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426B1 -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426B1
KR101476426B1 KR1020130036294A KR20130036294A KR101476426B1 KR 101476426 B1 KR101476426 B1 KR 101476426B1 KR 1020130036294 A KR1020130036294 A KR 1020130036294A KR 20130036294 A KR20130036294 A KR 20130036294A KR 101476426 B1 KR101476426 B1 KR 10147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ensor housing
post
terminal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497A (ko
Inventor
김춘식
김성준
권세문
Original Assignee
김춘식
김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식, 김성준 filed Critical 김춘식
Priority to KR102013003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42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은, 일측이 개구되어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결속되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및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되는 판재 형상의 결합부가 마련되는 포스트 터미널과, 상기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부가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배터리센서가 마련되는 센서 하우징과, 상기 결합부의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는 케이블 연결단자, 및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에 연결되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차량의 전기장치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에는 상기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압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 하우징과 결합 시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며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압입공에 강제압입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스트 터미널과 센서 하우징이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강제압입 방식에 의해 끼움 결합됨으로써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부품 손상시 교체가 용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BATTERY CABL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결속되는 포스트 터미널과 배터리센서를 내장한 센서 하우징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배터리는 엔진룸에 장착되어 발전기로부터 충전되며, 엔진시동시 필요한 초기 전원이나 차량 내에 설치된 각종 전기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의 상측에는 플러스(+)단자 및 마이너스(-)단자용 배터리 포스트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배터리 포스트에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배터리 케이블이 각각 연결된다.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은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각각 결속되는 포스트 터미널과, 포스트 터미널과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며 배터리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배터리센서가 내장되는 센서 하우징과, 배터리센서와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단자와, 케이블 연결단자에 연결되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차량의 전기장치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배터리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는 포스트 터미널, 케이블 연결단자 및 케이블을 통해 차량의 전기장치에 전달되며, 이와 동시에 센서 하우징에 내장된 배터리센서에 의해 전류량이 측정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케이블은 포스트 터미널과 센서 하우징이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화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포스트 터미널과 센서 하우징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포스트 터미널 또는 센서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손상 시 이들을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포스트 터미널과 센서 하우징의 동시 교체는 작업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교체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7933호(공개일자: 2011년 12월 26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결속되는 포스트 터미널과 배터리센서를 내장한 센서 하우징이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강제압입 방식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부품 손상 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센서 하우징과 직접 결합되는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부의 강성을 보강하여 강제압입 시 변형을 방지하고 전체 면적을 확장하여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의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일측이 개구되어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결속되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및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되는 판재 형상의 결합부가 마련되는 포스트 터미널; 상기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부가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배터리센서가 마련되는 센서 하우징; 상기 결합부의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는 케이블 연결단자; 및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에 연결되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차량의 전기장치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에는 상기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압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 하우징과 결합 시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며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압입공에 강제압입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 하우징에 강제압입 방식으로 끼움 결합 시 변형을 방지하도록 결합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부와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는,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터미널과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를 상기 센서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센서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를 상호 연결하는‘ㄴ’자 형상의 고정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셔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 걸림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를 결속하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의 표면에 밀착된 뒤 상기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스트 터미널과 센서 하우징이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결합부를 매개로 강제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을 제공함으로써,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부품 손상 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을 저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하우징을 후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와셔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을 저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하우징을 후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와셔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터미널(110)과, 포스트 터미널(110)과 결합되며 내부에 배터리(도면에 미도시)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배터리센서(도면에 미도시)가 마련되는 센서 하우징(120)과, 센서 하우징(120)과 결합된 포스트 터미널(110)에 결합되는 케이블 연결단자(130)와, 센서 하우징(120)과 케이블 연결단자(130)를 상호 연결하는 고정와셔(140)와, 그리고 케이블 연결단자(130)에 연결되어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차량의 전기장치에 전달하는 케이블(15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스트 터미널(110)은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직접 결속되어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전류 흐름의 매개체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포스트 터미널(110)은 본 실시예의 배터리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센서 하우징(120), 케이블 연결단자(130), 고정와셔(140) 및 케이블(150)과 상호 연결된 뒤 배터리에 결속된다.
포스트 터미널(110)은 일측이 개구되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와, 그리고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로부터 연장되는 판재 형상의 결합부(116)를 포함한다.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는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직접 결속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일측이 개구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개구부의 양측에는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며 볼트(113)와 너트(114)의 체결에 따라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직경이 축소되게 하는 패널부(112)가 각각 마련된다.
즉, 포스트 터미널(110)이 배터리 포스트에 직접 결속되는 경우, 배터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가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13)와 너트(114)의 체결에 따라 패널부(112)의 간격이 좁혀져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직경이 축소되게 한다. 이에 포스트 터미널(110)은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를 매개로 배터리에 직접 결속될 수 있는 것이다.
결합부(116)는 센서 하우징(12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센서 하우징(120)에 마련된 압입공(122)에 강제압입 방식으로 끼움 결합된다. 즉, 결합부(116)의 강제압입 방식에 의해 포스트 터미널(110)과 센서 하우징(120)은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포스트 터미널(110)과 센서 하우징(120)을 강제압입 방식으로 상호 결합하는 것은 이들의 손상 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종래의 포스트 터미널과 센서 하우징은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상호 분리가 불가능하므로 포스트 터미널 또는 센서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손상 시 이들을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포스트 터미널(110)과 센서 하우징(120)은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결합부(116)를 매개로 강제압입 방식에 의해 끼움 결합됨으로써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부품의 손상 시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포스트 터미널(110)과 센서 하우징(120)은 결합부(116)를 매개로 강제압입 방식에 의해 결합되므로, 포스트 터미널(110) 또는 센서 하우징(120) 어느 하나의 손상 시 부품의 교체를 위해 상호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결합부(116)는 센서 하우징(120)의 압입공(122)에 강제압입 방식으로 끼움 결합 시 변형을 방지하도록 결합방향의 양측에 보강 플랜지(118)가 마련된다. 즉, 보강 플랜지(118)는 결합부(116)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 플랜지(118)는 결합부(116)의 자체 강성을 보강하게 됨으로써 센서 하우징(120)의 압입공(122)에 결합부(116)를 강제압입 시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전체 면적의 확장에 따라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의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센서 하우징(120)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포스트 터미널(110)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포스트 터미널(110)의 결합부(116)가 강제압입 방식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압입공(122)을 포함한다.
압입공(122)은 센서 하우징(1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포스트 터미널(110)과 센서 하우징의 결합 시 결합부(116)가 강제압입 방식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는 구성이다. 이때, 압입공(122)은 결합부(116)의 강제압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압입공(122)은 결합부(116)의 면적보다 좁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센서 하우징(120)은 후면에 압입공(122)의 상측으로 삽입홈(124)이 마련되며, 삽입홈(124)에는 후술하는 고정와셔(140)의 걸림부(142)가 삽입되어 걸림된다. 즉, 삽입홈(124)은 고정와셔(140)의 걸림부(142)가 삽입 걸림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센서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배터리센서가 마련된다. 이때, 배터리센서는 포스트 터미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션트레지스터(Shunt Resistor)로 마련된다. 이러한 션트레지스터는 배터리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온도에 따라 저항 변화가 작은 소재로 제작된다.
여기서 션트레지스터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케이블 연결단자(130)는 포스트 터미널(110)과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일단은 센서 하우징(120)을 관통한 결합부(116)의 돌출된 단부에 볼트(131)와 너트(132)를 매개로 결합되며 타단에는 케이블(150)이 연결된다.
여기서 볼트(131)는 케이블 연결단자(130)의 하면 방향에서 결합부(116)를 관통하여 너트(132)와 체결되는데, 볼트(131)의 하부에는 자중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따라 톱니 형상을 갖는 돌기부(131A)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131A)는 케이블 연결단자(130)에 억지끼움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볼트(131)는 자중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케이블 연결단자(130)의 타단에는 케이블(150)의 도체부 및 부도체부의 둘레면을 감싼 상태에서 압착공구에 의해 압착 변형되어 케이블(150)을 연결하는 제1 압착부(133)와 제2 압착부(134)가 각각 마련된다.
즉, 제1 압착부(133)는 케이블(150)의 도체부를 압착하는 구성이며, 제2 압착부(134)는 케이블(150)의 부도체부를 압착하는 구성이다.
이때, 케이블(150)의 도체부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위를 말하며, 부도체부는 절연튜브로 둘러싸여 있는 부위를 말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케이블 연결단자(130)는 결합부(116)와 볼트(131)와 너트(132)를 매개로 결합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케이블 연결단자(130)는 결합부(116)와 리벳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정와셔(140)는 센서 하우징(120)과 케이블 연결단자(130)를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센서 하우징(120)의 삽입홈(124)에 삽입 걸림되는 걸림부(142)와, 그리고 결합부(116)와 케이블 연결단자(130)의 결합부위에 마련된 볼트(131)를 관통하여 케이블 연결단자(13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너트(132)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와셔(140)는 센서 하우징(120)과 케이블 연결단자(130)를 상호 연결하도록 ‘ㄴ’자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걸림부(142)는 ‘ㄴ’자 형상을 갖는 고정와셔(140)의 수직부를 형성하는 구성이며, 센서 하우징(120)의 삽입홈(124)에 삽입되어 걸림된다.
고정부(144)는 ‘ㄴ’자 형상을 갖는 고정와셔(140)의 수평부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부(144)는 결합부(116)와 케이블 연결단자(130)를 결속하는 볼트(131)가 관통하도록 케이블 연결단자(130)의 표면에 밀착된 뒤 너트(132)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와셔(140)는 센서 하우징(120)과 케이블 연결단자(130)를 상호 연결하도록 양단이 걸림부(142)와 고정부(144)를 매개로 각각 센서 하우징(120)과 케이블 연결단자(130)에 고정되는 구조에 따라 포스트 터미널(110), 센서 하우징(120) 및 케이블 연결단자(130)를 일체화되게 결속함으로써, 배터리 케이블(150)에 대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150)은, 포스트 터미널(110)과 센서 하우징(120)이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결합부(116)를 매개로 강제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부품 손상 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 터미널(110)의 결합부(116)에 자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플랜지(118)가 형성됨으로써 센서 하우징(120)에 결합부(116)를 강제압입 시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전체 면적의 확장을 통해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센서 하우징(120)과 케이블 연결단자(130)가 고정와셔(1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에 따라 포스트 터미널(110), 센서 하우징(120) 및 케이블 연결단자(130)이 일체화되게 결속됨으로써 배터리 케이블(150)에 대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포스트 터미널 116: 결합부
118: 보강 플랜지 120: 센서 하우징
122: 압입공 124: 삽입홈
130: 케이블 연결단자 140: 고정와셔
142: 걸림부 144: 고정부
150: 케이블

Claims (5)

  1. 일측이 개구되어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결속되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및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되는 판재 형상의 결합부가 마련되는 포스트 터미널;
    상기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배터리센서가 마련되는 센서 하우징;
    상기 결합부의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는 케이블 연결단자; 및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에 연결되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차량의 전기장치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에는 상기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압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 하우징과 결합 시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며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압입공에 강제압입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압입공에 강제압입 방식으로 끼움 결합 시 변형을 방지하도록 결합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부와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는,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터미널과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를 상기 센서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센서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를 상호 연결하는‘ㄴ’자 형상의 고정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셔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 걸림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를 결속하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의 표면에 밀착된 뒤 상기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KR1020130036294A 2013-04-03 2013-04-03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KR10147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294A KR101476426B1 (ko) 2013-04-03 2013-04-03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294A KR101476426B1 (ko) 2013-04-03 2013-04-03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97A KR20140120497A (ko) 2014-10-14
KR101476426B1 true KR101476426B1 (ko) 2014-12-29

Family

ID=5199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294A KR101476426B1 (ko) 2013-04-03 2013-04-03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4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054A (ja) * 2000-11-01 2002-05-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ターミナル
JP2006085945A (ja) * 2004-09-14 2006-03-30 Denso Corp 電流センサの取付け構造
KR100928563B1 (ko) * 2009-04-08 2009-11-25 태성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전류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054A (ja) * 2000-11-01 2002-05-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ターミナル
JP2006085945A (ja) * 2004-09-14 2006-03-30 Denso Corp 電流センサの取付け構造
KR100928563B1 (ko) * 2009-04-08 2009-11-25 태성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전류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97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135B2 (en) Insert molded connector
US8317544B2 (en) Mounting structure for shielding shell
EP1204165B1 (en) A battery terminal provided with a current sensor
US8944858B2 (en) Electrical power terminal fastened to a wire connection member
CN102157807B (zh) 母线电气中心
KR101517708B1 (ko) 전류 센서 결합형 배터리 단자
US20130196545A1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EP1204166B1 (en) Battery terminal unit with current sensor
CN109792140B (zh) 电连接箱
CN107000562B (zh) 电连接装置
CN108271427B (zh) 密封盖
EP2808949A1 (en) Terminal block and method of connecting an inner conductive member and an outer conductive member
US20120184155A1 (en) Terminal block
EP2999052A1 (en) Electric connector
CN110832712B (zh) 充电用插座
US7736202B1 (en) Contact assembly for attachment to an electronics module
KR20140006274U (ko) 배터리 센서
JP2011159556A (ja) 充電コネクタの端子保持構造
JP2014170725A (ja) 電子部品付きコネクタおよびホルダ
JP4784360B2 (ja) 電気接続構造
US9502793B2 (en) Assembly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US20180331344A1 (en) Energy storage arrangement, contact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nergy storage arrangement
JP5755263B2 (ja) バッテリー状態検知装置
JP5429066B2 (ja) 電池接続アセンブリ
KR101476426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