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452B1 -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452B1
KR101479452B1 KR1020140156307A KR20140156307A KR101479452B1 KR 101479452 B1 KR101479452 B1 KR 101479452B1 KR 1020140156307 A KR1020140156307 A KR 1020140156307A KR 20140156307 A KR20140156307 A KR 20140156307A KR 101479452 B1 KR101479452 B1 KR 10147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nks
transmitting node
random number
numbe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구
김영탁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58Random or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 G06F7/582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링크들의 송신 노드가 타 링크들의 링크 식별자들과 현재 프레임 번호를 의사 난수 생성기에 입력하여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을 생성하는 타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와, 상기 송신 노드가 자신의 링크 식별자와 상기 현재 프레임 번호를 상기 의사 난수 생성기에 입력하여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순위 번호를 생성하는 자가(self)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송신 노드가 상기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과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순위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활성화 상태 변경 자격 획득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 접근 제어 방식에서 제어 채널로 인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무선 자원의 양을 감소시켜 실질적인 채널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DISTRIBUTED TYPE MULTIPLE ACCESS CONTROL METHOD USING 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
본 발명은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매체 접근 제어 방식에서 제어 채널로 인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함으로써 실질적인 채널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무선 통신 장치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채널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고자 할 때, 2개 이상의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면 충돌로 인해 패킷을 구성하는 신호가 왜곡됨으로써 수신단의 통신 장치가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기 어렵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서는 무선 신호의 간섭 범위 내에 있는 복수 개의 통신 장치 중에서 매 순간 하나의 장치만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어 방법은 중앙집중형 방식과 분산형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중앙집중형 방식에서는 특별한 지위를 가지는 통신 장치가 있어 각 순간마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장치를 지정해 주는 반면 분산형 방식에서는 모든 통신 장치들이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서로간의 경쟁과 협의에 의해 각 순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장치를 선정한다.
중앙집중형 방식은 일반적으로 무선 채널의 이용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우월적 지위를 가지는 하나의 통신 장치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모든 장치들의 통신이 두절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분산형 방식은 무선 채널의 이용 효율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특정 통신 장치의 장애로 인해 모든 장치가 통신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없고 설계 및 구현이 단순한 장점을 갖는다. 복수 개의 통신 장치가 통신 채널을 분산적 방법으로 공유하는 기법을 매체 접근 제어(Multiple Access Control, MAC)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은 중앙집중형 매체 접근 제어 방식에 비해 채널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참고문헌에 소개된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은 각 통신 장치가 분산적으로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중앙집중형 방식들보다 채널 이용 효율이 우수하다.
참고문헌에서 제안된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 채널은 일정한 시간 길이를 갖는 프레임(frame)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프레임은 0번 프레임, 1번 프레임, 2번 프레임 등으로 지칭된다. 각 프레임은 다시 시간 축에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분되어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들은 제어 채널을 통해 뒤따르는 데이터 채널에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통신 장치들을 선정하며, 선정된 통신 장치들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 실제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한다. 설명한 무선 채널의 구조는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임의의 두 통신 장치를 연결하는 무선 채널을 링크라고 부르며, 어떤 링크의 송신단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패킷이 다른 링크의 수신단 장치에게 강한 간섭을 줄 수 있으면 두 링크는 서로 충돌한다고 표현한다. 또한, 어떤 링크의 송신단 통신 장치가 수신단 장치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링크는 활성화되었다고 표현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해당 링크는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표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링크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프레임의 연속이며, 모든 링크에서 임의의 N번 프레임은 같은 시점에 시작한다. 이 때, 참고문헌의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을 따르는 무선 통신 장치는 임의의 프레임에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1) 제어 채널에서의 동작
무선 통신 장치들은 제어 채널을 통해 서로 충돌하지 않는 링크들의 집합을 무작위로 선택한다.
2) 데이터 채널에서의 동작
제어 채널에서 선택된 링크들의 활성화 상태는 이번 프레임에서 달라질 수 있으며, 선택되지 않은 링크들의 활성화 상태는 이전 프레임과 동일하다. 이전 프레임에서 활성화되지 않았던 임의의 링크를 고려하면, 그 링크는 이번 프레임의 제어 채널에서 선택된 경우 활성화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나, 선택되지 않은 경우 반드시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반면, 이전 프레임에서 활성화되었던 링크는 이번 프레임의 제어 채널에서 선택된 경우 활성화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나, 선택되지 않은 경우 반드시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링크는 활성화되었으나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의미 없는 데이터라도 생성하여 전송해야 한다.
제어 채널에서 선택된 링크는 이전 프레임에서의 활성화 상태와 무관하게 이번 프레임에서 활성화 상태가 확률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단, 예외적으로, 선택된 링크라고 하더라도 이전 프레임에 활성화되었던 링크가 주변에 존재한다면 그 링크는 이번 프레임에서 반드시 활성화되지 않아야 한다. 제어 채널에서 선택된 어떤 링크가 실제로 활성화되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확률은 해당 링크를 통해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 패킷들이 얼마나 많이 버퍼에 쌓여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링크의 활성화 확률과 버퍼에 쌓여 있는 데이터 패킷의 양 사이의 구체적인 관계 함수는 설계 사항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데이터 패킷의 양이 많을수록 활성화 확률이 높아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링크의 송신단 통신 장치는 수신단 통신 장치를 향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그 패킷이 성공적으로 도착하면 수신단 통신 장치는 수신확인(acknowledgement, ACK) 패킷으로 응답한다.
참고문헌에서 제안된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은 채널 이용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고 증명되어 있으나, 이러한 이론적 분석에서는 제어 채널로 인한 오버헤드(overhead)가 고려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은 데이터 채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 비용이며 물리적인 무선 채널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므로 채널 이용 효율 측면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참고문헌에서 제안된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은 근본적으로 제어 채널로 인한 오버헤드라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매체 접근 제어 방식에서 제어 채널로 인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무선 자원의 양을 감소시켜 실질적인 채널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multiple access control) 방법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링크들의 송신 노드가 타 링크들의 링크 식별자들과 현재 프레임 번호를 의사 난수 생성기에 입력하여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을 생성하는 타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와, 상기 송신 노드가 자신의 링크 식별자와 상기 현재 프레임 번호를 상기 의사 난수 생성기에 입력하여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순위 번호를 생성하는 자가(self)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송신 노드가 상기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과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순위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활성화 상태 변경 자격 획득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단 단계에서,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순위 번호가 상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보다 작은 경우 자신의 링크가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한 것으로 판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링크 식별자는 상기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들을 식별하기 위한 노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진입을 위하여 링크 생성을 요청하는 송신 노드가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링크 생성 요청 패킷 및 상기 링크 생성 요청 패킷을 수신한 수신 노드들이 송신하는 링크 생성 응답 패킷에는 생성되는 링크를 식별하기 위한 링크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링크 제거를 요청하는 송신 노드가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링크 제거 요청 패킷 및 상기 링크 제거 요청 패킷을 수신한 수신 노드들이 송신하는 링크 제거 응답 패킷에는 제거되는 링크를 식별하기 위한 링크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진입한 노드들은 상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링크들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진입한 노드들은 데이터 패킷, 상기 링크 생성 요청 패킷, 상기 링크 생성 응답 패킷, 상기 링크 제거 요청 패킷 및 상기 링크 제거 응답 패킷을 참조하여 링크 식별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 접근 제어 방식에서 제어 채널로 인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무선 자원의 양을 감소시켜 실질적인 채널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매체 접근 제어 방식에 적용되는 채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 채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적용되는 채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multiple access control) 방법에 있어서, 송신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3의 제어 채널에서의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3의 데이터 채널에서의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를 종래 방식과 대비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참고문헌에서 제안된 매체 접근 제어 방식에 따르면, 제어 채널에서 서로 충돌하지 않는 링크의 집합을 무작위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된다. 제어 채널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작은 슬롯으로 나뉘어 있다. 제어 채널이 시작되면 각 무선 통신 장치는 임의의 슬롯을 무작위로 하나 선택한다. 선택된 슬롯이 시작될 때까지 무선 채널에서 간섭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해당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단 통신 장치에게 RTS(Request-To-Send)라고 하는 작은 패킷을 전송하고, 수신단 통신 장치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원래의 무선 통신 장치에게 CTS(Clear-To-Send)라고 하는 작은 패킷을 전송한다. 한 슬롯의 크기는 RTS와 뒤따르는 CTS를 포함할 수 있을 만큼 길어야 한다. 만약 선택된 슬롯이 시작되기 전에 인접한 다른 무선 통신 장치가 RTS 혹은 CTS를 전송하여 간섭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무선 통신 장치는 RTS 혹은 CTS의 전송을 포기한다. 두 무선 통신 장치가 성공적으로 RTS와 CTS를 교환하면 해당 무선 통신 장치들을 연결하는 링크는 제어 채널에서 ‘선택’되며, 이전 프레임에서와 다른 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얻는다. 이러한 방식에서 RTS와 CTS 패킷의 역할은 서로 간섭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인접 링크들 중에서 가장 번호가 작은 슬롯을 선택한 한 개의 링크만이 활성화 상태 변경 자격을 획득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링크가 자기 주변의 모든 링크들이 이번 제어 채널에서 몇 번 슬롯을 선택할지 미리 알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 링크는 인접 링크들이 선택한 슬롯들보다 자신이 선택한 슬롯의 번호가 작다면 굳이 RTS, CTS를 교환하지 않고도 자신이 활성화 상태 변경 자격을 획득했음을 알 수 있다. 즉, 주변 링크들이 각 프레임의 제어 채널에서 선택할 슬롯 번호들을 미리 알 수 있다면 제어 채널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뜻이다. 본 발명은 의사 난수 생성기(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이용하여 매 프레임 제어 채널에서 모든 인접 링크들이 선택할 슬롯 번호들을 미리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제어 채널의 양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링크의 집합을 선택하기 위해 RTS, CTS 패킷을 교환하지는 않으나, 그렇다고 해서 제어 채널이 전혀 필요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링크는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L(>1)개의 프레임마다 하나씩 제어 채널을 가질 수도 있고, 혹은 별도의 주파수나 코드(code)를 이용하여 독립된 제어 채널을 정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모든 무선 통신 장치는 동일한 의사 난수 생성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의사 난수 생성기는 링크를 식별하기 위한 링크 식별자(identifier)와 프레임의 번호를 입력으로 받아 0에서 K-1 사이의 숫자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링크 식별자는 송수신단 통신 장치들의 식별자로 대치될 수 있으며, K는 제어 채널에 있는 슬롯의 개수를 가리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multiple access control) 방법에 있어서, 송신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도 3의 제어 채널에서의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데이터 채널에서의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은 타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S50), 자가(self)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S60) 및 비교/판단 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송수신단 통신 장치들이 제어 채널에서 수행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단계 S10에서는, 네트워크 진입을 위하여 신규로 링크 생성을 요청하는 송신 노드가 제어 채널을 통해 링크 생성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0에서는, 링크 생성 요청 패킷을 수신한 수신 노드들이 링크 생성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0에서는, 링크 제거를 요청하는 송신 노드가 제어 채널을 통해 링크 제거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40에서는, 링크 제거 요청 패킷을 수신한 수신 노드들이 링크 제거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링크 생성 요청 패킷과 링크 생성 응답 패킷에는 생성되는 링크를 식별하기 위한 링크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고, 링크 제거 요청 패킷과 링크 제거 요청 패킷에는 제거되는 링크를 식별하기 위한 링크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
네트워크에 진입한 노드들은 상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링크들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진입한 노드들은 데이터 패킷, 상기 링크 생성 요청 패킷, 상기 링크 생성 응답 패킷, 상기 링크 제거 요청 패킷 및 상기 링크 제거 응답 패킷을 참조하여 링크 식별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떤 무선 통신 장치가 처음 네트워크에 진입하면, 해당 통신 장치와 주변의 무선 통신 장치들 사이에는 링크가 형성된다. 링크가 형성될 때, 송신단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단 통신 장치에게 링크 생성 요청(link set-up request) 패킷을 보내고 수신단 통신 장치는 곧바로 링크 생성 응답(link set-up reply) 패킷을 보낸다. 링크 생성 요청 패킷과 링크 생성 응답 패킷이 성공적으로 교환되면 해당 링크는 새롭게 생성되어 앞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링크 생성 요청 패킷과 링크 생성 응답 패킷에는 링크 식별자 혹은 이를 대치할 수 있는 송수신 통신 장치들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링크 생성 요청 패킷과 링크 생성 응답 패킷은 강력한 채널 코딩 등의 방법으로 보호되어 있어 인접한 통신 장치들은 모두 오류 없이 수신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마찬가지로, 링크가 제거될 때 송신단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단 통신 장치에게 링크 제거 요청(link tear-down request) 패킷을 보내고 수신단 통신 장치는 곧바로 링크 제거 응답(link tear-down reply) 패킷을 보낸다. 링크 제거 요청 패킷과 링크제거 응답 패킷이 성공적으로 교환되면 해당 링크는 제거되어 앞으로 데이터 패킷 전송에 사용될 수 없다. 링크 제거 요청 패킷과 링크제거 응답 패킷 역시 링크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강력한 채널 코딩으로 보호된다.
또한 네트워크에 진입한 무선 통신 장치는 자기 주변에 있는 모든 링크들의 식별자를 수집하고 관리한다. 주변에서 감지되는 데이터 패킷이나 링크 생성 요청 패킷 및 링크생성 응답 패킷으로부터 링크 식별자를 수집할 수 있으며, 링크 제거 요청 패킷 및 링크 제거 응답 패킷으로부터 사라진 링크의 식별자를 파악하고 삭제할 수 있다. 각 링크들은 제어 채널에 간헐적으로 자신의 링크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거나 혹은 자신이 알고 있는 인접 링크들의 식별자를 주변 통신 장치들과 공유함으로써 링크 식별자의 수집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송수신단 통신 장치들이 데이터 채널에서 수행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타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S50)에서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링크들의 송신 노드(10)가 타 링크들의 링크 식별자들과 현재 프레임 번호를 의사 난수 생성기(110)에 입력하여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링크 식별자는 송신 노드(10)와 수신 노드들을 식별하기 위한 노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자가(self)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S60)에서는, 송신 노드(10)가 자신의 링크 식별자와 현재 프레임 번호를 의사 난수 생성기(110)에 입력하여 송신 노드(10)가 속한 링크 즉, 자가 링크의 순위 번호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비교/판단 단계(S70)에서는, 송신 노드(10)에 구비된 비교/판단기(120)가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과 송신 노드(10)가 속한 링크 즉, 자가 링크의 순위 번호를 비교하여 송신 노드(10)가 속한 링크의 활성화 상태 변경 자격 획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비교/판단 단계(S70)에서, 송신 노드(10)에 구비된 비교/판단기(120)는 송신 노드(10)가 속한 링크의 순위 번호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보다 작은 경우 송신 노드(10)의 링크가 현재 프레임에서 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교/판단 단계(S70)는 단계 S710, 단계 S720 및 단계 S7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는, 송신 노드(10)를 구성하는 비교/판단기(120)가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과 송신 노드(10)가 속한 링크 즉, 자가 링크의 순위 번호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710에서의 비교 결과 송신 노드(10)가 속한 링크 즉, 자가 링크의 순위 번호가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보다 작은 경우, 단계 S720으로 전환되어 송신 노드(10)를 구성하는 비교/판단기(120)는 송신 노드(10)가 현재 프레임에서 자신의 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710에서의 비교 결과 송신 노드(10)가 속한 링크 즉, 자가 링크의 순위 번호가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 중 어느 하나 보다 큰 경우, 단계 S730으로 전환되어 송신 노드(10)를 구성하는 비교/판단기(120)는 송신 노드(10)가 현재 프레임에서 자신의 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번 프레임이 시작되면, 각 링크의 송신 노드(10)는 인접한 링크들이 이번 프레임에서 어떤 숫자를 선택할 것인지 확인한다. 인접한 각 링크가 선택할 숫자는 의사 난수 생성기(110)에 해당 링크의 식별자와 현재 프레임의 번호 N을 입력하면 알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각 링크는 의사 난수 생성기(110)에 자신의 링크 식별자와 현재 프레임의 번호 N을 입력하여 하나의 숫자를 선택한다. 선택된 숫자가 다른 모든 인접 링크들이 선택한 숫자보다 작으면 그 링크는 N번 프레임에서 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한다. 해당 링크의 활성화 여부는 앞서 설명한 참고문헌에서 제안된 매체 접근 제어 방식과 동일한 과정을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 접근 제어 방식에서 제어 채널로 인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무선 자원의 양을 감소시켜 실질적인 채널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현재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무선 망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폭증하고 있는 반면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제한되어 있어, 채널 이용 효율이 높은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은 복수의 통신 장치가 채널을 공유하는 무선 환경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참고문헌의 방식은 채널 이용 효율이 매우 우수하여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핵심 기술로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참고문헌의 방식과 결합되어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표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송신 노드
110: 의사 난수 생성기(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
120: 비교/판단기
S50: 타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
S60: 자가(self)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
S70: 비교/판단 단계

Claims (5)

  1. 의사 난수 생성기(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multiple access control)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링크들의 송신 노드가 타 링크들의 링크 식별자들과 현재 프레임 번호를 의사 난수 생성기에 입력하여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을 생성하는 타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
    상기 송신 노드가 자신의 링크 식별자와 상기 현재 프레임 번호를 상기 의사 난수 생성기에 입력하여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순위 번호를 생성하는 자가(self) 링크 순위 번호 생성 단계;
    상기 송신 노드가 상기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과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순위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활성화 상태 변경 자격 획득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 단계; 및
    상기 비교/판단 단계에서 상기 송신 노드가 속한 링크의 순위 번호가 상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타 링크들의 순위 번호들보다 작은 경우 자신의 링크가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한 것으로 판단하는 자격획득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진입을 위하여 링크 생성을 요청하는 송신 노드가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링크 생성 요청 패킷; 및
    상기 링크 생성 요청 패킷을 수신한 수신 노드들이 송신하는 링크 생성 응답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생성 요청 패킷 및 링크 생성 응답 패킷에는 생성되는 링크를 식별하기 위한 링크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링크 제거를 요청하는 상기 송신 노드가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링크 제거 요청 패킷; 및
    상기 링크 제거 요청 패킷을 수신한 상기 수신 노드들이 송신하는 링크 제거 응답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제거 요청 패킷 및 링크 제거 응답 패킷에는 제거되는 링크를 식별하기 위한 링크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식별자는 상기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들을 식별하기 위한 노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진입한 노드들은 데이터 패킷, 상기 링크 생성 요청 패킷, 상기 링크 생성 응답 패킷, 상기 링크 제거 요청 패킷 및 상기 링크 제거 응답 패킷을 참조하여 링크 식별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KR1020140156307A 2014-11-11 2014-11-11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KR10147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307A KR101479452B1 (ko) 2014-11-11 2014-11-11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307A KR101479452B1 (ko) 2014-11-11 2014-11-11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8569A Division KR101470274B1 (ko) 2014-01-23 2014-01-23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452B1 true KR101479452B1 (ko) 2015-01-05

Family

ID=5258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307A KR101479452B1 (ko) 2014-11-11 2014-11-11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4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84B1 (ko) * 2006-10-10 2008-03-18 전자부품연구원 우선순위를 지원하는 확률 기반 매체 접근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KR20120125185A (ko) * 2011-05-05 2012-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접근 방법 및 장치
KR101217656B1 (ko) * 2009-12-18 2013-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기반의 매체 접근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84B1 (ko) * 2006-10-10 2008-03-18 전자부품연구원 우선순위를 지원하는 확률 기반 매체 접근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KR101217656B1 (ko) * 2009-12-18 2013-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기반의 매체 접근 제어 장치
KR20120125185A (ko) * 2011-05-05 2012-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접근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70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800509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hybrid connection identifications (IDs) for peer-to-peer wireless networks
Zhang et al. A scalable CSMA and self-organizing TDMA MAC for IEEE 802.11 p/1609. x in VANETs
JP5199354B2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互いに独立した接続識別情報(cid)を生成し、維持する装置および方法
Jamal et al. Cooperative relaying in user-centric networking under interference conditions
CN105934984B (zh) 用于设备到设备(d2d)无线通信的半永久性信道占用的组间控制
US10708925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CN112887000B (zh) 信息反馈方法、装置及系统
US20120213184A1 (en) Method for allocating group address in wireless local network area, method for transmitting response request frame and response frame in plurality of station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group address
JP4045286B2 (ja)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および無線パケット通信装置
US7990997B2 (en) Contention based media access mechanism
EP35890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end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GB2457574A (en) Random access slot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18516016A (ja) 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装置
Htike et al. A MAC protocol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with reliable control channels assignment
US84421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existence beacon protocol packet in cognitive rad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i et al. acSB: Anti-Collision Selective-Based Broadcast Protocol in CR-AdHocs.
KR101479452B1 (ko)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KR101470274B1 (ko) 의사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분산형 매체 접근 제어 방법
JP6621944B2 (ja) シーケンス信号送信方法および端末
Yang et al. Double sense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KR101400236B1 (ko) P2p dsa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동적 공통 채널 설정 및 채널 복원 방법
WO2017095303A1 (en) Provisioning node, communication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handling key identif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230016612A (ko)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
CN108076533B (zh) 信息传输方法、用户设备及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