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172B1 -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172B1
KR101478172B1 KR1020140085831A KR20140085831A KR101478172B1 KR 101478172 B1 KR101478172 B1 KR 101478172B1 KR 1020140085831 A KR1020140085831 A KR 1020140085831A KR 20140085831 A KR20140085831 A KR 20140085831A KR 101478172 B1 KR101478172 B1 KR 101478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d truck
food
location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올넷
김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올넷, 김형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올넷
Priority to KR102014008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172B1/ko
Priority to PCT/KR2015/006905 priority patent/WO2016006882A1/ko
Priority to US14/792,624 priority patent/US2016001422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7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user history, behaviour, conditions or preferences, e.g. predicted or inferred from previous use or current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g. messages transmitted or received in proximity of a certain spot or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기를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응용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주변 위치에 있는 푸드 트럭의 위치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푸드 트럭의 선택에 도움을 주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푸드 트럭 및 이용자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SYSTEM FOR SEARCHING FOOD TRUCKS AND USERS US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기를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응용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주변 위치에 있는 푸드 트럭의 위치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푸드 트럭의 선택에 도움을 주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푸드 트럭 및 이용자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가 등장하면서 사용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주변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 주변 지도를 표시하는 서비스, 사용자 주변의 맛집을 검색해 주는 서비스 등이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서비스는 사전에 특정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맛집을 표시하는데 불과하다.
한편, 최근 먹거리 시장의 추세에 따르면 식당이 일정한 건물에 위치하는 기존 방식의 음식점이 아닌 푸드 트럭을 이용한 음식 제공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미국, 유럽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문화로 정착되어 있으며, 현재 한국에서도 도심 지역 및 유흥가에서 푸드 트럭을 이용한 음식 제공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음식 문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재 푸드 트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거나, 관심 푸드 트럭으로 등록하여 해당 푸드 트럭이 일정 거리 내에 있는지 등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
또한, 푸드 트럭에 대한 사용자들의 만족도(선호도)를 미리 검색하여 이를 기초로 푸드 트럭을 취사 선택할 수 있는 방법도 없는 실정이다.
결국, 현재 사용자는 직접 사용자 주변의 푸드 트럭을 찾아서 이용한 후 선호하는 푸드 트럭인지 별도의 판단이 필요하거나 일정을 직접 푸드 트럭의 주인에게 문의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다.
현재 푸드 트럭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푸드 트럭의 위치 정보 등에 관한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이고, 따라서 이용자의 효율적 이용이 어려운 상태이며 푸드 트럭 주인 입장에서도 이용자의 위치 분포 등과 같은 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매출 및 홍보 효과가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 및 푸드 트럭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 상기 위치 추적부를 통해 얻어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 및 푸드 트럭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 및 이용자와 푸드 트럭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알림 메세지를 보내는 메세지 알림부를 포함하고,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있는 푸드 트럭의 위치를 표시해주고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푸드 트럭의 일정을 저장하는 일정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일정 저장부에 저장된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로 들어 올 것으로 예상되는 푸드 트럭이 있는 경우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위치 표시부는 상기 푸드 트럭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푸드 트럭의 주인에게 이용자들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여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용자는 푸드 트럭을 검색하여 특정 푸드 트럭을 관심 푸드 트럭으로 등록할 수 있고, 상기 관심 푸드 트럭이 상기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위치를 표시해주고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이용자와 푸드 트럭 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 및 이동 수단을 제공하는 이동 경로 및 이동 수단 제공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푸드 트럭의 평가 점수를 저장하는 푸드 트럭 선호도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용자가 평가한 푸드 트럭의 평가 점수 정보가 상기 푸드 트럭 선호도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푸드 트럭이 들어올 경우, 상기 위치 표시부는 상기 이용자의 이동 경로, 이동 시간 및 이동 수단을 고려하여 최단 이동 경로, 이동 시간의 순서대로 푸드 트럭을 나열하거나, 또는 푸드 트럭의 선호도 순서대로 푸드 트럭을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이용자 입장에서 푸드 트럭의 정보를 확인하고 용이하게 푸드 트럭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푸드 트럭의 주인 입장에서도 이용자들의 위치를 검색하여 매출을 늘이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정보 및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푸드 트럭의 효과적인 홍보 효과 및 이용자의 효율적인 소비 생활에 도움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 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2b는 푸드 트럭 주인 및 이용자 입장에서 회원 가입 및 정보 등록 절차 등을 소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있는 푸드 트럭의 위치를 표시하고 알림 메시지를 보내주는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 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에서 이동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푸드 트럭 주인의 입장에서 관심 이용자의 위치를 조회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푸드 트럭의 주인 입장에서 단말기를 통해 보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7은 푸드 트럭의 주인이 일정 등록을 하는 화면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은 사전 일정 등록을 통한 푸드 트럭에 대한 이용자의 예측 소비를 위한 알림 메세지 발송의 모습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단말기라고 명명하는 장치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기기는 아니며, 유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태블릿 PC 등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휴대용 기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푸드 트럭이라 함은, 음식을 제공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반드시 특정 음식에 한정되거나 트럭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식사, 커피, 과일, 채소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모터 등을 이용한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 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 및 푸드 트럭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200); 위치 추적부를 통해 얻어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 및 푸드 트럭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300); 및 이용자와 푸드 트럭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알림 메세지를 보내는 메세지 알림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위치 추적부(200)는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GPS 수신기를 포함한 GPS 기반의 위치 인식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GPS는 GPS 위성과 GPS 수신기의 거리를 계산해 좌표값을 구한다.
한편, GPS를 이용한 위치 탐색은 실내에서는 정확한 위치를 탐색하기 어렵고, 3차원 좌표 중 z축이 위치를 정확하게 탐색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GPS 장치 외에 와이파이(WiFi) 기반 위치 추적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기술은 인터넷서비스제공업자(ISP)로부터 부여받은 IP로 위치를 알아내는 방식이다. 위성항법장치(GPS)와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와이파이 AP에서 수신한 무선 신호를 기존에 축적된 DB와 연동시켜 자동적으로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다.
이용자 및 푸드 트럭의 위치 정보는 저장부(500)에 기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저장되는 정보에는 이용자의 이름, 사진, 연락처 등과 같은 개인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푸드 트럭의 주인 이름, 사진, 연락처, 메뉴, 소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하여 위치 정보라고 본 명세서에서는 명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정보들이 위치 표시부를 통해 이용자 등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주인이나 이용자가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회원 가입을 하고 정보 등록을 하고, 이러한 정보가 저장부에 기록되어 있음으로써 이용 가능한 것이다.
도 2a에서 보는 것처럼 푸드 트럭의 주인 입장에서는 회원 가입을 하고 자신의 각종 정보(소개/메뉴/운영시간/오늘의 이동 예정 일정 등)를 등록하고, 이를 공개할 수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쿠폰을 발행하여 등록하여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b에서 보는 것처럼 이용자 입장에서 회원 가입을 하고 자신의 정보(전화번호/사진/일정 등)를 등록하고 공개할 수 있으며, 푸드 트럭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푸드 트럭과 이용자를 서로 연결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 경우 각종 정보(위치 정보 / 사전 등록 정보 등)를 이용해 이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선호도 및 지역 위치에 맞게 푸드 트럭이 검색되고, 푸드 트럭 주인 입장에서는 이용자 위치 분포를 이용하여 푸드 트럭의 이동 경로가 정해질 수 있다.
메세지 알림부(400)는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있는 푸드 트럭의 위치를 표시해주고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는 구성이다. 도 3은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있는 푸드 트럭의 위치를 표시하고 알림 메시지를 보내주는 구성의 모식도이다.
이용자는 자신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이 이용 가능한 거리 범위를 직접 설정 또는 수정할 수 있고(예를 들어 현재 위치로부터 반경 1km 이내), 이에 기초하여 해당 거리 이내에 위치한 푸드 트럭의 위치 표시 및 알림 메세지의 발송이 이루어진다.
알림 메세지는 소리 또는 팝업과 같은 방식일 수 있으며, 특별히 어떠한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푸드 트럭이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범위 이내에 진입시 자동으로 알림 메세지가 발송되어 이용자의 소비를 도와주고, 또한 푸드 트럭이 설정 거리 범위를 이탈할 경우에도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여 이용자가 헛수고 하는 불편을 덜어준다. 이 경우 설정 거리 내의 모든 트럭에 대한 알림도 가능하며, 이용자가 관심 푸드 트럭을 등록한 경우에는 관심 푸드 트럭에 대해서만 알림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이용자는 푸드 트럭을 검색하여 특정 푸드 트럭을 관심 푸드 트럭으로 등록할 수 있고, 관심 푸드 트럭이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위치를 표시해주고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이용자와 푸드 트럭 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 이동 시간 및 이동 수단 등을 제공하는 이동 정보 제공부(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정보 제공부(600)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특정 트럭으로 찾아가는 방법과 소요 시간 등과 같은 이동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모습은 도 4에서 볼 수 있다. 이동 정보는 특정 트럭을 선택한 경우 자동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용자가 직접 해당 트럭 주인의 메인 페이지의 찾아가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공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푸드 트럭의 평가 점수를 저장하는 푸드 트럭 선호도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푸드 트럭 선호도 저장부(520)는 저장부(500)에 포함되는 개념일 수 있다.
푸드 트럭을 이용한 이용자는 푸드 트럭의 평가 점수를 등록할 수 있고, 이러한 평가 점수는 푸드 트럭 선호도 저장부(5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점수는 복수개의 푸드 트럭을 이용자에게 표시할 때 그 선호도 순에 따라 표시됨으로써 평가 점수가 높은 푸드 트럭의 경우 상위에 표시되어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푸드 트럭이 진입할 경우에 있어서, 복수개의 푸드 트럭이 있는 경우에는 위치 표시부는 이용자의 이동 경로, 이동 시간 및 이동 수단을 고려하여 최단 이동 경로, 이동 시간의 순서대로 푸드 트럭을 나열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동 정보 제공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푸드 트럭의 선호도 순서대로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이용자가 평가한 푸드 트럭의 평가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푸드 트럭 선호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이용자 입장에서 푸드 트럭의 정보를 확인하고 용이하게 푸드 트럭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푸드 트럭의 주인 입장에서도 이용자들의 위치를 검색하여 매출을 늘이는데 도움을 준다.
위치 표시부(300)는 푸드 트럭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푸드 트럭의 주인에게 이용자들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여 표시해줄 수 있다. 이는 도 5에서 도시된 모습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즉, 푸드 트럭의 주인 입장에서도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 분포를 볼 수 있으므로, 앞으로 푸드 트럭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6은 푸드 트럭의 주인 입장에서 단말기를 통해 보는 화면의 예시이며, 이용자들의 지역별 분포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푸드 트럭에 콜(call)을 등록하면, 즉시 콜을 등록한 이용자의 분포 및 정보를 알 수 있어 이동 경로를 쉽게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즉시 이용자에게로 이동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단골 고객을 확보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푸드 트럭의 주인은 자신의 일정을 미리 등록하여 놓을 수도 있으며, 일정을 등록함으로써 이용자가 푸드 트럭의 이동 경로를 미리 알고 예측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은 푸드 트럭의 일정을 저장하는 일정 저장부(5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푸드 트럭의 주인은 일정 저장부(510)를 통해서 자신의 일정을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푸드 트럭의 주인이 일정 등록을 하는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7에서 보는 것처럼 푸드 트럭의 주인은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일정 등록이 가능하고, 이러한 일정 등록은 일정 저장부(510)에 저장되며 이용자는 푸드 트럭의 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가 관심 푸드 트럭으로 설정한 푸드 트럭의 일정이 등록되는 경우에는, 해당 일정이 바로 이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림 메세지를 통해 보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전 일정 등록을 이용하여 푸드 트럭에 대한 이용자의 예측 소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사전 일정 등록을 통한 푸드 트럭에 대한 이용자의 예측 소비를 위한 알림 메세지 발송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푸드 트럭 주인이 일정을 등록하면 이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고,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일정 저장부에 저장된 일정에 기초할 때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로 들어올 것으로 예상되는 푸드 트럭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용자에게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예측 소비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푸드 트럭 주인은 할인 쿠폰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할인 쿠폰 발급 내역은 저장부(500)에 저장된다. 할인 쿠폰이 발급되면 이는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조회가 가능하며, 또한 이용자가 해당 푸드 트럭을 관심 푸드 트럭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할인쿠폰 발급 내역이 알림 메시지로 보내질 수 있다.
또한, 푸드 트럭의 이용 후기나 이용 내역 등을 SNS를 통해서 등록이 가능할 수도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 및 푸드 트럭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
    상기 위치 추적부를 통해 얻어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 및 푸드 트럭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 및
    이용자와 푸드 트럭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알림 메세지를 보내는 메세지 알림부
    이용자와 푸드 트럭 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 및 이동 수단을 제공하는 이동 경로 및 이동 수단 제공부; 및
    푸드 트럭의 일정을 저장하는 일정 저장부를 포함하고,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있는 푸드 트럭의 위치를 표시해주고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고, 상기 일정 저장부에 저장된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로 들어 올 것으로 예상되는 푸드 트럭이 있는 경우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표시부는 상기 푸드 트럭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푸드 트럭의 주인에게 이용자들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여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푸드 트럭의 평가 점수를 저장하는 푸드 트럭 선호도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용자가 평가한 푸드 트럭의 평가 점수 정보가 상기 푸드 트럭 선호도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푸드 트럭이 들어올 경우,
    상기 위치 표시부는 상기 이용자의 이동 경로, 이동 시간 및 이동 수단을 고려하여 최단 이동 경로, 이동 시간의 순서대로 푸드 트럭을 나열하거나, 또는 푸드 트럭의 선호도 순서대로 푸드 트럭을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는 푸드 트럭을 검색하여 특정 푸드 트럭을 관심 푸드 트럭으로 등록할 수 있고,
    상기 관심 푸드 트럭이 상기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위치를 표시해주고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KR1020140085831A 2014-07-09 2014-07-09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KR10147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831A KR101478172B1 (ko) 2014-07-09 2014-07-09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PCT/KR2015/006905 WO2016006882A1 (ko) 2014-07-09 2015-07-06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US14/792,624 US20160014220A1 (en) 2014-07-09 2015-07-07 Information searching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831A KR101478172B1 (ko) 2014-07-09 2014-07-09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172B1 true KR101478172B1 (ko) 2014-12-31

Family

ID=5268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831A KR101478172B1 (ko) 2014-07-09 2014-07-09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14220A1 (ko)
KR (1) KR101478172B1 (ko)
WO (1) WO201600688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470A (ko) * 2017-08-29 2019-03-08 한국디자인진흥원 Sns와 푸드 트럭을 통한 산업단지 음식제공 서비스 방법
KR101979664B1 (ko) * 2018-07-24 2019-05-17 이상훈 위치 정보기반의 앱 주문이 가능한 푸드트럭 관리시스템
KR20190105186A (ko) 2018-02-23 2019-09-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푸드트럭 관광 웹 서비스
KR20210056083A (ko) * 2019-11-08 2021-05-18 정형철 음식점 위치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96474A (ko) * 2020-01-28 2021-08-05 베스트스토리 주식회사 날짜, 시간 및 요일별 활성화 기능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136A (ko) * 2015-06-04 201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알림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824985B2 (en) 2016-03-09 2020-11-03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active mobile pick-up unit notification
JP7062942B2 (ja) * 2017-12-21 2022-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代行サービスの管理装置、その利用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42060B2 (en) 2020-05-12 2022-05-24 Bender, LLC Lifestyle prefere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488187B1 (en) * 2022-04-11 2022-11-01 Santa Israel Ltd. Managing operations of mobile retail uni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267A (ko) * 2002-09-03 2004-03-10 보라테크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목적물 접근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67666B1 (ko) * 2011-06-25 2012-08-07 아비드소프트(주) 고객의 위치 파악이 가능한 택시 운행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20130113038A (ko) * 2012-04-05 2013-10-15 신광윤 지도 에이피아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맛집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8802A1 (en) * 1999-03-01 2003-05-29 Jones Martin Kelly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ravel of a mobile vehicle
US6363323B1 (en) * 1993-05-18 2002-03-26 Global Research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ravel of a mobile vehicle
US6249222B1 (en) * 1999-08-17 2001-06-1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lor based alerting signals
US7215241B2 (en) * 2002-03-20 2007-05-08 Ohanes Ghazarian Tamper detection sensor antenna
US7802724B1 (en) * 2002-12-20 2010-09-28 Steven Paul Nohr Identifications and communications methods
US7917153B2 (en) * 2004-03-31 2011-03-29 France Telecom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directing, storing and automatically delivering a message to an intended recipient upon arrival of a specified mobile object at a designated location
US20080125965A1 (en) * 2006-11-27 2008-05-29 Carani Sherry L Tracking System and Method with Automatic Map Selector and Geo Fence Defining Features
US20090112452A1 (en) * 2007-10-25 2009-04-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real time traffic image display
US8060582B2 (en) * 2008-10-22 2011-11-15 Google Inc. Geocoding personal information
JP4810582B2 (ja) * 2009-03-26 2011-11-09 株式会社東芝 移動体画像追尾装置および方法
US9230292B2 (en) * 2012-11-08 2016-01-05 Uber Technologies, Inc. Providing on-demand services through use of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20130311311A1 (en) * 2010-09-01 2013-11-21 Dilip Chopra Ingredient based food allergen detection system for use by food service providers
US8717151B2 (en) * 2011-05-13 2014-05-06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user on a tactile output surface of a mobile device
KR20130137929A (ko) * 2012-06-08 2013-12-18 한국과학기술원 안전 및 보안 기능을 구비하는 콜택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130332208A1 (en) * 2012-06-12 2013-12-1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rders and reservations using an electronic device
US8874108B2 (en) * 2012-12-20 2014-10-28 Amadeus S.A.S. Integrating mobile devices into a fix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US20140279220A1 (en) * 2013-03-14 2014-09-18 Eric Weiner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retail environment
US9503532B2 (en) * 2013-09-03 2016-11-2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Rediscovery of past data
US20150278888A1 (en) * 2014-03-28 2015-10-01 Branding Br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information
US20160044451A1 (en) * 2014-08-05 2016-02-11 Del Marth LLC Event teth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267A (ko) * 2002-09-03 2004-03-10 보라테크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목적물 접근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67666B1 (ko) * 2011-06-25 2012-08-07 아비드소프트(주) 고객의 위치 파악이 가능한 택시 운행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20130113038A (ko) * 2012-04-05 2013-10-15 신광윤 지도 에이피아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맛집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470A (ko) * 2017-08-29 2019-03-08 한국디자인진흥원 Sns와 푸드 트럭을 통한 산업단지 음식제공 서비스 방법
KR101971351B1 (ko) 2017-08-29 2019-04-22 한국디자인진흥원 Sns와 푸드 트럭을 통한 산업단지 음식제공 서비스 방법
KR20190105186A (ko) 2018-02-23 2019-09-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푸드트럭 관광 웹 서비스
KR101979664B1 (ko) * 2018-07-24 2019-05-17 이상훈 위치 정보기반의 앱 주문이 가능한 푸드트럭 관리시스템
KR20210056083A (ko) * 2019-11-08 2021-05-18 정형철 음식점 위치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94922B1 (ko) * 2019-11-08 2021-08-30 정형철 음식점 위치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96474A (ko) * 2020-01-28 2021-08-05 베스트스토리 주식회사 날짜, 시간 및 요일별 활성화 기능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36952B1 (ko) * 2020-01-28 2021-12-09 베스트스토리 주식회사 날짜, 시간 및 요일별 활성화 기능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14220A1 (en) 2016-01-14
WO2016006882A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172B1 (ko) 위치 정보를 활용한 푸드트럭 및 이용자 분포 검색 시스템
EP1695531B1 (en) Location status indicator for mobile phones
Steinfield The development of location based services in mobile commerce
CN107534837B (zh) 基于位置的提醒方法、指示设备、提醒设备和移动终端
US20090012704A1 (en) Retail Store Product Lo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CN101529866A (zh) 本地无线网接入点和移动设备间基于呈现的通信
KR20140071499A (ko) 이동 디바이스들을 위한 시간 및 웨이포인트-기반 인센티브
US9609484B1 (en) Approaches for positioning computing devices
US20110288936A1 (en) Pre-Caching Location Based Advertising for Repeated Out Of Coverage Scenarios Based On Commuter or Regular Travel Patterns
KR20100024445A (ko) 정보 수집 시스템, 정보 등록 서버, 정보 수집 방법, 및 휴대 단말 장치
JP200924527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14178724A (ja) クーポン提供方法、クーポン提供サーバ及びクーポン提供システム
KR2006000699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정보 및 길 안내 정보 제공 방법.
KR20120076509A (ko) 쇼핑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1862A (ko) 위치정보에 기반한 정보제공시스템
US20170332200A1 (en) Radiocommunic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20050096040A1 (en) Presenting broadcast received by mobile device based on proximity
CA2740479C (en) Pre-caching location based advertising for repeated out of coverage scenarios based on commuter or regular travel patterns
JP7332471B2 (ja) 地点情報提供システム、地点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0349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wing dynamic loc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KR20130127730A (ko) 실시간 리스팅이 가능한 상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21188A (ko)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정보 및 길 안내 정보 제공 방법.
CN110661885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200719283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情報送信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924527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