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322B1 -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322B1
KR101479322B1 KR20120104994A KR20120104994A KR101479322B1 KR 101479322 B1 KR101479322 B1 KR 101479322B1 KR 20120104994 A KR20120104994 A KR 20120104994A KR 20120104994 A KR20120104994 A KR 20120104994A KR 101479322 B1 KR101479322 B1 KR 101479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name
title
inform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043A (ko
Inventor
조문환
조정환
박경애
Original Assignee
조문환
조정환
박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환, 조정환, 박경애 filed Critical 조문환
Publication of KR2013010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매도서의 정리비용의 절감 및 업무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도서 구매의 효율성과 적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소장하고 있는 도서에 대한 중복 구매를 방지하여 도서 구입 비용의 낭비를 막아주는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에 있어서, 구매도서목록을 입력받는 구매도서목록입력단계와; 구매도서목록에 기재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서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도서정보선택단계와; 선택된 도서정보를 기구축된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도서정보에 해당하는 도서명 또는 도서정보에 근접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서명이 출력되는 도서정보출력단계; 및 출력된 도서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데이터베이스화단계; 를 포함하되, 도서정보에는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가 기재되고, 도서정보출력단계는,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 중 어느 둘 이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각각 점수를 부여하며, 부여된 점수를 누적시켜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MARC DATA GENERATION METHOD FOR ABOUT BUYING BOOKS}
본 발명은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매도서의 정리비용의 절감 및 업무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도서 구매의 효율성과 적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소장하고 있는 도서에 대한 중복 구매를 방지하여 도서 구입 비용의 낭비를 막아주는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학 도서관 또는 공공 도서관 등 다량의 책을 소장하고 있는 각 도서관에서는 구매 대상 도서를 이용자들로부터 추천받거나, 도서를 유통하는 회사, 또는 출판사 등으로부터 신간도서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여 도서를 구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도서를 구매함에 있어서, 각 도서관 실정에 맞도록 도서를 구매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도서를 구매함에 있어서 구매하고자 하는 도서나 구매한 도서, 입고될 예정인 도서, 입고된 도서 등과 같은 도서정보, 즉 마크(MARC) 데이터를 정리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결국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미 소장하고 있는 도서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도서를 구매하여 비용을 낭비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매도서의 정리비용의 절감 및 업무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서 구매의 효율성과 적정성을 높일 수 있는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 소장하고 있는 도서에 대한 중복 구매를 방지하여 도서 구입 비용의 낭비를 막아주는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에 있어서, 구매도서목록을 입력받는 구매도서목록입력단계와; 구매도서목록에 기재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서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도서정보선택단계와; 선택된 도서정보를 기구축된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도서정보에 해당하는 도서명 또는 도서정보에 근접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서명이 출력되는 도서정보출력단계; 및 출력된 도서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데이터베이스화단계; 를 포함하되, 도서정보에는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가 기재되고, 도서정보출력단계는,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 중 어느 둘 이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각각 점수를 부여하며, 부여된 점수를 누적시켜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문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서정보출력단계는,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 있는 해당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루는 문장 중 띄어쓰기로 구분되는 문구별로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각각 점수를 부여하며, 부여된 점수를 누적시켜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문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서정보출력단계 전에,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루는 문장의 띄어쓰기를 삭제하여 문장을 단어화시키는 붙여쓰기변경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매도서목록은 도서관, 학교, 서점 중 어느 하나가 구매하고자 하는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구매한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입고될 예정인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입고된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에 의하면, 구매도서의 정리비용의 절감 및 업무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도서 구매의 효율성과 적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 소장하고 있는 도서에 대한 중복 구매를 방지하여 도서 구입 비용의 낭비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즉 데이터 구축장치(100)는 일반적인 컴퓨터 또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매도서목록(400)을 입력받아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200)와 연계하여 구매도서데이터베이스(300, 마크(MARC) 데이터)를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구축장치(100)에는 입력수단(110)과 선택수단(120), 비교수단(130), 출력수단(140) 및 저장수단(1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입력수단(110)은 구매도서목록(400)을 데이터 구축장치(100)에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데이터 입력 외에 다른 컴퓨터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매도서목록(400)은 도서관이나 학교, 서점 등의 구매도서목록(400)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구매하고자 하는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구매한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입고될 예정인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입고된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선택수단(120)은 입력된 구매도서목록(400)에 기재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서정보(410, 도 1에 도시된 도서정보A, 도서정보B, 도서정보C …) 중 하나를 관리자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각각의 도서정보(410)에는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 등이 기재되며, 관리자나 사용자는 통상 도서명을 선택하게 되나 이외에 총서(叢書)명이나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비교수단(130)은 선택수단(120)에 의해 선택된 도서정보(410)를 기구축된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200)와 비교하는 구성요소이며 도서정보(410), 즉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 중 어느 둘 이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각각 점수를 부여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점수는 누적된다.
출력수단(140)은 누적된 점수에 따라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저장수단(150)은 출력수단(140)을 통해 출력된 도서정보(410), 예를 들어 도서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며, 이러한 저장수단(150)을 통해 구매도서데이터베이스(300), 즉 마크(MARC) 데이터가 구축된다. 이외에도, 저장수단(150)은 데이터 구축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임시데이터 등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200)는 다수의 도서정보(410)가 기저장되어 있는 구성요소로써, 전술한 비교수단(130)을 통해 구매도서목록(400)에 기재된 도서정보(410)의 오류 여부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200)는 대학 도서관 또는 공공 도서관 등에서 소장 도서의 관리를 위하여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고, 학교나 도서를 유통하는 회사, 출판사, 서점 등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특히,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200)에는 최소한 구매도서목록(400)의 도서정보(410), 예를 들어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가 기저장되며, 이 외에 한국십진분류(KDC), 듀이십진분류(DDC), 국제십진분류(UDC) 등 다양한 분류법에 따른 도서의 카테고리나 구입 연월일, 요약, 서평 등과 같은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은 크게 구매도서목록입력단계(S10)와, 도서정보선택단계(S20), 도서정보출력단계(S30) 및 데이터베이스화단계(S40)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구매도서목록입력단계(S10)는 도서관이나 학교, 서점 등지에서 구매도서목록(400)을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로써 구매도서목록파일, 예를 들어 구매하고자 하는 도서 목록이 정리되어 있는 엑셀파일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서정보선택단계(S20)는 구매도서목록(400), 예를 들어 엑셀파일에 정리되어 있는 도서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수단(120)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선택은 통상 도서의 도서명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나 총서(叢書)명이나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서정보출력단계(S30)는 도서정보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된 도서정보(410)를 비교수단(130)을 통해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200)와 비교함으로써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 중 어느 둘 이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각각 점수를 부여하며, 부여된 점수를 누적시켜 출력수단(140)을 통해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게 된다.
물론, 이렇게 출력된 도서명은 선택수단(120)을 통해 선택할 경우 도서명 외에 총서(叢書)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총서(叢書)는 일정한 주제(主題)에 관하여 그 각도나 처지가 다른 저자들이 저술한 도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 다수 권으로 이루어지는 세트나 시리즈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과학 이야기"라는 총서(叢書)명으로 1권은 "신비한 우주"라는 도서명, 2권은 "아름다운 바다"라는 도서명, … 10권 "지구의 신비"라는 도서명으로 총 10권으로 이루어지는 시리즈가 해당된다. 이러한 총서(叢書)명을 선택수단(120)을 통해 선택할 경우 각각의 권, 다시 말해서 1권에 대한 도서정보(410)부터 10권까지의 도서정보(410)가 전부 나타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는 예를 들어보면, 도서정보(410)에 기재된 도서의 도서명은 "삼국지"이고, 저자명은 "홍길동"이며, 출판사명은 "ABC", 그리고 가격은 "10,000원"이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200)와 비교했을 때 일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도서의 도서명이 일치하므로 이에 대하여 1점을 부여하고, 저자명이 일치하므로 1점, 출판사명의 일치에 따라 1점, 가격의 일치에 따라 1점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누적점수는 4점이 되는 것이다. 이때, 부여되는 점수는 1점이 아니라 10점 등 다양하게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만약 도서명과 저자명, 가격은 일치하지만 출판사명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누적점수는 3점이 되며, 이와 같은 계산에 따라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게 되므로 해당하는 도서의 도서정보(410) 또는 해당하는 도서의 도서정보(410)에 근접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서정보(410)가 출력되는 것이다.
이때, 도서명과 저자명, 출판사명까지 동일하나 가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 오류로 파악하여 가격을 수정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도서목록(400)에 기재되어 있는 도서정보(410)의 오류 유무를 즉각 확인할 수 있고, 오류가 있을 경우 손쉽게 수정이 가능하며, 설혹 구매도서목록(400)에 기재되어 있는 도서정보(410)가 도서관 등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도서가 아닐지라도 그에 근접한 도서정보(410)가 출력되므로 손쉽게 원하는 도서를 찾아 수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서의 저자가 2명 이상이거나, 출판사가 2곳 이상일 경우에는 앞에 기재되어 있는 저자나 출판사가 일치할 경우 부여되는 점수를 2점, 뒤에 기재되어 있는 저자나 출판사가 일치할 경우 부여되는 점수는 1점 식으로 구분하여 누적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설명에서는 도서정보(410)에 기재된 총서(叢書)명이나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이 모두 하나의 단어로 이루어지게 되나, 이 외에 총서(叢書)명이나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문장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도서의 총서(叢書)명이나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루는 문장 중 띄어쓰기로 구분되는 문구별로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각각 점수를 부여하며, 부여된 점수를 누적시켜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서명이 "우주의 신비"이고, 저자명은 "홍길동"이며, 출판사명은 "ABC", 가격은 15,000원이라고 가정하여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200)와 비교했을 때 일치하는 경우를 보면, 해당 도서의 도서명(우주의 신비)을 이루는 문장 중 띄어쓰기로 구분되는 문구는 "우주의"와 "신비"이며, 이들이 모두 일치하므로 "우주의"에 1점을 부여하고, "신비"에 1점을 부여한다.
즉, 도서명에서 2점이 부여되고, 저자명과 출판사명, 가격에서 각각 1점이 부여되어 누적점수는 5점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저자명과 출판사명, 가격은 동일하지만 도서명이 "바다의 신비"일 경우에는 "바다의"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점수가 부여되지 않고, "신비"는 일치하므로 1점이 부여되며, 나머지는 일치하므로 누적되는 점수는 4점이 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화단계(S40)는 출력수단(140)을 통해 출력된 도서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저장수단(150)을 통해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화, 즉 구매도서데이터베이스(300, 마크(MARC) 데이터)를 구축하게 되는 단계이다.
즉, 도서관 등지에서 실질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도서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도서 구매의 효율성과 적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나, 데이터 구축장치(100)에 삭제수단(135)이 더 포함되고, 이에 따라 도서정보출력단계(S30) 전에 붙여쓰기변경단계(S25)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상호 구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은 도서정보(410)에 기재된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사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총서(叢書)명이나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에는 띄어쓰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띄어쓰기를 삭제하여 문장을 단어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구매도서목록(400)의 도서정보(410)를 기재할 때 띄어쓰기를 하지 않은 경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도서명이 "바다의 신비", 저자명은 "홍길동", 출판사명은 "ABC", 그리고 가격은 15,000원인 도서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삭제수단(135)을 통해 도서명이 "바다의 신비"에서 "바다의신비"인 것으로 붙여쓰기되게 변경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실제 도서명은 "바다의 신비"이지만 도서정보(410) 상에 도서명을 띄어쓰기없이 "바다의신비"로 기재한 경우 비교수단(130)을 통해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200)와 비교할 경우 이를 찾지 못하거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지만, 삭제수단(135)을 통해 띄어쓰기를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오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데이터 구축장치 110: 입력수단
120: 선택수단 130: 비교수단
135: 삭제수단 140: 출력수단
150: 저장수단 200: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
300: 구매도서데이터베이스 400: 구매도서목록
410: 도서정보 S10: 구매도서목록입력단계
S20: 도서정보선택단계 S25: 붙여쓰기변경단계
S30: 도서정보출력단계 S40: 데이터베이스화단계

Claims (4)

  1.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에 있어서,
    구매도서목록을 입력받는 구매도서목록입력단계와;
    상기 구매도서목록에 기재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서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도서정보선택단계와;
    선택된 도서정보를 기구축된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도서정보에 해당하는 도서명 또는 상기 도서정보에 근접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서명이 출력되는 도서정보출력단계; 및
    출력된 도서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데이터베이스화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도서정보에는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가 기재되고,
    상기 도서정보출력단계는,
    상기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 중 어느 둘 이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각각 점수를 부여하며, 부여된 점수를 누적시켜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며,
    상기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문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도서정보출력단계는,
    상기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 있는 해당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루는 문장 중 띄어쓰기로 구분되는 문구별로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각각 점수를 부여하며, 부여된 점수를 누적시켜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
  2.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에 있어서,
    구매도서목록을 입력받는 구매도서목록입력단계와;
    상기 구매도서목록에 기재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서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도서정보선택단계와;
    선택된 도서정보를 기구축된 도서정보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도서정보에 해당하는 도서명 또는 상기 도서정보에 근접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서명이 출력되는 도서정보출력단계; 및
    출력된 도서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데이터베이스화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도서정보에는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가 기재되고,
    상기 도서정보출력단계는,
    상기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가격 정보 중 어느 둘 이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각각 점수를 부여하며, 부여된 점수를 누적시켜 누적점수가 큰 순서로 도서명을 출력하며,
    상기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문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도서정보출력단계 전에,
    상기 도서의 총서(叢書)명,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루는 문장의 띄어쓰기를 삭제하여 문장을 단어화시키는 붙여쓰기변경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도서목록은,
    도서관, 학교, 서점 중 어느 하나가 구매하고자 하는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구매한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입고될 예정인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입고된 도서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도서목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
  4. 삭제
KR20120104994A 2012-03-22 2012-09-21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 KR101479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9275 2012-03-22
KR1020120029275 2012-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043A KR20130108043A (ko) 2013-10-02
KR101479322B1 true KR101479322B1 (ko) 2015-01-05

Family

ID=4963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4994A KR101479322B1 (ko) 2012-03-22 2012-09-21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2743A4 (en) 2018-10-26 2022-07-13 Dayang Intelligence Co. Ltd METHOD FO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DATA IN MARC FORMAT IN REAL TIME DURING A REQUEST FOR A BOOK DESIRED BY A USER, AND ASSOCIATED SYSTEM
KR102227421B1 (ko) * 2019-06-07 2021-03-12 유제승 이용자가 희망 도서 신청 시 실시간 마크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076A (ko) * 2000-08-16 2001-06-05 이경호 인터넷을 이용한 출판 및 목록 정보 제공방법
KR20070091588A (ko) * 2007-07-27 2007-09-11 주식회사 학술정보 인터넷을 통한 도서정보 상호교류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2546A (ko) * 2007-09-28 2009-04-01 이종엽 도서용 마크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076A (ko) * 2000-08-16 2001-06-05 이경호 인터넷을 이용한 출판 및 목록 정보 제공방법
KR20070091588A (ko) * 2007-07-27 2007-09-11 주식회사 학술정보 인터넷을 통한 도서정보 상호교류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2546A (ko) * 2007-09-28 2009-04-01 이종엽 도서용 마크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043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uthall et al. On historical gazetteers
CN102339313A (zh) 用户查询结果的视觉提示细化
BR112013002681B1 (pt) Método e sistema para navegação e exibição de itens de uma coleção, e mídias legíveis por computador
WO2006098031A1 (ja) キーワード管理装置
CN102662939B (zh) 树形数据结构的展示方法与系统
EP3436982B1 (en) Modular electronic data analysis computing system
Gbadamosi Emerging Challenges to Effective Library Automation and An E-Library: The Case of Emmanuel Alayande College of Education, Oyo, Nigeria.
Halliday et al. Developments in digital journals
KR101479322B1 (ko) 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
US20120124060A1 (en) Method and system of identifying adjacency data,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a dataset for mapping adjacency data, and an adjacency data set
CN108304291B (zh) 测试输入信息检索装置和方法
Tingle et al. Browsing the intangible: does visibility lead to increased use?
KR101589705B1 (ko) 구매요청도서 마크 데이터 구축방법
KR101589704B1 (ko) 구매요청도서 마크 데이터 구축방법
Cook The uses of Wikidata for galleries,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and its place in the digital humanities
JP6109766B2 (ja) ルールテーブル生成装置、生成方法および生成プログラム
Grosbøl et al. Mortality and dust expulsion in early phases of stellar clusters-Evidence from NIR photometry of nearby, spiral galaxies
JP2006221616A5 (ko)
CN105468614B (zh) 一种编目的方法及装置
KR20150007109A (ko) 구매요청도서 마크 데이터 구축방법
KR101447119B1 (ko) 데이터 구조 통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08218A (ko) 구매요청도서 마크 데이터 구축방법
CN101794216B (zh) 构建引擎的流程的方法和设备
Breeding Index-Based Discovery Services
Morris et al. Collection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