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621B1 -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621B1
KR101479621B1 KR20130107750A KR20130107750A KR101479621B1 KR 101479621 B1 KR101479621 B1 KR 101479621B1 KR 20130107750 A KR20130107750 A KR 20130107750A KR 20130107750 A KR20130107750 A KR 20130107750A KR 101479621 B1 KR101479621 B1 KR 10147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upport
ceramic product
ceramic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준
Priority to KR2013010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68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콘덴서 등과 같은 전자부품으로 사용되는 세라믹제품이 얹혀지는 받침대를 적층되게 배열하여 많은 양의 세라믹제품을 동시에 균일한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소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순환통로(11)가 관통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 수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측벽(10)과; 상기 측벽(10)과 측벽(10)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일측 측벽(10)과 타측 측벽(10)의 내측면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복 수개의 연결바(20)와; 상기 연결바(20)에 의해 연결된 측벽(10)과 측벽(10)의 내측면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지대(30)와; 상기 측벽(10)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지지대(30)에 일측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측벽(10)에 대향되는 측벽(10)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결합된 지지대(30)에 타측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메쉬타입의 받침대(4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30)에는 복 수개의 통공(31)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Ceramic products for the base carrier}
본 발명은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콘덴서 등과 같은 전자부품으로 사용되는 세라믹제품이 얹혀지는 받침대를 적층되게 배열하여 많은 양의 세라믹제품을 동시에 균일한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소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라믹(Ceramic)은 현대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재료로 전자부품, 항공기부품용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세라믹제품은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등 소결재료 분말체를 혼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후 소성하여 얻게 된다.
이때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 된 세라믹제품을 소성로에 넣고 소성 할 때 세라믹제품 받침대가 필요하다.
이러한 세라믹제품 받침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라믹제품과 동일한 지르코니아, 알루미나늄등 소결재료 분말체로 구멍이 전혀 없는 편편한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라믹제품 받침대(100)는 성형 된 세라믹제품을 상기 세라믹제품 받침대(100) 위에 올려놓고 소성로에서 소성하게 되면 상기 세라믹제품 받침대(100)와 닿는 부분과 닿지 않는 부분에 열전도에 차이가 발생하고, 소성 할 세라믹제품의 수축률에 차이가 발생하여 균일한 특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형태변형 등 불량이 많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세라믹제품 받침대(100)는 구멍이 전혀 없는 평편한 판재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소성 후 세라믹제품을 탈바인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885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에 다공을 형성하여 균일한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내부재료를 내열성이 우수한 니켈 메쉬로 구성하여, 세라믹제품 소성 시 다공에 의한 균일한 열전도로 수축률 차이를 억제하여 균일한 특성을 갖는 세라믹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성 후 세라믹제품의 탈바인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받침대 역시도, 소성로의 내외부로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에 받침대의 저면이 직접 접촉된 상태로 놓여진 상태에서 소성로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소성로에서 소성시 컨베이어벨트에 접촉되어있는 받침대에 저면이 접촉하고 부분과 접촉하지 않은 부분에 열전도에 차이가 발생하여, 소성 할 세라믹제품의 수축률에 차이가 발생하고, 균일한 특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형태변형 등의 불량이 많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세라믹제품이 놓여진 받침대가 컨베이어벨트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소성로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소성되는 관계로 많은 양의 세라믹제품을 소성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88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06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라믹제품 소성 시 균일한 열전달로 수축률 차이를 억제하여 세라믹제품의 형태변형 등 불량을 방지하고, 소성 후 세라믹제품의 탈바인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세라믹제품이 놓여진 받침대가 컨베이어벨트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면서 복 수개 적층된 상태에서 소성로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소성되는 관계로 많은 양의 세라믹제품을 동시에 소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량을 극대화되도록 하는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는 열순환통로(11)가 관통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 수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측벽(10)과; 상기 측벽(10)과 측벽(10)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일측 측벽(10)과 타측 측벽(10)의 내측면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복 수개의 연결바(20)와; 상기 연결바(20)에 의해 연결된 측벽(10)과 측벽(10)의 내측면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지대(30)와; 상기 측벽(10)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지지대(30)에 일측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측벽(10)에 대향되는 측벽(10)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결합된 지지대(30)에 타측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메쉬타입의 받침대(4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30)에는 복 수개의 통공(3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열순환통로(11)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공(31)을 통해 유입되면서 컨베이어벨트(50)에 하단부가 접촉되어 있는 측벽(10)과 측벽(10)의 하부 방향으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에 의하면 메쉬타입의 받침대가 열순환통로가 관통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 수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측벽과 측벽 사이에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면서 적층되게 배열되어지게 됨으로써, 많은 양의 세라믹제품을 수개의 메쉬타입 받침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동시에 소성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생산량이 증대됨은 물론, 세라믹제품 소성 시 열순환통로를 통해 유입된 열이 통공을 통해 컨베이어벨트에 하단부가 접촉되어 있는 측벽과 측벽의 하부 방향으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세라믹제품에 균일한 열전달로 수축률 차이가 억제되고, 세라믹제품의 형태변형 등 불량이 방지되며, 소성 후 세라믹제품의 탈바인딩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세라믹제품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에 받침대가 적층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에 받침대가 적층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의 사용상태도 이다.
본 발명의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는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열순환통로(11)가 관통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 수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측벽(10)과; 상기 측벽(10)과 측벽(10)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일측 측벽(10)과 타측 측벽(10)의 내측면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복 수개의 연결바(20)와; 상기 연결바(20)에 의해 연결된 측벽(10)과 측벽(10)의 내측면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지대(30)와; 상기 측벽(10)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지지대(30)에 일측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측벽(10)에 대향되는 측벽(10)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결합된 지지대(30)에 타측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메쉬타입의 받침대(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30)에는 복 수개의 통공(3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열순환통로(11)이 관통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 수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측벽(10)과 측벽(10)의 내측면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통공(3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있는 지지대(30)의 일측 단부를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대(30)이 측벽(10)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30)을 측벽(10)의 내측면에 결합시킨 후에는, 상기 지지대(30)과 지지대(30)이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측벽(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바(20)의 일측 및 타측단부를 측벽(10)의 내측면 하부에 각각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측벽(10)과 측벽(1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20)은 메쉬타입의 받침대(40)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벽(10)과 측벽(10)의 간격이 메쉬타입의 받침대(40)보다 넓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측벽(10)과 측벽(1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되도록 연결바(20)을 결합시킨 후에는 세라믹제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메쉬타입 받침대(40)의 일측 저면 및 타측 저면이 측벽(10)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지지대(30)에 접촉되도록 안치시키면서 수개 적층시키게 된다.
따라서, 세라믹제품 소성 시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에 수개의 메쉬타입 받침대(40)이 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적층되고, 상기 메쉬타입의 받침대(40)에는 세라믹제품이 놓여진 상태에서 소성로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성로로 유입된 세라믹제품에는 측벽(10)에 형성된 열순환통로(11)와, 지지대(30)에 형성된 통공(31)을 통해 열전도가 이루어지면서 소성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소성 할 세라믹제품의 수축률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며 균일한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되고, 형태변형 등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제품이 놓여진 받침대가 컨베이어벨트에 직접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소성로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소성되는 관계로 많은 양의 세라믹제품을 소성할 수 있게 된다.

10 : 측벽
11 : 열순환통로
20 : 연결바
30 : 지지대
31 : 통공
40 : 메쉬타입의 받침대

Claims (2)

  1. 열순환통로(11)가 관통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 수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측벽(10)과; 상기 측벽(10)과 측벽(10)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일측 측벽(10)과 타측 측벽(10)의 내측면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복 수개의 연결바(20)와; 상기 연결바(20)에 의해 연결된 측벽(10)과 측벽(10)의 내측면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지대(30)와; 상기 측벽(10)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지지대(30)에 일측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측벽(10)에 대향되는 측벽(10)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결합된 지지대(30)에 타측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메쉬타입의 받침대(4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30)에는 복 수개의 통공(31)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
  2. 삭제
KR20130107750A 2013-09-09 2013-09-09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 KR10147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750A KR101479621B1 (ko) 2013-09-09 2013-09-09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750A KR101479621B1 (ko) 2013-09-09 2013-09-09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621B1 true KR101479621B1 (ko) 2015-01-06

Family

ID=5258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7750A KR101479621B1 (ko) 2013-09-09 2013-09-09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83B1 (ko) * 2021-04-14 2021-09-28 주식회사 디알테크 소성용 다중 적재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913A (ja) 2003-06-30 2005-01-20 Tdk Corp 脱バインダ用治具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2158507A (ja) 2011-02-02 2012-08-23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焼成用セッ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913A (ja) 2003-06-30 2005-01-20 Tdk Corp 脱バインダ用治具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2158507A (ja) 2011-02-02 2012-08-23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焼成用セッ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83B1 (ko) * 2021-04-14 2021-09-28 주식회사 디알테크 소성용 다중 적재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40582A1 (en) Atomization element and electronic cigarette
KR101479621B1 (ko) 세라믹제품 받침대용 캐리어
CN105339750A (zh) 烧结窑具
CN209857661U (zh) 一种陶瓷烧结用的承烧台
KR100878859B1 (ko) 세라믹제품 소성용 세라믹코팅 니켈 메쉬 받침대 및 그제조방법
JP6196748B2 (ja) セラミックス製品の焼成用セッター
US11300356B2 (en) Drying device for columna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umnar structure
KR101680835B1 (ko) 세라믹 열처리용 세터
CN106662402A (zh) 热处理用夹具
JP6502165B2 (ja) セラミックス板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143401A (zh) 超微型环形压敏电阻烧结装置
JP6378155B2 (ja) 熱処理用棚
CN204396811U (zh) 一种陶瓷棒气幕挡墙
CN209998316U (zh) 铸造用过滤片托架
CN203837497U (zh) 陶瓷电子元件的承烧治具
CN213454578U (zh) 电加热烘箱
KR20130102232A (ko) 통기성 다공홀 기능성 세라믹셋터
CN211196966U (zh) 一种可折叠快速降温托盘
JPH0637331B2 (ja) セラミックス押出長尺形材の焼成方法
JP2005321161A (ja) 焼成用窯道具
CN207180375U (zh) 一种叠层烧结陶瓷支撑柱
CN114503230B (zh) 片状电子部件用设置器
CN207688624U (zh) 一种烘箱
JP2006036573A (ja) セラミック焼成用さや、及び、セラミック成形体の焼成方法
JP4308703B2 (ja) セラミック成形体の焼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