR 1020130080528 A KR1020130080528 A KR 1020130080528A KR 20130080528 A KR20130080528 A KR 20130080528A KR 101483362 B1 KR101483362 B1 KR 1014833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plate
- concrete
- steel beam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을 성형한 유닛단면을 조립하여 상부가 개구되며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 결합부를 갖는 박스형태로 구성하여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형성한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molded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and engag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concrete beam having a box-shaped structure having a unit section formed by molding a steel she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and engaging portion formed by filling concrete therein.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재 보와 철근콘크리트가 단일부재로 거동하도록 구현하여 휨모멘트를 받을 때 압축응력의 대부분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하고 인장응력은 강재가 부담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부재로써, 보의 춤을 줄여 건축구조물의 층고나 교량구조물의 형하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보 단면의 저항강도와 저항강성 증대로 장 스팬 구조물이 가능하게 하며, 극한성능이나 변형성능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Steel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and reinforced concrete are designed to behave as a single member so that when the bending moment is applied, most of the compressive stress will be imposed on the concrete and tensile stress will be imposed on the steel member.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hape space of bridge structures or bridge structures of building structures and to increase the resistance strength and resistance stiffness of beam cross section to make long span structures and to have an advantage of increasing extreme performance and deformation performance.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형강은 강재 이용 측면에서 볼 때 휨에 의해 부재에 발생하는 인장력, 압축력에 대해 효율적으로 저항하는 부재단면이지만, H형강을 이용한 합성보는 정모멘트 구간에서 합성단면의 중립축이 상부 플랜지측으로 이동하여 콘크리트 슬래브가 압축력의 대부분을 부담하므로 상부 플랜지가 비효율적인 저항단면으로 사용된다. 또한, 합성보 부재의 강도평가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하므로 장스팬에 많이 적용하고 있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단면의 강성이 작아져서 과다 처짐, 진동 등 사용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H-shaped steel, which is generally used to realiz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is a member section that effectively resists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that occur in a member due to bending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steel use. However, Because the neutral axis of the composite section moves to the upper flange side and the concrete slabs bear most of the compressive force, the upper flange is used as an ineffective resistance section. Also, since the performance is excellent in terms of the strength evaluation of the composite member, it is widely applied to the long span. In this case, the rigidity of the cross section is relatively small, which indicates problems of usability such as excessive deflection and vibr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보의 H형강 외부를 철근콘크리트로 둘러싸는 개념의 철골철근콘크리트보(SRC보,Steel-Reinforced Concrete beam)가 개발되었다. SRC보는 단면의 강도나 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자중이 매우 증가되어 현장시공시 거푸집공사 및 동바리공사에 면밀한 주의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모멘트 구간에서 보부재의 단면 하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에 대해 H형강을 둘러싼 콘크리트의 기여도 없으므로 비효율적 구조단면이라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휨균열이 육안으로 나타나므로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a steel-reinforced concrete beam (SRC beam) was develop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beam of the composite beam with reinforced concrete. The SRC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but it has a drawback in that it requires a careful attention to the formwork and the shorebreak work at the site construction. In addition, there is no contribution of concrete surrounding the H-shaped section to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lower section of the beam member in the section of the momentum, which is an ineffective structure section. Since the concrete bending crack is visually observed, hav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936403호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강판을 거푸집 형상으로 성형하여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형성된 성형 강판보; 상기 콘크리트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성형 강판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슬래브; 및 상기 성형 강판보의 측면판으로 돌출 형성되고, 측면판에서 뿜칠 되는 내화피복재의 하측 방향 흐름을 방지하여 내화피복재가 성형 강판보 측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는 흐름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를 제안한다.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0936403 entitled " Composite Steel Sheet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a Refractory Covering Material Attachment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Patent Document 1). 8, a concrete steel slab formed by molding a steel plate into a shape and casting concrete in a space portion, a concrete slab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eel slab so as to be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concrete, And a flow preventive member protruding from the side plate of the molded steel plate to prevent the downward flow of the refractory covering material sprayed from the side plate so that the refractory covering material is firmly attached to the side of the steel plate Composite steel plate concrete composite sheet. "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다양한 단면을 적용하기 어려웠으며, 상부 플랜지의 상부면에 별도로 다수의 시어커넥터를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어 커넥터의 결합을 위하여 별도의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비용 및 공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various cross sections to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Since a plurality of shear connectors must be separat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 separate process is required for joining the shear connectors, And it was difficult to mount the deck pl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판을 성형한 유닛 단면을 조립하여 구성하여 박스 형태로 제작하여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때문에 부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외측 하부로 돌출된 돌출 결합부를 구성하여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외부에서 한번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성이 뛰어나며, 외부 돌출 결합부의 구성으로 단면 2차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물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plate, Since the assembly can be assembled from the outside at one time while being able to increase the rigidity, it is easy to assemble and is superior in the fabrication. The external moment of inertia can be increa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projecting engagement por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steel plate with a joint portion formed thereon.
본 발명은 모서리가 각각 직각인 W형상 단면을 갖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지지부와, 수직 지지부의 상단과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각각 엇갈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측면 유닛을, 측면 유닛과 측면 유닛의 돌출 결합부가 각각 맞닿도록 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하되, 수직으로 형성되는 웨브와 웨브의 상단과 하단부에서 각각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로 형성되어 I형상의 단면을 갖는 전단 연결재의 웨브의 하단부가 돌출 결합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되는 강재보와; 강재보의 내부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support unit, a vertical support unit, a lower support unit, and a lower support unit. The vertical support unit includes a vertical support unit having a W-shaped cross section with corners at right angles, an upper support unit and a lower support unit, which are extended from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support unit, And a protruding engaging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at a vertically downward direction,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of the side unit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of the side unit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form a box- A steel beam formed by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horizontally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eb, respectively, the lower ends of webs of shear connectors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are positioned between the projecting engaging portions; And a concrete pour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bea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formed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 engaging part.
또한, 측면 유닛의 돌출 결합부의 하단부는 연장되어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e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a molded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 engaging part formed by extending a lower end of a protruding engaging part of a side unit and being formed by being bent in an outward horizontal direction.
또한, 강재보의 전체 길이의 상부를 덮는 판 형상으로 일정간격으로 전단 연결공이 통공되어 형성된 상부판과, 상부판의 양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측면판과, 측면판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측면 유닛의 상부 지지부보다 작은 폭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하부판으로 형성된 덮개가, 하부판이 측면 유닛의 상부 지지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돌출 결합부를 갖는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late has a plate-like shape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l beam and the shear connection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ide plate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a cover formed of a lower plate extending to form a width smaller than the upper support portion of the unit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portion of the side unit.
또한, 측면판은 하부판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molded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 engaging part, wherein the side plate is inclined to an acute angle with the bottom plate.
또한, 전단 연결재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단 연결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molded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 engaging part, wherein a shear connection hole is formed in the shear connection material at regular intervals.
또한, 강재보의 수직 지지부를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며, 강재보의 중앙부에는 수직 지지부의 중앙부에서 상부측에 양단부에서는 수직 지지부의 중앙부에서 하부측에 구성되는 간격유지부재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the vertical support portions of the steel beams are mutually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spacing member, which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at the lower side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t the both ends, To provide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molded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 engaging portion formed therein.
본 발명의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판을 성형한 유닛 단면을 조립하여 구성하여 박스 형태로 제작하여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때문에 부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외측 하부로 돌출된 돌출 결합부를 구성하여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외부에서 한번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성이 뛰어나며, 외부 돌출 결합부의 구성으로 단면 2차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물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composite of the steel concrete using the formed steel plate having the outer projected joi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ssembling the unit section formed with the steel sheet and building it into a box shape to fill the concrete inside,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iffness. In addition, since it can be assembled from the outside at one time, it is easy to assemble and is excellent in manufacturing,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structure by the structure of the outer projecting joint,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가 적용된 구조 시스템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강재보의 제1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강재보의 제1 실시 예가 적용된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강재보의 제2 실시 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재보의 제2 실시 예가 적용된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강재보에 간격유지부재가 구성된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상기 도 7a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al system to which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is applied using a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and engag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portion to which a first embodiment of a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be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 contracting portion to which a steel be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gap holding member is provided in a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side view of FIG. 7A.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plate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a conventional refractory coating material attaching structure.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가 적용된 구조 시스템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al system to which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is applied using a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and engag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은 측면 유닛(10a) 2개가 상호 결합하여 박스형태로 강재보(10)를 형성하고, 강재보(10)의 상부 지지부(12)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2)의 단부를 안착시켜, 데크 플레이트(2)의 상부에 콘크리트(50)를 타설하여 강재보(10)의 내부에 콘크리트(50)를 충전하여 합성보를 형성하고, 콘크리트(5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합성보의 상부에 슬래브(S)를 형성하도록 한다. The structural system using th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the molded steel plate having the outer projecting and engaging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도 2는 본 발명의 강재보의 제1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보(10)는 측면 유닛(10a) 2개가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 단면을 만들도록 마주보는 형태로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측면 유닛(10a)은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지지부(11)와, 수직 지지부(11)의 상단과 하단부에 각각 엇갈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12) 및 하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3)의 단부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 결합부(14)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각각 직각인 W형상 단면을 갖는다.The
수직 지지부(11)는 강재보(10)의 측벽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형성되며,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상부 지지부(12)는 수직 지지부(11)의 상단부에는 연장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수직 지지부(11)와 직각으로 형성된다. 상부 지지부(12)는 강재보(10)를 형성하였을 때 강재보(1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단부에 데크 플레이트(2)의 단부가 안착이 되도록 한다.The
하부 지지부(13)는 상부 지지부(12)와 평행이 되도록 수직 지지부(11)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타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하부 지지부(13)는 상부 지지부(12)와는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직각인 W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The
돌출 결합부(14)는 하부 지지부(13)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수직 지지부(11)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돌출 결합부(14)는 측면 유닛(10a) 끼리의 상호 결합시, 돌출 결합부(14) 끼리 접하도록 하여 결합면적을 늘려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e protruding
강재보(10)에서 외측 하부로 돌출된 형태로 돌출 결합부(14)가 구성되어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측면 유닛(10a)(10a) 끼리의 결합시에도 외부에서 돌출 결합부(14)를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성이 뛰어나며, 강재보의 하부로 돌출 결합부(14)를 구성하여 강재보(10)의 단면 면적을 증가시켜 단면 2차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물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igidity an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rotruding engaging
또한, 측면 유닛(10a)의 돌출 결합부(14)의 하단부는 연장되어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부(15)가 구성되어, 강재보(10)의 단면을 보강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며, 보강부(15)는 전단 연결재(30)의 하부 플랜지(33)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end of the
이와 같이, 상부 지지부(12), 수직 지지부(11), 하부 지지부(13) 및 돌출 지지부(14)로 이루어지는 측면 유닛(10a)은 2개의 측면 유닛(10a)을 돌출 결합부(14)가 상호 접하도록 결합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부 지지부(12)는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가 안착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수직 지지부(11) 및 하부 지지부(13)는 거푸집의 역할을 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측면 유닛(10a) 간의 결합시 돌출 지지부(14)(14)를 용접, 볼트 결합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강재보의 제1 실시 예가 적용된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portion to which a first embodiment of a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보(10)를 이루는 측면 유닛(10a)간의 결합시 측면 유닛(10a)과 측면 유닛(10a)의 돌출 결합부(14)(14)의 사이에 I형 단면을 갖는 전단 연결재(30)가 구성되도록 하여, 강재보(10)의 강성을 증가시키며, 강재보(10)의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50)와 이종 재료인 강재보(10)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한다.2 and 3, between the
전단 연결재(30)는 웨브(31)와 웨브(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32) 및 하부 플랜지(33)로 구성되어, I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전단 연결재(30)는 강재보(10)의 전길이에 구성되도록 한다.So that the
또한, 전단 연결재(30)의 웨브(31)와 플랜지(32)(32)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단 연결공(34)이 통공되도록 하여, 전단 연결공(34)을 통하여 콘크리트가 단절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할 수 있다.The shear connection holes 34 are formed in the
웨브(31)는 하단부는 측면 유닛(10a)과 측면 유닛(10a)의 돌출 결합부(14)(14)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돌출 결합부(14)의 하단부가 하부 플랜지(33)의 상부면에 밀착이 되도록 한다.The lower end of the
상부 플랜지(32)는 웨브(31)의 높이를 조절하여 측면 유닛(10a)의 상부 지지부(12) 보다 높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부 플랜지(32)는 웨브(31)의 높이를 조절하여 측면 유닛(10a)의 상부 지지부(12) 보다 높게 구성되면, 상부 플랜지(32)가 상부 지지부(12)와 상부로 높이 차가 나도록 하여 플랜지(32)가 슬래브에 매입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강재보(10)의 내부 및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한다.The
상부 플랜지(32)는 강재보(10)의 상부에 덮개(40)가 결합구성될 때에는, 덮개(4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부 플랜지(32)는 측면 유닛(10a)의 상부 지지부(12)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강재보의 제2 실시 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강재보의 제2 실시 예가 적용된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be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 steel plate having an outer projecting / contracting portion to which a steel be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강재보(10)의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강재보(10)의 상부에는 덮개(40)가 추가로 결합 구성되도록 하여 강재보(10)의 단면강성이 증가되어 시공하중에 대한 처짐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연직하중에 대하여 단면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발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덮개(40)는 강재보(10)의 전체 길이의 상부를 덮도록, 강재보(10)의 상부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의 상부판(41)과, 상부판(41)의 양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측면판(42)과, 측면판(42)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판(43)으로 형성된다.The
상부판(41)은 일정간격으로 전단 연결공(41a)이 통공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충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덮개(40)의 상부와 하부가 단절되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전단 연결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합성되도록 한다.The
하부판(43)은 측면 유닛(10a)의 상부 지지부(12)에 각각 안착되어 결합되어 강재보(10)의 전체 길이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다.The
이때, 하부판(43)의 폭은 측면 유닛(10a)의 상부 지지부(12)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 지지부(12)에 데크 플레이트(2)의 단부 거치시 간섭을 배제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도 5a는 보강부(15)가 형성되지 않은 강재보(10)를 이용한 합성보이고, 도 5b는 보강부(15)가 형성된 강재보(10)를 이용한 합성보로써, 보강부(15)는 전단 연결재(30)의 하부 플랜지(33)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5A shows a composite beam using the
도 6은 상기 도 5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42)은 상부판(41)의 양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거나, 하부판(43)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하부판(43)과 예각을 이루도록 사선으로 형성하면, 덮개(40)의 단면은 측면판(42)의 상단부가 넓고 측면판(42)의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하게 되며, 콘크리트와의 구속력을 강화시킨다.The cross section of the
도 6a는 보강부(15)가 형성되지 않은 강재보(10)를 이용한 합성보이고, 도 6b는 보강부(15)가 형성된 강재보(10)를 이용한 합성보이다.6A shows a composite beam using the
도 7a는 본 발명의 강재보에 간격유지부재가 구성된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상기 도 7a의 측면도이다.Fig. 7A is a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pacing member is formed in a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side view of Fig. 7A.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보(10)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간격유지부재(20)가 결합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간격유지부재(20)는 강재보(10)의 마주보는 수직 지지부(11)(11)를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결합은 용접, 브라켓을 이용한 볼트 결합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도면에서는 간격유지부재(20)로 L형강(앵글)이 사용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수직 지지부(11)(11)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부재로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부재, 예를 들어, ㄷ형강(채널), Z형강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간격유지부재(20)는 형태 유지, 수직 지지부(11)(11)의 벌어짐 방지 뿐만 아니라 이종재료인 콘크리트와 강재보(10)의 합성을 유도하는 전단 연결재로서도 기능한다. Although an example in which an L-shaped steel (angle) is used as the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재(20)는 강재보(10)의 전길이에 걸쳐서 내부의 폭방향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데, 강재보(10)의 중앙부에는 수직 지지부(11)의 중앙부에서 상부측에 양단부에서는 수직 지지부(11)의 중앙부에서 하부측에 구성되도록 하여, 모멘트가 작용하는 강재보(10)의 중앙부에는 비틀림 등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하고, 양단부는 전단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한다. 7B, the
본 발명의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판을 성형한 유닛 단면을 조립하여 구성하여 박스 형태로 제작하여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때문에 부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외측 하부로 돌출된 돌출 결합부를 구성하여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외부에서 한번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성이 뛰어나며, 외부 돌출 결합부의 구성으로 단면 2차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물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composite of the steel concrete using the formed steel plate having the outer projected joi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ssembling the unit section formed with the steel sheet and building it into a box shape to fill the concrete inside,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iffness. In addition, since it can be assembled from the outside at one time, it is easy to assemble and is excellent in manufacturing,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structure by the structure of the outer projecting joint,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2 : 데크 플레이트
10 : 강재보
10a : 측면 유닛
11 : 수직 지지부
12 : 상부 지지부
13 : 하부 지지부
14 : 돌출 결합부
15 : 보강부
20 : 간격유지부재
30 : 전단 연결재
31 : 웨브
32 : 상부 플랜지
33 : 하부 플랜지
34 : 전단 연결공
40 : 덮개
41 : 상부판
41a : 전단 연결공
42 : 측면판
43 : 하부판
50 : 콘크리트2: Deck plate
10: steel beam
10a: side unit
11: vertical support
12: upper support
13:
14:
15:
20:
30: Shear connector
31: web
32: upper flange
33: Lower flange
34: Shear connection ball
40: Cover
41: Top plate
41a: Shear connection ball
42: side plate
43:
50: Concrete
Claims (6)
강재보(10)의 내부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50);를 포함하며,
강재보(10)의 중앙부에서는 수직 지지부(11)의 중앙부 상부측에서, 양단부에서는 수직 지지부(11)의 중앙부 하부측에서, 강재보(10)의 마주보는 수직 지지부(11)(11)를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의 간격유지부재(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An upper supporting part 12 and a lower supporting part 13 which are formed by being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ch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and which are extended from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supporting part 11, The side unit 10a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s 14 and 14 of the side unit 10a are formed by the two side units 10a including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s 14 extending from the end portions and bent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Shaped upper and lower flanges 32 and 33 formed horizontally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eb 31 and the web 31, respectively, And the bottom end of the web 31 of the shear connector 30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jecting engaging portions 14, 14;
And a concrete (50) placed in an inner space of the steel beam (10)
The vertical support portions 11 and 11 of the steel beam 10 facing the steel beam 10 are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el beam 10, And a plurality of spacing members (20) are installed so as to interconnect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측면 유닛(10a)의 돌출 결합부(14)의 하단부는 연장되어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부(15)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part (15) is formed by extending the lower end of the projecting engaging part (14) of the side unit (10a) and being bent in the outer horizontal direction. Composite.
전단 연결재(30)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단 연결공(34)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hear connection member (30) is formed with a shear connection hole (34)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a through hole (34).
강재보(10)의 전체 길이의 상부를 덮는 판 형상으로 일정간격으로 전단 연결공(41a)이 통공되어 형성된 상부판(41)과, 상부판(41)의 양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측면판(42)과, 측면판(42)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측면 유닛(10a)의 상부 지지부(12)보다 작은 폭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하부판(43)으로 형성된 덮개(40)가,
하부판(43)이 측면 유닛(10a)의 상부 지지부(12)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돌출 결합부를 갖는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upper plate 41 having a plate-like shap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l beam 10 and having a shear connection hole 41a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side plate 42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41 And a bottom plate 43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42 to the outside so as to form a width smaller than the upper support portion 12 of the side unit 10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late (43) is seated and engaged in the upper support (12) of the side unit (10a).
측면판(42)은 하부판(43)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ide plate (42)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lower plate (4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0528A KR101483362B1 (en) | 2013-07-09 | 2013-07-09 |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0528A KR101483362B1 (en) | 2013-07-09 | 2013-07-09 |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3362B1 true KR101483362B1 (en) | 2015-01-15 |
Family
ID=5258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0528A KR101483362B1 (en) | 2013-07-09 | 2013-07-09 |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3362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817B1 (en) * | 2016-08-05 | 2018-05-18 | 주식회사 포스코 | Installa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necting beam unit |
CN110359353A (en) * | 2019-06-14 | 2019-10-22 | 东南大学 | A kind of Steel-concrete Combined Beam Structures |
CN110670779A (en) * | 2019-08-28 | 2020-01-10 | 郭春来 | Assembled building floor |
KR102443153B1 (en) * | 2021-10-15 | 2022-09-15 | (주)나엘에스피 | Composite Beam with H-Shaped Steel for Layer Saving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542B1 (en) * | 2004-11-10 | 2006-09-2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ybrid Beam Structure Using Thin Steel Plate and Concrete |
KR100646103B1 (en) * | 2005-04-27 | 2006-11-14 | 염경수 | Hybrid beam using FRP form |
KR100908507B1 (en) * | 2007-06-14 | 2009-07-2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igh-strength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H-shaped steel and molded steel sheet |
KR101222206B1 (en) * | 2010-09-15 | 2013-01-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mposite beam using built-up beam of profiled steel and deck plate |
-
2013
- 2013-07-09 KR KR1020130080528A patent/KR10148336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542B1 (en) * | 2004-11-10 | 2006-09-2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ybrid Beam Structure Using Thin Steel Plate and Concrete |
KR100646103B1 (en) * | 2005-04-27 | 2006-11-14 | 염경수 | Hybrid beam using FRP form |
KR100908507B1 (en) * | 2007-06-14 | 2009-07-2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igh-strength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H-shaped steel and molded steel sheet |
KR101222206B1 (en) * | 2010-09-15 | 2013-01-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mposite beam using built-up beam of profiled steel and deck plat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817B1 (en) * | 2016-08-05 | 2018-05-18 | 주식회사 포스코 | Installa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necting beam unit |
CN110359353A (en) * | 2019-06-14 | 2019-10-22 | 东南大学 | A kind of Steel-concrete Combined Beam Structures |
CN110670779A (en) * | 2019-08-28 | 2020-01-10 | 郭春来 | Assembled building floor |
KR102443153B1 (en) * | 2021-10-15 | 2022-09-15 | (주)나엘에스피 | Composite Beam with H-Shaped Steel for Layer Saving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4803B1 (en) | Joint System of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and Colum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5406563B2 (en) | Composite beam, building, an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 |
KR101144586B1 (en) | Steel built-up beam having closed section for applying long span and reduction of height and concrete filled composite beam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880490B1 (en) |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 And Composite Beam For Deep Deck | |
KR101557226B1 (en) | Prestresse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 |
KR101483362B1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 |
KR101844344B1 (en)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construction method of rigid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880492B1 (en) |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 And Composite Beam | |
KR101948812B1 (en) | Hybrid Beam Consisted Of Compressive U-Shaped Flange And U And H-Shaped End Blocks | |
KR200455723Y1 (en) | Hybrid steel ball | |
KR100870070B1 (en) |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 |
KR20190012766A (en) | Built-Up Beam | |
KR101482979B1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cap plate and structure system thereof | |
KR20120028764A (en) | Composite beam using built-up beam of c-shaped member and inverse t-shaped member | |
KR101160763B1 (en) | Composite beam using deck plate having plulality of cap plate | |
KR101482977B1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 |
KR102374295B1 (en) |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 |
KR100870068B1 (en) |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 |
KR101170897B1 (en) | Composite Beam not to require the additional Fire Resistant Coating and Beam-Slab Joint Using the same | |
KR101191545B1 (en) | Deck plate having plulality of cap plate | |
KR101591808B1 (en) | the deep composite precast beam,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mposite precast column and the deep composite precast beam | |
KR101548215B1 (en) | the deep composite precast beam,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mposite precast column and the deep composite precast beam | |
KR20190126530A (en) | Pre-fabricated column with angle-type reinforcing bar | |
KR101629743B1 (en) |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recast girder and the precast beam | |
KR20180022255A (en) | Rigid joint structures using end face of beam as mold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