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490B1 - 무게 중심을 활용한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게 중심을 활용한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490B1
KR101479490B1 KR20120101332A KR20120101332A KR101479490B1 KR 101479490 B1 KR101479490 B1 KR 101479490B1 KR 20120101332 A KR20120101332 A KR 20120101332A KR 20120101332 A KR20120101332 A KR 20120101332A KR 101479490 B1 KR101479490 B1 KR 10147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rate
gravity
center
level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044A (ko
Inventor
김재훈
김창욱
홍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포닉스
Priority to KR2012010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4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4Bow sho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선수의 무게중심을 측정하여, 측정된 무게중심을 전송하는 무게중심 계측기; 선수의 심박수를 측정하며, 측정된 심박수를 전송하는 심박 측정기; 및 선수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심박수를 통해 정량화시킨 적정각성수준을 도출하고, 상기 적정각성수준과의 심박수 차이에 따라 분류되는 각성수준을 도출하고, 상기 심박 측정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심박수를 수신하여, 수신된 심박수가 속하는 각성수준을 결정하며, 결정된 각성수준과 미리 도출된 훈련 유형에 따라 상기 선수가 슈팅시 상기 적정각성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 훈련 방법을 도출하고, 상기 무게중심 계측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무게중심을 수신하여, 무게중심의 변화에 따라 선수가 슈팅시 무게중심의 변동을 줄이도록 하는 무게중심 훈련 방법을 도출하는 분석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게 중심을 활용한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 System for archery training method using center of gravity, an apparatus thereof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게 중심을 활용한 양궁 훈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수의 활쏘기 시의 심박수 및 무게중심(COG, Center of Gravity)에 대한 측정을 기초로 하여 선수가 보다 나은 기록을 얻기 위한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궁 경기에서는 목표설정, 자신감, 주의집중, 심상, 동기, 긍정적 사고, 사고 정지, 이완 등 대부분의 심리 기술이 필요하지만, 연습 상황 혹은 시합 상황에 따라서 그 적용 과정과 방법이 다양해질 수 있다.
경기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시합에 대한 심리적 준비 전략과 심리기술훈련을 실시하게 되는데 최상 수행을 위한 심리적 조절 및 통제 기법으로 점진적 이완, 호흡 조절법, 자생 훈련(autogenic training), 체계적 둔감화, 초월적 명상(transcendent meditation), 인지 재구성, 바이오피드백 등의 불안 및 각성 조절과 이완훈련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선수들의 양궁 경기력과 관련된 직접적인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선수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회성, 문제 중심적 접근, 훈련프로그램의 체계성 부족 등의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따라서 고도의 스포츠과학기술이 접목이 된 훈련 장비를 적극 활용하여 양궁 경기력과 심리적 영향도를 직접적으로 예측 및 평가, 훈련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이 스포츠산업기술에는 양궁종목의 특성을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심박수 바이오피드백 기법, 양궁슈팅동작분석, 양궁 탄착군 형성에 따른 경기운영 모니터링 정보, 종합적 기술력 평가 등 자료가 어우러져 스포츠 수행력 향상을 위한 시너지 효과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양궁을 비롯한 사격, 역도, 스키점프 등 스포츠 전 종목에서 심리훈련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코치 및 선수들의 트레이닝에 적합한 정량적인 평가 및 분석 등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궁 선수의 생체 신호, 즉, 심박수 및 동영상 분석을 기초로 해당 선수에 적합한 훈련 방법을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궁 선수의 무게중심(COG, Center of Gravity)을 기초로 해당 선수에 적합한 훈련 방법을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은, 선수의 무게중심을 측정하여, 측정된 무게중심을 전송하는 무게중심 계측기; 선수의 심박수를 측정하며, 측정된 심박수를 전송하는 심박 측정기; 및 선수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심박수를 통해 정량화시킨 적정각성수준을 도출하고, 상기 적정각성수준과의 심박수 차이에 따라 분류되는 각성수준을 도출하고, 상기 심박 측정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심박수를 수신하여, 수신된 심박수가 속하는 각성수준을 결정하며, 결정된 각성수준과 미리 도출된 훈련 유형에 따라 상기 선수가 슈팅시 상기 적정각성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 훈련 방법을 도출하고, 상기 무게중심 계측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무게중심을 수신하여, 무게중심의 변화에 따라 선수가 슈팅시 무게중심의 변동을 줄이도록 하는 무게중심 훈련 방법을 도출하는 분석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안정시 심박수에서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10점 명중시 심박수에서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10점 명중시 심박수와 안정시 심박수의 평균으로부터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훈련 유형은 근육을 통한 뇌(muscle to mind)를 단련하는 방식인 신체이완형 및 뇌를 통한 근육(mind to muscle)을 단련하는 방식인 심상훈련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 장치는 연습 상황, 싱글 상황, 및 토너먼트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각각에 따라 상기 적정각성수준 및 상기 각성수준을 다르게 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장치는, 선수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측정기 및 선수의 무게중심을 측정하는 무게중심 계측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선수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심박수를 통해 정량화시킨 적정각성수준과 상기 적정각성수준과의 심박수 차이에 따라 분류되는 각성수준을 도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심박 측정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심박수를 수신하여, 수신된 심박수가 속하는 각성수준을 결정하며, 결정된 각성수준과 미리 도출된 훈련 유형에 따라 상기 선수가 슈팅시 상기 적정각성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 훈련 방법을 도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게중심 계측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무게중심을 수신하여, 무게중심의 변화에 따라 선수가 슈팅시 무게중심의 변동을 줄이도록 하는 무게중심 훈련 방법을 도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안정시 심박수에서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하거나, 또는, 선수의 심박수가 10점 명중시 심박수에서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하거나, 또는, 선수의 심박수가 10점 명중시 심박수와 안정시 심박수의 평균으로부터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훈련 유형은 근육을 통한 뇌(muscle to mind)를 단련하는 방식인 신체이완형 및 뇌를 통한 근육(mind to muscle)을 단련하는 방식인 심상훈련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연습 상황, 싱글 상황, 및 토너먼트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각각에 따라 상기 적정각성수준 및 상기 각성수준을 다르게 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은, 선수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심박수를 통해 정량화시킨 적정각성수준과, 상기 적정각성수준과의 심박수 차이에 따라 분류되는 각성수준을 도출하는 단계; 선수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측정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심박수를 수신하고, 선수의 무게중심을 측정하는 무게중심 계측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무게중심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심박수가 속하는 각성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각성수준과 미리 도출된 훈련 유형에 따라 상기 선수가 슈팅시 상기 적정각성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 훈련 방법과, 상기 무게중심의 변화에 따라 선수가 슈팅시 무게중심의 변동을 줄이도록 하는 무게중심 훈련 방법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심박수를 기초로 선수가 최고의 성적을 낼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정량화하고, 지속적으로 심박수를 측정하여, 선수가 가지는 심리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할 수 있는 심리 훈련 방법과, 측정된 무게중심을 기초로 선수의 무게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무게중심 훈련 방법을 도출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선수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선수들의 실력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을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을 위한 시스템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의 훈련 방법 도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의 훈련 방법 도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시스템(10)은 카메라 장치(100), 심박 측정기(200), 무게중심 계측장치(300) 및 분석 장치(400)를 포함한다.
카메라 장치(100)는 과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된 영상은 분석 장치(400)에 제공된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는 동영상을 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 장치(400)에 전송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00)는 선수의 경기 혹은 훈련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선수의 경기 또는 훈련 모습의 영상 또한 유선 또는 무선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분석 장치(400)에 제공된다.
심박 측정기(200)는 선수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선수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박 측정기(200)는 무선으로 분석 장치(400)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ANT+, 등을 이용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박 측정기(200)는 종래의 가슴 벨트형 도전성 고무 센서가 착용이 불편하고 위생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패치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박 측정기(200)는 패치형 접착 패드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심박 측정기(200)는 리튬 건전지 사용하여 사용 시간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무게중심 계측기(300)는 선수의 무게중심을 계측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판형으로 훈련 또는 경기 시, 예컨대, 발판과 같이 사용되어, 선수의 무게중심을 계측한다. 이와 같이, 계측된 무게중심은 지속적으로, 분석 장치(400)에 전송된다. 따라서, 분석 장치(400)는 선수의 무게중심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된 무게중심의 변화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분석 장치(400)는 무게중심 계측기(300)를 통해 전후좌우의 무게중심이동 궤적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분석 장치(400)는 심박 측정기(200)로부터 선수의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분석 장치(200)는 선수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심박수를 통해 정량화시킨 적정각성수준을 도출하고, 도출된 적정각성수준과의 심박수 차이에 따라 분류되는 각성수준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심박 측정기(200)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심박수를 수신하여, 수신된 심박수가 속하는 각성수준을 결정한다. 그리고, 분석 장치(400)는 결정된 각성수준과 미리 도출된 훈련 유형에 따라 상기 선수가 슈팅시 적정각성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 방법을 도출한다. 이러한 훈련 방법을 도출에 대해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을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장치(400)는 통신부(410), 표시부(420), 입력부(430), 저장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무선 통신, 예컨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ANT+, 등을 통해 심박 측정기(200)와 통신한다. 이러한 통신부(410)는 심박 측정기(200)로부터 선수의 심박을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제어부(4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무게중심 계측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410)은 무게중심 계측장치(300)가 측정한 선수의 무게중심을 수신하여, 제어부(4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카메라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410)는 카메라 장치(100)가 촬영한 과녁의 영상을 수신하여, 제어부(450)에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420)는 분석 장치(40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특히, 표시부(420)는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과녁에 대한 영상, 선수의 심박수, 선수의 무게중심 등을 표시하는 수치, 이미지, 그래프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분석 장치(400)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430)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키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입력부(43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44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4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440)는 분석 장치(4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 예컨대, 심박수, 점수, 무게중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450)는 운영 체제를 실제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5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어부(450)는 분석 장치(40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저장부(440)의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는 부팅(booting)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부(430)를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부(440)로부터 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양궁 훈련 방법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궁 훈련을 위한 시스템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훈련 시스템(10)은 S310 단계에서 선수의 적정각성수준을 도출하고, 적정각성수준에 따른 각성 수준을 도출한다. 이러한 적정각성수준 및 각성수준은 환경에 따라 다르게 도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황은 연습 상황, 싱글 상황, 토너먼트 상황, 등을 포함한다.
적정각성수준은 선수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생체 신호, 즉, 심박수를 통해 정량화시킨 것이다. 그리고, 각성수준은 적정각성수준의 심박수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정규화한 것이다. 즉, 각성수준은 적정각성수준과의 심박수 차이에 따라 분류된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정 각성 수준과 각성 수준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Figure 112012073909892-pat00001
표 1은 적정각성수준과 각성수준 1, 2 및 3을 보인다. 보인 바와 같이, 적정각성수준은 수학식을 통해 정량화되어 있다. 표 1에서 각성 수준은 심박수를 기준으로 적정각성수준과의 차이에 따라 각성수준 1, 2 및 3으로 구분하였다. 즉, 각성수준 1은 적정각성수준과 차이가 가장 적고, 각성수준 3은 적정각성수준과 차이가 가장 크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안정시 심박수에서 수학식에 따라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한다. 즉, 적정각성수준은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안정시 심박수(안정시 HR)를 기준으로 도출된다. 예컨대, 안정시 심박수가 70인 경우를 가정하여, 훈련 상황에서는, "안정시 HR + (안정시 HR x 60%)의 ±5"를 적정각성수준으로 도출하며, 경기 방식 중 하나인 싱글 상황에서는, "안정시 HR + (안정시 HR x 70%)의 ±5"를 적정각성수준으로 도출하고, 경기 방식 중 하나인 토너먼트 상황에서는, "안정시 HR + (안정시 HR x 80%)의 ±5"를 적정각성수준으로 도출한다. 안정시 HR은 복수 번에 걸쳐 측정된 누적값(누적한 후 평균값)이 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10점 명중시 심박수에서 수학식에 따라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된다. 여기서, 10점 명중시 심박수는 선수가 과녁의 10점에 명중시킨 경우의 선수의 슈팅(shooting) 시점의 심박수를 말한다. 즉, 표 1에서는 안정시 HR을 이용하여 적정각성수준을 도출하였지만, 안정시 HR 대신 10 점에 명중시켰을 때의 심장 박동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토너먼트 상황에서는, "10점 명중시 HR + (10점 명중시 HR x 80%)의 ±5"를 적정각성수준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10점 명중시 HR" 또한 복수 번 측정하여 누적된 값(누적한 후 평균값)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10점 명중시 심박수와 안정시 심박수의 평균으로부터 수학식에 따라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된다. 즉, 제3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안정시 HR 만 이용하거나, 10점에 명중시켰을 때의 HR만 이용하지 않고, 양자 모두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예컨대, 토너먼트 상황에서는, "(10점에 명중시 HR과 안정시 심박수의 평균) + ((10점에 명중시 HR과 안정시 심박수의 평균) x 80%)의 ±5"를 적정각성수준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10점 명중시 HR과 안정시 심박수의 평균" 모두 복수 번 측정하여 누적된 값(누적한 후 평균값)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실시예의 10점 명중시 심박수(HR)는 X10 명중시 심박수(HR)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X10은 소위 "엑스텐"으로 지칭되는 과녁의 정중앙을 명중시켰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적정각성수준과 각성수준 1의 범위의 심박수가 겹치는 범위가 있는 경우, 겹치는 범위는 각성수준 1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적정각성수준을 도출하기 위하여, 훈련 시스템(10)은 안정시, 심박수 및 10점 명중시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특히, 훈련 시스템(10)은 선수의 슈팅(shooting) 시점의 심박수와 해당 슈팅에 따른 점수를 검출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슈팅"은 선수가 화살이 장착된 활에서 시위를 당겼다가 놓음으로써 활에서 화살이 발사되는 시점을 말한다. 여기서, 심박수는 심박 측정기(200)가 측정한 것을 통해 검출되며, 점수는 카메라 장치(100)가 과녁을 촬영한 영상을 통해 검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훈련 시스템(10)은 S320 단계에서 선수의 심박수 및 무게중심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되, 슈팅시 심박수 및 슈팅시 무게중심을 구분하여 측정한다.
이어서, 훈련 시스템(10)은 S330 단계에서 상황(연습, 싱글 및 토너먼트 상황)에 따라 슈팅시 측정되는 심박수를 기초로 하여, 앞서 도출된 적정각성수준에 대해 슈팅시 측정된 심박수가 어떤 각성 수준에 속하는지 결정한다.
그런 다음, 훈련 시스템(10)은 S340 단계에서 슈팅시 무게중심에 따라 슈팅시 무게중심을 교정하기 위한 무게중심 훈련 방법과, 앞서(S320) 결정된 각성 수준과 미리 도출된 해당 선수에 적합한 훈련 유형에 따라 해당 선수의 심리 훈련 방법을 결정한다.
심리 훈련 방법의 도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정각성수준과 각성수준(각성수준 1, 2, 및 3 중 어느 하나)이 도출되면, 훈련 시스템(10)은 각성수준과 훈련 유형을 고려하여, 해당 선수가 적정각성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 훈련 방법을 도출한다.
여기서, 선수에 따른 훈련 유형은 각성 유발에 따른 증상의 해결 방법을 영역화한 것으로, 영역화는 크게 "근육을 통한 뇌(muscle to mind)를 단련하는" 방식인 전통식 생리학적 접근 방법과, "뇌를 통한 근육(mind to muscle)을 단련하는" 방식인 인지적 접근 방법으로 구분한다. 즉, 설문 또는 관찰을 통해 해당 선수가 "근육을 통한 뇌(muscle to mind)를 단련하는" 방식인 "신체이완형"에 적합한지, 혹은, "뇌를 통한 근육(mind to muscle)을 단련하는" 방식인 인지적 접근 방법인 "심상훈련형"에 적합한지를 구분한다.
즉, 신체이완형은 신체를 단련하여 훈련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인 유형의 선수임을 나타내고, 심상훈련형은 심상 단련을 통해 훈련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인 유형의 선수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각 선수별 훈련 유형은 미리 준비된 설문지를 통해 해당 선수에 대해 관찰 및 설문하여, 얻어진 바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의 표 2 및 표 3은 선수별 훈련 유형을 도출하기 위한 관찰 및 설문의 내용을 보인다.
Figure 112012073909892-pat00002

다음 질문 문장을 읽고 현재 자신의 느낌에 해당되는 점수를 표시(○) 하시기 바랍니다.


전혀 약간 상당히 아주 많이
그렇지 않다 그렇다 그렇다 그렇다

1. 나는 지금 이번 시합에 신경이 쓰인다 1 2 3 4
2. 나는 지금 초조하다 1 2 3 4
3. 나는 지금 마음이 가볍고 편안하다 1 2 3 4
4. 나는 지금 시합을 잘 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1 2 3 4
5. 나는 지금 내 몸이 과도하게 민감해져 있다 1 2 3 4
6. 나는 지금 마음이 안락하고 편하다 1 2 3 4
7. 나는 지금 이번 경기에서 이전처럼 실력을 잘 1 2 3 4
발휘할 수 없을까 바 걱정이 된다
8. 나는 지금 몸이 긴장되고 굳어지는 것 같다 1 2 3 4
9. 나는 지금 자신감이 있다 1 2 3 4
10. 나는 지금 경기에서 질까봐 걱정이 된다 1 2 3 4
11. 나는 지금 위가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 안 된다 1 2 3 4
12. 나는 지금 마음이 든든하고 안심이 된다 1 2 3 4
13. 나는 지금 압박감 때문에 답답할까봐 걱정된다 1 2 3 4
14. 나의 몸은 지금 긴장하지 않고 이완되어 있다(R) 1 2 3 4
15. 나는 지금 시합에서 힘든 상황을 이겨낼 자신이 있다 1 2 3 4
16. 나는 시합에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할까봐 걱정된다 1 2 3 4
17. 나는 지금 심장이 빨리 뛰는 것 같다 1 2 3 4
18. 나는 지금 경기를 잘 해낼 자신이 있다 1 2 3 4
19. 나는 지금 목표한 것을 달성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 1 2 3 4
20. 나는 지금 속이 메스껍고 불편하다 1 2 3 4
21. 나는 지금 정신적으로 여유가 있다 1 2 3 4
22. 다른 사람들이 내 경기를 보고 실망할까봐 걱정된다 1 2 3 4
23. 나는 지금 긴장해서 손과 이마에 땀이 많이 난다 1 2 3 4
24. 나는 지금 머리 속에 내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1 2 3 4
상상하기 때문에 자신감이 생긴다
25. 나는 지금 시합중에 집중을 못할까봐 걱정이 된다 1 2 3 4
26. 나는 지금 몸이 뻣뻣해지고 굳는 것 같다 1 2 3 4
27. 나는 지금 정신적인 부담을 이겨낼 자신이 있다 1 2 3 4
이러한 표 2 및 표 3과 같은 관찰 또는 설문을 통해 해당 선수의 훈련 유형(신체이완형, 심상훈련형)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훈련 유형은 미리 조사되어 입력된다.
다음의 표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 각성수준 및 훈련 유형에 따라 도출되는 심리 훈련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Figure 112012073909892-pat00003
표 2, 표 3 및 표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황별, 적정각성수준이 도출되고, 이에 대응하여, 측정되는 심박수를 기초로 각성수준을 결정한 후, 훈련 유형에 따라 심리 훈련 방법을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의 훈련 방법 도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의 훈련 방법 도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4에서는 앞서 표 2 및 표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관찰 또는 설문에 의거하여 해당 선수의 훈련 유형이 미리 도출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또한, 적정각성수준과 이에 따른 각성 수준이 미리 도출된 상황을 가정한다. 이러한 적정각성수준은 표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실시예 따라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정시 심박수는 선수가 지속적으로 심박 측정기(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휴식 또는 경기 후, 등의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혹은, 안정시 심박수는 다른 장비를 통해 측정하여, 측정된 수치를 분석 장치(400)의 입력부(430)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10점시 심박수는 아래에서 설명될 슈팅시 심박수 측정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습, 싱글, 및 토너먼트 상황에서 선수의 슈팅시 심박수를 측정하여, 그 중 10점(혹은 X10)인 경우를 누적 저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50)는 S410 단계에서 심박 측정기(200)가 측정한 해당 선수의 심박수를 통신부(410)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저장부(440)에 저장하며, 표시부(420)를 통해 지속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면 부호 510은 해당 선수의 현재 수신되는 심박수를 숫자로 표시한 것이며, 도면 부호 520은 해당 선수의 심박수의 변화를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450)는 S420 단계에서 무게중심 계측기(300)가 측정한 해당 선수의 무게중심을 통신부(410)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저장부(440)에 저장하며, 표시부(420)를 통해 지속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면 부호 610에 보인 바와 같이, 제어부(450)는 표시부(420)를 통해 무게중심을 X축, Y축의 양끝에 제공되는 비율(%)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 부호 630에 보인 바와 같이, 제어부(450)는 표시부(420)를 통해 표와 같은 형식으로 전후좌우의 무게중심의 변화를 비율(%)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부호 640에 보인 바와 같이, 제어부(450)는 표시부(420)를 통해 그래프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의 변화를 표시한다.
S410 및 S420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만약, 선수의 슈팅이 있으면, 제어부(450)는 S430 단계에서 슈팅시 심박수를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부(440)에 저장하고, 표시부(420)를 통해 슈팅 시점의 심박수를 슈팅이 없는 시점의 심박수와 구분되게 표시한다. 도 5의 도면 부호 530은 선수의 슈팅 시, 슈팅 순간을 감지하여, 슈팅 순간의 선수의 심박수를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슈팅 순간의 감지는, 제어부(450)가 카메라 장치(100)를 통해 수신되는 선수의 영상에서 이미지 처리를 통해 슈팅 시점을 감지하거나, 또는, 선수의 슈팅 순간, 분석 장치(400)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면, 이를 제어부(450)가 입력부(43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수의 슈팅이 있을 때, 제어부(450)는 S440 단계에서 슈팅시 무게중심을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부(440)에 저장하고, 표시부(420)를 통해 슈팅 시점의 무게중심을 슈팅이 없는 시점의 무게중심과 구분되게 표시한다. 도 6의 도면 부호 620은 슈팅 전 20초부터 슈팅 후 5초의 무게중심의 변화를 점으로 표시한 것이다.
S430 및 S440 단계는 선수의 슈팅시에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부(450)는 S450 단계에서 카메라 장치(100)가 촬영한 과녁 영상을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하여, 과녁 영상으로부터 슈팅 후 해당 슈팅에 대한 점수를 슈팅 순간의 심박수 및 무게중심에 각각 매핑하여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7에 도시하였다. 점수는 카메라 장치(100)가 촬영한 과녁 영상을 통해 분석 장치(400)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00)가 촬영한 과녁 영상에서 이미지 처리를 통해 해당 점수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50)는 S460 단계에서 현재 상황(연습, 싱글, 토너먼트 상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미리 도출된 적정각성수준과 비교하여 슈팅 순간의 심박수가 어떤 각성수준에 속하는지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S470 단계에서 현재의 상황, 앞서(S430) 검출된 슈팅 순간의 각성수준 및, 미리 도출된 훈련 유형에 따라, 심리 훈련 방법을 도출한다. 도출된 심리 훈련 방법은 표 4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450)는 S480 단계에서 앞서(S440) 수신된 슈팅시 무게중심에 따라 슈팅시 무게중심을 교정하기 위한 무게중심 훈련 방법을 도출한다. 이러한 무게중심 훈련 방법은 10점 혹은 X10점인 경우의 무게중심을 되도록 하는 훈련, 혹은, 슈팅시 무게중심의 변동을 줄이도록 하는 훈련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50)는 S490 단계에서 도출된 무게중심 및 심리 훈련 방법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궁 훈련 방법 도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SSD(Solid State Disk), HDD(Hard Disk Drive)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훈련 시스템 100: 카메라 장치
200: 심박 측정기 300: 무게중심 계측장치
400: 분석 장치 410: 통신부
420: 표시부 430: 입력부
440: 저장부 450: 제어부

Claims (11)

  1.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선수의 무게중심을 측정하여, 측정된 무게중심을 전송하는 무게중심 계측기;
    선수의 심박수를 측정하며, 측정된 심박수를 전송하는 심박 측정기; 및
    선수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심박수를 통해 정량화시킨 적정각성수준을 도출하고, 상기 적정각성수준과의 심박수 차이에 따라 분류되는 각성수준을 도출하고,
    상기 심박 측정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심박수를 수신하여, 수신된 심박수가 속하는 각성수준을 결정하며,
    결정된 각성수준과 미리 도출된 훈련 유형에 따라 상기 선수가 슈팅시 상기 적정각성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 훈련 방법을 도출하고,
    상기 무게중심 계측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무게중심을 수신하여, 무게중심의 변화에 따라 선수가 슈팅시 무게중심의 변동을 줄이도록 하는 무게중심 훈련 방법을 도출하는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안정시 심박수에서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10점 명중시 심박수에서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10점 명중시 심박수와 안정시 심박수의 평균으로부터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유형은
    근육을 통한 뇌(muscle to mind)를 단련하는 방식인 신체이완형 및
    뇌를 통한 근육(mind to muscle)을 단련하는 방식인 심상훈련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장치는
    연습 상황, 싱글 상황, 및 토너먼트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각각에 따라 상기 적정각성수준 및 상기 각성수준을 다르게 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7.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선수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측정기 및 선수의 무게중심을 측정하는 무게중심 계측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선수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심박수를 통해 정량화시킨 적정각성수준과, 상기 적정각성수준과의 심박수 차이에 따라 분류되는 각성수준을 도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심박 측정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심박수를 수신하여, 수신된 심박수가 속하는 각성수준을 결정하며, 결정된 각성수준과 미리 도출된 훈련 유형에 따라 상기 선수가 슈팅시 상기 적정각성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 훈련 방법을 도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게중심 계측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무게중심을 수신하여, 무게중심의 변화에 따라 선수가 슈팅시 무게중심의 변동을 줄이도록 하는 무게중심 훈련 방법을 도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각성수준은
    선수의 심박수가 안정시 심박수에서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하거나,
    또는,
    선수의 심박수가 10점 명중시 심박수에서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하거나,
    또는,
    선수의 심박수가 10점 명중시 심박수와 안정시 심박수의 평균으로부터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심박수로 정량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유형은
    근육을 통한 뇌(muscle to mind)를 단련하는 방식인 신체이완형 및
    뇌를 통한 근육(mind to muscle)을 단련하는 방식인 심상훈련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습 상황, 싱글 상황, 및 토너먼트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각각에 따라 상기 적정각성수준 및 상기 각성수준을 다르게 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장치.
  11.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선수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심박수를 통해 정량화시킨 적정각성수준과, 상기 적정각성수준과의 심박수 차이에 따라 분류되는 각성수준을 도출하는 단계;
    선수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측정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심박수를 수신하고, 선수의 무게중심을 측정하는 무게중심 계측기로부터 선수가 슈팅할 때의 무게중심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심박수가 속하는 각성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각성수준과 미리 도출된 훈련 유형에 따라 상기 선수가 슈팅시 상기 적정각성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 훈련 방법과, 상기 무게중심의 변화에 따라 선수가 슈팅시 무게중심의 변동을 줄이도록 하는 무게중심 훈련 방법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

KR20120101332A 2012-09-13 2012-09-13 무게 중심을 활용한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47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1332A KR101479490B1 (ko) 2012-09-13 2012-09-13 무게 중심을 활용한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1332A KR101479490B1 (ko) 2012-09-13 2012-09-13 무게 중심을 활용한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44A KR20140035044A (ko) 2014-03-21
KR101479490B1 true KR101479490B1 (ko) 2015-02-23

Family

ID=5064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1332A KR101479490B1 (ko) 2012-09-13 2012-09-13 무게 중심을 활용한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693B1 (ko) * 2017-02-28 2018-07-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의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푸시오프 각도를 계산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5547B (zh) * 2014-07-23 2015-11-04 南京大学 一种基于生理参数实时监测的专业射击训练系统
CN114052739A (zh) * 2020-12-30 2022-02-18 山东体育学院 一种测定心电、脑电对射击运动员的干扰的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399Y1 (ko) 2006-05-18 2006-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 상태에 따른 피드백 장치
KR100614279B1 (ko) 2004-08-09 2006-08-23 (주) 지우솔루션 분석 모형 생성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분석 시스템
KR20070087787A (ko) * 2005-11-29 2007-08-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정을 분류하는감정분류시스템과, 감정분류방법
JP2012157581A (ja) 2011-02-01 2012-08-23 Panasonic Corp 運動機能測定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279B1 (ko) 2004-08-09 2006-08-23 (주) 지우솔루션 분석 모형 생성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분석 시스템
KR20070087787A (ko) * 2005-11-29 2007-08-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정을 분류하는감정분류시스템과, 감정분류방법
KR200422399Y1 (ko) 2006-05-18 2006-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 상태에 따른 피드백 장치
JP2012157581A (ja) 2011-02-01 2012-08-23 Panasonic Corp 運動機能測定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693B1 (ko) * 2017-02-28 2018-07-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의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푸시오프 각도를 계산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44A (ko)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79134A1 (en) Flight Time
CN108025202B (zh) 评估运动强度的活动监测设备
KR102359825B1 (ko) 운동 선수가 착용하는 보호대와 연동하여 운동 선수의 상태를 관리하는 선수 관리 장치, 선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수 관리 방법
US20110165998A1 (en) Method For Monitoring Exercis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Perry et al. Biofeedback and neurofeedback in sports
US20150287338A1 (en) Biometric data gathering
KR20160045833A (ko) 에너지 소모 디바이스
JP2014183867A (ja) 健康支援装置
KR101479490B1 (ko) 무게 중심을 활용한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Le Mansec et al. Impaired performance of the smash stroke in badminton induced by muscle fatigue
Juhari et al. The quantification of within-week session intensity, duration, and intensity distribution across a season in Australian football using the session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method
Janicijevic et al. Feasibility of volitional reaction time tests in athletes: A systematic review
KR101415622B1 (ko)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Boullosa et al. The fine-tuning approach for training monitoring
Ziv et al. The effectiveness of attentional instructions on running economy at a submaximal velocity
Webster et 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the physical demands of 50-over cricket in fast bowlers
US20220370853A1 (en) J-sleeve system
US20210196133A1 (en) System for supporting a movement exercise of a person with an objec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6186736B2 (ja) 競技練習支援装置
Carlstedt Ecological, Volitional Inducement of Heart Rate Deceleration in Athletes during Competition: A Mental Training Protocol
Paulauskas et al. Absence of Monotony and Strain Effects on Referees’ Physical Performance During International Basketball Federation World Cup Basketball Competition
Edel et al. Training drills in high performance badminton—effects of interval duration on internal and external loads
Díaz García et al. Mental fatigue and padel: state-of-the-art and beyond
van der Weel Is there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technical performance?: a study on international women's team handball matches
Wellm et al. Differences In Player Load Of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As A Function Of Distance To The Game Day During A Competitive Sea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