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707B1 - outlet box for conduit connecting - Google Patents

outlet box for conduit connec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707B1
KR101480707B1 KR1020140031464A KR20140031464A KR101480707B1 KR 101480707 B1 KR101480707 B1 KR 101480707B1 KR 1020140031464 A KR1020140031464 A KR 1020140031464A KR 20140031464 A KR20140031464 A KR 20140031464A KR 101480707 B1 KR101480707 B1 KR 101480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ble
plate
extension
outlet box
gu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자왕
Original Assignee
(주)대교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5885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807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교에이스 filed Critical (주)대교에이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7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box for wire cable connection. More specifically, the outlet box for wire cable connection comprises: a wire cable inlet part including a plate having at least one or more inlet holes to introduce a wire cable, an extension guide wall part which is extended to protrude downward along extension of the inlet holes, and an elastic latching part which is latched to be coupled to the extension of the wire cable at the lower end part of the extension guide wall part; and a receiving case which is a body coupled to be integrated with or detached from the lower end part of the plate and has space formed to receive the wire cable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latching part, which acts as a cap to fix the wire cable to the outlet box, is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outlet box,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Furthermore, the wire cable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wall part by forming the guide wall part in a downward linear direction, a structure can be simple without a separate cap to fix the wire cable by fixing the wire cable to the elastic latching part installed on the end part of the guide wall part,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s there is no necessity to turn and fix the cap in a state of introducing the wire cable into the outlet box.

Description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outlet box for conduit connecting}Outlet box for conduit connecting

본 발명은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아웃렛 박스와 일체로 성형시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선 케이블 접속이 매우 용이한 아웃렛 박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let box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a very easy connection of a wire cable by integrally forming a fixing means for connecting a wire cable with an outlet box .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할 시에는 벽면 및 천장(slab) 거푸집을 설치한 후, 구조물의 설계기준에 따라 철근을 배근하고, 천장 거푸집 상면에 다수개의 아웃렛 박스(outlet box)를 설계된 배치지점에 각각 고정하며, 배근된 철근 사이로 다수개의 전선 케이블을 배관하고, 커넥터 또는 커플링 등의 전선 케이블 부속품으로 각 전선 케이블의 말단부를 아웃렛 박스에 접속하여 건축물의 초반 배관작업을 완료하게 된다.Generally, in case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 wall and a slab form are installed, a reinforcing bar is arranged according to a design standard of th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outlet boxes are arranged on a designed placement point on the ceiling formwork And a plurality of wire cables are piped between the reinforced bars and the ends of each wire cable are connected to an outlet box by a wire cable accessory such as a connector or a coupling to complete the initial piping work of the building.

그리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전선 케이블의 일측 입구로 전선을 삽입하여 타측 출구로 인출하는 입선작업을 완료하고, 아웃렛 박스의 내부에 인출된 전선과 전선 또는 인출된 전선과 각종 전기기구를 접속함으로써 건축물의 후반 배선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After completion of curing by pouring the concrete into the formwork,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one side of the wire cable and the wire is drawn out to the other side of the outlet, and the electric wire drawn into the outlet box, By connecting the apparatus, the wiring work of the second half of the building is completed.

상기와 같이 구조물 축조시 배선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아웃렛 박스는 전선 케이블용 박스의 일종으로서,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36의 표준명 합성수지제 박스 및 커버[unplasticzed polyvinyl chloride(UPVC) boxes and box covers] 그리고,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58의 표준명 금속제 박스 및 커버(전선관용)[box and box cover for rigid metal conduits]에 규정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box used for the wiring work in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is a kind of box for the electric cable, and it is made of unplasticzed polyvinyl chloride (UPVC) boxes and covers made of the standard KS C 8436 and box covers], and the standard types of KS C 8458, KS C 8458 [Box and box cover for rigid metal conduits].

그리고, 전선 케이블은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54의 표준명 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pliable plastics conduits]에 명시된 PE(Plastic Flexible)관 또는 CD(Combine Duct)관, 표준번호 KS C 8431의 Hi-VE(High Impact unplastcized polyvinyl chloride for Electrical usage) 등의 전선관을 사용하며, 상기 아웃렛 박스와 전선 케이블은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56의 표준명 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 케이블용 부속품[fittings for pliable plastics, conduits]에 명시된 커넥터 및 커플링 또는 콤비네이션 커플링 등을 이용하여 접속하게 된다.The cable is a PE (Plastic Flexible) tube or a CD (Combine Duct) tube specified in the standard plastic synthetic conduit pliable plastics conduits of KS C 8454, a standard number KS C 8431, and the outlet box and the wire cable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bending material (manufactured by KS C 8456, standard name) Connections shall be made using connectors and couplings or combination couplings as specified in the fittings for pliable plastics, conduits.

도 1은 종래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아웃렛 박스는 내부에 전선이 수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박스몸체(100)와, 박스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선 케이블(A)이 박스몸체(10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커넥터부(200)와, 전선 케이블(A)을 커넥터부(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conventional wire cable.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outlet box includes a box body 100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electric wires therein, And a locking cap 300 for fixing the wire cable A to the connector 200. The connector 200 includes a connector 200 and a connector 300. The connector 200 includes a connector 200, do.

이러한 종래 아웃렛 박스는 전선 케이블(A)이 인입되는 커넥터부(200)를 박스몸체(100) 상부에 소정 각도로 구부러지도록 형성하여 전선 케이블(A)이 인접하는 철근과 맞닿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전선 케이블(A)이 커넥터부(200)로 인입될 때에 구부러진 커넥터부(200)의 내측면 벽에 전선 케이블(A)의 단부가 부딪혀서 박스몸체(100) 내부로 전선 케이블(A)을 위치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아웃렛 박스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전선 케이블(A) 내부에 전선을 삽입시켜 전선 케이블(A) 타측으로 전선을 인출할 경우, 상기의 커넥터부(200)에 의해 전선이 전선 케이블(A)의 내측면벽에 부딪혀 인출이 불합리한 문제점이 발생된다.The conventional outlet box is formed such that the connector portion 200 into which the wire cable A is inserted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bove the box body 100 so that the wire cable A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adjacent reinforcing bars, When the cable A is pulled into the connector part 200, the end of the cable A is struck against the inner side wall of the bent connector part 200 to place the cable A into the box body 100 And the concrete is laid after the outlet box is installed and the electric wire is drawn into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cable A by inserting the electric wire inside the electric wire cable A, A problem arises that it is unreasonably drawn out by colliding with the inner side wall of the wire cable A.

아울러, 커넥터부(200)가 곡선형의 관으로 이러한 곡선형의 관을 성형하는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또한 전선 케이블(A)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캡(300)을 제조하여야 하여 제조단가가 높아지며, 매번 별도의 캡(300)을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In addition, it is expensive to form the curved tube with the curved tube of the connector unit 200, and a separate cap 300 for fixing the cable cable A must be manufactured, And it is troublesome to fix the separate cap 300 every time.

따라서, 이러한 종래 아웃렛 박스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선 케이블의 접속이 용이한 아웃렛 박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n outlet box that can overcome the unreasonableness of such a conventional outlet box and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connect a wire cable.

한국공개실용 제 2013-744호Korea Public Practice No. 2013-74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선 케이블을 아웃렛 박스에 체결하기 용이하며, 아웃렛 박스에 연결된 전선 케이블 내측으로 전선을 인출하는 작업 또한 용이한 아웃렛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cabl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fasten an electric cable to an outlet box, And an outlet box.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선 케이블이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인입공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돌출형성되는 연장 가이드벽부와, 상기 연장 가이드벽부의 하단부에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연에 걸림결합되는 탄성 걸림부를 포함하는 전선 케이블 인입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 일체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로서, 상기 인입공으로 인입되는 전선 케이블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케이스를 포함하여 제공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comprising: a plate having at least one inlet hole into which a wire cable is inserted; an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 along an outer edge of the inlet hole; And an elastic engag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an outer edge of the wire cable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guide wall portion; and a body that is integrally or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late, And a storage case in which a space is formed.

아울러,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로서, 상기 인입공으로 인입되는 전선 케이블이 수납되는 연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연장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The main bod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case. The extension case may include an extens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ire cable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여기서 상기 탄성 걸림부는 상기 연장 가이드벽부의 단부에 상기 인입공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장 가이드벽부 내측으로 가이드되는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연 일측이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연장 가이드벽부의 외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개된다.Wherein the elastic latching portion includes a latching protrusion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ding guide wall portion to protrude inward of the latching hole and to which an outer edge of the cable cable guided inwardly of the extending guide wall portion is fixed, And are cu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edge of the guide wall portion.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케이스로서, 상기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 일정영역이 밀착지지되는 플레이트 안착면과, 상기 플레이트 안착면의 외연을 따라 상방으로 융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고정용 융기부와, 상기 플레이트 안착면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수납공간벽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The case may be a cylindrical case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The case may include a plate seating surface in which a predetermined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is closely contacted and suppor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te, And a cylindrical accommodation space 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late seating surface and having an open top and a bottom.

더욱이, 상기 플레이트 안착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홈부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고정돌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xing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plate seating surface, and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late so as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portion.

여기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몸체로서, 상기 몸체의 양측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탄성몸체와, 상기 탄성몸체의 하단부에 절곡되어 상기 고정홈부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여 제공된다.Wherein the fixing protrusion is a body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plate, wherein both ends of the body have an incision section cu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and a bending part at a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And a fitting protrusion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portion.

아울러,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연장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부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연장홈부에 체결되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연장홈부와 대응되는 체결홈부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torage case and is coupled to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ase at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case to be fastened to the extended groove, And a fastening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groove portion of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케이블을 아웃렛 박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캡 역활을 하는 탄성 걸림부를 아웃렛 박스와 일체로 성형시키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hooking portion serving as a cap for fixing the wire cable to the outlet box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let box,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가이드벽부가 하방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전선 케이블을 가이드벽부 내부로 인입시키기가 매우 용이하며, 가이드벽부의 단부에 설치된 탄성 걸림부에 전선 케이블이 고정되어 전선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캡이 필요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아웃렛 박스에 전선 케이블을 인입시킨 상태에서 캡을 돌려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wall portion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wire cable is easily guided into the guide wall portion, and the wire cable is fixed to the elastic hook portion provided at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wall por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re is no need to rotate the cap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cable is drawn into the outlet box,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도 1은 종래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전선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인입부의 구조로 상,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입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케이스를 상,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케이스를 상,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각부품이 분해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전선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서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전선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서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ectional structure of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conventional wire cab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cable is connected to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n electric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cable in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and below. FIG.
FIG. 5 is a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in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and below.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nsio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and below.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n electric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components are disassembled.
FIG. 10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cable is connected to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n electric c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in FIG.
FIG. 1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cable is connected to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n electric cab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B is a view showing a sectional structure of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전선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인입부의 구조로 상,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입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케이스를 상,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케이스를 상,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wire cable being connected to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let box for connection of a wir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cable pull-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and from below, FIG. 5 is a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a pull-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nsio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nsio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는 크게 전선 케이블(A)이 인입되는 전선 케이블 인입부(10)와, 전선 케이블 인입부(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선 케이블(A)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20)와, 수납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연장하도록 하는 연장케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cable inlet 10 through which a wire cable A is inserted, A housing case 2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ase 20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ic cable A and an extension case 3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ase 20 to extend the housing space.

전선 케이블 인입부(10)는 도 4에서와 같이, 전선 케이블(A)이 인입되는 인입공(11a)이 형성되는 플레이트(11)와, 인입공(11a)의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돌출형성되는 연장 가이드벽부(12)와, 연장 가이드벽부(12)의 단부에 형성되는 탄성 걸림부(13)와, 플레이트(11)의 외연 일측에 형성되어 수납케이스(20)에 결합되는 고정돌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wire cable lead-in portion 10 includes a plate 11 on which an lead-in hole 11a through which the wire cable A is inserted is formed, and a plate 11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lead of the lead- An elastic engaging portion 13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ding guide wall portion 12 and a fixing protruding portion 14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edge of the plate 11 and engaged with the accommodating case 20 ).

플레이트(11)에는 전선 케이블(A) 인입공(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단일의 인입공(11a)을 가지는 플레이트(a)와, 동일한 크기의 인입공(11a)이 복수개 형성되는 플레이트(b)와, 다른 크기의 인입공(11a)이 복수개 형성되는 플레이트(c)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공(11a)은 전선 케이블(A)의 외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전선 케이블(A)의 단면형상크기와 대응되거나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전선 케이블(A)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wire cable A draw-in hole 11a is formed in the plate 11.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plate a having a single draw-in hole 11a, A plate b having a plurality of inlet holes 11a and a plate c having a plurality of inlet holes 11a having different sizes. The lead-in hole 11a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re cable A and corresponds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ire cable A, so that the wire cable A can be pulled easily.

연장 가이드벽부(12)는 인입공(11a)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 케이블(A)이 직하방으로 일정길이로 가이드되도록 형성된다.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2 is formed such that the wire cable A drawn in from the inlet hole 11a is gui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 downward direction.

그리고 연장 가이드벽부(12) 또한 인입공(11a)과 마찬가지로 전선 케이블(A)의 외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전선 케이블(A)의 단면형상크기와 대응되거나 조금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2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ire cable A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edge of the wire cable A, like the inlet hole 11a.

탄성 걸림부(13)는 연장 가이드벽부(12)의 단부에 인입공(11a)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연장 가이드벽부(12) 내측으로 가이드되는 전선 케이블(A)의 외연 일측에 고정되는 걸림턱(13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선 케이블(A)은 외면에 요철을 가지는 수지제 휨(가요) 전선관으로서, 요철의 홈부분에 걸림턱(13a)이 결착되어 고정된다.The elastic engaging portion 1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ding guide wall portion 12 and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of the receiving hole 11a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electric cable A guided to the inside of the extending guide wall portion 12, (13a). Here, the wire cable (A) is a resin bending (flexible) wire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engaging step 13a is fixed to the groove portion of the irregularities and fixed.

아울러, 걸림턱(13a)은 인입공(11a) 내측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연장 가이드벽부(12)의 외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복수개의 걸림턱 조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atching jaw 13a has an inclination inward of the inlet hole 11a,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edge of 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2 to be formed into a plurality of latching pieces.

이는 인입공(11a)을 통해 인입되는 전선 케이블(A)이 연장 가이드벽부(12)의 내측으로 가이드되면서 걸림턱(13a)에 전선 케이블(A)의 외면이 접하게 되는데, 이때에 걸림턱(13a)에 전선 케이블(A)의 외면이 슬라이딩되면서, 경사진 걸림턱(13a)조각들이 인입공(11a) 외측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며, 다시 걸림턱(13a) 조각들이 내측으로 용이하게 탄성복원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wire cable A drawn through the lead-in hole 11a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cable 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ooking jaw 13a.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cable A is slid to the out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11a so that the pieces of the slanting hook 13a are unfolded outwardly and the pieces of the hooking pieces 13a are easily resiliently resiliently inward to be.

고정돌부(14)는 도 4b에서와 같이 플레이트(11)의 측면 일측에 플레이트(11)와 일체로 하여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몸체로서, 몸체의 양측단부가 플레이트(11)의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플레이트(11)의 측면에서 절개되어 형성되는 탄성몸체(14a)와, 탄성몸체(14a)의 하단부에 플레이트(11)의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끼움돌기(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B,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1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11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11 and protrude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insertion protrusion 14b which is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14a so as to be direct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plate 11. The elastic body 14a is formed by cutting off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late 11, do.

상기와 같이 탄성몸체(14a)는 플레이트(11)와 일체로 하방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플레이트(11)와 분리되도록 플레이트(11)의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개되며, 끼움돌기(14b)가 후술될 고정홈부(24)에 체결될 경우, 탄성몸체(14a)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끼움돌기(14b)가 고정홈부(24)에 삽입되어 끼움돌기(14b)가 고정홈부(24)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탄성몸체(14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body 14a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11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l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plate 11. The fitting protrusion 14b When the elastic body 14a is elastically bent, the fitting protrusion 14b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portion 24 and the fitting protrusion 14b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portion 24 So that it is retained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14a.

수납케이스(20)는 전선 케이블(A)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케이스로서, 도 6에서와 같이, 플레이트 안착면(21)과, 플레이트 안착면(21)의 외연을 따라 상방으로 융기되어 플레이트(11)의 측면을 지지하여 플레이트(11)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플레이트 고정용 융기부(22)와, 플레이트 안착면(21)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전선 케이블(A)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벽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ousing case 20 is a cylindrical case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cable A and is open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s shown in Fig. 6, the housing case 20 includes a plate seating surface 21, A plate fixing protrusion 22 for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11 and guiding the plate 11 not to flow so as to extend upward along the plate seating surface 21, And a storage space wall portion 23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cable A can be housed in an open cylindrical shape.

플레이트 안착면(21)은 플레이트(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플레이트(11)의 저면 일정영역이 밀착지지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 플레이트(11)의 측면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영역까지를 밀착지지되도록 하며, 플레이트 안착면(21)에는 플레이트(11)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돌부(14)의 끼움돌기(14b)와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고정홈부(24)가 형성된다. The plate seating surface 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te 11, and a certain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11 is closely contacted and supported. The plate protrusion 14b of the stationary protrusion 14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 11 is supported by the plate seating surface 2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region inwardly from the side end of the circular plate 1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portion 24 to b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portion 24.

플레이트 고정용 융기부(22)는 플레이트 안착면(21)의 외연을 따라 플레이트(11)의 두께와 대응되는 높이 또는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플레이트(11)가 플레이트 안착면(21)에 안착될 경우, 플레이트(11)의 측면 단부가 플레이트 고정용 융기부(22)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The plate fixing ridge portion 22 is formed at a height or a predetermined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11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late seating surface 21 so that when the plate 11 is seated on the plate seating surface 21 , So that the side end portion of the plate 11 is suppor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late fixing ridge portion 22.

수납공간벽부(23)는 내부에 전선 케이블(A)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하며, 수납공간벽부(23)의 하부 일측에는 통공된 연장홈부(25)가 형성되어 후술될 연장케이스(30)의 체결돌부(31)가 연장홈부(25) 내부에 삽입결착되도록 한다. 이는 도 6b에서와 같이, 연장홈부(25)가 형성되는 수납공간벽부(23)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단턱(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연장케이스(30)의 상단부에는 수납케이스(20)의 단턱(23a)과 대응되는 단턱(30a)이 외측으로 형성되어 체결돌부(31)가 연장홈부(25)에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수납케이스(20)와 연장케이스(30)의 단턱(23a,30a)이 상호 밀착지지되도록 한다.
The housing space wall portion 23 is formed with a part of the electric cable A. The extension space portion 2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space wall portion 23,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31 is inserted into the extended groove portion 25. 6b, a step 23a is formed i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wall portion 23 where the extended groove portion 25 is formed, and the storage case 2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case 30, The fastening protrusion 31 is fitted into the extended groove 25 and the step 23a of the extension case 30 and the step 30a of the extension case 3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 Are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연장케이스(30)는 도 7에서와 같이, 수납케이스(20)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케이스로서, 연장케이스(30)의 상부 일측에는 체결돌부(31)가 형성되고, 연장케이스(30)의 하부 일측에는 수납케이스(20)의 연장홈부(25)와 대응되는 체결홈부(32)가 형성된다.7, a fastening protrusion 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case 30, and a fastening protrusion 3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case 30 The fastening groove 32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groove 25 of the storage case 20 is formed.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연장케이스(30)를 적어도 하나이상 연속적으로 결합되게 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at least one or more extension cases 30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as required.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결합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assembling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각부품이 분해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sectional view of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n electric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는 먼저 전선 케이블(A) 인입부(10)를 수납케이스(20)의 상단부에 체결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플레이트(11)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돌부(14)를 플레이트 안착면(21)에 형성된 고정홈부(24)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플레이트(11)의 상면에 힘을 가하여 탄성몸체(14a)가 내측으로 휘면서 끼움돌기(14b)가 고정홈부(24)에 삽입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fastens a wire cable A inlet 10 to an upper end of a storage case 20.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rotrusion 14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11 is positioned above the fixing groove 24 formed on the plate seating surface 21, and a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1, 14a are bent inward, the fitting protrusion 14b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4.

이때에 탄성몸체(14a)는 다시 탄성복원되고, 끼움돌기(14b)의 돌기면이 플레이트 안착면(21)의 저면에 결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esilient body 14a is resiliently restored so that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fitting protrusion 14b is stuck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seating surface 21 so as not to be easily detached.

그리고 필요에 따라 연장케이스(30)를 수납케이스(20)의 하단부에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한다. 연장케이스(30)의 결합은 연장케이스(30)의 상부 일측에 돌출형성된 체결돌부(31)를 수납케이스(20)의 하부에 형성된 연장홈부(25)에 위치시키고 연장케이스(30)를 밀어올려 체결돌부(31)가 연장홈부(25)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수납케이스(20)의 하단 내측과 연장케이스(30)의 상단 외측에는 단턱(23a,30a)이 형성되어 상호 밀착지지되도록 한다.If necessary, the extension case 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case 20 for use. The engagement of the extension case 30 is achieved by positioning the fastening protrusion 3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case 30 in the extended groove part 25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case 20 and pushing up the extension case 30 So that the fastening protruding portion 31 is inserted into the extended groove portion 25. Here, the step 23a and the step 23a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case 20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case 30 so as to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전선 케이블(A)을 인입공(11a)을 통해 수납케이스(20) 내부로 인입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는 인입공(11a)을 통해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 케이블(A)이 직하방으로 형성된 연장 가이드벽부(12)에 접하면서 용이하게 하방으로 가이드된다. 이렇게 전선 케이블(A)은 연장 가이드벽부(12) 내부에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전선 케이블(A)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이 탄성 걸림부(13)의 걸림턱(13a)에 결착되어 전선 케이블(A)이 아웃렛 박스에 고정된다. The wire cable A is led into the storage case 20 through the inlet hole 11a in the outlet box for connecting the wire cable as described above. The cable box connecting outle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guided downward while contacting 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2 in which the wire cable A drawn in through the inlet hole 11a is formed in a direct downward direction. The wire cable A is sli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2 and the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cable A is fastened to the hooking step 13a of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13, (A) is fixed to the outlet box.

이러한 걸림턱(13a)은 인입공(11a)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며, 연장 가이드벽부(12)의 하단부가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전선 케이블(A)이 걸림턱(13a)에 접할경우 걸림턱(13a)이 탄성변화되어 인입공(11a)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전선 케이블(A)이 하방으로 인입된다.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2 is cu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when the wire cable A abuts on the hooking jaw 13a, the hooking jaw 13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a, 13a are elastically changed to expand outwardly of the inlet hole 11a, and the electric cable A is pulled downward.

그리고, 전선 케이블(A)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에 걸림턱(13a)이 결착될 경우에는 걸림턱(13a)이 인입공(11a)의 내측으로 다시 복원되면서 전선 케이블(A)의 요홈에 걸림턱(13a)이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13a is fastened to the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cable A, the fastening protrusion 13a is restored to the inside of the inlet hole 11a, So that the jaw 13a can be easily fixed without being detached.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전선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서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0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re cable is connected to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view showing a sectional structure of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는 수납케이스(20)와 전선 케이블 인입부(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case 20 and a wire cable inlet portion 10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수납케이스(20)가 팔각형상의 함체로서, 수납케이스(20)의 상부에는 플레이트(20)가 일체로 성형되고, 플레이트(20)에는 상방으로 직선관으로 이루어진 커넥터(40)가 일체로 연장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커넥터(40)의 내부에는 전선 케이블(A)이 인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인입공(11a)이 형성되는데, 도 10b에서와 같이 인입공(11a)의 하방으로 연장돌출형성되는 연장가이드벽부(12)가 커넥터(40)의 내측에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구조로서, 전선 케이블(A)이 인입되는 방법은 제일실시예와 동일하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20 is an octagonal housing, the plate 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top of the housing case 20, and the connector 20 40 are integrally extended and protruded. As shown in FIG. 10B, an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not show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let hole 11a is formed in the connector 40, and a plurality of inlet holes 11a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cable A can be inserted are formed. 12 are extended downward inward of the connector 40, the method in which the cable A is draw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전선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wire cable being coupled to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view showing a sectional structure of an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in FIG.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넥터(40)에 의해 연장가이드벽부(12)가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플레이트(10)가 하부의 수납케이스(미도시)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2 is positioned above the plate 20 by the connector 4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 case (not shown).

이러한 제3실시예도 제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연장가이드벽부(12)의 단부에 형성되는 탄성 걸림부(13)에 의해 전선 케이블(A)이 고정된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wire cable A is fixed by the elastic latching portion 13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ding guide wall portion 12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는 인입공(11a)을 따라 전선 케이블(A)이 하방 일진선상으로 형성되는 연장가이드벽부(12)를 따라 인입되어 전선 케이블(A)이 탄성 걸림부(13)에 고정되는 구조로서, 종래 인입공(11a)을 통해 인입되는 전선 케이블(A)을 전선케이블 인입부(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캡이 필요치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box for connecting a wir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wire cable A is pulled along 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2 formed downwardly along the inlet hole 11a so that the wire cable A is elastic A separate cap for fixing the wire cable A drawn through the conventional lead-in hole 11a to the wire cable lead-in portion 10 is not requir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 캡의 역활을 하는 탄성 걸림부(13)가 연장가이드벽부(12)에 일체로 성형되게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캡을 다시 결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전선 케이블(A)의 고정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hooking portion 13, which serves as a conventional cap,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2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 is very easy to fix.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hould include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전선 케이블 인입부 11 : 플레이트
11a : 인입공 12 : 연장 가이드벽부
13 : 탄성 걸림부 13a : 걸림턱
14 : 고정돌부 14a : 탄성몸체
14b : 끼움돌기 20 : 수납케이스
21 : 플레이트 안착면 22 : 플레이트 고정용 융기부
23 : 수납공간벽부 23a : 단턱
24 : 고정홈부 25 : 연장홈부
30 : 연장케이스 31 : 체결돌부
32 : 체결홈부 30a : 단턱
40 : 커넥터 A : 전선 케이블
10: Wire cable lead-in part 11: Plate
11a: Inlet hole 12: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13: Elastic locking portion 13a:
14: Fixed protrusion 14a: Elastic body
14b: insertion projection 20: storage case
21: plate seating surface 22: plate fixing ridge
23: storage space wall portion 23a:
24: fixing groove portion 25:
30: extension case 31: fastening protrusion
32: fastening groove portion 30a:
40: Connector A: Wire cable

Claims (7)

전선 케이블이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인입공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돌출형성되는 연장 가이드벽부와, 상기 연장 가이드벽부의 하단부에 상기 연장 가이드벽부의 외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개되고 상기 인입공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걸림턱 조각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측에 탄성적으로 결착되는 탄성 걸림부를 포함하는 전선 케이블 인입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 일체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인입공으로 인입되는 전선 케이블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케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인입공으로 인입되는 전선 케이블이 상기 연장 가이드벽부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걸림턱에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면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내측으로 경사진 걸림턱 조각들이 인입공의 외측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걸림턱이 다시 탄성복원되어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홈부분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
A plate having at least one inlet hole into which a wire cable is inserted, an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let hole, and a guide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extension guide wall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a resiliently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ng hole and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wire cable;
A receiving case integrally or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late and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wire cable drawn into the receiving hole; inclu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cable is provid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so that the wire cable guided to the inlet hole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extended guide wall portion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cable slides on the hooking jaw, And the engaging jaw is elastically restored to be engaged with the groove portion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c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인입공으로 인입되는 전선 케이블이 수납되는 연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연장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case detachab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torage case so as to form an extension space for accommodating a cable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케이스로서,
상기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 일정영역이 밀착지지되는 플레이트 안착면과,
상기 플레이트 안착면의 외연을 따라 상방으로 융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고정용 융기부와,
상기 플레이트 안착면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수납공간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case is a cylindrical case with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A plate seating surface on which a predetermined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is closely contacted and suppor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te,
A plate fixing ridge protruding upward along an outer edge of the plate seating surface to support a side surface of the plate,
And a cylindrical storage space 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late seating surface and having an upper and a lower open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안착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홈부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고정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one fixing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plate seating surface and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so as to be elastically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portion. Outlet box.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것으로서, 양측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탄성몸체와,
상기 탄성몸체의 하단부에 절곡되어 상기 고정홈부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ed-
An elastic body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plate and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having both side end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insertion protrusion that is bent at a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and is fitted in the fixing groov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연장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부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연장홈부에 체결되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연장홈부와 대응되는 체결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case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which is coupled to an inside of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ase to be fastened to the extension groove portion and an extension of the storage cas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case, And an engaging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KR1020140031464A 2014-02-26 2014-03-18 outlet box for conduit connecting KR10148070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2295 2014-02-26
KR1020140022295 2014-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707B1 true KR101480707B1 (en) 2015-01-12

Family

ID=5258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464A KR101480707B1 (en) 2014-02-26 2014-03-18 outlet box for conduit connec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70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677A (en)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탐진 Outlet Box For Wire Wiring
KR20230107937A (en) * 2022-01-10 2023-07-18 구자왕 Outlet box for easy conduit connec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026B2 (en) * 1990-04-23 1998-03-04 日幸工業株式会社 Core case for EMC
KR20060120841A (en)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쏠라테크 Connector combined flat cover
KR20070109129A (en) * 2006-05-09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Security camera
KR20100092202A (en) * 2009-02-12 2010-08-20 김근수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line guide box for hallow-core block wa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026B2 (en) * 1990-04-23 1998-03-04 日幸工業株式会社 Core case for EMC
KR20060120841A (en)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쏠라테크 Connector combined flat cover
KR20070109129A (en) * 2006-05-09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Security camera
KR20100092202A (en) * 2009-02-12 2010-08-20 김근수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line guide box for hallow-core block wal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677A (en)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탐진 Outlet Box For Wire Wiring
KR102632241B1 (en) * 2021-06-25 2024-02-02 주식회사 탐진 Outlet Box For Wire Wiring
KR20230107937A (en) * 2022-01-10 2023-07-18 구자왕 Outlet box for easy conduit connecting
KR102597864B1 (en) 2022-01-10 2023-11-02 구자왕 Outlet box for easy conduit connec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427B2 (en) Cable routing conduit
KR101832214B1 (en) Cable tray for an apartment building power distribution for easy movement and assembly
KR101480707B1 (en) outlet box for conduit connecting
KR101509710B1 (en) Prefabricated Cable Duct
KR200474526Y1 (en) Connector for electric metal conduit flexible
KR20100003745U (en) Wiring protective duct
US6460638B1 (en) Bushing for protecting an electrical wire passing through a hole in a structural member
KR101509714B1 (en) Prefabricated Cable Duct
US20100200263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tool-less installation of power cables
RU2264013C2 (en) Closing end thimble for wiring duct holding electrical conductors or cables
US10686307B2 (en) Flexible channel molding assemblies
KR20170088541A (en) Panel Wall-Buried Composite Electric Terminal Box
KR20180000743U (en) Wire molding
KR200456526Y1 (en) Common cover for outlet box
KR101558521B1 (en) Cable Duct With Transparent Label Window
KR101553026B1 (en) Cable Duct
KR101694319B1 (en) Joint Box
KR200476183Y1 (en)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KR200171332Y1 (en) Distributing duct
JP6584969B2 (en) Wiring and piping material support
KR101092420B1 (en) Distributing duct for Under Floor
KR102597864B1 (en) Outlet box for easy conduit connecting
JP7229875B2 (en) Cover member and cover structure
JP2010282764A (en) Wiring direction regulation structure
KR200338447Y1 (en) Coupling apparatus for slim 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608

Effective date: 2015120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1228

Effective date: 201606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