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540B1 -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540B1
KR101477540B1 KR1020080102135A KR20080102135A KR101477540B1 KR 101477540 B1 KR101477540 B1 KR 101477540B1 KR 1020080102135 A KR1020080102135 A KR 1020080102135A KR 20080102135 A KR20080102135 A KR 20080102135A KR 101477540 B1 KR101477540 B1 KR 101477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ning shot
image
setting
subject
stra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917A (ko
Inventor
오선미
최종관
김탁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5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20Linear transl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04Adaptive image processing
    • G06T2207/20012Locally adap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패닝샷 촬영 방법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단계와, 촬상된 화상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촬상된 화상의 일부분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피사체의 운동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운동 방향을 기초로 화상에서 지정된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을 직선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panning shot function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panning shot}
본 발명은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을 직선화하여 패닝샷 기법에 의한 화상이 완성되므로 사용자가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없어도 용이하게 패닝샷 기법에 의한 촬영을 실시할 수 있게 하는 촬상 장치와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로 저장하고,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는 종래의 필름 카메라에서 수행되는 복잡한 필름인화 작업 없이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여 쉽게 편집, 가공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필름 카메라를 급속히 대체하고 있다.
최근에 시판되는 카메라들은 노광 설정이나 초점 조정과 같은 촬영과 관련 한 대부분의 중요한 동작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카메라를 이용하면 초심자들도 쉽게 촬영을 할 수 있다.
자동으로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는 카메라에서도 쉽게 구현될 수 없는 특수 촬영 기법들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패닝샷이다. 패닝샷(panning shot)이란 운동하는 주 피사체에 초점을 고정하여 카메라가 주 피사체를 따라가며 촬영하는 기법으로서, 주 피사체는 정지된 것처럼 또렷한 모습으로 촬영되고 배경은 흘러가는 모습으로 촬영된다. 이와 같은 패닝샷은 주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 속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사물을 표현하므로, 역동적인 사진을 촬영하기를 원하는 사진가들이 즐겨 사용하는 촬영 기법이다.
패닝샷으로 촬영할 때에는 주 피사체의 움직임의 역동성을 잘 나타내기 위해 셔터 스피드가 느린 속도로 감소되어야 한다. 또한 움직이는 주 피사체를 정확하게 따라가며 촬영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과 경험을 필요로 하므로, 초심자들이 패닝샷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패닝샷 촬영을 실시하려면 셔터 스피드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하므로 DSLR/SLR 카메라나 사용자에 의해 셔터 스피드 조정이 가능한 자동 카메라에서만 패닝샷 촬영이 가능하고, 셔터 스피드를 조정할 수 없는 컴팩트형 자동 카메라에서는 패닝샷을 실시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숙련된 기술이 없는 초심자도 패닝샷 기법으로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와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터 스피드 등의 촬상 장치의 설정을 사용자가 조정하지 않아도 패닝샷 기법으로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와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에서 피사체가 위치하는 패닝샷 중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직선화하여 자동으로 패닝샷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패닝샷 촬영 방법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단계와, 촬상된 화상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촬상된 화상의 일부분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피사체의 운동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운동 방향을 기초로 화상에서 지정된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을 직선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닝샷 촬영 방법은 피사체의 운동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직선화하는 단계는 운동 방향과 운동 속도를 기초로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을 직선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경을 직선화하는 단계는 패닝샷 중심 영역을 저장하 고,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을 직선화한 후, 패닝샷 중심 영역과 직선화된 배경을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의 전기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와, 화상 데이터에서 피사체가 위치하는 패닝샷 중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직선화하는 패닝샷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일부를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선택하게 하는 입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닝샷 처리부는 화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닝샷 처리부는 직선화 방향을 설정하는 방향 설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닝샷 처리부는 직선화의 강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에 의하면,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을 직선화하여 패닝샷 기법에 의한 화상이 완성되므로 사용자가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없어도 용이하게 패닝샷 기법에 의한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셔터 스피드 등과 같은 수동 모드 설정들을 변경할 수 없는 컴팩트형 자동 카메라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에 의하면 패닝샷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20)와, 촬상소자(20)의 전기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41)와,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직선화하는 패닝샷 처리부(45)를 구비한다.
촬상소자(20)의 앞에 배치되는 줌렌즈 유닛(10)은 복수 개의 렌즈들(12)을 포함하여, 외부의 영상광을 촬상소자(20)의 촬상면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들(12)은 서로의 간격이 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렌즈들(12)의 간격이 변동되면 줌렌즈 유닛(10)에 의한 확대 배율이 변경된다.
렌즈들(12)은 줌모터(zoom motor)와 같은 구동수단을 갖는 줌 구동부(11)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줌 구동부(11)는 제어부(40)의 구동 회로부(42)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작동된다. 따라서 줌 구동부(11)는 줌렌즈 유닛(10)이 복수 개의 확대 배율들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줌렌즈 유닛(10)을 구동할 수 있다.
촬상소자(20)는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여, 줌렌즈 유닛(10)을 통해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광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은, 먼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등의 세부 단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0)는 촬상소자(20), 줌 구동부(11), 터치 스크린(5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40)는 화상 변환부(41)와, 구동 회로부(42)와, 터치 스크린 제어부(44)와, 패닝샷 처리부(45)와, 메모리(15)에 대한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43)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 칩이나, 마이크로 칩을 구비하는 회로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4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제어부(4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나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부(43)는 메모리(15)로의 화상 데이터의 기록과, 메모리(15)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메모리(15)는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로 이루어져 촬상된 화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촬상 장치에 구비된 패닝샷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패닝샷 처리부(45)는 화상 데이터에서 피사체가 위치하는 패닝샷 중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직선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패닝샷 처리부(45)는 화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46)와, 직선화 방향을 설정하는 방향 설정부(47a)와, 직선화의 강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47b)와, 패닝샷 중심 영역을 제외한 배경 부분의 화상 데이터를 직선화 처리하는 직선화부(48)와, 패닝샷 중심 영역과 직선화된 배경 영역을 합성하여 영상을 만들어 내는 영상 합성부(49)를 구비한다.
영역 설정부(46)는 화상 데이터의 일부분, 즉 촬상소자(20)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서 피사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영역 설정부(46)는 터치 스크린(50)의 감지부(5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화상에서 선택한 일부 영역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영역 설정부(46)가 패닝샷 중심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설정부(46)는 화상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화상에서 피사체를 나타내는 화소들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역 설정부(46)는 사용자가 선택한 네모나 원형의 모양을 갖는 영역에서 피사체를 나타내는 화소들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이 화소들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방향 설정부(47a)는 직선화 처리를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 영역을 직선화 처리하면, 패닝샷 중심 영역의 피사체는 정지된 것처럼 또렷하게 나타나고, 배경 영역은 흘러가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배경 영역에 대한 직선화 처리를 행할 때 직선화 방향에 의해 피사체가 운동하고 있는 방향이 표현되므로, 패닝샷 처리부(45)에서 직선화 처리를 위한 방향 설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방향 설정부(47a)는 화상에서 피사체가 움직이는 방향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이를 기초로 직선화 처리를 위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수평한 방향을 따라 화상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배경 영역을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직선화 처리함으로써 피사체의 운동 방향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향 설정부(47a)의 직선화 처리 방향 설정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직선화 방향의 설정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의 실제 운동 방향과는 상관없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이나 메뉴를 통해 직선화 방향을 선택하면, 선택된 방향을 직선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속도 설정부(47b)는 직선화 처리를 위한 강도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 영역을 직선화 처리할 때에 배경 영역이 더 긴 직선으로 이루어지도록 직선화 처리가 이루어지면, 피사체가 운동하는 속도가 더 빠른 것처럼 느껴지도록 표현될 수 있다.
속도 설정부(47b)는 화상에서 피사체가 움직이는 속도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이를 기초로 직선화 처리를 위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와 같은 속도 설정부(47b)의 직선화 처리 강도 설정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직선화 강도의 설정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의 실제 운동 방향과는 상관없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이나 메뉴를 통해 직선화의 강도를 선택하면, 선택된 강도에 따라 직선화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직선화부(48)는 영역 설정부(46)에서 설정된 패닝샷 중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경 영역에 대해 직선화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직선화(linearization) 처리는 패닝샷 기법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배경 영역과 같이 흘러가는 것과 같은 모습으로 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화상 처리이다. 직선화 처리는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의 화소들을 일정 방향으로 복사하여 배치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직선화 처리를 위해 예를 들어, 확대 인쇄 등의 목적으로 화상을 확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인 포토 인터폴레이션(photo interpolation) 기술이 응용될 수 있다. 포토 인터폴레이션 기술은 화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화상을 이루는 화소들(픽셀; pixels)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영상 합성부(49)는 패닝샷 중심 영역과 직선화 처리가 이루어진 배경 영역을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합성부(49)는 패닝샷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표시부(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5)에 저장될 수 있다.
촬상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일부분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선택하게 하는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표시부와,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50)에 의해 구현된다. 터치 스크린(50)은 촬상소자(2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과,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50)은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하는 입력 장치이며,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직접 손으로 터치하거나 펜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 하에서 직관적인 업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터치 스크린(50)은 화상 데이터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51)와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52)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51)에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 발광장치(OLED) 등의 표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감지부(52)는 표시부(51)의 표면에 설치되어 표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52)에는 저항성 감지 수단, 용량성 감지 수단, 표면 음향파 이용 감지 수단, 적외선(IR) 이용 감지 수단, 및 광학 이용 감지 수단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50)의 감지부(52)는 패닝샷 중심 영역을 선택하게 하는 입력부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서 감지부(52)가 구현되는 방법은 터치 스크린(50)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닝샷 중심 영역이 표시부(51)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촬상 장치의 메뉴를 조작하여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될 피사체 영역을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감지부(52)는 또한 직선화 처리를 위한 방향과 강도에 관 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셔터 스피드와 같은 촬상 장치의 설정을 조정하지 않아도 패닝샷 기법에 의한 촬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패닝샷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패닝샷 촬영 방법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단계(S100)와, 촬상된 화상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S110)와, 패닝샷 중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50)와, 피사체의 운동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S160)와, 피사체의 운동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S170)와,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을 직선화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패닝샷 촬영 방법을 이용해 패닝샷 촬영 기능을 실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며, 촬상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서 패닝샷 중심 영역과 직선화 처리를 위한 방향 등을 설정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촬상 장치에 의해 피사체의 촬상이 이루어지고(S100), 화상 데이터의 변환(S110)이 완료되면, 촬상 장치가 패닝샷 모드로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 패닝샷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촬상된 화상을 저장(S190)하고 촬상을 종료한다.
촬상 장치가 패닝샷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피사체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S140)와 패닝샷 중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50)가 수행된다.
피사체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S14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상된 화 상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었을 때, 표시된 화상의 일부분을 사용자가 피사체 영역으로 선택한다. 사용자가 터치 펜(60)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면, 패닝샷 중심 영역을 선택을 안내하는 상자(61)가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드래그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자(61)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드래그 터치(drag touch)는 터치 스크린의 표면을 따라 일정 거리를 이동하는 터치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완료되면 상자(61)의 내부에 존재하는 영역이 피사체 영역으로 선택된다. 패닝샷 중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40)는 선택된 피사체 영역에서 운동하는 피사체(62)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배경 부분과 피사체(62)의 윤곽을 자동적으로 구분하여 피사체(62)를 나타내는 화소들만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패닝샷 중심 영역 설정 방법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즉 피사체의 운동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대신, 사용자가 선택한 상자(61)의 내부의 피사체 영역에서 피사체(62)의 윤곽을 배경 부분과 자동적으로 구분함으로써 피사체(62)의 윤곽의 내부에 존재하는 화소들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삼기 원하는 피사체(62)의 윤곽을 따라 터치 펜(60)으로 그리게 함으로써 패닝샷 중심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자(61)의 내부에 존재하는 피사체 영역 전체를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패닝샷 중심 영역의 설정이 완료되면(S150), 피사체 운동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S160)와, 피사체 운동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S170)가 실행된다. 이러한 단계들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패닝샷 모드 설정 아이콘(70)을 조작하여 실행될 수 있다.
피사체 운동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S160)는 패닝샷 촬영 효과를 구현을 위해 실행될 직선화 처리를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피사체 운동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S170)는 직선화 처리를 위한 강도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피사체 운동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S160)와 피사체 운동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S170)는 피사체가 움직이는 방향과 속도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이를 기초로 직선화 처리를 위한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의 패닝샷 모드 설정 아이콘(70)을 조작하여 직선화를 위한 방향과 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직선화를 위한 피사체 운동 방향과 운동 속도가 설정되면, 배경 영역을 직선화하는 단계(S180)가 수행된다. 직선화하는 단계(S180)는 패닝샷 중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경 영역에 대해 직선화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직선화(linearization) 처리는 패닝샷 기법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배경 영역과 같이 흘러가는 것과 같은 모습으로 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화상 처리이다.
직선화 처리를 위해 예를 들어, 확대 인쇄 등의 목적으로 화상을 확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인 포토 인터폴레이션(photo interpolation) 기술이 응용될 수 있다. 포토 인터폴레이션 기술은 화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화상을 이루는 화소들(픽셀; pixels)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직선화하는 단계(S180)는 패닝샷 중심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따로 저장하는 단계와,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 영역을 직선화하는 단계와, 패닝샷 중심 영역과 직선화된 배경 영역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화 단계(S180)를 거치며 완성된 합성 화상은 메모리와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되고(S190)고,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실행된 패닝샷 촬영에 의해 완성된 수평 방향으로 직선화된 이미지의 일 예이며, 도 4의 패닝샷 모드 설정 아이콘(70)에서 우측 방향 화살표(71)가 선택된 경우의 패닝샷 촬영을 나타낸다.
도 5의 화상에서는 피사체(62)가 또렷하게 표시되고 배경이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을 향해 직선화 처리되어 표시되므로, 완성된 패닝샷 화상은 피사체(62)가 화살표 A와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과 같이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 실행된 패닝샷 촬영에 의해 완성된 수평 방향으로 직선화된 이미지의 다른 예이며, 도 4의 패닝샷 모드 설정 아이콘(70)에서 우측 방향 화살표(72)가 선택된 경우의 패닝샷 촬영을 나타낸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드래그 터치에 의해 화살표(72)를 길게 하여 피사체의 강도를 크게 설정한 상황이다.
도 6의 화상에서는 피사체(62)가 또렷하게 표시됨과 동시에 도 5에서의 배경에 비해 배경이 화살표 B의 반대 방향을 향해 더 길게 직선화 처리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완성된 패닝샷 화상은 피사체(62)가 화살표 B와 같은 방향으로 더 빠르게 운동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7은 도 4에서 실행된 패닝샷 촬영에 의해 완성된 수평 방향으로 직선화 된 이미지의 또 다른 예이며, 도 4의 패닝샷 모드 설정 아이콘(70)에서 좌측 방향 화살표(73)가 선택된 경우의 패닝샷 촬영을 나타낸다.
도 7의 화상에서는 피사체(62)가 또렷하게 표시되고, 배경은 화살표 C의 반대 방향을 향해 직선화 처리되어 표시된다. 이로 인해 패닝샷 화상은 피사체(62)가 화살표 C와 같은 방향으로 후진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8은 도 4에서 실행된 패닝샷 촬영에 의해 완성된 대각선 방향으로 직선화된 이미지의 예이며, 도 4의 패닝샷 모드 설정 아이콘(70)에서 우측 대각선 방향의 화살표(74)가 선택된 경우의 패닝샷 촬영을 나타낸다.
도 8의 화상에서는 피사체(62)가 또렷하게 표시되고, 배경은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을 향해 직선화 처리되어 표시된다. 이로 인해 패닝샷 화상은 피사체(62)가 화살표 D와 같은 대각선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9는 도 4에서 실행된 패닝샷 촬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직선화된 이미지의 예이며, 도 4의 패닝샷 모드 설정 아이콘(70)에서 상측 방향의 화살표(75)가 선택된 경우의 패닝샷 촬영을 나타낸다.
도 9의 화상에서는 피사체(62)가 또렷하게 표시되고, 배경은 화살표 E의 반대 방향을 향해 직선화 처리되어 표시된다. 이로 인해 패닝샷 화상은 피사체(62)가 화살표 E와 같은 상측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에 의하면, 셔터 스피드 등과 같은 촬상 장치의 설정을 사용자가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숙련된 기술이 없는 초심자라도 패닝샷 기법에 의해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의 촬상 장치에 구비된 패닝샷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패닝샷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패닝샷 촬영 방법을 이용해 패닝샷 촬영 기능을 실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실행된 패닝샷 촬영에 의해 완성된 수평 방향으로 직선화된 이미지의 일 예이다.
도 6은 도 4에서 실행된 패닝샷 촬영에 의해 완성된 수평 방향으로 직선화된 이미지의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4에서 실행된 패닝샷 촬영에 의해 완성된 수평 방향으로 직선화된 이미지의 또 다른 예이다.
도 8은 도 4에서 실행된 패닝샷 촬영에 의해 완성된 대각선 방향으로 직선화된 이미지의 예이다.
도 9는 도 4에서 실행된 패닝샷 촬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직선화된 이미지의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줌렌즈 유닛 47a: 방향 설정부
11: 줌 구동부 47b: 속도 설정부
12: 렌즈들 48: 직선화부
15: 메모리 49: 영상 합성부
20: 촬상소자 50: 터치 스크린
40: 제어부 51: 표시부
41: 화상 변환부 52: 감지부
42: 구동 회로부 60: 터치 펜
43: 메모리 제어부 61: 상자
44: 터치 스크린 제어부 62: 피사체
45: 패닝샷 처리부 70: 패닝샷 모드 설정 아이콘
46: 영역 설정부 71, 72, 73, 74, 75: 화살표

Claims (8)

  1. 피사체를 촬상하는 단계;
    촬상된 화상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촬상된 상기 화상의 일부분을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피사체의 운동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상기 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화상에서 지정된 상기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을 직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닝샷 촬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운동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선화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 방향과 상기 운동 속도를 기초로 상기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을 직선화하는, 패닝샷 촬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을 직선화하는 단계는 상기 패닝샷 중심 영역을 저장하고, 상기 패닝샷 중심 영역 이외의 배경을 직선화한 후, 상기 패닝샷 중심 영역과 직선화된 상기 배경을 합성하는, 패닝샷 촬영 방법.
  4. 화상을 촬상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의 전기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 및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피사체가 위치하는 패닝샷 중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직선화하는 패닝샷 처리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일부를 상기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선택하게 하는 입력부를 더 구비하는, 촬상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닝샷 처리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상기 패닝샷 중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촬상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닝샷 처리부는, 직선화 방향을 설정하는 방향 설정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닝샷 처리부는, 직선화의 강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촬상 장치.
KR1020080102135A 2008-10-17 2008-10-17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 KR101477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135A KR101477540B1 (ko) 2008-10-17 2008-10-17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135A KR101477540B1 (ko) 2008-10-17 2008-10-17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917A KR20100042917A (ko) 2010-04-27
KR101477540B1 true KR101477540B1 (ko) 2014-12-30

Family

ID=4221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135A KR101477540B1 (ko) 2008-10-17 2008-10-17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5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895A (ko) * 2006-12-22 200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웃 포커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895A (ko) * 2006-12-22 200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웃 포커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917A (ko)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295B1 (ko) 촬영 장치 및 촬영 방법
JP561318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をコンピュータに行わせるためのコードを備える持続性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10218897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to display a panoramic image
KR101231469B1 (ko) 이미지 처리 지원 방법, 장치,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1465972B (zh) 在数字图像处理装置中使图像背景模糊的设备和方法
US20110063491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59598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8823836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99871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159988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촬영 방법
JP201104089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767090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combine images to improve exposure
JP5519376B2 (ja) 電子機器
US20200099867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1436327B1 (ko) 배경 우선 촬상 방법 및 촬상 장치
JP2011193066A (ja) 撮像装置
KR101477540B1 (ko)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
KR20110090085A (ko) 입체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2010677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1005168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6717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945028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853054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798019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644888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