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730B1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730B1
KR101474730B1 KR1020080042920A KR20080042920A KR101474730B1 KR 101474730 B1 KR101474730 B1 KR 101474730B1 KR 1020080042920 A KR1020080042920 A KR 1020080042920A KR 20080042920 A KR20080042920 A KR 20080042920A KR 101474730 B1 KR101474730 B1 KR 10147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magnet roller
pole
magnet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022A (ko
Inventor
전인철
유용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2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730B1/ko
Priority to US12/248,112 priority patent/US8086153B2/en
Publication of KR2009011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with means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from the magnetic brush, e.g. magnetic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자극의 각도를 변경하여 현상제의 유출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는, 복수 개의 자극을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지지하고 현상제 담지체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케이스, 및 현상제 담지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자극의 위치를 변경하는 자극 각도 변경장치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42920
자석롤러, 자극배열, 현상제유출, 자극각도변경장치, 자극회전부재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Developing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Method for preventing developer from flowing out the develop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성분 현상제 또는 자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성분 현상제나 자성 현상제는 레이저 프린터 또는 복사기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어 화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이성분 현상제 또는 자성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장치를 구비한다.
이성분 현상제나 자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는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자기 브러시(magnetic brush)를 형성하고, 이 자기 브러시를 이용하여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한 후, 이를 상담지체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 에는 항상 현상제가 부착되어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이성분 현상제나 자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를 판매 등을 위해 운반하는 경우에는 현상장치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현상장치의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가 분리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현상제가 유출되면, 현상장치의 주위를 오염시키고, 현상제가 소모되게 된다.
따라서, 이성분 현상제나 자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는 유통과정 중에 현상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장치에 현상제를 충진하지 않은 상태로 판매한다. 그 후, 설치 기술자가 이성분 현상제나 자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를 구입한 고객을 방문하여 현상장치에 현상제를 충진하고, 현상장치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이성분 현상제나 자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는 운반 및 설치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이런 현상장치에서 현상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자극을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지지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케이스;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자극의 위치를 변경하는 자극 각도 변경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슬리브; 및 상기 회전 슬리브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자극을 포함하는 자석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 각도 변경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자극위치 결정부재; 및 상기 자석롤러 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자석롤러를 상기 자극위치 결정부재의 상기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 중 어느 한 곳에 고정시키는 자극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현상제를 이동시킬 수 있는 현상제 공급위치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현상제를 이동시킬 수 없는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 회전부재는, 상기 자석롤러 축에 설치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고정돌기는 탄성편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극 회전부재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 회전부재는, 상기 자석롤러 축의 일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선단에 설치된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극 각도 변경장치는, 상기 자석롤러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극위치 결정부재는 래칫(ratchet)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자극은 원주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현상극, 반송극, 분리극, 부착극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부착된 현상제의 높이를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극 각도 변경장치로 상기 복수 개의 자극 중 상기 부착극이 상기 현상제 규제부재와 마주하도록 하면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현상제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상기 자극 각도 변경장치로 상기 복수 개의 자극 중 상기 분리극이 상기 현상제 규제부재와 마주하도록 하면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현상제를 이송시킬 수 없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슬리브를 구동하는 회전 슬리브 구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극 각도 변경장치는 상기 회전 슬리브 구동부재가 설치된 케이스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 담지체와 나란하게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담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특징 중의 어느 하나의 특징을 갖는 현상장치; 및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 화상을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 슬리브와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측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자극을 갖는 자석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장치에서 현상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석롤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현상 슬리브에 의해 현상제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자극이 배열되는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에 상기 자석롤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롤러를 동일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현상 슬리브가 현상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자극이 배열되는 현상제 공급위치에 상기 자석롤러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롤러는 현상 슬리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자극은 원주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현상극, 반송극, 분리극, 부착극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극이 상담지체와 마주하면, 상기 현상 슬리브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상기 상담지체로 이송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상극이 상기 상담지체와 마주하면, 상기 현상 슬리브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상기 상담지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에 의하면, 출하 전에 현상장치의 성능시험을 하는 동안에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운반 중에 현상제가 현상장치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에 의하면, 현상장치에 저장된 현상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현상장치의 운반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의 자석롤러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복수 개의 자극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현상장치에서 현상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현상제의 유출을 방지하는 작업이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의 자석롤러를 이용하여 현상제가 현상장치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현상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실링부재 또는 포장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현상장치의 포장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를 선 2-2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에 사용되는 자극 각도 변경장치(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 장치(1)는 케이스(10), 상담지체(30), 현상제 담지체(40), 자극 각도 변경장치(5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담지체(30), 현상제 담지체(40)를 회전지지한다. 이때, 케이스(10)의 양 측벽(10a,10b)이 상담지체(30)와 현상제 담지체(40)를 지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케이스(10)의 양측에 현상제 담지체(40)와 상담지체(30)의 회전을 지지할 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별도의 좌측 및 우측 지지부재(21,22)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양측에 별도의 좌측 및 우측 지지부재(21,22)를 설치하였다.
상담지체(3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담지체(30) 상측으로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상담지체(3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11)가 형성된다. 따라서, 현상장치(1)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면, 상담지체(3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1)를 통해 전사롤러(140)와 마주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상담지체(30)가 케이스(10)에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상담지체(30)는 케이스(10)와 분리된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현상제 담지체(4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현상제 저장부(7)의 현상제를 상담지체(30)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현상제 담지체(40)는 현상 슬리브(41)와 자석롤러(42)를 포함한다. 현상 슬리브(41)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 성되며, 케이스(10)의 양측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 지지부재(21,2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현상 슬리브(41)는 일측에 마련된 현상 슬리브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동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한다. 현상 슬리브 구동부재는 기어구조 또는 커플링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현상 슬리브(41)의 일단에는 현상 슬리부 구동부재와 현상 슬리부(41)를 연결하는 연결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연결부는 디컷(D-cut) 연결구조, 핀(pin) 연결구조, 또는 키(key) 연결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자석롤러(42)는 현상 슬리브(41)의 내측에 현상 슬리브(41)와 동축 상으로 현상 슬리브(41)와 별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자석롤러(42)는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원주 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자석롤러(42)는 영구자석으로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석롤러(42)는 자석롤러 축(44)을 중심으로 5개의 영구자석(S1,N1,S2,N2,N3)이 원주 상으로 배치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자석롤러(42)가 5개의 자극(S1,N1,S2,N2,N3)을 포함하고 있다. 5개의 영구자석(S1,N1,S2,N2,N3)은 각각 3개의 N극(N1,N2,N3)과 2개의 S극(S1,S2)으로 형성되며, 자석롤러(42)의 외측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현상 슬리브(41)가 현상제를 상담지체(30)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현상 슬리브(41)의 외주면에 자기 브러시(magnetic brush)를 형성한다. 즉, 5개의 자석(S1,N1,S2,N2,N3)은 현상극(S1), 반송극(N1,S2), 분리극(N2), 부착극(N3)을 이룬다.
현상극(S1)은 상담지체(30)와 마주하며, 현상 슬리브(41)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가 상담지체(30)로 이동되도록 한다. 부착극(N3)은 현상제 저장부(7)의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41)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현상 슬리브(41)의 회전방향(도 2의 화살표 B)으로 현상극(S1)의 상류 쪽에 현상극(S1)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반송극(N1,S2)은 현상극(S1)에서 상담지체(30)로 이송되지 않은 현상제의 캐리어와 일부의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되어 현상제 저장부(7)로 회송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현상 슬리브(41)의 회전방향으로 현상극(S1)의 하류 쪽으로 현상극(S1)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분리극(N2)은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되어 현상제 저장부(7)로 돌아온 현상제를 현상 슬리브(41)에서 분리하는 것으로서, 현상 슬리브(41)의 회전방향(B)으로 현상극(S1)의 하류 쪽으로 반송극(S2)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분리극(N2)과 부착극(N3)은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고, 분리극(N2)과 부착극(N3)은 동일 극성의 자극이므로 분리극(N2)과 부착극(N3) 사이의 현상 슬리브(41)에는 현상제가 부착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현상극을 S1극으로 하였을 경우에 반송극이 N1,S2로, 분리극이 N2로, 부착극이 N3로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자석롤러(42)의 자극 배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자석롤러(42)는 현상극을 N1극으로 하였을 경우에 반송극은 S1,N2로, 분리극은 S2로, 부착극은 S3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자석롤러(42)가 5개의 자극을 갖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자석롤러(42)를 형성하는 자극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상제 저장부(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측에 현상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현상제는 이성분 현상제로서 자석에 부착되는 성질 을 갖는 캐리어와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토너로 구성된다. 혹은 자석에 부착되는 성질을 갖는 토너로 된 현상제도 사용할 수 있다. 현상제 저장부(7)에는 현상제 담지체(40)의 아래로 2개의 현상제 교반부재(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2개의 현상제 교반부재(5)는 저장된 현상제를 섞고,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제 담지체(4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현상제 담지체(40)의 일측에는 현상제 담지체(40)의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된 현상제의 높이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부재(3)가 설치된다.
상담지체(30)의 일측으로는 상담지체(30)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상담지체 클리닝 유닛(13)과, 상담지체(30)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5)가 설치된다. 대전롤러(15)의 아래에는 대전롤러(15)를 청소하는 클리닝 롤러(16)가 설치될 수 있다.
자극 각도 변경장치(50)는 현상제 담지체(40)의 자석롤러(4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의 상담지체(30) 또는 케이스(10)에 대한 각도 내지는 배열즉, 자극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자석롤러(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자극 각도 변경장치(50)는 자극위치 결정부재(60)와 자극 회전부재(70)를 포함한다.
자극위치 결정부재(60)는 현상 슬리브 구동부재가 설치되는 케이스(10)의 일측벽과 반대쪽의 타측벽에 설치된다. 현상 슬리부 구동부재와 자극위치 결정부재(60)를 같은 케이스(10)의 측벽에 설치하면, 서로 중첩되거나 간섭되어 적절한 위치관계를 구성하기 곤란하며,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된다. 또한, 자극위치 결정부재(60)를 적절한 위치로 회전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상기 자극위치 결정부재(60)는 자석롤러 축(4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자석롤러 축구멍(47)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61,62)를 포함한다. 즉, 자극위치 결정부재(60)는 자극 회전부재(70)와 함께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상담지체(30)에 대해 특정한 위치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61,62)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는 자극위치 결정부재(6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 자극위치 결정부재(60)는 자석롤러 축(44)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재(21)의 외면에 형성된다. 또한, 좌측 지지부재(21)에는 자석롤러 축구멍(47)의 일측에 상담지체 축(미도시)을 지지하는 상담지체 축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자극위치 결정부재(60)는 4개의 위치결정부(61,62)를 포함한다. 180도 이격된 2개의 제1위치결정부(61)는 현상제 담지체(40)가 현상제를 상담지체(30)로 공급할 수 있도록 도 7과 같이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배열되는 현상제 공급위치로 자석롤러(42)를 고정한다. 또한, 180도 이격된 나머지 2개의 제2위치결정부(62)는 현상제 담지체(40)의 현상 슬리브(41)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제거하고, 현상 슬리브(41)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현상제 저장부(7)에 저장된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41)를 따라 상담지체(30) 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도 8과 같이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배열되는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에 자석롤러(42)를 고정한다.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61,62)의 각각은 후술하는 자극 회전부재(70)의 고정돌기(73)를 고정할 수 있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롤러(42)가 현상제 공급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롤러(42)의 현상극(S1)이 상담지체(30)와 마주하게 된다. 한편, 자석롤러(42)가 현상제 제거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롤러(42)의 부착극(N3)이 상담지체(30)와 마주하게 된다.
또한, 자극위치 결정부재(60)는 자극 회전부재(60)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ratchet)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위치결정부(61,62)의 일측(도 6에서 제1위치결정부(61)의 좌측)에는 현상 슬리브(41)의 회전방향(화살표 B)으로 상승하는 경사를 갖는 인입 경사면(63)을 형성하고, 위치결정부(61,62)의 반대측(도 6에서 제1위치결정부(61)의 우측)에는 현상 슬리브(41)의 회전방향(B)으로 하향 경사된 배출 경사면(6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인입 경사면(63)과 배출 경사면(64) 사이의 위치결정부(61,62)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극 회전부재(70)의 고정돌기(73)를 수용하여 자극 회전부재(7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부(61,62)와 인접한 배출 경사면(64)의 측면(64a)은 최고 높이가 인입 경사면(63)보다 낮으며, 자극 회전부재(7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자극 회전부재(70)의 고정돌기(73)가 배출 경사면(64)의 측면(64a)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극 회전부재(70)를 손으로 잡아 현상 슬리브(41)의 회전방향(B)으로 돌리면, 자극 회전부재(70)가 위치결정부(61,62)를 벗어나므로, 자석롤러(42)가 현상 슬리브(4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자극 회전부재(70)를 현상 슬리브(41)의 회전방향(B)과 반대방향으로 돌리는 경우에는, 자극 회전부재(70)의 고정돌기(73)가 인입 경사면(63)의 수직면(63a)에 걸리게 되므로 자극 회전부재(70)가 현상 슬리브(4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자극위치 결정부재(60)가 좌측 지지부재(21)에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좌측 및 우측 지지부재(21,22)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스(10)의 양측벽(10a,10b)으로 현상제 담지체(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장치(1)의 경우에는 케이스(10)의 좌측벽(10a)에 자극위치 결정부재(6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자극 회전부재(70)는 자석롤러 축(44)의 일단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자석롤러(42)를 일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고, 자석롤러(42)를 자극위치 결정부재(60)의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61,62) 중 어느 한 곳의 위치결정부(61,6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 회전부재(70)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자석롤러 축(44)에 설치되는 회전판(71)을 포함한다. 회전판(71)은 자석롤러 축(44)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자석롤러 축(44)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자석롤러 축(44)의 일단(45)은 단면이 D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판(71)의 중심에는 자석롤러 축(44)의 D자 단면(45)에 대응되는 결합홈(72)이 형성된다. 따라서, 자극 회전부재(70)를 자석롤러 축(44)에 설치하면, 자극 회전부재(70)는 자석롤러(42)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판(71)의 하면에는 결합홈(72)의 주위에 복수 개의 고정돌기(73) 가 형성된다. 고정돌기(73)는 자극위치 결정부재(60)의 인입 경사면(63)과 배출 경사면(64)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74)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자극 회전부재(70)는 180도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고정돌기(73)를 구비하며, 2개의 고정돌기(73)는 회전판(71)을 일정 길이 절개하여 형성한 탄성편(74)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2개의 고정돌기(73)는 180도 이격되어 2개의 홈으로 형성된 자극위치 결정부재(60)의 제1 및 제2위치결정부(61,6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회전판(71)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자극 회전부재(70)를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손잡이(75)가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75)의 일단을 날카롭게 하여 화살표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케이스(10)의 외면에는 현상제 공급위치와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75)를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하면, 사용자가 케이스(10) 내부에 있는 자석롤러(42)의 자극 각도 내지는 자극 배열 상태, 즉 자석롤러(42)가 현상제 공급위치와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쉽게 알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의 동작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현상제 담지체(40)의 자석롤러(42)가 현상제 공급위치에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자석롤러(42)가 현상제 공급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극(S1)이 현상 슬리브(41)를 사이에 두고 상담지체(30)를 마주하게 된다. 이때, 자극 회전부 재(70)의 2개의 고정돌기(73)는 자극위치 결정부재(60)의 제1위치결정부(61)를 구성하는 2개의 홈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슬리브(41)가 회전하여도 자석롤러(42)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 슬리브(41)가 회전하면, 현상제 저장부(7)에 저장된 현상제가 상담지체(30)로 이동하여 상담지체(3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하게 된다.
이하, 현상제 담지체(40)에 의해 현상제가 상담지체(30)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다.
현상제 저장부(7)의 현상제는 자석롤러(42)의 부착극(N3)의 자력에 의해 현상 슬리브(41)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부착된다. 현상 슬리브(41)가 회전하면,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된 현상제는 현상제 규제부재(3)를 지나며 일정 높이로 규제되어 현상극(S1) 위로 이동하여 상담지체(30)와 마주하게 된다. 현상극(S1) 위로 이동된 현상 슬리브(41)의 현상제의 토너는 마주하는 상담지체(30)로 이동하고, 현상제의 캐리어는 그대로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되어 있다. 현상 슬리브(41)가 계속 회전하면, 현상제의 캐리어와 상담지체(30)로 이동되지 않은 일부 토너는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된 상태로 자석롤러(42)의 반송극(N1,S2)을 지나 분리극(N2) 위로 이송된다. 분리극(N2) 위로 이동된 현상 슬리브(41)의 현상제는 분리극(N2)에 의해 형성된 자기 브러시에 의해 현상 슬리브(41)의 표면에서 분리되어 현상제 저장부(7)로 낙하한다. 낙하된 현상제는 현상제 교반부재(5)에 의해 현상제 저장부(7)에 저장되어 있는 현상제와 섞이게 된다. 현상제 저장부(7)에 저장된 현 상제는 자석롤러(42)의 부착극(N3)에 의해 다시 현상 슬리브(41)로 부착되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는 현상제 담지체(40)의 자석롤러(42)가 현상제 공급위치에 있으면, 현상제 담지체(40)의 현상 슬리브(41)가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담지체(3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정상적으로 현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를 운반하기 위해 현상제 담지체(40)의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의 각도 내지는 배열, 즉 자석롤러(42)의 자극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의 제조과정에서 현상장치(1)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사화상의 인쇄를 수행한 후에는 현상제 담지체(40)에 도 7과 같이 현상제가 부착되어 있다. 또는 검사화상을 인쇄하지 않는 경우라도 케이스(10)에 담겨있는 현상제는 자석롤러(42)에 의해 현상 슬리브(41)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현상장치(1)의 운반과정 중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 현상 슬리브(41)가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는 현상 슬리브(41)의 표면에 현상제가 부착되는 면적이 더욱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41)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또는 현상장치(1)의 제조과정에서 작업자가 자극 각도 변경장치(50)의 자극 회전부재(70)를 1 회전 이상 회전시키면 현상제 담지체(40)의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되어 있던 현상제가 케이스(10) 내측의 현상제 저장부(7)로 회수된다. 여기서, 자극 회전부재(70)를 1 회전 이상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자극 회전부재(70)를 1 회전 이하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현상 슬리브(41) 표면에 현상제가 남아있어 현상제가 누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또는 현상장치(1)의 제조과정에서 작업자가 자극 각도 변경장치(50)의 자극 회전부재(70)의 손잡이(75)를 잡고 현상 슬리브(41)의 회전방향(도 8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돌리면, 자극 회전부재(70)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돌기(73)가 배출 경사면(64)을 넘어 제1위치결정부(61)에서 벗어나게 된다. 자극 회전부재(70)를 계속 회전시키면, 제1위치결정부(61)에서 벗어난 고정돌기(73)는 제2위치결정부(62)에 인접하여 형성된 인입 경사면(65)을 따라 제2위치결정부(62)로 인입되어 고정된다. 자극 회전부재(70)의 고정돌기(73)가 제2위치결정부(62)에 위치하면, 자석롤러(42)도 자극 회전부재(70)와 일체로 회전하여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다.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도 8과 같이 배열되면, 자석롤러(42)의 부착극(N3)이 현상제 규제부재(3)의 위로 이동하여 상담지체(30)와 마주하게 되고, 분리극(N2)이 현상제 규제부재(3)와 마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현상 슬리브(41)가 회전하면,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되어 있던 현상제는 현상극(S1)과 반송극(N1,S2)의 상측을 지나는 동안은 현상제 슬리브(41)에 부착된 상태로 이송한다. 현상 슬리브(41)가 계속 회전하여 현상 슬리브(41)의 현상제가 분리극(N2) 위에 위치하면, 현상 슬리브(41)의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41)에서 분리되어 현상제 저장부(7)로 낙하하게 된다. 자석롤러(42)의 부착극(N3)이 현상제 저 장부(7)와 마주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 상태에서 현상 슬리브(41)가 회전하여도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되어 상담지체(30) 쪽으로 이송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현상제 저장부(7)와 마주하고 있는 반송극(N1,S2)에 의해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현상 슬리브(41)가 회전하여도,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된 현상제는 현상제 규제부재(3)와 마주하고 있는 분리극(N2)에 의해 현상 슬리브(41)에서 제거된다. 따라서, 자석롤러(42)가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현상제 저장부(7)에 저장된 현상제가 현상제 저장부(7)를 벗어나 상담지체(30)로 이송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현상장치(1)가 인쇄를 할 수 있는 정상상태로 할 경우에는 자극 각도 변경장치(50)의 자극 회전부재(70)를 회전시켜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도 7과 같이 현상제 공급위치로 배열되도록 하면 된다. 자석롤러(42)가 현상제 공급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현상 슬리브(41)가 1 회전하면, 현상 슬리브(41) 전체에 현상제가 도포되어 정상적인 인쇄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에 사용되는 자극 각도 변경장치(80)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의 자극 각도 변경장치(80)는 자극위치 결정부재(81)와 자극 회전부재(90)를 포함한다.
자극위치 결정부재(81)는 케이스(10)의 일측벽에 설치되며, 자석롤러 축(4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자석롤러 축구멍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위치 결정부(83)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83)는 자극 회전부재(90)와 함께 자석롤러(42)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상담지체(30)에 대해 특정한 위치관계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대략 90도의 간격으로 2개의 위치결정부(83)가 형성된다. 제1위치결정부(미도시)는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현상제 공급위치에 있도록 하고, 제2위치 결정부(83)는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에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위치결정부(83)는 소정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극 회전부재(90)의 고정돌기(92)를 수용한다.
자극 회전부재(90)는 자석롤러 축(44)의 일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레버(91)와, 레버(91)의 선단에 설치된 고정돌기(92)를 포함한다. 레버(91)의 외면에 고정돌기(9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레버(91)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93)가 설치된다. 이때, 손잡이(93)의 내측에 고정돌기(9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미도시)를 설치하고, 고정돌기(92)가 손잡이(93)의 상단으로 돌출된 당김부(94)와 일체로 동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고정돌기(92)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위치결정부(83)의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돌기(92)가 제1 및 제2위치결정부(83)에 삽입된 경우에는 자극 회전부재(90)가 회전하지 않는다. 자극 회전부재(90)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손잡이(93)의 상측으로 돌출된 당김부(94)를 잡아당겨 고정돌기(92)를 제1 및 제2위치결정부(83)의 홈에서 뺀 후, 손잡이(93)를 돌리면 자극 회전부재(90)가 회전하게 된다.
도 9는 자석롤러(42)가 현상제 공급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자석롤러(42)의 자극 각도 내지는 자극 배열, 즉 자극 위치를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자극 각도 변경장치(80)의 자극 회전부재(90)를 회전시켜 자극 회전부재(90)의 고정돌기(92)가 제2위치결정부(83)에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즉, 제1위치결정부(미도시)에 있는 자극 회전부재(90)의 손잡이(93)의 상측으로 돌출된 당김부(94)를 잡아당겨 고정돌기(92)를 제1위치결정부에서 뺀다. 그 후, 손잡이(93)를 잡고 자극 회전부재(90)를 약 90도 회전시키면, 고정돌기(92)는 제2위치결정부(8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면,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은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에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에서,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현상제 공급위치 또는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에 있을 때에 현상제가 이동하는 과정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자극 각도 변경장치(50)는 사용자가 자극 회전부재(7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고정돌기(73)가 자기위치 결정부재(60)의 위치결정부(61,62)에 자동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의 자극 각도 변경장치(5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극 회전부재(70)를 케이스(10)의 측벽에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즉, 자극 회전부재(70)를 자석롤러 축(44)에 수직하게 설치된 레버로 형성하고, 레버의 일단에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 다. 케이스(10)의 측면에는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현상제 공급위치와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에 있도록 하는 특정 한 2곳의 위치에 나사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레버를 돌려 자석롤러(42)를 회전시키고, 레버의 구멍과 케이스(10)의 나사구멍을 일치시킨 후, 나사로 레버를 케이스(10)에 고정시키면,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특정 배열 위치에 있게 된다. 그 후,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의 배열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나사를 풀고, 자석롤러(42)를 회전시킨 후, 다른 나사구멍을 이용하여 자석롤러(42)를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자극 각도 변경장치(50)의 자극 회전부재(70)를 손으로 직접 회전시키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극 회전부재(7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지그(Jig)나 검사용 장치 또는 특정 장비를 이용하여 자극 회전부재(70)를 회전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의 자극 각도 변경장치(50)는 자석롤러(42)를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일 예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 케이스(110), 인쇄매체 공급유닛(120), 노광유닛(130), 현상장치(1), 전사롤러(140), 정착유닛(150), 및 배지롤러(160)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인쇄매체 공급유닛(120), 노광유닛(130), 현상장치(1), 전사롤러(140), 정착유닛(150), 및 배지유닛(160)을 지지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120)은 소정 량의 인쇄매체(P)를 저장하며, 저장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현상장치(1)로 공급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120)의 선단에는 인쇄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21)가 설치된다.
노광유닛(130)은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여 현상장치(1)의 상담지체(30)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장치(1)는 현상제 저장부(7)에 일정량의 현상제를 저장하며, 현상제 담지체(40)로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담지체(3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한다. 현상장치(1)는 본체 케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현상장치(1)가 본체 케이스(110) 내에 장착되면, 본체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담지체(30), 현상제 담지체(40), 2개의 현상제 교반부재(5)가 회전한다. 현상장치(1)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사롤러(140)는 현상장치(1)의 상담지체(30)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150)을 통과하는 동안 인쇄매체(P)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은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현상제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는 배지유닛(16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노광유닛(130)을 제어하여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여 현상장치(1)의 상담지체(30)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러면, 현상장치(1)의 현상제 담지체(40)가 상담지체(30)로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는 현상제 담지체(40)의 자석롤러(42)가 현상제 공급위치에 있으므로, 현상제가 정상적으로 상담지체(30)에 공급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매체 공급유닛(120)을 제어하여 인쇄매체(P)를 한 장 픽업하여 전사롤러(140)와 상담지체(30) 사이로 인쇄매체(P)를 공급한다. 그러면, 상담지체(30)의 현상제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유닛(150)과 배지유닛(160)을 통과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현상장치(1)를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자극 각도 변경장치(50)를 동작시켜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에 있도록 한다. 즉, 자극 각도 변경장치(50)의 자극 회전부재(70)를 회전시켜, 제1위치결정부(61)에 있던 고정돌기(73)가 제2위치결정부(62)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인쇄 과정을 통해 현상제 담지체(40)의 현상 슬리브(41)에 부착되어 있던 현상제가 제거되어 현상제 저장부(7)로 회수되고, 현상제 저장부(7)에 저장된 현상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 3,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은 현상 슬리브(41)와 현상 슬리브(41)의 내측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을 갖는 자석롤러(42)로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40)를 포함하는 현상장치(1)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은, 자석롤러(4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10)와, 현상 슬리브(41)에 의해 현상제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배치되는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에 자석롤러(42)를 고정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이때, 자극 각도 변경장치(50)의 자극 회전부재(70)로 자석롤러(4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자극 회전부재(70)의 고정돌기(73)가 제2위치결정부(62)에 위치하면,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은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로 배열된다. 따라서, 현상제 저장부(7)의 현상제가 현상장치(1)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은 자석롤러(42)를 동일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는 단계(S30)와, 현상 슬리브(41)가 현상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이 배치되는 현상제 공급위치에 자석롤러(42)를 고정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극 각도 변경장치(50)의 자극 회전부재(70)를 회전시켜, 제2위치결정부(62)에 위치하던 자극 회전부재(70)의 고정돌기(73)가 제1위치결정부(61)에 위치하면, 자석롤러(42)의 복수 개의 자극(S1,N1,S2,N2,N3)은 현상제 공급위치로 배열된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41)가 회전하면 현상제가 상담지체(30)로 공급되어 정상적인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선2-2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에 사용되는 자극 각도 변경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자극 각도 변경장치의 자기위치 결정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자극 각도 변경장치의 자기위치 회전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자극 각도 변경장치의 자기위치 회전부재를 도 3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7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에서 현상제 담지체가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에서 현상제 담지체가 현상제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나타낸 사 시도,
도 10은 도 9의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에 사용되는 자극 각도 변경장치의 자극위치 회전부재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현상장치 3; 현상제 규제부재
5; 현상제 교반부재 7; 현상제 저장부
10; 케이스 13; 상담지체 클리닝 유닛
21.22; 지지부재 30; 상담지체
40; 현상제 담지체 41; 현상 슬리브
42; 자석롤러 44; 자석롤러 축
47; 자석롤러 축구멍 50,80; 자극 각도 변경장치
60,81; 자극위치 결정부재 61,62,83; 위치결정부
63; 인입 경사부 64; 배출 경사부
70,90; 자극 회전부재 71; 회전판
72; 결합홈 73,92; 고정돌기
75,93; 손잡이 91; 레버
100; 화상형성장치 110; 인쇄매체 공급유닛
130; 노광유닛 150; 정착유닛

Claims (22)

  1. 적어도 한 개의 부착극과 분리극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자극을 구비하는 자석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지지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케이스;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부착된 현상제의 높이를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부재;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부착극이 상기 현상제 규제부재와 마주하는 현상제 공급위치와 상기 분리극이 상기 현상제 규제부재와 마주하는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로 상기 자석롤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자극 각도 변경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석롤러는 상기 회전 슬리브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각도 변경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자극위치 결정부재; 및
    상기 자석롤러 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자석롤러를 상기 자극위치 결정 부재의 상기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 중 어느 한 곳에 고정시키는 자극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현상제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기 현상제 공급위치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현상제를 이동시킬 수 없는 상기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회전부재는,
    상기 자석롤러 축에 설치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고정돌기는 탄성편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회전부재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회전부재는,
    상기 자석롤러 축의 일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선단에 설치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각도 변경장치는,
    상기 자석롤러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위치 결정부재는 래칫(ratchet)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자극은 현상극과 반송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현상극, 반송극, 분리극, 및 부착극은 원주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슬리브를 구동하는 회전 슬리브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각도 변경장치는 상기 회전 슬리브 구동부재가 설치된 케이스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담지체와 나란하게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담지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17.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서, 상기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제 14 항,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장치; 및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 화상을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현상 슬리브와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측에 설치되며 적어도 한 개의 부착극과 분리극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자극을 갖는 자석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장치에서 현상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제 유출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석롤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현상 슬리브에 의해 현상제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극이 현상제 규제부재와 마주하는 현상제 공급 차단위치에 상기 자석롤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롤러를 동일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현상 슬리브가 현상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착극이 상기 현상제 규제부재와 마주하는 현상제 공급위치에 상기 자석롤러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롤러는 현상 슬리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
  21. 삭제
  22. 삭제
KR1020080042920A 2008-04-30 2008-05-08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 KR10147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920A KR101474730B1 (ko) 2008-04-30 2008-05-08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
US12/248,112 US8086153B2 (en) 2008-04-30 2008-10-09 Developing apparatus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method to prevent developer from flowing out the develop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0543 2008-04-30
KR1020080040543 2008-04-30
KR1020080042920A KR101474730B1 (ko) 2008-04-30 2008-05-08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022A KR20090115022A (ko) 2009-11-04
KR101474730B1 true KR101474730B1 (ko) 2014-12-22

Family

ID=4125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920A KR101474730B1 (ko) 2008-04-30 2008-05-08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86153B2 (ko)
KR (1) KR101474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6674B2 (ja) * 2009-12-17 2011-11-3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
CN106527092A (zh) * 2016-12-31 2017-03-22 广州欣彩电脑耗材有限公司 一种方便调节黑度的跳动式显影硒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19B1 (ko) * 1987-10-05 1992-09-15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현상기의 현상롤내의 자석의 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KR100778376B1 (ko) * 2007-09-22 2007-11-22 장승준 인쇄기의 용지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5763A (en) * 1979-08-07 1981-03-12 Mita Ind Co Ltd Magnetic brush developing device
US6208817B1 (en) * 1998-10-26 2001-03-2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6973281B2 (en) * 2002-04-26 2005-12-0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with two developing chamber-rotatable member pairs
US7031645B2 (en) * 2002-12-16 2006-04-18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non-interactive magnetic brush develo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19B1 (ko) * 1987-10-05 1992-09-15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현상기의 현상롤내의 자석의 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KR100778376B1 (ko) * 2007-09-22 2007-11-22 장승준 인쇄기의 용지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86153B2 (en) 2011-12-27
US20090274489A1 (en) 2009-11-05
KR20090115022A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688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32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415156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H0334070B2 (ko)
US9244379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04125951A (ja) 離間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880511B2 (en) Container for wast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509342B2 (en) Powd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chanical device
EP1403736B1 (en) Recycling method for a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7493070B2 (en) Developer an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606188B2 (en) Powd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8567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210026067A (ko) 현상 카트리지의 회전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피벗 가능한 토너 공급 덕트
KR101474730B1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현상장치의 현상제 유출방지방법
US8712293B2 (en)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904003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345221A (ja) 画像形成装置
US10082750B2 (en) Clean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JP2000267420A (ja) 二成分現像装置及びその取り扱い方法、画像形成装置、現像剤交換方法
JP2013145317A (ja) 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補給方法
KR0132559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이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클리닝장치의 조리방법
JP3765213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2000231251A (ja) 現像剤撹拌用部材および現像剤収納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JP5962170B2 (ja) 画像形成装置
JP7180250B2 (ja)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