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958B1 -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958B1
KR101477958B1 KR20140088869A KR20140088869A KR101477958B1 KR 101477958 B1 KR101477958 B1 KR 101477958B1 KR 20140088869 A KR20140088869 A KR 20140088869A KR 20140088869 A KR20140088869 A KR 20140088869A KR 101477958 B1 KR101477958 B1 KR 10147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servoir
hole
liquid material
upp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대성
Priority to KR2014008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958B1/ko
Priority to PCT/KR2015/007111 priority patent/WO20160103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뚜껑이 개시된다.
용기의 상단부와 체결될 수 있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저장소와;
상기 저장소의 상부에 형성되어, 대기와 연통되는 상부홀과;
상기 저장소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홀과;
상기 상부홀을 커버하여, 상기 상부홀을 밀폐할 수 있고, 상기 상부홀로 부터 분리된 후 반복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제가 도포된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용기뚜껑 {lid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기뚜껑에 저장된 액상과 용기 내부에 저장된 물질로 분리된 2가지 종류의 물질을 원하는 비율로 섞을 수 있는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혼합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2종류 이상의 음료를 섞어야 한다.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음료의 경우 생산자가 미리 정해진 비율대로 2종류 이상의 음료를 섞어서 판매한다.
커피 전문점의 경우에도, 커피의 농도를 음용자의 기호와는 관계없이 특정 원액의 농도에 맞추어 소비자에게 공급한다.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농도에 맞도록 2가지 종류의 음료를 섞을 때에는 각각 음료를 보관해야 하는 용기가 따로 준비되어야 하며, 이로 인한 비용상승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게 소비자가 원하는 농도에 맞추어 2종류의 음료를 섞을 수 있는 용기뚜껑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것으로는 한국공개특허 10-2011-0086488호로 개발(발명자; 조영국)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뚜껑에 액상 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를 마련하고, 용기 저장소 상단의 차단부재를 오픈할 경우, 대기압에 의해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던 액상 물질이 저장소 하단에 형성된 하부홀을 통하여 용기 내부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용기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한 재질의 저장소로 이루어질 경우, 저장소 내부의 액상 물질이 얼마나 용기 내부로 흘러들어갔는 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재로 저장소 상단의 상부홀을 닫아 더 이상 액상 물질이 용기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용기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기의 상단부와 체결될 수 있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저장소와;
상기 저장소의 상부에 형성되어, 대기와 연통되는 상부홀과;
상기 저장소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홀과;
상기 상부홀을 커버하여, 상기 상부홀을 밀폐할 수 있고, 상기 상부홀로 부터 분리된 후 반복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제가 도포된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저장소 내부에 저장된 액상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홀은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상부홀을 밀폐할 경우, 상기 액상 물질이 상기 용기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의 상부에는 할인쿠폰임을 알 수 있도록 문양이 프린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저장소는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캡부재에는 캡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기뚜껑에 액상 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를 마련하고, 용기 저장소 상단의 차단부재를 오픈할 경우, 대기압에 의해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던 액상 물질이 저장소 하단에 형성된 하부홀을 통하여 용기 내부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용기뚜껑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한 재질의 저장소로 이루어질 경우, 저장소 내부의 액상 물질이 얼마나 용기 내부로 흘러들어갔는 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재로 저장소 상단의 상부홀을 닫아 더 이상 액상 물질이 용기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용기뚜껑을 제공한다.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과 용기가 결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과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과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과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액상물질이 용기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과 용기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과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과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과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액상물질이 용기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용기뚜껑(100)은,
용기(200)의 상단부와 체결될 수 있는 캡부재(10)와;
상기 캡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된 저장소(20)와;
상기 저장소(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대기와 연통되는 상부홀(21)과;
상기 저장소(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200)의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홀(22)과;
상기 상부홀(21)을 커버하여, 상기 상부홀(21)을 밀폐할 수 있고, 상기 상부홀(21)로 부터 분리된 후 반복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제가 도포된 차폐부재(30)와;
상기 저장(20)소 내부에 저장된 액상 물질(L1)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홀(22)은 상기 차폐부재(30)가 상기 상부홀(21)을 밀폐할 경우, 상기 액상 물질이 상기 용기(200)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200)는 액상물질이 담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 및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플라스틱수지나 종이라도 무방하다.
캡부재(10)는 용기(2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용기(200)의 상부의 입구부를 차폐할 수 있다. 캡부재(10)가 용기(200) 상부에 결합되면, 용기(200) 내부의 액상물질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는 것이 좋다. 캡부재(10)는 캡홀(11)이 형성되어 있다. 추후, 저장소(20)의 내부의 액상물질(L1)이 용기(200) 내부로 흘러들어가면, 캡홀(11)을 통하여 용기(2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간다.
캡부재(10)에는 저장소(20)가 결합된다. 저장소(20)는 액상물질(L1)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저장소(20)는 저장부(20a)와 저장부(20a)의 상단에 결합된 커버부(20b)로 분리될 수도 있고, 제조상의 문제가 없다면 원피스(one piece)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부(20a)와 커버부(20b)가 결합시 결합부분은 완전히 밀폐되어야 한다. 아울러, 캡부재(10)와 저장소(20)는 원피스(one piece)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저장소(20) 상부{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20b)에 형성됨}에는 상부홀(21)이 형성된다. 상부홀(21)은 차폐부재(30)가 결합된다. 차폐부재(30)의 하부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서, 저장소(20)의 상부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차폐부재(30)는 상부홀(21)을 완벽히 밀폐하여, 외부 공기가 저장소(20)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저장소(20)의 하부에는 하부홀(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장소(20)의 내부에는 액상물질(L1)이 들어가 있다. 차폐부재(30)가 상부홀(21)을 커버하고 있는 동안에는, 액상물질(L1)이 하부홀(22)을 통하여 용기(200) 내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부홀(22)의 크기는 설계되어 있다. 하부홀(22)의 크기는 액상물질(L1)의 점도와 극성 등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하부홀의(22)의 사이즈가 지나치게 크다면 차폐부재(30)가 상부홀(21)을 덮고 있는 상황에서, 외부의 공기가 하부홀(22)을 통하여 들어가는 동시에, 저장소(20) 내부의 액상물질(L1)의 일부분이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다. 하지만, 액상물질(L1)의 극성 및 점도가 크고 하부홀(22)의 사이즈가 작고, 차폐부재(30)가 상부홀(21)을 덮고 있으면, 액상물질(L1)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못한다.
그러나 차폐부재(30)가 상부홀(21)을 덮지 못할 경우, 외부의 공기가 상부홀(21)로 들어오게 되고, 대기압의 영향을 받은 저장소(20) 내부의 액상물질(L1)은 하부홀(22)로 흘러나온다.
하부홀(22)의 사이즈가 너무 클 경우에는, 하부홀(22)에서 외부 공기의 유입과 액상물질(L1)의 유출이 동시에 이루어져 좋지 않다.
따라서, 하부홀(22)의 사이즈는 액상물질(L1)의 종류에 따라서, 최대 사이즈가 정해질 수 있다. 하부홀(22)의 사이즈가 어떤 크기이든, 차폐부재(30)가 상부홀(21)을 밀폐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저장소(20) 내부의 액상물질(L1)이 하부홀(22)로 흘러나오지 않아야 한다.
한편, 용기(200) 내부에도 또 다른 액상물질(L2)이나 가루가 있을 수 있고, 또는 액상이 아닌 분말형태가 담겨 있을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의 용기뚜껑(100)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이다. 차폐부재(30)가 상부홀(21)을 덮고 있을 때에는, 도 6과 같이 액상물질(L1)이 용기(200)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않는다. 이후, 도 7과 같이 차폐부재(30)가 상부홀(21)로 부터 분리되면, 액상물질(L1)이 대기압의 영향으로 하부홀(22)을 따라 용기(200) 내부로 흘러들어간다. 소비자가 원하는 양의 액상물질(L1)이 용기(200) 내부로 흘러들어갔을 경우, 도 8과 같이 다시 차폐부재(30)를 닫아 하부홀(22)로 액상물질(L1)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차폐부재(30)의 상부에는 할인쿠폰임을 알 수 있도록 문양이나 브랜드명이 프린트될 수 있다. 음료를 구매한 사람은 스티커 형태의 차폐부재(30)를 분리하여 쿠폰북에 붙여서, 추후 재구매시 할인받거나 음료를 무료제공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캡부재(10)와, 상기 저장소(20)는 투명한 재질인 것이 좋다. 이들이 투명해야 저장소(20) 내부의 액상물질(L1)이 얼마나 줄어들었는지 확인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용기뚜껑(100) 용기(200)
캡부재(10) 저장소(20)
상부홀(21) 하부홀(22)
차폐부재(30) 액상물질(L1)
캡홀(11)

Claims (5)

  1. 용기의 상단부와 체결될 수 있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저장소와;
    상기 저장소의 상부에 형성되어, 대기와 연통되는 상부홀과;
    상기 저장소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홀과;
    상기 상부홀을 커버하여, 상기 상부홀을 밀폐할 수 있고, 상기 상부홀로 부터 분리된 후 반복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제가 도포된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 내부에 저장된 액상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홀은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상부홀을 밀폐할 경우, 상기 액상 물질이 상기 용기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의 상부에는 할인쿠폰임을 알 수 있도록 문양이 프린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에는 캡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5. 삭제
KR20140088869A 2014-07-15 2014-07-15 용기뚜껑 KR101477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8869A KR101477958B1 (ko) 2014-07-15 2014-07-15 용기뚜껑
PCT/KR2015/007111 WO2016010304A1 (ko) 2014-07-15 2015-07-09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8869A KR101477958B1 (ko) 2014-07-15 2014-07-15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958B1 true KR101477958B1 (ko) 2014-12-30

Family

ID=5268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8869A KR101477958B1 (ko) 2014-07-15 2014-07-15 용기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7958B1 (ko)
WO (1) WO201601030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895U (ko) * 2008-02-29 2009-09-02 유승석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120005841U (ko) * 2011-02-10 2012-08-20 박수산 일회용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5130B2 (en) * 2003-11-20 2007-03-27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Drinking cup lids with promotional game piece
KR20090011596U (ko) * 2009-10-24 2009-11-12 김미향 2중입체구조의 컵마개
WO2014030806A1 (ko) * 2012-08-24 2014-02-27 농업회사법인 코엔에프(유) 음료용 컵 뚜껑 및 음료용 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895U (ko) * 2008-02-29 2009-09-02 유승석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120005841U (ko) * 2011-02-10 2012-08-20 박수산 일회용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0304A1 (ko)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6511B2 (ja) 液体容器付着用の密閉キャップ
EP2931619B3 (en) Closure arrangements for liquid containers, liquid container assembly, and the like
US9131761B2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US20140377413A1 (en) Beverage Filter Cartridge
CN107150855A (zh) 密封的液体容器以及用于液体容器的盖组合件和盖
CN106458375A (zh) 用于保存液体内容物的容器
DE69823683D1 (de) Ausgabeverschluss mit einer eine tablette enthaltenden durchdrückpackung
EP3157834B1 (en) Closure with storage chamber
JP2009056069A (ja) 飲料用容器及び飲料用容器の使用方法
CN104724382A (zh) 用于矿泉水瓶的具有整体盖子的茶袋存储盒
CN107548373A (zh) 两种内容物混合容器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US20170265674A1 (en) Cup with filtering system
KR101477958B1 (ko) 용기뚜껑
AU2015258251B2 (en) A cap and blister pack housing a substance and having an integral piercing implement
KR20150045100A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GB2525584A (en) Drinks receptacle
US1652755A (en) Container
US20160083175A1 (en) Mineral water bottle having receipt part of a tea bag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US20140008251A1 (en) Dental buddy container
KR20150001364U (ko)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CN207417405U (zh) 食品容器结构及其瓶内容器
US20200031543A1 (en) Compartment for preparation as bottle cap of drinking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