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716B1 - 베어링 압입기 - Google Patents

베어링 압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716B1
KR101475716B1 KR20140100952A KR20140100952A KR101475716B1 KR 101475716 B1 KR101475716 B1 KR 101475716B1 KR 20140100952 A KR20140100952 A KR 20140100952A KR 20140100952 A KR20140100952 A KR 20140100952A KR 101475716 B1 KR101475716 B1 KR 10147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proximity sensor
seating
support ro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2014010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을 랙 하우징에 압입하는 압입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베어링 압입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 행정을 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베어링 압입기는, 상기 베이스에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위치하여 베어링을 지지하는 안착봉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에는 근접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안착봉에 안착되는 상기 베어링의 안착상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근접센서에 의하여 상기 안착봉에 안착되는 상기 베어링의 상태를 감지하게 되므로, 상기 베어링이 전도된 상태로 상기 랙하우징에 안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베어링 압입기{A BEARING PRESS MACHINE}
본 발명은 베어링 압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 하우징에 장착하는 베어링이 정학한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압입되게 하는 베어링 압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서 차량에는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는데, 그 중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핸들을 돌려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바꾸어 말하면, 조향장치는 차량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조향장치에는 랙 하우징이 장착되는데, 도 1에는 상기 랙 하우징(100)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랙 하우징(100)의 "A'부위에는 니들 롤러 베어링(Needle Roller Bearing 이하 "베어링"이라고 칭함)이 매립되게 장착되게 된다. 도면에서는 "A"와 연통되는 베어링 홈이 미도시 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20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관 형상이고 내부 면에는 복수의 니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200)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는 면취되어서 둥그런 곡선을 유지하고, 하부 내측 가장자리는 직각을 이루게 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은 베어링(200)은 상기 랙 하우징(100)의 "A'부위에 장착될 때, 하부는 "A" 부위의 베어링 홈(미도시)에 매립되게 장착되고, 상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야 자동차의 핸들 축을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05-0096712호(2005.10.06 공개) 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12-0083592호(2012.07.26 공개) 문헌3: 공개특허공보 특1997-0033593호(1997.07.22 공개)
그러나 상기 베어링의 상부와 하부는 육안으로 구별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베어링(200)이 전도된 상태로 상기 랙 하우징(100)의 베어링 홈에 잘못 안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 압입기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 홈에 안착될 때, 상기 베어링이 전도된 상태로 안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베어링 압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 행정을 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베어링 압입기는, 상기 베이스에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위치하여 베어링을 지지하는 안착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에는 근접센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안착봉에 안착되는 상기 베어링의 안착상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착봉의 하부는 상기 지지봉을 향하여 확장하는 곡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베어링이 상기 지지봉의 상부 면에 일착되면 정상으로 인식되고, 상기 안착봉의 하부에 형성되는 곡면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이 상기 지지봉의 상부 면에서 이격되게 안착되면 비정상으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수신된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수신된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에 따라서 외부에 경고신호를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근접센서에 의하여 상기 안착봉에 안착되는 상기 베어링의 상태를 감지하게 되므로, 상기 베어링이 전도된 상태로 상기 랙하우징에 안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랙 하우징의 사시도.
도 2는 베어링의 사시도.
도 3은 베어링의 단면도와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압입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의 확대도.
도 6은 베어링이 안착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랙 하우징에 베어링이 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과 도 9는 근접센서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압입기의 요부도 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의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하여 베어링 압입기(10)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 행정을 하는 승강부재(30)와 상기 승강부재(30)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에는 지지봉(53)과 상기 지지봉(53)의 상부에 위치하여 베어링(200)을 지지하는 안착봉(55)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도 4와 도 5의 요부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봉(55)의 하부는 상기 지지봉(53)을 향하여 확장하는 곡면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봉(55)에 형성되는 곡면의 곡률은 상기 베어링(200)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는 면취되어서 둥그런 곡면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지지봉(53)의 상단부 근처에는 근접센서(60)가 매립되어 있고, 상기 근접센서(60)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근접센서(60)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30)의 하강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200)을 상기 랙하우징(100)의 베어링홈("A" 부분)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봉(55)에 상기 베어링(200)을 먼저 안착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200)이 상기 안착봉(55)에 안착한 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 하우징(100)의 베어링홈(미도시)이 하부를 향하게 하여서 안착하고 상기 승강부재(30)를 하강하게 되면 "A" 부위에 상기 베어링(200)이 매립되게 안착하게 된다.
작업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200)을 상기 안착봉(55)에 안착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200)의 내측 가장자리가 라운딩 된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안착하여야 정상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200)의 라운딩된 부위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안착봉(55)에 안착하게 되면 상기 베어링(200)은 상기 지지봉(53)의 상부 면과 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어링이 상기 지지봉(53)의 상부 면에 밀착되면 상기 근접센서(60)는 이를 감지하여 정상 상태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지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30)가 하강하여 상기 베어링(200)이 상기 랙 하우징(100)의 "A"의 부위에 안착 된다.
만약 상기 베어링(200)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도된 상태로 상기 안착봉(55)에 안착하게 되면, 상기 안착봉(55)의 하부에 형성되는 곡면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200)이 상기 지지봉(53)의 상부 면에서 이격되고, 이와 같이 이격된 틈에 의하여 상기 근접센서(60)는 비정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지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승강부재(3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6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에서는 빛과 같은 경광을 발산하거나 소리로 경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200)이 상기 안착봉(55)에 잘못된 방향으로 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재(30)의 하강이 방지되어서 상기 베어링(200)이 상기 랙 하우징(100)의 베어링홈(미도시)에 안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압입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베어링 압입기 20: 베이스
30: 승강부재 53: 지지봉
55: 안착봉 60: 근접센서
100: 랙 하우징 200: 베어링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 행정을 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입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위치하여 베어링을 지지하는 안착봉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에는 근접센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안착봉에 안착되는 상기 베어링의 안착상태를 인식하며,
    상기 안착봉의 하부는 상기 지지봉을 향하여 확장하는 곡면이 구비되고,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베어링이 상기 지지봉의 상부면에 밀착되면 정상으로 인식되고, 상기 안착봉의 하부에 형성되는 곡면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이 상기 지지봉의 상부면에서 이격되게 안착되면 비정상으로 인식되며,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수신된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며 외부에 경고신호를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기.
KR20140100952A 2014-08-06 2014-08-06 베어링 압입기 KR10147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952A KR101475716B1 (ko) 2014-08-06 2014-08-06 베어링 압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952A KR101475716B1 (ko) 2014-08-06 2014-08-06 베어링 압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716B1 true KR101475716B1 (ko) 2014-12-23

Family

ID=5267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0952A KR101475716B1 (ko) 2014-08-06 2014-08-06 베어링 압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7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600A (zh) * 2019-03-19 2019-05-28 安阳工学院 一种叉车差速器的轴承端部安装装置及使用方法
CN112536583A (zh) * 2020-11-27 2021-03-23 南京颂晨达电子有限公司 一种轴承装配机
CN112536583B (zh) * 2020-11-27 2024-06-04 南京颂晨达电子有限公司 一种轴承装配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742A (ja) * 1992-04-07 1993-11-02 Honda Motor Co Ltd 製品の機種判別装置
JP2004216464A (ja) * 2003-01-09 2004-08-05 Satoshi Sato 部品圧入確認装置
JP2010179620A (ja) * 2009-02-09 2010-08-19 Nec Infrontia Corp インサートナット圧入装置
KR20130022537A (ko) * 2011-08-25 2013-03-07 최미숙 볼밸브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742A (ja) * 1992-04-07 1993-11-02 Honda Motor Co Ltd 製品の機種判別装置
JP2004216464A (ja) * 2003-01-09 2004-08-05 Satoshi Sato 部品圧入確認装置
JP2010179620A (ja) * 2009-02-09 2010-08-19 Nec Infrontia Corp インサートナット圧入装置
KR20130022537A (ko) * 2011-08-25 2013-03-07 최미숙 볼밸브 조립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600A (zh) * 2019-03-19 2019-05-28 安阳工学院 一种叉车差速器的轴承端部安装装置及使用方法
CN112536583A (zh) * 2020-11-27 2021-03-23 南京颂晨达电子有限公司 一种轴承装配机
CN112536583B (zh) * 2020-11-27 2024-06-04 南京颂晨达电子有限公司 一种轴承装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0254B1 (en) Tire changer with rotational position and tracking control
ES2700659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de ascensor
KR101475716B1 (ko) 베어링 압입기
KR20130129307A (ko) 타이어 시험기용 반입 장치
KR100871168B1 (ko) 감지패드를 구비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
JP2016185906A (ja) ガラス板の折割方法及びその折割装置
JP6969855B1 (ja) 車両接近報知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ピッキングトラック
CN108622232B (zh) 用于调整活动的车顶板的位置的系统
EP3480363A3 (en) Milling machine with a system for disabling the milling drum
CN104718105B (zh) 一种头枕元件、头枕及车辆座椅
CN105458671B (zh) 转向泵泵体带轮装配设备
JP5270883B2 (ja) 給紙装置
KR100797930B1 (ko) 안전센서가 구비된 카리프트
JP2018177514A (ja) フォークリフト
KR102295814B1 (ko) 타이어 시험기
JP6601388B2 (ja) ガラス板の折割方法
WO2016079951A1 (ja) ガラス板の折割方法及びその折割装置
JP6600330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のメンテナス時期管理装置及び車両用リフト装置
KR200329596Y1 (ko) 접촉식 센서 모듈
CN107322283B (zh) 一种纺织服装用插pin机的反针检测纠正装置
JP6607704B2 (ja) フットコントローラ
KR20140100276A (ko) 차량의 윈도우 안전 제어 시스템
JP2015093769A (ja) 乗客コンベア
KR102145350B1 (ko) 매트 박음질 장치 및 방법
JP5623669B1 (ja) 生タイヤの検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