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690B1 - Terminal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 Google Patents

Terminal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690B1
KR101482690B1 KR1020130110160A KR20130110160A KR101482690B1 KR 101482690 B1 KR101482690 B1 KR 101482690B1 KR 1020130110160 A KR1020130110160 A KR 1020130110160A KR 20130110160 A KR20130110160 A KR 20130110160A KR 101482690 B1 KR101482690 B1 KR 101482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ordinates
current
line
b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재
Original Assignee
(주) 엘렉스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렉스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 엘렉스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3011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6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6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for vehicle monitoring and to an invention which determines whether a current vehicle position enters in a boundary area or not and transmits vehicle related information and all coordinates related to the boundary area to a server by using a wireless network if a vehicle moves in the boundary area. To this end, disclosed is the terminal device for the vehicle monitoring which includes: a GPS unit which sets up a current vehicle position on a map as a current coordinate by using a GPS; a coordinate setting unit which sets up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ap as a standard coordinate and sets up a boundary area which is formed with a boundary line in which three or more boundary coordinates are connected based on the set standard coordinate; a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enters the boundary area or not; and a communications unit which transmits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boundary coordinate to the server if the vehicle moves in the boundary area.

Description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의 차량위치가 테두리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테두리영역에 진입하면 차량관련 정보와 테두리영역에 관련된 모든 좌표를 무선망을 이용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current vehicle position has entered a border area. When the vehicle enters a border area, all coordinates related to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nd the border area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To an invention which can be transmitted.

최근에 VMS를 위한 장비로는 위성을 이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으로는 미국 Orbcomm사의 저궤도 위성을 이용한 시스템이 있으나, 단말기 가격과 통신요금이 소요되는 문제로 인하여 확대 보급의 저해요소로 작용되고 있다.Recently, a system using a satellite is used as a device for VMS. Currently, a system using a low-orbit satellite of Orbcomm of the US is the most widely used system. However, due to a problem of a terminal price and a communication fee, It is acting as an inhibitory factor.

한편, 육상 이동체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위치 추적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이동체 자동 위치 추적시스템(AVLS: Automatic Vehicle Location System)(이하, 간단히 "AVLS"라 함) 이라 하고, 육상 이동체에 있어서 AVLS를 실현할 수 있는 통신장비를 MDT(Mobile Data Terminal)이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position tracking system is also required in the land mobile terminal. Such a system is called an AVLS (Automatic Vehicle Location System)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VLS" The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can realize AVLS is called MDT (Mobile Data Terminal).

즉, AVLS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이동차량의 현재 위치와 차량관련 정보를 무선망을 이용해 관제센터에 전달하고 이를 GIS상에 표시함으로써 관제센터에서 각 차량 위치와 운행 정보를 확인하여 각종 통제 명령을 내릴 수 있게 하는 첨단 차량위치 추적시스템이다.In other words, the AVLS transmit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ing vehicle and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to the control center using the wireless network and displays it on the GIS, thereby confirming each vehicle loc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control center, It is a state-of-the-art vehicle positioning system that allows you to get down.

상기와 같은 시스템의 적용분야에는 콜택시 관제시스템, 보안차량 관제시스템, 물류차량 관제시스템, 일반/고속버스 관제시스템, 위험물 적재차량 관제시스템, 기타 통합관리가 필요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통신장비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현재 이용되고 있는 통신장비들은 고가의 제품들로써 그 활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application fields of the above system are used in fields requiring call control system, security vehicle control system, logistics vehicle control system, general / high-speed bus control system, dangerous goods vehicle control system, and other integrated management, However, currently used communication equipments are expensive products and their usability is degraded.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13-0020547(발명의 명칭 : 차량도착안내방법, 차량도착안내장치 및 기록매체)에 따르면 소정의 지역의 지도상에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 형태의 영역 또는 소정의 도로를 따라 형성된 다각형 형태의 영역을 차량도착안내영역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기술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5-0094238(발명의 명칭 : 이동체 관제용 이동 데이터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전송 방법)에 따르면 VMS 및 AVLS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이동체에 구비된 단측파대(SSB) 및 초단파대(VHF) 송수신기에 부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한 단말기로써, 이동체의 ID, GPS의 현재시각과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에 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According to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20547 (entitled " Vehicle Arrival Guidance Method, Vehicle Arrival Guidance Device & Recording Medium ")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a predetermined radius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0094238 (entitled " Moving Object Controlling Mobile Data Terminal and Data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VMS and AVLS, it is easy to attach to a single sideband (SSB) and a VHF transceiver provided in a mobile body,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are known.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현재의 차량위치가 테두리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테두리영역에 진입하면 차량관련 정보와 테두리영역에 관련된 모든 좌표를 무선망을 이용해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는 차량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vehicle control apparatus, which are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 current vehicle position has entered a border reg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for a vehicle control system capable of more accurately grasping the position of a vehicle that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a server using a wireless network.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GPS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의 차량위치를 현재좌표로 설정하는 GPS부, 지도상에 소정의 위치를 기준좌표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좌표를 기준으로 적어도 셋 이상의 테두리좌표를 연결한 테두리선으로 형성되는 테두리영역로 설정하는 좌표설정부, 차량이 테두리영역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차량이 테두리영역 내로 진입하면 차량의 차량정보와 테두리좌표를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lso achieved by a GPS unit for setting a current vehicle position on a map on which a vehicle is located using the GPS as the current coordinates, a GPS unit for set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ap as reference coordinates, A border area formed by a border line connecting at least three border coordinates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the border area,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frame coordinates of the vehicle to the server when the vehicle enters the border area. . ≪ / RTI >

또한, 판단부는 기준좌표와 현재좌표를 직선으로 연결한 제1 기준선이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를 계산하되, 제1 기준선이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가 짝수 번일 경우에는 기준좌표가 테두리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하고, 제1 기준선이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가 홀수 번일 경우에는 기준좌표가 테두리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may calculate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coordinates and the current coordinates are combined with the border line. If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meets the border line is an even number, the reference coordinates are determined to be located outside the border area And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meets the frame line is an odd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coordinates are located inside the frame area.

또한, 판단부는 기준좌표가 테두리영역 내부에 위치된다고 판단되면, 기준좌표와 현재좌표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제2 기준선이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를 계산하되, 제2 기준선이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가 짝수 번일 경우에는 현재좌표가 테두리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하고, 제2 기준선이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가 홀수 번일 경우에는 현재좌표가 테두리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coordinates are located within the border area, the determination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reference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coordinates and the current coordinates are linearly connected with the border line. If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reference line meets the border line is an even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coordinates are located inside the border area. If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second reference line meets the border line is an odd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coordinates are located outside the border area.

또한, 현재좌표, 기준좌표 및 테두리영역을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면서 현재좌표가 테두리영역 내로 진입하면 차량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current coordinates, the reference coordinates, and the border area on the map, and display the vehicle information when the current coordinates enter the border area.

또한, 좌표설정부는 테두리영역을 현재의 차량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간격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통신부는 차량이 복수의 구간에 진입할 때마다 차량이 진입한 구간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coordinate setting unit divides the border area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o the server information of a section in which the vehicle enters each time the vehicle enters a plurality of sections . ≪ / RTI >

또한, 현재의 차량위치에서 테두리영역 내로 진입할 때까지의 잔여거리, 차량의 이동속도, 도로의 상태를 종합하여 차량이 테두리영역 내로 진입하여 기준좌표에 도착할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하는 도착예정시간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estimated arrival time at which the vehicle enters the border area and calculates the estimated arrival time at which the vehicle will arrive at the reference coordinates by synthesizing the remaining distance from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to the entry into the border area, And the lik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의 차량위치가 테두리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테두리영역에 진입하면 차량관련 정보와 테두리영역에 관련된 모든 좌표를 무선망을 이용해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has entered the border area. When the vehicle enters the border area, all coordinates related to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nd the border area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rver using the wireless network ,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vehicle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의 블럭도.
도 2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테두리영역 내에 차량의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의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for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border area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firming whether a vehicle enters or exits the border area.
4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ontrol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 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structur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as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100)는 GPS부(110), 좌표설정부(120), 판단부(13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도착예정시간산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vehicle control and oper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unit 110, a coordinate setting unit 120, a determination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d a scheduled arrival time calculating unit 160. [0035]

GPS부(110)는 GPS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의 차량위치를 현재좌표(N)로 설정한다. 이러한 GPS부(110)는 GPS와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대한 현재의 위치를 전송받아 지도상에 현재좌표(N)(N)로 설정할 수 있다. The GPS unit 110 sets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at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map to the current coordinate N using GPS. The GPS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GPS in real time, and can receiv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set the current coordinates (N) (N) on the map.

좌표설정부(120)는 지도상에 소정의 위치를 기준좌표(S)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좌표(S)를 기준으로 적어도 셋 이상의 테두리좌표를 연결한 테두리선(EL)으로 형성되는 테두리영역(EA)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좌표설정부(120)는 설정된 기준좌표(S)를 기준으로 하되, 기준좌표(S)가 테두리영역(EA)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된 기준좌표(S)를 기준으로 테두리좌표를 연결한 테두리선(EL)으로 테두리영역(EA)으로 설정함으로써, 지도상에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원형태의 영역으로 설정할 때보다 더욱 정확하게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oordinate setting unit 120 sets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ap as a reference coordinate S and forms a border area EL formed by a border line EL connecting at least three or more border coordinates on the basis of the set reference coordinates S EA). Such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rdinate setting unit 120 sets the reference coordinates S to be within the edge area EA with reference to the set reference coordinates S as a reference. In this manner, by setting the frame area EL as the border area EA by connecting the frame coordinates based on the set reference coordinates S, it is possible to obtain a circular area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n the map You can set the position more accurately than when you set it up.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좌표설정부(120)는 테두리영역(EA)을 현재의 차량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간격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통신부(140)는 차량이 복수의 구간에 진입할 때마다 차량이 진입한 구간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표설정부(120)가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구간에 진입할 때마다 진입한 구간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차량이 어느 지역을 통과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빠르고 정확한 구간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구간의 정보에 빠르게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다.The coordinate setting unit 120 divides the frame area EA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ever the vehicle enters a plurality of sections, The information of the entered sec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s described above, the coordinate setting unit 120 divides the vehicl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enters the section, the information of the entered sections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o that it is possible to know exactly where the vehicle is passing,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s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cop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ection provided in real time.

판단부(130)는 차량이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부(130)는 기준좌표(S)와 현재좌표(N)를 직선으로 연결한 제1 기준선(SL1) 또는 제2 기준선(SL2)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를 계산하여 차량이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the border area EA. The determin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or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which is a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nd the current coordinates N, meets the border line EL,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enters the edge area EA.

여기서 판단부(130)는 기준좌표(S)와 현재좌표(N)를 직선으로 연결한 제1 기준선(SL1)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1 기준선(SL1)과 테두리선(EL)이 만나는 횟수를 계산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unit 130 sets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connecting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nd the current coordinates N by a straight line and sets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and the border line EL meet Can be calculated.

이때 제1 기준선(SL1)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가 짝수 번일 경우에는 기준좌표(S)가 테두리영역(EA) 외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하고, 제1 기준선(SL1)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가 홀수 번일 경우에는 기준좌표(S)가 테두리영역(EA) 내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meets the frame line EL is an even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re positioned outside the frame area EA, and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is determined as a frame line EL is an odd number of time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re located inside the frame area EA.

또한, 판단부(130)는 설정된 제1 기준선(SL1)을 이용하여 기준좌표(S)가 테두리영역(EA) 내부에 위치된다고 판단되면, 기준좌표(S)와 현재좌표(N)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제2 기준선(SL2)을 다시 설정하고, 설정된 제2 기준선(SL2)과 테두리선(EL)이 만나는 횟수를 다시 계산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re positioned within the edge area EA using the set first reference line SL1, th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nd the current coordinates N as straight lines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to be connected can be set again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et second reference line SL2 and the border line EL meet can be calculated again.

이때 제2 기준선(SL2)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가 짝수 번일 경우에는 현재좌표(N)가 테두리영역(EA) 내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하고, 제2 기준선(SL2)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가 홀수 번일 경우에는 현재좌표(N)가 테두리영역(EA) 외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meets the frame line EL is an even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coordinate N is positioned inside the frame area EA,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is determined as the frame line EL is an odd number of time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urrent coordinate N is located outside the frame area EA.

즉, 판단부(130)는 제1 기준선(SL1)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가 홀수 번이면서 제2 기준선(SL2)이 테두선과 만나는 횟수가 짝수 번일 때 차량이 테두리영역(EA)에 진입하는 걸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at is, 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meets the frame line EL is an odd number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meets the frame line is an even number, th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the border area EA, As shown in FIG.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통신부(140)는 차량이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하면 차량의 차량정보와 테두리좌표를 서버에 전송한다. 여기서 차량의 차량정보는 차량의 현재 상태, 차량이 기준좌표(S)까지 운행한 총거리, 차량의 현재위치, 차량이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운행한 시간과 거리 차량에 적재된 물품과 양 등등 차량에 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좌표는 테두리영역(EA)의 모서리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꼭지점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frame coordinates of the vehicle to the server when the vehicle enters the border area EA. Here,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cludes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the total distance that the vehicle traveled to the reference coordinate 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he time the vehicle traveled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border coordinates may be all vertexes capable of displaying the edge of the border area EA.

또한, 차량이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할 경우에만 차량의 차량정보와 테두리좌표를 서버에 전송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두리영역(EA)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내에 접근할 경우에도 차량의 차량정보와 테두리좌표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frame coordinates of the vehicle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only when the vehicle enters the frame area EA,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ven when approach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based on the frame area EA,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frame coordinates of the vehicl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디스플레이부(150)는 현재좌표(N), 기준좌표(S) 및 테두리영역(EA)을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면서 현재좌표(N)가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하면 차량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차량의 차량정보인 차량의 현재 상태, 차량이 기준좌표(S)까지 운행한 총거리, 차량의 현재위치, 차량이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운행한 시간과 거리 차량에 적재된 물품과 양, 하역에 대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current coordinates N,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nd the edge area EA on the map and displays the vehicle information when the current coordinates N enters the edge area EA. The display unit 150 includes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which is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total distance that the vehicle traveled to the reference coordinate (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he time and distance the vehicle traveled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이때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면, 차량에 관련된 모든 정보, 현재좌표(N), 기준좌표(S), 테두리좌표, 테두리영역(EA) 등등을 용이하게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50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Thus, when the touch screen is formed,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the current coordinate N, the reference coordinates S, the frame coordinates, the frame area EA, and the like can be easily entered or modified.

도착예정시간산출부(160)는 현재의 차량위치에서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할 때까지의 잔여거리, 차량의 이동속도, 도로의 상태를 종합하여 차량이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하여 기준좌표(S)에 도착할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한다. 이러한 도착예정시간산출부(160)는 좌표설정부(120)가 테두리영역(EA)을 현재의 차량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간격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차량이 복수의 구간에 진입할 때마다 구간의 정보를 통신부(140)로부터 전송받음으로써, 실시간으로 차량의 이동속도, 도로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하게 차량이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하여 기준좌표(S)에 도착할 예정인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The estimated arrival time calculating unit 160 calculates the estimated arrival time calculating unit 160 based on the remaining distance from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to the entry into the frame area EA,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state of the road so that the vehicle enters the frame area EA,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arrive at the coordinate S is calculated. The estimated arrival time calculating unit 160 divides the frame area EA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and when the vehicle enters a plurality of sections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state of the road can be checked in real time so that the vehicle enters the border area EA more precisely and arrives at the reference coordinates S, The time can be calculated.

도 2a 내지 도 3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영역(EA)을 설정하고, 설정된 테두리영역(EA) 내에 차량의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2A to 3A illustrate an operation method of setting a border area EA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the set border area EA.

도 2a는 기준좌표(S)가 테투리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고, 도 2b는 기준좌표(S)가 테투리영역 내에 배치되는 않는 것이고, 도 3a는 현재좌표(N)가 테투리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고, 도 3b는 현재좌표(N)가 테투리영역 내에 배치되는 않는 것이다.Fig. 2A is a diagram in which the reference coordinate S is placed in the texturized area, Fig. 2B is the reference coordinate S is not arranged in the texturized area, Fig. 3A is the current coordinate N being arranged in the texturized area, 3b is that the current coordinate (N) is not placed within the texturized area.

먼저, 좌표설정부(120)는 지도상에 소정의 위치를 기준좌표(S)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좌표(S)를 기준으로 적어도 셋 이상의 테두리좌표를 연결한 테두리선(EL)으로 형성되는 테두리영역(EA)로 설정한다. 즉,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영역(EA)은 폐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coordinate setting unit 120 sets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ap as a reference coordinate S, and a border formed by a border line EL connecting at least three border coordinates based on the set reference coordinates S, Area EA. That is, the edge area EA formed in various shapes can be formed as a closed curve.

또한, 판단부(130)는 기준좌표(S)와 현재좌표(N)를 직선으로 연결한 제1 기준선(SL1) 및 제2 기준선(SL2)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를 계산하여 차량이 테두리영역(EA) 내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130)는 먼저 기준좌표(S)가 테두리영역(EA)의 내부에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기준좌표(S)가 테두리영역(EA)의 내부에 배치되면 현재좌표(N)가 테두리영역(EA)의 내부에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which are obtained by connecting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nd the current coordinates N by a straight line, meet the border line EL,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enters the edge area EA. That is, the determining unit 130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re located inside the edge area EA. If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re positioned inside the edge area EA,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area EA.

다시 말해, 도 2a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준선(SL1) 또는 제2 기준선(SL2)이 닫힌 곡선으로 형성된 테두리 영역의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고 들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테두리선(EL)을 지나야 한다. 이때 제1 기준선(SL1) 또는 제2 기준선(SL2)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는 반드시 홀수 번일 수 있다.2A to 3B, in order to allow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or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to enter and exi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r outside the frame region formed by the closed curve, EL). At this time,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or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meets the frame line EL may be an odd number.

또는 제1 기준선(SL1) 또는 제2 기준선(SL2)이 닫힌 곡선으로 형성된 테두리 영역의 내부에서 내부로 또는 외부에서 외부로 나가고 들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테두리선(EL)을 지나야 한다. 이때 제1 기준선(SL1) 또는 제2 기준선(SL2)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는 반드시 짝수 번일 수 있다.Or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or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must pass the border line EL in order to enter and enter the inside of the border area formed by the closed curve or from the outside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or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meets the border line EL may be an even number.

이에 따라, 판단부(130)가 기준좌표(S)와 현재좌표(N)를 직선으로 연결한 제1 기준선(SL1)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1 기준선(SL1)과 테두리선(EL)이 만나는 횟수를 계산하여 짝수 번일 경우에는 기준좌표(S)가 테두리영역(EA) 외부에 위치되며, 홀수 번일 경우에는 기준좌표(S)가 테두리영역(EA)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determining unit 130 sets a first reference line SL1 that connects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nd the current coordinates N by a straight line and sets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and the border line EL The reference coordinate S is located outside the edge area EA in the case of an even number of times and the reference coordinates S can be located inside the edge area EA in the case of an odd number of times.

이와 같이, 판단부(130)가 설정된 제1 기준선(SL1)을 이용하여 기준좌표(S)가 테두리영역(EA) 내부에 위치된다고 판단되면, 기준좌표(S)와 현재좌표(N)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제2 기준선(SL2)을 다시 설정하고, 설정된 제2 기준선(SL2)과 테두리선(EL)이 만나는 횟수를 다시 계산하여 짝수 번일 경우에는 현재좌표(N)가 테두리영역(EA) 내부에 위치되며, 홀수 번일 경우에는 현재좌표(N)가 테두리영역(EA)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When th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re located within the edge area EA using the set first reference line SL1, the reference coordinates S and the current coordinates N are set as straight lines The number of times the set second reference line SL2 and the border line EL meet is calculated again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coordinate N is within the edge area EA And in the case of an odd number, the current coordinate N may be located outside the edge area EA.

따라서, 판단부(130)는 제1 기준선(SL1)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가 홀수 번이면서 제2 기준선(SL2)이 테두리선(EL)과 만나는 횟수가 짝수 번일 때 차량이 테두리영역(EA)에 진입하는 걸로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first reference line SL1 meets the frame line EL is an odd number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reference line SL2 meets the frame line EL is an even number, (EA). ≪ / RTI >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300)는 GPS부(310), 좌표설정부(320), 판단부(330), 통신부(340), LED부(350) 및 도착예정시간산출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vehicle control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unit 310, a coordinate setting unit 320, a determination unit 330, a communication unit 340, an LED unit 350 And a scheduled arrival time calculation unit 360. [0040]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m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unction of each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them are the same, so that respective further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LED부(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ED portion 35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LED.

이러한 LED부(350)는 RED LED, GREEN LED, BLUE LE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LED부(350)는 현재 위치하는 현재좌표(N)가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하기 전에는 RED LED가 턴 온(turn on)되고,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하면 GREEN LED가 턴 온(turn on)될 수 있다. 이와 같이, LED부(350)는 현재 위치하는 현재좌표(N)가 테두리영역(EA) 내로 진입하는 것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LED가 턴 온(turn on)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테두리영역(EA) 내의 진입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The LED unit 3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D LED, a GREEN LED, and a BLUE LED. At this time, the LED unit 350 turns on the RED LED before the present current coordinate N enters the edge area EA. When the LED unit 350 enters the edge area EA, the GREEN LED turns on turn on. Thus, the LED unit 350 turns on different LEDs on the basis that the current coordinate N that is currently positioned enters the edge area EA, so that the vehicle can be turned on within the edge area EA It can be easily judged whether or not to enter.

지금까지는 디스플레이부(150) 또는 LED부(350)가 도시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을 이용하여 테두리영역(EA) 내의 진입여부를 알릴 수도 있다. 또는 음성과 디스플레이부(150) 또는 LED부(350)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display unit 150 or the LED unit 350 has been described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whether the LED unit 350 has entered the edge region EA by using voice. Alternatively, the display unit 150 or the LED unit 350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voice.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In other word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at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310: GPS부 120, 320: 좌표설정부
130, 330: 판단부 140, 340: 통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360: 도착예정시간산출부
350: LED부
S: 기준좌표 N: 현재좌표
EL: 테두리선 EA: 테두리영역
SL1: 제1 기준선 SL2: 제2 기준선
110, 310: GPS unit 120, 320: coordinate setting unit
130, 330: a determination unit 140, 340:
150: Display unit 160, 360: Estimated arrival time calculating unit
350: LED section
S: Reference coordinates N: Current coordinates
EL: border line EA: border area
SL1: first reference line SL2: second reference line

Claims (6)

GPS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의 차량위치를 현재좌표로 설정하는 GPS부;
상기 지도상에 소정의 위치를 기준좌표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준좌표를 기준으로 적어도 셋 이상의 테두리좌표를 연결한 테두리선으로 형성되는 테두리영역로 설정하는 좌표설정부;
상기 차량이 상기 테두리영역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차량이 상기 테두리영역 내로 진입하면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와 상기 테두리좌표를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기준좌표와 상기 현재좌표를 직선으로 연결한 제1 기준선이 상기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를 계산하되, 상기 제1 기준선이 상기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가 짝수 번일 경우에는 상기 기준좌표가 상기 테두리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기준선이 상기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가 홀수 번일 경우에는 상기 기준좌표가 상기 테두리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
A GPS unit for setting a current vehicle position at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map to a current coordinate using GPS;
A coordinat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ap as a reference coordinate and to set a border area formed by a border line connecting at least three or more border coordinates based on the reference coordinates set;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enters the border area;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frame coordinates of the vehicle to the server when the vehicle enters the frame area,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calculates a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coordinates and the current coordinates is linearly connected with the border line, and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meets the border line is an even number, And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coordinates are located within the border area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reference line meets the border line is an odd numb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기준좌표가 상기 테두리영역 내부에 위치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준좌표와 상기 현재좌표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제2 기준선이 상기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를 계산하되, 상기 제2 기준선이 상기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가 짝수 번일 경우에는 상기 현재좌표가 상기 테두리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준선이 상기 테두리선과 만나는 횟수가 홀수 번일 경우에는 상기 현재좌표가 상기 테두리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reference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coordinate and the current coordinate line with the edge line intersects with the edge line when the reference coordinate is located within the edge area, When the number of times of meeting is an even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coordinate is located inside the frame region, and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reference line meets the frame line is an odd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coordinate is located outside the frame reg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재좌표, 상기 기준좌표 및 상기 테두리영역을 상기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현재좌표가 상기 테두리영역 내로 진입하면 상기 차량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current coordinates, the reference coordinates, and the border area on the map, and display the vehicle information when the current coordinates enter the border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표설정부는 상기 테두리영역을 상기 현재의 차량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간격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복수의 구간에 진입할 때마다 상기 차량이 진입한 구간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rdinate setting section divides the frame area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and the communication section,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lurality of sections, To the server (10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차량위치에서 상기 테두리영역 내로 진입할 때까지의 잔여거리, 차량의 이동속도, 도로의 상태를 종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테두리영역 내로 진입하여 상기 기준좌표에 도착할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하는 도착예정시간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용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arrive at the reference coordinates by integrating the remaining distance from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to the entry into the frame area, the vehicle traveling speed, and the road condition, And a scheduled time calculating unit.
KR1020130110160A 2013-09-13 2013-09-13 Terminal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KR1014826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160A KR101482690B1 (en) 2013-09-13 2013-09-13 Terminal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160A KR101482690B1 (en) 2013-09-13 2013-09-13 Terminal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690B1 true KR101482690B1 (en) 2015-01-21

Family

ID=5259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160A KR101482690B1 (en) 2013-09-13 2013-09-13 Terminal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69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3504A (en) * 2019-06-28 2019-09-10 江苏物联网研究发展中心 More vehicle monitoring systems based on Beidou satellite navig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5830A (en) * 2000-10-26 2002-05-10 Seiko Epson Corp Moving object manag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managing server for the same
JP2002208096A (en) * 2001-01-12 2002-07-26 Secom Co Ltd Area monitoring system for movable body and area monitoring method for movable body
JP2006163589A (en) * 2004-12-03 2006-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Mobi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2008134922A (en) * 2006-11-29 2008-06-12 Meidensha Corp Moving object terminal for position monitoring system moving obje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5830A (en) * 2000-10-26 2002-05-10 Seiko Epson Corp Moving object manag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managing server for the same
JP2002208096A (en) * 2001-01-12 2002-07-26 Secom Co Ltd Area monitoring system for movable body and area monitoring method for movable body
JP2006163589A (en) * 2004-12-03 2006-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Mobi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2008134922A (en) * 2006-11-29 2008-06-12 Meidensha Corp Moving object terminal for position monitoring system moving obje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3504A (en) * 2019-06-28 2019-09-10 江苏物联网研究发展中心 More vehicle monitoring systems based on Beidou satellite navig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42826B (en) Device, vehicle and method in the vehicle of support are provided for vehicle driver
US11378980B2 (en) Cellular device location discovery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vehicles
KR101586706B1 (en) Method for managing car parking using car stopper with geomagnetic wireless sensor
US7098806B2 (en) Traffic preemption system
CN114255606B (en) Auxiliary driving reminding method, auxiliary driving reminding device and auxiliary driving reminding device for map and map
US20180224284A1 (en) Distributed autonomous mapping
WO2018208045A3 (en) Ble beacon-based entry and exi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4236578A (en)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system
US8907818B2 (en) Bus stop and system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in relation to buses
US9958277B1 (en) Waypoint-assisted navigation of an enterprise facility
US11367357B2 (en) Traffic control apparatus, traffic control system, traffic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cording medium
KR20210018455A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unmanned vehicle
CN103675762A (en) Display of information related to detected radar signal
CN104535068B (en) Blind area route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US20150066364A1 (en) Navigation system
KR101461140B1 (en) System for recogniging lane level and guiding lane change based on lane signal intensity and its method
CN107657824A (en) The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of vehicle location
US10807610B1 (en) In-vehicle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section guidance
CN108291814A (en) For putting the method that motor vehicle is precisely located, equipment, management map device and system in the environment
EP3396320A1 (en) Determination of a road work area characteristic set
KR20180044980A (en)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terminal, and server
KR20160028140A (en) System for providing signal waiting tim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174583A (en)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CN102982699B (en) A kind of display packing and equipment controlling section right of way signal
KR101482690B1 (en) Terminal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