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646B1 -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646B1
KR101482646B1 KR20140040536A KR20140040536A KR101482646B1 KR 101482646 B1 KR101482646 B1 KR 101482646B1 KR 20140040536 A KR20140040536 A KR 20140040536A KR 20140040536 A KR20140040536 A KR 20140040536A KR 101482646 B1 KR101482646 B1 KR 10148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security system
intelligent security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승태
김영호
김규미
장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라다
김영호
김규미
장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라다, 김영호, 김규미, 장혜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라다
Priority to KR20140040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정 등의 특정한 장소의 방범보안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영상 및 음성정보를 획득하며,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제어부(10)와 상기 카메라 및 제어부(10)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접속부(20) 및 DB를 저장하며 카메라 및 제어부(10)와 사용자단말기접속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결과를 전송해주는 관리서버부(30)로 구성되고,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알고리즘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객체의 특징부위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객체를 3등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여 객체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INTELLIGENT SECURITY SYSTEM LINKING WITH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정 등의 특정한 장소의 방범보안을 위한 것이다.
종래의 방범보안을 위한 방법은 보안전문 업체를 통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보안전문 업체를 통하는 방법은 사건이 발생한 후 이를 감지하여 출동하거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사건 발생여부를 파악한 후 현장에 출동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어서, 사건이 커지거나 미연에 방지하기 난해한 문제점들이 많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통신시장의 확대를 계기로 통신망을 활용한 방범보안 시스템의 개발을 가속화 시켰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635호(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2275호(지능형 보안방범을 위한 폐쇄회로티브이 시스템 및 그 방법, 이하 '선행기술 2'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범보안 시스템들은 단순히 관리 만을 위한 것이었거나, 대상 객체를 단순하게 판별하여 오동작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635호(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2012년 09월 21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2275호(지능형 보안방범을 위한 폐쇄회로티브이 시스템 및 그 방법, 2009년 06월 04일 등록)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보다 정밀하게 대상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신뢰도가 높은 방범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는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장소의 영상 및 음성정보를 획득하며,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감시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촬영부(11)와 야간에 촬영장소에 조명을 제공하는 야간 조명부(12)와 촬영장소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움직임센서(13)와 촬영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인식하고, 촬영장소에 알림음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성입출력부(14) 및 통합제어보드(15)로 구성되는 카메라 및 제어부(10)와 상기 카메라 및 제어부(10)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접속부(20) 및 DB를 저장하며 카메라 및 제어부(10)와 사용자단말기접속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결과를 전송해주는 관리서버부(30)로 구성되며,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알고리즘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객체의 특징부위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객체를 3등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여 객체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객체를 3등분하는 방법은 객체가 사람인 경우 머리, 상반신, 하반신으로 구분하며, 상기 객체인식방법은 유사한 객체를 동일한 대상 객체로 판단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 대상 객체를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별의 특징값을 추출하여 객체의 종류구분 및 부분별 특징 정보를 획득한 후, 대상 객체의 풀바디를 분석하여 객체의 고유 특성을 구분하고, 두 과정에서 획득한 정보를 근거로 비교분석하여 대상객체의 고유 특성을 DATA로 적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부(30)는 카메라 및 제어부(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실시간 감시 및 동영상, 사진저장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움직임센서(13)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시스템이 마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시간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아도 현장상황을 감시하며, 상기 관리서버부(30)는 대상객체를 분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감시장소의 대상객체가 이상행동을 취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이를 단별하여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경찰서나 전문보안업체의 종합관제시스템에 접속하여 대상객체 정보를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보해주는 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대상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신뢰도가 높아 오작동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방범보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객체인식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은 영상 및 음성정보를 획득하며,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제어부(10)와 상기 카메라 및 제어부(10)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접속부(20) 및 DB를 저장하며 카메라 및 제어부(10)와 사용자단말기접속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결과를 전송해주는 관리서버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및 제어부(10)는 감시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촬영부(11)와 야간에 촬영장소에 조명을 제공하는 야간 조명부(12)와 촬영장소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움직임센서(13)와 촬영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인식하고, 촬영장소에 알림음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성입출력부(14) 및 통합제어보드(15)로 구성되며, 통상의 일체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움직임센서(13)는 촬영장소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적외선센서, 음성센서 등과 같은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움직임센서(13)는 또한 감시용 카메라 촬영부(11)와 야간 조명부(12) 및 음성입출력부(1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움직임이 감지되면 전원을 인가하여 각각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 및 제어부(10)는 촬영장소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시용 카메라 촬영부(11)가 동작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며, 음성입출력부(14)에서 음성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영상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를 관리서버부(30)에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 접속부(20)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음성신호를 음성입출력부(14)를 통하여 감시장소에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정의 경우 택배 배달을 위한 방문자의 경우 음성안내를 통하여 방문목적 및 물품의 처리방법을 통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 접속부(20)를 통하여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개인용 휴대통신단말기인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가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 접속부(20)는 스마트 기기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운영되고 있는 종합관제시스템(경찰서 및 보안전문업체 등)에 연동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부(30)는 카메라 및 제어부(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실시간 감시 및 동영상, 사진저장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시간을 지정하여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아도 특정 시간별로 현장상황을 감지하기도 한다.
이는 움직임센서(13)가 오작동으로 인한 시스템이 마비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부(30)에서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할 때, 객체인식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객체를 분석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는 감시장소를 단순히 거쳐 나가는 행인 등에 대한 통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시장소의 대상 객체가 이상행동을 취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이를 판별하여 종합관제시스템에 접속하여 대상객체 정보를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보해주는 등의 과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객체인식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객체인식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객체인식 방법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알고리즘 기술을 기반으로 객체를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HOG기술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기술이며, 이에 대한 공개소스 또한 다양하게 존재함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객체인식 방법에서의 객체는 사람 및 물건과 같은 유형(有形)의 객체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객체를 구분하여 인식하고, 그 특성을 인식한 후 DATA로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객체인식 방법은 3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1차적으로 객체를 구분하게 되고, 2차적으로 객체의 고유 특성을 구분하며, 3차로 객체 특성의 비교 판단 후 이를 DATA로 저장하여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1차 객체 구분은 HOG기술을 기반으로 대상객체의 종류를 구분함과 동시에 대상객체의 특성을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적용되는 방법으로는 객체의 특징부위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사람의 경우 머리, 상반신, 하반신을 3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여 사람인지의 여부를 결정한 후, 각각의 부분별 특징으로 추출하여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객체의 종류구분 및 부분별 특징으로 추출하여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2차로 객체의 고유 특성을 구분하게 된다.
이때는 객체의 풀바디를 HOG기술을 적용하여 분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및 2차 분석된 자료를 근거로 비교분석하여 대상객체의 고유 특성을 DATA로 적용하여 이를 저장하게 되는 3차 단계를 거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1차 객체구분 과정에서 객체의 신체 부분별(머리, 상반신, 하반신)에 대한 특성값과 2차 객체의 고유 특성을 비교한 후 그 결과값을 혼합하여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대상객체의 풀바디 분석을 통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각각의 신체 부위에 대한 특성값을 결합하여 보다 정밀한 객체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객체가 사람일 경우, 유사한 신체조건 및 동일한 의류 등을 착용하였을 경우 서로 상이한 객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객체로 판단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대상 객체를 구분하고 이를 분석하여 대상 객체의 고유한 특정값을 기반으로 하여, DATA로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객체인식 방법을 통하여 보다 정밀한 대상객체의 인식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객체 인식방법을 통하여 인식된 DATA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리서버부(30)에 설정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능은 감시장소의 이상행동 감지시 반복적인 감지 횟수, 시간, 감지 후 처리방법 등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동일한 객체의 이상행동이 연속하여 감지될 경우, 이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통보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는 종합관제시스템에 접속하여 대상객체의 이상유무(사고이력, 수배내역 등)과 같은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근거로 신고 내지 음성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카메라 및 제어부 11 : 감시용 카메라 촬영부
12 : 야간 조명부 13 : 움직임센서
14 : 음성입출력부 15 : 통합제어보드
20 : 사용자 단말기 접속부 30 : 관리서버부

Claims (5)

  1.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는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장소의 영상 및 음성정보를 획득하며,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감시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촬영부(11)와 야간에 촬영장소에 조명을 제공하는 야간 조명부(12)와 촬영장소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움직임센서(13)와 촬영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인식하고, 촬영장소에 알림음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성입출력부(14) 및 통합제어보드(15)로 구성되는 카메라 및 제어부(10);와
    상기 카메라 및 제어부(10)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접속부(20); 및 DB를 저장하며 카메라 및 제어부(10)와 사용자단말기접속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결과를 전송하되, 카메라 및 제어부(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실시간 감시 및 동영상, 사진저장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움직임센서(13)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시스템이 마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시간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아도 현장상황을 감시하도록 하는 관리서버부(30)로 구성되며,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알고리즘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객체의 특징부위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객체가 사람인 경우 머리, 상반신, 하반신으로 3등분하고, 유사한 객체를 동일한 객체로 판단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 대상 객체를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별의 특징값을 추출하여 객체의 종류구분 및 부분별 특징 정보를 획득한 후, 대상 객체의 풀바디를 분석하여 객체의 고유 특성을 구분하고, 두 과정에서 획득한 정보를 근거로 비교분석하여 대상객체의 고유 특성을 DATA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부(30)는 대상객체를 분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감시장소의 대상객체가 이상행동을 취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이를 단별하여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경찰서나 전문보안업체의 종합관제시스템에 접속하여 대상객체 정보를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보해주는 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
KR20140040536A 2014-04-04 2014-04-04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 KR10148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0536A KR101482646B1 (ko) 2014-04-04 2014-04-04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0536A KR101482646B1 (ko) 2014-04-04 2014-04-04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646B1 true KR101482646B1 (ko) 2015-01-15

Family

ID=5258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0536A KR101482646B1 (ko) 2014-04-04 2014-04-04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2554B2 (en) 2019-01-21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424U (ko) * 2007-11-06 2009-05-11 차영문 이동 가능한 감시시스템
KR100980586B1 (ko) * 2010-05-07 2010-09-06 주식회사 에스엘티 단일 또는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보안방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75802A (ko) * 2011-12-28 2013-07-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울기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사람 검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424U (ko) * 2007-11-06 2009-05-11 차영문 이동 가능한 감시시스템
KR100980586B1 (ko) * 2010-05-07 2010-09-06 주식회사 에스엘티 단일 또는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보안방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75802A (ko) * 2011-12-28 2013-07-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울기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사람 검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2554B2 (en) 2019-01-21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0594B (zh) 一种用于在视频监控系统中生成警报的方法
WO2020073505A1 (zh) 基于图像识别的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464344B1 (ko) 감시 영상의 정상 상태 학습을 통한 이상 상태 감지 방법과 이를 적용한 감시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시스템
US20130188031A1 (en) Risk recognition method for use in video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human identification
US11069214B2 (en) Event entity monitoring network and method
US10008107B2 (en) Method and surveillance system for detecting unwanted intrusion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devices
US20190295393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variable event detecting condition
US20080136934A1 (en) Flame Detecting Method And Device
AU2019352787A1 (en) Video surveillance and object recognition
US10529203B2 (en) Regional surveillance and alarming system and method
KR101858396B1 (ko) 지능형 침입 탐지 시스템
KR101849365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59786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에 의한 실영상 및 녹화영상 검색 시스템
KR101492473B1 (ko) 사용자 기반 상황 인지형 씨씨티비 통합관제시스템
KR101804358B1 (ko) 영상 분석을 이용한 설비 감시 시스템
KR102233679B1 (ko) Ess 침입자 및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
Mehra et al. Home security system using iot and aws cloud services
KR20120113014A (ko) 영상인식장치 및 그 영상 감시방법
KR102176045B1 (ko) 무인 매장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실시간 잔류자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잔류자 감지 시스템
KR20110079939A (ko) 이미지 센싱 에이전트 및 usn 복합형 보안 시스템
KR101547255B1 (ko) 지능형 감시 시스템의 객체기반 검색방법
Yuwono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uman detection feature on surveillance embedded IP camera
KR101552564B1 (ko) 가스센서 및 ip네트워크 카메라 기반 융합 보안 시스템
KR101482646B1 (ko) 스마트 기기 연동형 지능형 방범보안 시스템
Ng et al. Surveillance system with motion and face detection using 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