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333B1 -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333B1
KR101481333B1 KR20130141175A KR20130141175A KR101481333B1 KR 101481333 B1 KR101481333 B1 KR 101481333B1 KR 20130141175 A KR20130141175 A KR 20130141175A KR 20130141175 A KR20130141175 A KR 20130141175A KR 101481333 B1 KR101481333 B1 KR 10148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upling
hole
fluid
nozz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진
Original Assignee
백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진 filed Critical 백상진
Priority to KR2013014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07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노즐과 노즐몸체의 결합과 분해 및 노즐몸체와 연결관의 결합과 분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조립과 생산성을 높이는 것으로서, 조립 시 연결관의 방향성을 자유롭게 하고, 조립 후에도 기밀성을 유지하여 살포능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노즐의 하단에 결합하여 인입공 내부벽과 연접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재와, 상기 회전노즐의 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 외면에 형성하는 결합슬로트와, 상기 결합슬로트와 동일한 위치의 노즐몸체에 관통되게 형성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슬로트와 결합공을 일치시켜 단속하는 고정구을 포함하여 회전노즐과 노즐몸체를 단속하고;
배출공을 형성하여 노즐몸체 양측으로 돌출되는 배출관의 외단면에 개재하여 연결관의 내단면과 밀착되는 기밀재와, 상기 배출관의 중도에 요입되게 형성하는 결합홈과, 내경이 결합홈의 직경과 동일하고 외경은 배출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링과,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어 결합링으로 단속되면서 배출관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너트의 내경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연결관의 후미에 형성되는 수나사를 결합하여 노즐몸체와 연결관을 결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Rotary atomizer by repulsion due to fluid injection}
본 발명은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분사되는 구멍이 형성된 노즐팁을 노즐커버로 끝단에 결합한 연결관을 노즐본체에 체결할 수 있도록, 일단에 홈을 둔 결합링과 체결너트를 사용하여 노즐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이를 고정구 삽입 방식으로 간단하게 수행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식 살포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의 조립관계를 개선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는, 유체공급수단으로부터 일정한 압력을 갖는 유체를 공급받은 후, 노즐로 분사되는 유체의 반력으로 노즐어셈블리가 360도 회전하면서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유체의 살포범위가 넓고 고르게 분무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분무된 입자가 가려진 부위의 뒷면까지 침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근래 많이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는 유체공급수단으로부터 물, 농약, 액체비료 등과 같은 유체를 공급받아 농작물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또는 농작물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분무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농업용도 외에도 일반산업용 등에도 활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는 본원 출원인 또한 선행하여 실용신안등록(제 462356 호)을 받았고 특허출원(2011 - 126215 호)한 바 있으며, 이를 도 8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1)는, 상부에 유체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살포하고자 하는 유체를 공급받는 유체관(2)이 연결되는 관연결부(3)를 가지는 분무하우징(4)이 구비된다.
상기 분무하우징(4)의 종 방향으로는 관연결부(3)와 분무하우징(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회전노즐(5)이 설치되고, 상기 분무하우징(4)의 하방으로 노출된 회전노즐에는 실질적으로 유체를 살포하는 노즐어셈블리(6)가 결합 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6)는 노즐몸체(10), 연결관(15), 노즐팁(19), 노즐커버(18), 기밀재(14), 체결너트(16)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몸체(10)는 유체를 받기 위한 인입공(7)과 인입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8)로 구성되어 개략 ⊥형상의 유체통로(9)를 내부에 구성하고, 인입공(7)에는 회전노즐(5)의 하단에 형성된 수나사(11)와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12)를 형성한다.
또한 노즐몸체(1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출공(8)의 외측에는 수나사(13)를 형성하고, 배출공(8)의 외단부에는 기밀재(14)를 개재하여 ㄱ형상의 연결관(15)을 연접시키고, 연결관(15)은 수나사(13)와 결합되는 체결너트(16)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너트(16)에는 수나사(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17)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15)의 끝단 구멍에는 미세공이 뚫어져 있는 별도의 노즐팁(19)이 설치되고, 노즐팁(19)은 노즐커버(19)가 연결관(15)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15)이 휘어진 형상을 갖는 이유는, 회전노즐(5)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모터와 기어로 구성된 별도의 장치로 회전노즐을 돌려주는 방법인 일명 전동회전식과, 노즐어셈블리의 노즐 구멍으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반력으로 회전노즐이 회전하는 방법인 유체분사회전식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상기 전동회전식의 경우 유체의 분사방향은 연결관(15)의 형상에 크게 구애받지 않지만, 상기 유체분사회전식의 경우에는 노즐 구멍의 방향을 회전하는 원주의 접선방향으로 향하도록 해야만 회전노즐이 유체의 반력으로 인해 회전력을 얻을 수 있는 방식이므로 노즐몸체에서 인출된 연결관은 ㄱ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휘어지는 정도와 연결관의 크기는 용도와 목적에 맞춰서 임의로 정하게 될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62356 - 0000 호 특허출원 제 10 - 2011 - 0126215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는, 노즐어셈블리를 조립할 때 연결관이 형태로 구부러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크기, 형상,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연결관을 체결너트의 구멍 내부로 관통시킬 때 걸림이 발생하고, 체결너트를 조일 때 구부러진 연결관이 손에 간섭을 주기 때문에 조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체결너트의 조임 상태가 견고하지 못한 경우, 살포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받게 되는 압력과 진동으로 인해 노즐몸체에 대하여 체결너트와 연결관이 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노즐몸체에 대하여 체결너트와 연결관이 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노즐의 살포방향이 초기에 의도한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살포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노즐어셈블리를 회전노즐과 체결하려면 회전노즐과 노즐본체 사이에 오링과 같은 기밀재를 먼저 조립한 다음, 회전노즐의 몸체를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노즐과 노즐본체를 나사체결하도록 되어 있는데, 나사체결을 약하게 하면 오링과 같은 기밀재 사이에 틈이 생겨서 유체 경로상의 밀폐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나사체결을 강하게 하면 오링과 같은 기밀재, 회전노즐, 노즐본체의 손상이 발생하여 유체 경로상의 기밀성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체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 유체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를 가지는 분무하우징과, 상기 관연결부와 분무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분무하우징의 종 방향으로 노출된 회전노즐과, 상기 회전노즐로부터 유체를 받는 인입공과 인입된 유체가 연결관으로 지날 수 있도록 유체통로를 가지는 노즐몸체와, 노즐구멍이 구비된 노즐팁과 노즐커버가 조립된 연결관을 결합한 노즐어셈블리로 구성되는 유체분사회전식 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즐의 하단에 결합하여 인입공 내부벽과 연접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재와, 회전노즐의 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 외면에 형성하는 결합슬로트와, 결합슬로트와 동일한 위치의 노즐몸체에 관통되게 형성하는 결합구멍과, 결합슬로트와 결합공을 일치시켜 체결하는 고정구를 가지고 회전노즐과 노즐몸체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공을 형성하여 노즐몸체 양측으로 돌출되는 배출관의 외단면에 개재하여 연결관의 내단면과 밀착되는 기밀재와, 상기 배출관의 중도에 요입되게 형성하는 결합홈과, 내경이 결합홈의 직경과 동일하고 외경은 배출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링과, 배출관에 결합되어 결합링으로 조합되면서 배출관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체결너트와, 체결너트의 내경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연결관의 후미에 형성되는 수나사를 결합하여 노즐몸체와 연결관을 결합함으로써 노즐몸체와 연결관의 결합과 분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간의 체결 및 노즐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노즐몸체와 연결관의 결합관계를 개선함으로서,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의 조립성을 개선하고 과도한 체결력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체경로상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고, ㄱ 형태인 노즐관의 크기와 형상에 관계없이 체결너트로 노즐몸체에 조립할 수 있는 용이점이 있다.
또한, 유체의 살포방향을 결정하는 노즐관의 상방 또는 하방의 각도 조절이 편리하고, 체결너트가 연결관과 노즐몸체간의 결합을 확실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후 살포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연결관의 각도가 변하거나 기밀유지가 해제되는 현상을 배제하여 유체분사회전식 살포장치의 품질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의 노즐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의 노즐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노즐본체 횡단 파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의 노즐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노즐본체 종단 파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노즐본체와 노즐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의 노즐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의 노즐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노즐본체 횡단 파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회전노즐과 노즐어셈블리의 노즐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노즐본체 종단 파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노즐본체와 노즐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100)는, 상부에 유체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살포하고자 하는 유체를 공급받는 유체관(101)이 연결되는 관연결부(102)를 가지는 분무하우징(103)이 구비된다.
상기 분무하우징(103)의 종 방향으로는 관연결부(102)와 분무하우징(10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회전노즐(105)이 설치되고, 상기 분무하우징(103)의 하방으로 노출된 회전노즐(105)에는 실질적으로 유체를 살포하는 노즐어셈블리(106)가 결합 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106)는, 유체를 받기 위한 인입공(107)과 입력된 유체를 살포할 수 있도록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08)로 구성되어 개략 ⊥형상의 유체통로(109)를 형성한 노즐몸체(110)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몸체(11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출공(108)의 외측에는 끝단에 고압의 유체가 공기 중으로 분무될 수 있도록 미세한 살포구멍이 뚫어져 있는 노즐팁(111)을 조립하여 노즐커버(112)로 마감하고 ㄱ형상으로 구부러진 연결관(113)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노즐(105)과 노즐어셈블리(106)의 결합과 노즐어셈블리(106)를 구성하는 노즐몸체(110)와 연결관(113)의 결합관계를 개선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유체의 살포방향이 의도치않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노즐(105)과 노즐어셈블리(106)의 결합은, 회전노즐(105)의 하단에 는 노즐몸체(110)의 인입공(107) 내부벽과 연접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링과 같은 기밀재(116)를 결합한다.
상기 회전노즐(105)의 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 외면에는 결합슬로트(117)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슬로트(117)와 동일한 위치의 노즐몸체(110)에는 결합공(118)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결합슬로트(117)와 결합공(118)은 고정구(120)에 의하여 일치되도록 함으로서 회전노즐(105)과 노즐몸체(11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120)는, 일측에 결합슬로트(117)와 결합공(118)으로 출입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21)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121)의 전방으로는 결합슬로트(117)와 결합공(118)의 간격만큼 유지시켜 결합슬로트(117) 및 결합공(118)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체결편(122)을 돌출시킨다.
상기 손잡이(121)의 형상은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단면이 개략 사각형상인 바타입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관계없으나 결합 후 노즐몸체 외부로 너무 도출되는 형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체결편(122)의 끝단부 내면에는 노즐몸체(110)에 형성되는 결합공(118)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면(123)과 걸림 되어 결합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걸림턱(124)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124)이 형성되는 위치의 체결편(122) 외면에는 체결편(122)과 결합공(118)의 폭(B)보다 작은 폭(B1)을 가지는 축소부(125)를 형성하여 고정구(120)를 해제할 때 체결편(122)을 외면방향으로 밀어 걸림면(123)을 벗어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노즐몸체(110)와 연결관(113)의 결합은, 배출공(108)을 형성하여 노즐몸체(11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배출관(130)의 외단면에 형성되는 기밀재홈(131)에 기밀재(132)를 결합하여 연결관(113)의 내단면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130)의 중도에는 요입된 형상의 결합홈(13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33)에는 내경이 결합홈(133)의 직경과 동일하고 외경은 배출관(13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상의 결합링(135)을 결합한다.
상기 결합링(135)은 일측에 절개(절단)면(136)을 형성하여 탄성에 의하여 벌어지면서 직경이 확대되어 배출관(130)을 통하여 결합홈(133)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130)에는 결합링(135)에 의하여 단속되면서 배출관(130)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체결너트(137)를 결합하고, 상기 체결너트(137)의 내경에 형성되는 암나사(138)에는 연결관(113)의 후미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나사(139)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체결너트(137)의 내경부에는 결합링(135)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링홈(140)을 일체로 형성함은 당연할 것이며, 체결너트(137)의 외부에는 체결(조임)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너링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구사용을 위한 도구사용면을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는, 도 7에서와 같이 회전노즐(105)에 수직관(150)을 고정구(120)로 연결하고, 상기 수직관(150)의 종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노즐어셈블리(106)를 설치하여 유체가 살포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100)의 작동은 유체관(101)을 통하여 고압의 유체가 관연결부(102)와 분무하우징(10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노즐(105)로 공급되고, 회전노즐(105)과 연결된 노즐어셈블리(106)로 유체가 공급되어 연결관(113)의 살포홀(111)을 통하여 작물로 살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체가 살포되는 힘(압력)에 의하여 노즐어셈블리(110)와 회전노즐(105)은 분무하우징(103)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고, 분무하우징(103) 내부에 설치되는 특허출원 제 10 - 2011 - 0126215 호와 같은 속도제어장치에 의하여 목적하는 바의 회전수로 노즐어셈블리(110)가 회전하도록 하는 작동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회전노즐(105)과 노즐몸체(110)의 결합과 분해 및 노즐몸체(110)와 연결관(113)의 결합과 분해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회전노즐(105)과 노즐몸체(110)의 결합과 분해는, 회전노즐(105)을 노즐몸체(110)에 형성되는 인입공(107)에 삽입시킨 후 결합슬로트(117)와 결합공(118)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회전노즐(105)에 결합된 기밀재(116)가 인입공(107)의 내부벽과 연접되면서 약간 상승하게 되므로 결합슬로트(117)와 결합공(118)이 기밀재(116)가 압착되지 못한 만큼의 단차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구(120)를 구성하는 손잡이(121)를 잡고 체결편(122)을 결합슬로트(117)와 결합공(118)으로 밀어 넣는다.
상기 체결편(122)이 진입하면서 누르는 힘에 의하여 기밀재(116)는 압착되면서 회전노즐(105)과 노즐몸체(1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체결편(122)이 결합슬로트(117)와 결합공(118)을 벗어나면 걸림턱(124)이 걸림면(123)과 일치하여 걸리게 되므로 고정구(120)이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결국에는 회전노즐(105)과 노즐몸체(110)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노즐(105)과 노즐몸체(11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체결편(122)의 걸림턱(124) 부위를 외면방향으로 벌려주면 체결편(122)에 형성되어 있는 축소부(125)에 의하여 확보된 공간으로 체결편(122)이 벌어져서 걸림턱(124)이 걸림면(123)을 벗어날 수 있게 되므로 손잡이(121)를 잡고 인출하면 고정구(120)을 해제할 수 있어 회전노즐(105)과 노즐몸체(110)를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몸체(110)와 연결관(113)의 결합과 분해는, 노즐몸체(110)의 양측에 돌출된 배출관(130)에 체결너트(137)를 먼저 결합시킨 후, 결합링(135)의 절개면(136)을 이용하여 벌리면 내경부가 확대되면서 배출관(130)에 결합될 수 있고, 배출관(130)에 형성된 결함홈(133) 위치에서 벌리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면 직경이 축소되면서 결합링(135)이 결합홈(133)에 결합되어진다.
물론, 상기 결합링(135)은 배출관(130)의 결합홈(133)에 걸림됨과 동시에 체결너트(137)의 링홈(140)에 위치하여 결합링(135)으로부터 쉽게 해제되지 않으면서 체결너트(137)이 배출관(130)에 대하여 회전은 가능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너트(137)의 암나사(138)에 연결관(113)의 수나사(139)를 결합하면 조립이 완료되며, 연결관(113)과 체결너트(137)이 결합되는 힘에 의하여 배출관(130)에 개재된 기밀재(132)가 연결관(113)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배출관(130)에 대하여 연결관(113)의 방향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관(113)을 분해하고자 할 경우에는 체결너트(137)에 대하여 연결관(113)을 분리한 후, 체결너트(137)을 배출관(130)의 내측방향으로 밀착시킨 후 결합링(135)을 분리함으로써 쉽게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노즐과 노즐몸체의 결합과 분해 및 노즐몸체와 연결관의 결합과 분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조립과 생산성을 높이면서 조립 후 연결관의 방향성을 자유롭게 하면서 기밀유지를 높여 살포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103; 분무하우징
105; 회전노즐 106; 노즐어셈블리
110; 노즐몸체 113; 연결관
116, 132; 기밀재 117; 결합슬로트
118; 결합공 120; 고정구
122; 체결편 123; 걸림면
124; 걸림턱 125; 축소부
130; 배출관 133; 결합홈
135; 결합링 136; 절개면
137; 체결너트 140; 링홈

Claims (4)

  1. 유체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 유체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를 가지는 분무하우징과;
    상기 분무하우징의 종 방향으로는 관연결부와 분무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회전노즐과;
    상기 분무하우징의 하방으로 노출된 회전노즐에는 결합되는 노즐어셈블리와;
    상기 노즐어셈블리는, 유체를 받는 인입공과 입력된 유체를 살포할 수 있도록 배출하는 배출공으로 구성되는 유체통로를 가지는 노즐몸체와;
    상기 배출공의 외측에 노즐팁과 노즐커버를 가지는 연결관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회전타입 유체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즐의 하단에 결합하여 인입공 내부벽과 연접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재와;
    상기 회전노즐의 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 외면에 형성하는 결합슬로트와;
    상기 결합슬로트와 동일한 위치의 노즐몸체에 관통되게 형성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슬로트와 결합공을 일치시켜 단속하는 고정구을 포함하여 회전노즐과 노즐몸체를 단속하고;
    상기 배출공을 형성하여 노즐몸체 양측으로 돌출되는 배출관의 외단면에 개재하여 연결관의 내단면과 밀착되는 기밀재와;
    상기 배출관의 중도에 요입되게 형성하는 결합홈과;
    내경이 결합홈의 직경과 동일하고 외경은 배출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링과;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어 결합링으로 단속되면서 배출관에 대하여 회전자유로운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너트의 내경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연결관의 후미에 형성되는 수나사를 결합하여 노즐몸체와 연결관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의 일측에 절개면을 형성하여 탄성에 의하여 벌어지면서 직경이 확대되어 배출관에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의 내경부에는 결합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링홈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결합슬로트와 결합공로 출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결합슬로트와 결합공과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의 끝단부 내면에 형성하여 결합공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면과 걸림 되어 결합상태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위치의 체결편 외면에 체결편과 결합공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축소부를 형성하여 고정구 해제 시 체결편을 외면방향으로 밀어 걸림면을 벗어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KR20130141175A 2013-11-20 2013-11-20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KR10148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175A KR101481333B1 (ko) 2013-11-20 2013-11-20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175A KR101481333B1 (ko) 2013-11-20 2013-11-20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333B1 true KR101481333B1 (ko) 2015-01-14

Family

ID=5258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1175A KR101481333B1 (ko) 2013-11-20 2013-11-20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3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66B1 (ko) * 2021-06-07 2022-02-14 이홍근 급수용 노즐 연결장치
KR20230141086A (ko) * 2022-03-31 2023-10-10 최재우 기어 직결식 노즐체 회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0325A (en) * 1986-09-17 1987-09-01 Butterworth Jetting Systems, Inc. High pressure fluid delivery system
KR200462356Y1 (ko) 2010-05-28 2012-09-06 백상진 회전타입 유체분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0325A (en) * 1986-09-17 1987-09-01 Butterworth Jetting Systems, Inc. High pressure fluid delivery system
KR200462356Y1 (ko) 2010-05-28 2012-09-06 백상진 회전타입 유체분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66B1 (ko) * 2021-06-07 2022-02-14 이홍근 급수용 노즐 연결장치
KR20230141086A (ko) * 2022-03-31 2023-10-10 최재우 기어 직결식 노즐체 회전장치
KR102606611B1 (ko) 2022-03-31 2023-11-24 최재우 기어 직결식 노즐체 회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764B1 (en) Adjustable water-guiding rod for a cleaning brush
US8371618B2 (en) Hidden pivot attachment for show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898716C (en) Bracket for showerhead with integral flow control
JP2001269602A (ja) 急速脱着式ノズルアセンブリ
KR20070045189A (ko) 공급 베이스 상에 장착된 스프레이 시스템이 설치된 자동화스프레이 건
KR101481333B1 (ko) 유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KR101489602B1 (ko) 이류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JP2018528854A (ja) 連続ガスパージングを備える二成分スプレー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ディスペンサー背景
US7980489B2 (en) Multiple configuration shower device
KR100588629B1 (ko) 원예용 다목적 물 분사기
TW201812186A (zh) 構件接頭及使用其之噴霧噴嘴單元
JP2019196229A (ja) シール剤ディスペンサ
JP2017532199A (ja) ガス発泡剤を含まない二成分スプレー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ためのディスペンサー
CA2835363C (en) Hand tightened showerhead
TWI580476B (zh) 靜態噴灑混合器
US6334463B1 (en) Inner pipe for a faucet
US20160015479A1 (en) Dental handpiece having nozzle connection structure
KR101749940B1 (ko) 농업용 회전 분무기
US6547160B1 (en) Spray gun with a stabilizing structure of air output
US6604543B1 (en) Hose supporting spool device having rotatable coupling
US20100084595A1 (en) Line valve
KR102323543B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KR200396604Y1 (ko) 농업용 분기관 연결구
KR101506260B1 (ko) 커플러 기능을 갖는 고압 도장용 스위벨
KR101483172B1 (ko) 호스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