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082B1 - cable stripper - Google Patents

cable strip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082B1
KR101477082B1 KR1020120038462A KR20120038462A KR101477082B1 KR 101477082 B1 KR101477082 B1 KR 101477082B1 KR 1020120038462 A KR1020120038462 A KR 1020120038462A KR 20120038462 A KR20120038462 A KR 20120038462A KR 101477082 B1 KR101477082 B1 KR 101477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tton
blade
cable
rotation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5803A (en
Inventor
조준우
Original Assignee
조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우 filed Critical 조준우
Priority to KR102012003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082B1/en
Publication of KR2013011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8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0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도구로써 전선 케이블의 보호 피복에 대한 종방향 탈피 및 횡방향 탈피가 모두 가능한 공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칼날이 숨은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파지 부위로 사용되면서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부; 전선 케이블의 보호 피복을 횡방향 혹은, 종방향으로 탈피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칼날부; 상기 칼날부를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도록 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칼날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ingle tool which allows both longitudinal and lateral stripping of the protective coating of the wire cable to be used in common, and when not used, the blade is kept in a hiding state, And to provide a portable cable cabl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new form.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part used as a gripping part to form an outer body; A blade portion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using portion to allow the protective coating of the wire cable to escape in a lateral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otating operation body for selectively rotating the blade unit while the blade un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Description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cable stripper}Portable cable stripper {cable stripper}

본 발명은 전선 케이블의 피복을 탈피하는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휴대가 가능하고, 사용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for separating a covering of a wire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able separator according to a new type which is portable and easy to use.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이나 동축케이블과 같이 각종 통신용 선로 혹은, 전원선로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선 케이블은 그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코어가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코어의 외부를 보호 피복이 감싸도록 형성된다.Generally, a wire cable, which is mainly used for various communication lines such as an optical cable or a coaxial cable, or a power lin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core disposed therein and a protective coating surrounding the core.

이때, 상기 보호 피복은 상기 코어를 각종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자유로운 휨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코어를 통해 전송되는 전류의 누전을 차단하기 위한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있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cover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capable of protecting the core from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and capable of free bending but also has an insulation property for preventing current leakage through the core.

상기한 전선 케이블은 포설 작업이나 분기 작업 등 그 작업 내용에 따라 해당 전선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보호 피복을 탈피하거나 혹은, 해당 케이블을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보호 피복을 탈피하는 작업을 하며, 상기한 보호 피복의 탈피는 일반적인 컷터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보호 피복 전용 탈피기가 제공됨에 따라 이러한 보호 피복 탈피기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above wire cable is a work for cutting the wire c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work such as laying work or branching work to break off the protective cloth or cut the protective c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reak the protective cloth, However, 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protective cover exclusive use removing machines have been provided, and thus, these protective clothes removing machines are mainly used.

하지만, 종래의 보호 피복 탈피기는 전선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보호 피복을 탈피하는 구조만 제공되고 있을 뿐 상기 전선 케이블을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보호 피복을 탈피하는 구조 혹은, 상기 전선 케이블의 횡방향 및 종방향 절단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공용의 탈피기는 제공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otective sheathing machine, only the structure for cutting off the protective sheath by cutting the wire c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provided,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sheath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reak the protective sheath, And a common degasifier capable of performing both the longitudinal cutting and the longitudinal cutting are not provided.

따라서, 종래에는 전선 케이블의 포설이나 분기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경우 항상 둘 이상의 보호 피복 탈피를 위한 도구를 준비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한 작업성의 저하가 야기된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worker who performs the laying or branching work of the wire cable always has to prepare a tool for stripping two or more protective sheath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is lower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도구로써 전선 케이블의 보호 피복에 대한 종방향 탈피 및 횡방향 탈피가 모두 가능한 공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칼날이 숨은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common use in which both a longitudinal stripping and a lateral stripping of a protective coating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cable cabl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apable of ensuring safety by making the blades invisible when not in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에 따르면 파지 부위로 사용되면서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부; 전선 케이블의 보호 피복을 횡방향 혹은, 종방향으로 탈피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칼날부; 상기 칼날부를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도록 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칼날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cable breaking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part used as a holding part to form an outer body; A blade portion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using portion to allow the protective coating of the wire cable to escape in a lateral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otating operation body for selectively rotating the blade unit while the blade un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측으로 갈수록 외부로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ousing part is formed into a convex round shape from the both ends toward the center side.

또한, 상기 칼날부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 요입되게 위치되고, 상기 회전 조작체는 상기 칼날부 중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부위와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하우징부의 어느 한 측 벽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면서 좌우 젖힘 조작에 의해 상기 칼날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조작단과, 상기 결합단과 조작단 간을 연결하는 연결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ng operation body includes a coupling end that is engaged with a portion of the blade portion that is positioned within the housing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that penetrates through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housing por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connecting end for connecting the coupling end and the operation en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칼날부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 요입되게 위치되고, 상기 회전 조작체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누름 조작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와 상기 칼날부를 서로 결합되도록 하면서 상기 버튼부의 누름 조작시 상기 칼날부를 회전시키도록 캠 구조로 형성된 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0028] The knob portion may be partially recessed into the housing portion. The rotating operation body may include a button portion that is push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so as to be pressed and operated, and the button portion and the blade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cam portion formed in a cam structure to rotate the blade portion when the button portion is pressed.

또한, 상기 회전 조작체를 이루는 캠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중 상기 버튼부가 이동되는 부위를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하우징과, 상기 버튼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 둘레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상기 칼날부가 결합되는 회전캠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캠이 회전되도록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제공되는 경사안내단과, 상기 각 경사안내단 사이를 이루면서 상기 회전캠의 걸림턱이 안내되는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m portion constituting the rotating operation body may include a support housing formed along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where the button portion is moved,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 portion, a rotatably coupled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button portion, A rotation cam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and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while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is inclined so that the rotation cam is rotated according to the pushing action of the button, And a receiving groove for guiding the engaging jaws of the rotating cams between the inclined guide ends, respectively.

이와 함께, 상기 버튼부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캠의 걸림턱을 비스듬히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캠이 강제 회전되도록 하는 요철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요철부는 경사 구조를 이루면서 점진적으로 돌출 및 요입이 반복되는 산과 골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ncave-convex portion for forcibly rotating the rotation cam by biasing the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rotation cam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as an arbor and a corpus that are gradually projected and recessed repeatedly, .

또한, 상기 회전턱에 형성된 걸림턱의 상면은 색상의 식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턱의 위치 확인을 위한 투시창이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의 현재 방향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rotary jaw is formed so that color can be discriminated, and a window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

또한, 상기 칼날부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하우징부 내에 수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 내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저면에는 상기 칼날부가 상기 하우징부 내로 수용될 경우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개폐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blades ar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ortion, the blade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into the housing portion. When the blades are receiv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an opening / closing cov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is provid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는 단순한 조작(버튼부를 반복적으로 가압하는 조작 혹은, 젖힘단을 반복적으로 젖히는 조작)에 의해 하우징부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칼날부의 방향을 바꾸면서 전선 케이블의 보호 피복에 대한 절단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한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cable cable break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blade portion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by a simple operation (an operation of repeatedly depressing the button portion or a repeated operation of lifting the tip por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he cutting operation on the workpiece, and the convenience of the work can be improv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는 전선 케이블의 보호 피복을 수평 방향으로도 절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의 절단도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도구로써 두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한 작업 도구의 수량 저감 및 비용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ortable cable cabl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ut the protective cover of the wire c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two operations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s one tool , Thereby reducing the quantity of the working tool and reducing the c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는 그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칼날부를 하우징부 내에 수용되면서 외부 노출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지며, 편리한 휴대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ortable cable cable bre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lade cable is not used, the blade portion is hous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t has the effect of being portab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 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 요소들이 전개된 상태를 분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의 동작 설명을 위한 전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cable harness rem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is disassembled to explain an internal structure of a portable cable harness rem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portable cable harness rem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11 are exploded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cable harness remov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ppearance of a portable cable harness rem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portable cable cabl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portable cable cable break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는 휴대용으로 제공되면서 전선 케이블(10)의 보호 피복(11)을 절단하여 벗겨낼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portable cable cabl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cutting off the protective cover 11 of the electric cable 10 and removing it.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이하, “케이블 탈피기”라 함)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고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는 크게 하우징부(100)와, 칼날부(200) 및 회전 조작체(300,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bre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100, a blade part 200, and rotating operation bodies 300 and 400.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each configuration.

먼저, 상기 하우징부(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 부위로 사용되면서 케이블 탈피기의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이다.First, the housing part 100 is used as a holding part that the user can grasp, and forms the outer body of the cable removing machine.

상기한 하우징부(100)는 파지의 용이함 및 전선 케이블의 외관 형상을 고려하여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측으로 갈수록 외부로 볼록한 라운드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술될 칼날부(200)의 수용이나 연관 부품들(예컨대, 회전 조작체 및 코일 스프링 등)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housing part 100 is formed as a convex round-shaped block outwardly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gripping and the outer shape of the wire cable. Inside the housing part 100, Is formed to have a space for installation of parts (e.g., a rotating operation body and a coil spring, etc.).

물론, 상기 하우징부(100)는 필요에 따라 원형 혹은, 다각형 블록 등 다양한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housing part 100 may be formed as a block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nd the like as necessary.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부(100)의 저면에는 후술될 칼날부(200)의 입출 및 회전 동작시의 간섭 방지를 위한 개구공(110)이 형성된다.At the bottom of the housing part 100, an opening hole 110 is formed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blade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상기 칼날부(200)는 전선 케이블(10)의 보호 피복(11)을 절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통상의 박판형 칼날로 형성된다.Next, the blade unit 200 is configured to cut the protective sheath 11 of the wire cable 10, and is formed of a normal thin plate-like blade.

상기한 칼날부(200)는 상기 하우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로 인해 하우징부(100)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전선 케이블의 보호 피복을 횡방향 및 종방향 등 모든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The blade portion 20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ortion 100 so that the protective covering of the wire cable is cut in all directions such as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100 .

이때, 상기한 칼날부(200)는 마름모 형상임을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지만, 원형이나 다각형, 반원형, 타원형, 원호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lthough the above-described blade unit 200 has a rhombic shape,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 semi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nd a circular arc shape.

다음으로, 상기 회전 조작체(300,400)는 상기 칼날부(200)가 상기 하우징부(100)에 설치되도록 하면서도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Next, the rotating operation bodies 300 and 400 are configured to rotate selectively while allowing the blade unit 200 to be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100.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전 조작체(300,400)는 버튼부(300)와, 캠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rotating operation bodies 300 and 400 include a button unit 300 and a cam unit 400.

여기서, 상기 버튼부(300)는 사용자에 의한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는 부위로써,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면을 관통하여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탄력 설치된다.Here, the button unit 300 is a portion to be pushed by the user, one end of which is pierc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unit 100 As shown in FIG.

상기한 버튼부(300)는 코일 스프링(500)에 의해 탄력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5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버튼부(300)와 상기 하우징부(100) 내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거나 혹은,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될 회전캠(420)과 하우징부(100)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버튼부(300)를 탄력 이동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The button portion 300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moved by a coil spring 500. The coil spring 500 is installed between the button portion 3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00 O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otation cam 420 and the housing part 100, as shown in the embodimen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move the button part 300 elastically.

그리고, 상기 캠부(400)는 상기 버튼부(300)와 상기 칼날부(200)를 서로 결합되도록 하면서 상기 버튼부(300)의 누름 조작시 상기 칼날부(200)를 회전시키도록 캠 구조로 형성된 부위로써, 지지하우징(410)과, 회전캠(420)과, 복수의 경사안내단(430,440)과, 복수의 수용홈(450,4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am portion 400 is formed in a cam structure so as to rotate the blade portion 200 when the button portion 300 is pressed while the button portion 300 and the blade portion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support housing 410, a rotation cam 420, a plurality of inclined guide ends 430 and 440,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450 and 460.

상기 지지하우징(410)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 중 상기 버튼부(300)가 이동되는 부위를 따라 형성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 상기 버튼부(300)가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면서 이동이 안내되도록 관체로 형성된다.The support housing 410 is formed along a portion where the button unit 300 is mov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unit 100 and the button unit 300 is positioned so that the button unit 300 can be elevated and guided And is formed as a tubular body.

또한, 상기 회전캠(420)은 상기 버튼부(3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칼날부(20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캠(420)의 상측 둘레면에는 걸림턱(42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421)의 상면은 후술될 경사안내단(430,440)의 각 경사면(431,432,441,442)과 동일한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cam 4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utton unit 300, and the blade unit 20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thereof. At this time, a locking protrusion 421 protrudes from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cam 4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421 is inclined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inclined surfaces 431, 432, 441, 442 of the inclined guide ends 430, .

그리고 상기 경사안내단(430,440)은 상기 지지하우징(4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버튼부(300)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캠(420)이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부위로써, 상기 지지하우징(410) 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제공된다.The inclined guide ends 430 and 440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410 and guide the rotation cam 420 to rotate in response to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300, 4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때, 상기 각 경사안내단(430,440)의 저면은 서로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갖는 제1경사면(431,441) 및 제2경사면(432,442)을 각각 가지며, 상기 제1경사면(431,441)과 제2경사면(432,442) 사이는 단턱지게 형성된다.The bottom surfaces of the inclined guide ends 430 and 440 have first inclined surfaces 431 and 441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432 and 442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s 431 and 44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s 432 and 442, Are formed in a stepwise manner.

상기한 경사안내단(430,440)은 제1경사안내단(430)과 제2경사안내단(440) 등 두 개로 제공됨을 실시예로 제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한 경사안내단(430,440)의 수는 셋 이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It is noted that the inclined guide ends 430 and 440 may be provided as two inclined guide ends 430 and 440. However, if necessary, the number of the inclined guide ends 430 and 440 May be provided in three or more.

이와 함께, 상기 버튼부(30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캠(420)의 걸림턱(421)을 비스듬히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캠(420)이 강제 회전되도록 하는 요철부(3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310)는 경사 구조를 이루면서 점진적으로 돌출 및 요입이 반복되는 산과 골로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310)의 각 산은 경사안내단(430,440)의 제1경사면(431,441)과 제2경사면(432,442) 사이에 위치되면서 버튼부(300)의 누름 조작시 상기 걸림턱(421)의 상면을 비스듬히 가압하도록 설치된다.At the bottom of the button portion 300 is formed concave and convex portions 310 for forcibly rotating the rotation cam 420 by pressing the engagement protrusions 421 of the rotation cams 420 at an angle. In this case,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310 are formed by the mountains and the valleys which are gradually protruded and recessed repeatedly forming a tilted structure. The respective mountains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310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s 431 and 441 of the inclined guide ends 430 and 440, 2 slanted surfaces 432 and 442 so as to bias the upper surface of the latching jaw 421 at an angle when the button portion 300 is pressed.

또한, 상기 수용홈(450,460)은 상기 제1경사안내단(430)과 제2경사안내단(440)의 사이에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캠(420)의 회전 중 상기 회전캠(420)에 형성된 걸림턱(421)이 수용되는 부위이다.The receiving grooves 450 and 46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guide end 430 and the second inclined guide end 440 so that the receiving cams 450 and 460 are caught in the rotation cam 420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on cam 420 The jaw 421 is received.

이때, 상기한 수용홈(450,460)은 상기 제1경사안내단(430)의 좌측편과 제2경사안내단(440)의 우측편 사이에 형성되는 제1수용홈(450)과, 상기 제2경사안내단(440)의 좌측편과 제1경사안내단(430)의 우측편 사이에 형성되는 제2수용홈(460)으로 이루어짐을 실시예로 제시한다.The receiving grooves 450 and 460 may include a first receiving groove 450 formed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first inclined guide end 430 and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inclined guide end 440,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460 formed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inclined guide end 440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inclined guide end 430. [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수용홈(450)의 좌측편과 상기 제2경사안내단(440)의 우측편 사이에 형성되는 제1보조수용홈(470)과, 상기 제2수용홈(460)의 좌측편과 상기 제1경사안내단(430)의 우측편 사이에 형성되는 제2보조수용홈(48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각 보조수용홈(470,480)은 상기 제1수용홈(450)으로부터 이탈된 걸림턱(421)이 재차적으로 수용되면서 상기 회전캠(420)의 각도를 90°만큼 변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uxiliary receiving groove 470 formed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450 and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tilted guide end 440, And a second auxiliary receiving groove 480 formed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460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inclined guide end 430. At this time, each of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s 470 and 480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rotation cam 420 is changed by 90 ° while the engaging protrusion 421 separated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450 is accommodated again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캠(420)에 형성된 걸림턱(421)의 상면은 색상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칼라 프린팅이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제시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턱(421)의 위치 확인을 위한 투시창(120)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제시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421 formed on the rotation cam 420 is color-printed so that the color can be identified.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0 A viewing window 120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latching jaw 421 is formed.

즉, 상기한 투시창(120)과 걸림턱(421) 상면의 색상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의 칼날부(200)에 대한 방향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blade unit 200 through the color of the viewing window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421.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칼날부(200)가 그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하우징부(100) 내에 수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00) 내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ade unit 200 is not used, the blade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100 so that the blade unit 200 can be housed in the housing unit 100 do.

이는, 전술된 회전 조작체의 캠부(400)를 이루는 제1수용홈(450) 및 제2수용홈(460)에 대한 높이 조절을 통해 버튼부(300)의 반복 누름 조작시 상기 칼날부(200)의 하단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저부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혹은, 하우징부(100)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This is because the height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450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60 constituting the cam portion 400 of the rotating operation body described above is adjusted by the height of the blade portion 200 May be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part 100 or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100.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부(10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공(110)에는 상기 칼날부(200)가 상기 하우징부(100) 내로 수용될 경우 그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커버(13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When the blades 200 are received in the housing part 100, the blades 200 ar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s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opening 110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0 An opening / closing cover 130 is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또한, 상기 회전 조작체를 이루는 버튼부(300)의 둘레면에는 안내돌기(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캠부(400)를 이루는 지지하우징(410)의 내벽면에는 상기 안내돌기(32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411)이 요입 형성된다.A guide protrusion 320 protrudes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unit 300. The guide protrusion 320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410 constituting the cam unit 400, A guide groove 411 for guiding the lifting movement is formed.

상기한 안내돌기(320) 및 안내홈(411)은 상기 버튼부(300)의 승강 이동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할 뿐 아니라 상기 버튼부(300)의 승강 이동시 그 회전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guide protrusion 320 and the guide groove 411 support the button unit 300 so that the button unit 300 can move up and down accurately and prevent the button unit 300 from being rotated when the button unit 300 is moved up and down .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에 대한 사용 과정 및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use process and operation state of the cable bre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FIG.

먼저, 케이블 탈피기를 사용하지 않는 최초의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11과 같이 칼날부(200)가 하우징부(100) 내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개폐커버(130)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부(10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공(110)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11, the blade unit 200 is retained in the housing unit 100. 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cover 13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100 (not shown in the drawing) 100 are held in a closed state.

이와 함께, 버튼부(300)와 캠부(400)의 회전캠(420)은 상향 이동된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캠(420)에 형성된 걸림턱(421)은 제2보조수용홈(480) 내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다.In addition, the button portion 300 and the rotation cam 420 of the cam portion 400 are maintained in an upwardly moved state,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421 formed on the rotation cam 420 is engaged with the second auxiliary receiving groove 480, As shown in Fig.

상기한 최초의 상태에서 작업자(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케이블(10)의 보호 피복(11)에 대한 탈피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커버(130)를 조작하여 상기 개구공(110)을 개방한 후 버튼부(300)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칼날부(200)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개구공(1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If the user desires to remove the cable 10 from the protective cover 11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perator (user) in the initial state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may operate the opening / closing cover 130 to open the opening 110 The button portion 300 is pressed to expose the blade portion 200 through the opening 110 of the housing portion 100 and to the outside.

즉, 상기 버튼부(300)의 가압(누름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버튼부(300)의 하향 이동에 의해 캠부(400)의 회전캠(420) 역시 하향 이동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버튼부(300)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부(310)는 상기 회전캠(420)에 형성된 걸림턱(421)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턱(421)이 제2보조수용홈(480)을 벗어나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안내단(430)을 이루는 제1경사면(431)과 제2경사면(432) 사이에 위치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button unit 300 is pressed (pressed), the rotation cam 420 of the cam unit 400 is also moved downward by downward movement of the button unit 300, The protrusions 3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on cam 420 rotate the engaging protrusions 421 formed on the rotation cam 4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421 move out of the second auxiliary receiving recess 480,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3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2 constituting the first inclined guide end 430 as shown in FIG.

이는, 상기 요철부(310)가 이루는 경사와 상기 걸림턱(421)의 상면이 이루는 경사로 인해 실질적으로 상기 요철부(310)가 상기 걸림턱(421)을 비스듬히 가압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캠(420)은 상기 버튼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This is because the recessed portion 310 substantially biases the engagement protrusion 421 and the rotation cam 420 is rotated by the inclination formed by the recessed portion 3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42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utton unit 300. FIG.

따라서, 칼날부(200)의 칼날 방향은 하우징부(100)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는 전선 케이블(10)의 표면(보호 피복의 표면)에 상기 칼날부(200)를 밀착시킨 상태로 하우징부(100)를 상기 전선 케이블(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해당 부위에 대한 보호 피복(11)의 횡방향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blade direction of the blade portion 200 is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housing portion 100, so that the operator can place the blade portion 200 on the surface of the wire cable 10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The housing part 100 is rot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lectric cable 10 so that the protective sheath 11 can be cut in the lateral direction.

만일,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파지 방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전선 케이블(10)을 횡방향이 아닌 종방향으로 절단하기를 원할 경우에는 버튼부(300)의 재차적인 가압만 반복 수행하면 된다.If the operator wishes to cut the wire cabl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ather tha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ile keeping the holding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00 the same, only the pressing of the button part 300 is repeated .

즉, 상기한 상태에서 첨부된 도 5와 같이 버튼부(300)를 가압하게 될 경우 상기 버튼부(300)의 하향 이동에 의해 회전캠(420) 역시 하향 이동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버튼부(300)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부(310)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기 회전캠(420)에 형성된 걸림턱(421)이 제1경사안내단(430)을 이루는 제1경사면(431)과 제2경사면(432) 사이로부터 벗어남과 더불어 상기 제2경사면(432)의 안내를 받아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첨부된 도 7과 같이 제1수용홈(450) 내로 수용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버튼부(300)와 회전캠(420) 및 칼날부(200)는 코일 스프링(500)의 복원력에 의해 상향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칼날부(200)는 하우징부(100) 내로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감춰진 상태를 이룸과 더불어 그의 칼날 방향은 하우징부(100)의 곡률 반경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5, when the button unit 300 is pressed, the rotation cam 420 is also moved downward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button unit 300. In the course of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button unit 300, The engaging protrusion 421 formed on the rotation cam 420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431 constituting the first inclined guide end 430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431 constituting the first inclined guide end 430,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2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45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button portion 300, the rotation cam 420 and the blade portion 200 are moved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500, so that the blade portion 200 is received in the housing portion 100 And the direction of the blade is di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housing part 100. [

이와 함께, 상기한 상태에서 재차적인 버튼부(300)의 가압이 이루어지면 다시금 상기 버튼부(300)가 하향 이동되면서 캠부(400)의 회전캠(420)을 하향 이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버튼부(300)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부(310)가 상기 회전캠(420)에 형성된 걸림턱(421)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턱(421)은 상기 제1수용홈(450)으로부터 벗어나 제1보조수용홈(470) 내로 수용되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칼날부(200)의 칼날 방향은 하우징부(100)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되며,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When the button unit 300 is pressed again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button unit 300 is moved downward again to move the rotation cam 420 of the cam unit 400 downward, The protruding portion 3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ion 300 rotates the retaining protrusion 421 formed on the rotation cam 4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retaining protrusion 421 is released from the first receiving recess 450 The blades of the blades 200 are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housing part 100, as shown in FIG. 8 attached hereto.

이후, 재차적인 버튼부(300)의 가압이 이루어지면 다시금 상기 버튼부(300)가 하향 이동되면서 캠부(400)의 회전캠(420)을 하향 이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버튼부(300)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부(310)가 상기 회전캠(420)에 형성된 걸림턱(421)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턱(421)은 상기 제1보조수용홈(470)으로부터 벗어나 제2경사안내단(440)을 이루는 제1경사면(441)과 제2경사면(442) 사이에 위치되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칼날부(200)의 칼날 방향은 하우징부(100)의 곡률 반경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게 되며, 이는 첨부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다.When the button unit 300 is pressed again, the button unit 300 is moved downward to move the rotation cam 420 of the cam unit 400 downward. As a result, The recessed portion 3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rotates the engagement step 421 formed on the rotation cam 4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engagement step 421 is released from the first auxiliary reception groove 470, The blade unit 200 is operat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4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42 forming the step 440 and the blade direction of the blade unit 200 is di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housing unit 100 , Which is shown in Fig. 9 attached hereto.

따라서, 칼날부(200)의 칼날 방향은 하우징부(100)의 곡률 반경과 수직한 방향을 향함으로써 작업자는 전선 케이블(10)의 표면에 상기 칼날부(200)를 밀착시킨 상태로 하우징부(100)를 상기 전선 케이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부위에 대한 보호 피복(11)의 종방향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blade direction of the blade unit 200 is di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housing unit 100, so that the operator can press the blade unit 200 on the surface of the wire cable 10, 1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cable 10, the longitudinal cutting of the protective sheath 11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can be made.

물론, 전술된 상태에서 버튼부(300)를 한번 더 누르게 되면 버튼부(300)가 하향 이동되면서 캠부(400)의 회전캠(420)을 하향 이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버튼부(300)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부(310)가 상기 회전캠(420)에 형성된 걸림턱(421)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첨부된 도 10과 같이 상기 걸림턱(421)이 상기 제2경사안내단(440)을 이루는 제1경사면(441)과 제2경사면(442) 사이로부터 벗어나 제2수용홈(460) 내에 위치된다.Of course, if the button unit 300 is pressed again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button unit 300 is moved downward to move the rotation cam 420 of the cam unit 400 downward, The protruding portion 3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rotates the engaging protrusion 421 formed on the rotation cam 4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421 is engaged with the second inclined guide end 440, And is loca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60 away from the gap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4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42 constitut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42.

이와 함께, 추가로 재차적인 버튼부(300)의 가압에 의해 첨부된 도 11과 같이 회전캠(420)의 걸림턱(421)은 제2보조수용홈(480) 내에 위치되는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며, 이후 개폐커버(130)의 조작을 통해 개구공(110)을 폐쇄함으로써 케이블 탈피기는 보관 상태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by the pressing of the button portion 300 again, the engaging step 421 of the rotation cam 42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in the second auxiliary receiving groove 480 as shown in FIG. And then the opening hole 110 is clos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cover 130, so that the cable removing machine is in a storage state.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버튼부(300)의 반복적인 가압 동작에 의한 회전캠(420)의 회전이 90°씩 회전되는 도중 작업자는 하우징부(100)의 상면에 형성된 투시창(120)을 통해 회전캠(420)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한 칼날의 방향 역시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cam 420 by the repetitiv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300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rotates through the viewing window 1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0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m 420 and to accurately recognize the direction of the blade.

한편, 전술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버튼부(300)에 형성된 안내돌기(320)는 상기 지지하우징(410) 내벽면에 형성된 안내홈(411)에 수용된 상태로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버튼부(300)의 승강 이동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버튼부(300)의 승강 이동시 그 회전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전개도로 나타낸 도면상에는 상기 안내돌기(320)가 상기 버튼부(300)의 둘레면과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이는 해당 도면이 전개도임에 따라 발생되는 착시일 뿐 실질적으로 상기 안내돌기(320)는 버튼부(300)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상태이다.Meanwhile, the guide protrusion 320 formed on the button part 300 is moved up and dow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411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410 while the above- So that the button unit 300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when the button unit 300 is moved up and down. Although the guide protrusion 320 is illustrated as being separate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unit 300 in the drawing, the guide protrusion 320 is an optical illus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veloped view, The guide protrusion 320 protrudes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unit 300.

한편,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의 회전 조작체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12 to 13 show a structure of a rotating operation body of a cable break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작체는 전술된 일 실시예의 회전 조작체와 같은 버튼 조작식 구조가 아니라 젖힘 조작식 구조로 형성함을 그 예로 하고 있다.That is, the rotating operation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tilting operation type structure, not a button operation type structure like the rotating operation bod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때, 상기한 젖힘 조작식 구조의 회전 조작체는 칼날부(200) 중 하우징부(100) 내에 위치된 부위와 결합되는 결합단(610)과, 상기 하우징부(100)의 어느 한 측 벽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단(620)과, 상기 결합단(610)과 조작단(620) 간을 연결하는 연결단(630)으로 이루어진 레버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단(620)의 좌우 젖힘 조작에 의해 상기 칼날부(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rotating operation body of the above-mentioned tilting operation type has a coupling end 610 to be coupled with a part of the blade part 200 located in the housing part 100, and a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0 And a connecting end 630 connecting between the coupling end 610 and the operation end 620. The lever 620 includes a left end portion 610 and a right end portion So that the blade unit 200 can be rotated by operation.

물론, 상기한 젖힘 조작식 구조의 회전 조작체에도 칼날부(200)의 방향을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120) 및 칼라 프린팅 구조를 추가로 적용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된 버튼 조작식 구조 중 버튼부(300)에 의해 칼날부(200)가 하우징부(100) 내외로 입출되는 구조를 상기 젖힘 조작식 구조와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viewing window 120 and the color printing structure that allow the operator to easily recognize the direction of the blade unit 200 may be further applied to the rotating operation body of the above-described tilting operation structu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blade portion 200 is caused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100 by the button portion 300 in the button-operated structure may be configured by mixing with the above-mentioned tilting manipulation structure.

뿐만 아니라, 실시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 조작체는 하우징부(100)의 상면에 수동 조작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노브(knob)(도시는 생략됨)로 구성하고, 상기 칼날부(200)는 상기 회전 노브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 노브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칼날부(200)의 회전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otating operation body is constituted by a rotary knob (not show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0 so as to be rotatable by manual operation, 20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otation knob so tha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lade unit 200 can be freely adjusted by rotating the rotation knob.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는 단순한 조작(버튼부를 반복적으로 가압하는 조작 혹은, 젖힘단을 반복적으로 젖히는 조작)에 의해 하우징부(100)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칼날부(200)의 방향을 바꾸면서 전선 케이블(10)의 보호 피복(11)에 대한 절단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한 작업의 편리함이 향상될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ble bre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blade unit 200 is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unit 100 by a simple operation (an operation of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unit or a repeated operation of rotating the blade unit)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protective cable 11 of the wire cable 10 and the convenience of the work can be improv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는 전선 케이블(10)의 보호 피복(11)을 수평 방향으로도 절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의 절단도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도구로써 두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한 작업 도구의 수량 저감 및 비용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cable bre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uts the protective cloth 11 of the wire cable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also cu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work tools and reduce the cost thereof.

100. 하우징부 110. 개구공
120. 투시창 130. 개폐커버
200. 칼날부 300. 버튼부
310. 요철부 320. 안내돌기
400. 캠부 410. 지지하우징
411. 안내홈 420. 회전캠
421. 걸림턱 430. 제1경사안내단
440. 제2경사안내단 431,441. 제1경사면
432,442. 제2경사면 450. 제1수용홈
460. 제2수용홈 470. 제1보조수용홈
480. 제2보조수용홈 500. 코일 스프링
610. 결합단 620. 조작단
630. 연결단
100. Housing part 110. Opening hole
120. Viewing window 130. Opening / closing cover
200. Blade part 300. Button part
310. Unevenness 320. Guide protrusion
400. Cam part 410. Support housing
411. Guide groove 420. Rotation cam
421. Stop jaw 430. First inclination guide stage
440. Second inclination guide 431,441. The first inclined surface
432,442.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50. The first receiving groove
460. Second receiving groove 470. First auxiliary receiving groove
480. Second auxiliary receiving groove 500. Coil spring
610. Coupling end 620. Operation end
630. Connection terminal

Claims (8)

파지 부위로 사용되면서 외관 몸체를 형성하고, 저면에 개구공이 형성된 하우징부;
전선 케이블의 보호 피복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탈피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공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칼날부; 그리고
상기 칼날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지지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칼날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
A housing part which is used as a gripping part to form an outer body and has an opening at its bottom;
A blade portion rotatable in an opening of the housing portion so as to allow the protective coating of the wire cable to be released in a lateral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 rotating operation body for selectively rotating the blade portion while supporting the blade portion inside the hous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측으로 갈수록 외부로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par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are formed into a convex round shape from the both ends toward the cent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체는, 상기 칼날부 중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부위와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하우징부의 어느 한 측 벽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면서 좌우 젖힘 조작에 의해 상기 칼날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조작단과, 상기 결합단과 조작단 간을 연결하는 연결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operation body includes a coupling end that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lade portion that is positioned within the housing portion, a manipulation step that rotates the blade portion by being pivoted by a right and left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side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connecting end connecting the connecting end and the operating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체는,
상기 개구공과 연결되도록 하우징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누름 조작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는 버튼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버튼부가 이동되는 부분을 따라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하우징과,
상기 버튼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 둘레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성형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상기 칼날부가 결합되는 회전캠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내주면에 돌출 성형되고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회전캠이 회전되도록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지지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제공되는 경사안내단, 그리고
상기 경사안내단 사이를 이루면서 상기 회전캠의 컬릭턱이 안내되는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캠의 걸림턱을 비스듬히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캠이 강제 회전되도록 하는 요철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요철부는 경사 구조를 이루면서 점진적으로 돌출 및 요입이 반복되는 산과 골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의 경사진 상면과 접촉하여 회전캠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operation body includes:
A button portion that is resiliently mounted to be push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pening,
A support housing which is formed as a tubular body along the portion where the button is moved in the housing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button,
A rotation cam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utton portion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An inclined guide end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and inclined at a bottom surface for rotating the rotation cam in accordance with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button portion and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housing,
And a receiving groove for guiding a curl tuck of the rotating cam between the inclined guide ends,
Wherein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to bias the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rotation cam obliquely to thereby force the rotation cam to rotate forcibly, and the recessed portion is formed of an obstacle and an oblique projection, And the rotating cam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c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에 형성된 걸림턱의 상면은 색상의 식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턱의 위치 확인을 위한 투시창이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의 현재 방향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formed on the rotation cam is formed so as to enable discrimination of hue,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is formed with a sight window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jaw so that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blade part can be identified.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저면에는 상기 개구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n opening / closing cover for opening / closing the opening hole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art.
KR1020120038462A 2012-04-13 2012-04-13 cable stripper KR1014770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462A KR101477082B1 (en) 2012-04-13 2012-04-13 cable stri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462A KR101477082B1 (en) 2012-04-13 2012-04-13 cable strip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803A KR20130115803A (en) 2013-10-22
KR101477082B1 true KR101477082B1 (en) 2014-12-29

Family

ID=4963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462A KR101477082B1 (en) 2012-04-13 2012-04-13 cable strip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0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873A (en) 2016-09-09 2018-03-19 이숙자 Cable peeler of detachable type and fabrication method and peeling method by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9910B (en) * 2016-08-31 2018-01-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A kind of preheating type cable peeling knif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327A (en) * 2001-06-12 2002-12-20 Mitsubishi Cable Ind Ltd Cable coating stripper
JP2003190678A (en) * 2001-12-19 2003-07-08 Pressmaster Ab Cable stripping tool
JP2006000210A (en) * 2004-06-15 2006-01-05 Sekisui Chem Co Ltd Cutting tool for pipe coating mater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327A (en) * 2001-06-12 2002-12-20 Mitsubishi Cable Ind Ltd Cable coating stripper
JP2003190678A (en) * 2001-12-19 2003-07-08 Pressmaster Ab Cable stripping tool
JP2006000210A (en) * 2004-06-15 2006-01-05 Sekisui Chem Co Ltd Cutting tool for pipe coating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873A (en) 2016-09-09 2018-03-19 이숙자 Cable peeler of detachable type and fabrication method and peeling method by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803A (en)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8223C2 (en) Led pressing tool
EP0871270B1 (en) Hand tool
TWI610775B (en) Electrician's tool having a foldable blade for stripping an electrical conductor
US7003883B2 (en) Cable-stripping tool
KR101477082B1 (en) cable stripper
EP2629125A1 (en) Optical fiber cutter, and optical fiber cutter unit
JPS6127968B2 (en)
JP2007227371A (en) Link for crimping tool
US6138362A (en) Cable stripper
TWI499149B (en) Tool for stripping electric cables
US7089619B2 (en) Multipurpose tool
KR101264040B1 (en) Connector for electrical wire
EP3070728A1 (en) Electric tool
US5182859A (en) Cable stripper
CN107959264B (en) Stripping tool and method for stripping
JP2001359215A (en) Stripping tool for cable sheath
JP2006223029A (en) Insulated cable sheath cutter
JP5865290B2 (en) Optical fiber holder
JP2015074553A (en) Tape cutter
KR101112427B1 (en) Apparatus for tying shield wire in cable
JP2018029445A (en) Cable coat peeling tool
CN205466377U (en) Vegetable cutter
KR101634213B1 (en) Electric Driving Tool with Dual Switch Knob
JP5592527B1 (en) Remote gripping tool tip
KR102640860B1 (en) Devices for twisting electric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