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923B1 -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923B1
KR101473923B1 KR1020140078351A KR20140078351A KR101473923B1 KR 101473923 B1 KR101473923 B1 KR 101473923B1 KR 1020140078351 A KR1020140078351 A KR 1020140078351A KR 20140078351 A KR20140078351 A KR 20140078351A KR 101473923 B1 KR101473923 B1 KR 101473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rbon nanotube
manganese dioxide
water treatment
nanotub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오
강석태
김도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923B1/ko
Priority to PCT/KR2015/006276 priority patent/WO2015199389A1/ko
Priority to US15/321,616 priority patent/US1020180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22Compounds of Mn, 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8Carbon
    • B01J21/185Carbon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32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34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4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dimensions, e.g. grain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01Impregnation
    • B01J37/0211Impregnation using a colloida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4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6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2Oxidation by 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electr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0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X-rays or gamma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8Nanoparticles or nano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 지지체;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흡착되고, 입자크기가 1,000 nm 이하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유기 오염물을 흡착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고정화함으로써 흡착제거와 산화제거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므로, 물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유실을 방지하여 실용화 공정에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와 산화제를 함께 적용하게 되면, 유기 오염물의 제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Hybrid water treatment agent of β-manganese dioxide nano particle and carbon nanotub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ater treatment system and in-situ treatment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using that}
본 발명은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포함하여 수중의 미량독성물질 및 유기오염물의 제거성능이 뛰어난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전으로 하천수, 호소수 및 지하수 중에 각종 오염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질의 수자원 양이 감소하고 먹는 물 생산이 더욱 어려워졌으며, 이용 가능한 수자원이 감소하여 하수처리수 등을 재이용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하천수, 호소수, 지하수 및 하수처리 유출수에 중금속, 의약물질 (pharmaceutical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내분비계 장애물질 (endocrine disruption chemicals, EDCs) 등의 미량독성물질이 증가하여 양질의 먹는 물 생산과 물 재이용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미량독성물질은 낮은 농도에서도 독성이 높으므로, 정수공정 및 물 재이용 공정에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대표적인 중금속으로는 납, 카드뮴, 크롬 등이 있고, 대표적인 의약물질로는 이부프로펜 (ibuprofen),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옥시테트라사이클린 (oxytetracycline), 카페인 (caffeine)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내분비계 장애물질로는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17α-ethinylestradiol, EE2), 17β-에스트라디올 (17β-estradiol, E2), 에스트론 (estrone, E1), 비스페놀 A (bisphenol A, BPA) 등이 있다.
미량독성물질은 다른 오염물질과는 달리, 일반적인 정수 공정 및 하폐수 처리공정에서 제거되지 않는다. 미량 독성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응집 (coagulation), 흡착 (adsorption), 생물학적 처리 (biological treatment), 이온교환 (ion exchange), 분리막 (membranes), 고급산화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OPs) 등의 공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낮은 효율, 높은 비용 및 2차 오염 발생 등의 문제로 인해 실용화에 제한이 따른다. 특히, 정수 공정 및 하폐수 처리공정에서는 활성탄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활성탄은 유기오염물 흡착 성능이 우수한 편이나, 최대 흡착량 이상의 유기오염물이 흡착(포화)되면 더 이상 오염물의 흡착 제거가 불가능하다. 포화된 활성탄은 새로운 활성탄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포화된 활성탄은 재생할 수도 있으나, 재생에 에너지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2차오염이 발생하며, 재생 과정에서 일부가 소실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활성탄은 미량독성물질 흡착성능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미량독성물질 제거를 위해 금속산화물 나노입자가 주목을 받고 있다.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는 일반적으로 개별 입자크기가 100 nm 이하의 입자로, 철산화물, 철산화물 및 철수산화물, 티타늄산화물, 망간산화물 입자 등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는 수중의 오염물 제거에 있어, 촉매, 흡착제, 이온교환 소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이 시도되고 있는데, 특히 최근에는 유기오염물 산화/환원을 위한 불균일 촉매 (heterogeneous catalyst) 또는 흡착제로 주목 받고 있다.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표면적이 크고, 표면에 반응활성점(reactive site)과 흡착점(adsorption site)이 풍부하여, 유기물 산화제거 성능과 중금속 흡착제거 성능이 매우 높다. 예를 들어, 철산화물 나노입자는, 기존에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에 이용되던 펜톤 (Fenton)산화 공정에 비해, 페놀(phenol) 제거속도는 약 35배, 에틸렌클리콜(ethylene glycol) 제거속도는 2 내지 4배 높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Zelmanov and Semiat, 2008). 또한, 마이크로 크기의 산화아연은 비소(As)를 흡착, 제거할 수 없으나, 나노 크기의 산화아연은 비소 흡착, 제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Tiwari et al., 2008). 둘째, 비표면적이 커서 단위 중량당 오염물 제거효율이 높으므로 동일한 양의 오염물을 제거할 때, 크기가 큰 입자에 비해 주입량이 감소하여 경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어 실용화가 어렵다. 첫째,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는 제조 시 산 또는 알칼리, 산화제 또는 환원제, 분산제(dispersant) 등의 독성 약품과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므로, 제조공정에서 환경오염과 안전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크다. 둘째, 나노입자는 그 크기가 100 nm 이하로 작으므로, 침전, 여과 등에 의해 잘 분리되지 않는다. 즉, 물 처리를 위한 반응기에 나노입자를 주입하면, 오염물 처리 후에 처리된 물과 함께 수계로 유출되어 하천, 호소 및 지하수에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유기오염물을 흡착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에 고정화함으로써, 유기오염물의 흡착성능 및 산화제거 성능이 우수하며,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흡착시켜 고정화함으로써 반응기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용화 공정에 적용이 가능한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 지지체;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흡착되고, 입자크기가 1,000 nm 이하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수처리제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크기는, 1 nm 내지 100 n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는 단독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입자들이 응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처리제는, 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H2O2), 오존 (O3),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 자외선 (Ultraviolet light), 전자선 (Electron beam), 감마선 (γ-ray), 수리학적 공동 (hydrodynamic cavitation) 및 초음파 (Sonicati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S1) 과망간산칼륨, 증류수, 알코올 및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S2) 상기 혼합액을 120 내지 200 ℃에서 15 내지 36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입자크기가 1,000 nm 이하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S2) 단계 이후에 수행되되, (S3)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250 내지 500 ℃에서 2 내지 8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망간산칼륨과 상기 증류수의 중량비는, 1:50 내지 1:200일 수 있고, 상기 증류수와 상기 알코올의 부피비는, 1:20 내지 1:15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응조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로서, 상기 반응조는, 전술한 본 발명의 수처리제가 충전된 수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투수성 반응벽체를 포함하는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로서, 상기 투수성 반응벽체는, 전술한 본 발명의 수처리제가 충전된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유기 오염물을 흡착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고정화함으로써 흡착제거와 산화제거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므로, 물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유실을 방지하여 실용화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와 산화제를 함께 적용하게 되면, 유기 오염물의 제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針狀)의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3은 탄소나노튜브(CN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CMO/CNT)의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탄소나노튜브(C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제(CMO/CNT) 및 상기 수처리제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의 혼합물(CMO/CNT+HP)을 이용하여,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17α-ethinylestradiol, EE2)의 제거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제가 충전된 반응조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제가 충전된 투수성 반응벽체를 포함하는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針狀)의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처리제는, 탄소나노튜브 지지체;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흡착되고, 입자크기가 1,000 nm 이하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제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침상(針狀)의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흡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3은 탄소나노튜브(CN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CMO/CNT)의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CMO/CNT)에서는, 탄소나노튜브(CNT)에 없는 피크가 나타나는데, 이는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특성 피크이며, 이는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탄소나노튜브에 흡착되어 고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아래 표 1은 탄소나노튜브(CNT)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CMO/CNT)의 X선 분광분석(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CMO/CNT에는 망간이 다량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원소 CNT CMO/CNT
Weight% Atomic% Weight% Atomic%
C 91.11 93.59 61.91 80.98
O 7.96 6.14 11.68 11.47
S 0.2 0.08 - -
Cl 0.3 0.1 - -
Fe 0.43 0.1 - -
Mn - - 26.41 7.55
Total 100 100 100 100
한편, 망간산화물 나노입자는 마이크로 크기 이상의 입자에 비해 비표면적이 크고, 표면에 반응활성점(reactive site)과 흡착점(adsorption site)이 풍부하여, 중금속 흡착제거 성능과, 유기 오염물의 흡착 및 산화제거 성능이 월등하게 우수하다.
종래의 연구에 의하면,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는 마이크로 크기의 입자에 비해 오염물 제거속도가 월등하게 빠르다고 알려져 있다(Zhang, 2003, J. Nanopart. Res., 5, 323-332). 특히, 망간산화물 나노입자는 산화환원 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가 높으므로 유기 오염물의 산화 및 분해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Zhao et al., 2006, Environ. Toxicol. Chem. 25(11), 2912-2919).
그러나, 현재까지의 관련연구는 실험실 수준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망간산화물 나노입자는 우수한 오염물 제거능에도 불구하고, 실제 반응기에서 유실되는 등의 문제점 때문에 실제 수처리 공정에 이용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처리하고자 하는 물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흡착시켜 고정함으로써 반응기에서 유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β-이산화망간은 다른 이산화망간 (α-이산화망간 및 γ-이산화망간)에 비해,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과 산화수 (average oxidation states)가 높기 때문에 촉매 활성이 다른 이산화망간에 비해 높다(Zhang 등, 2009). 또한,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는 난분해성 유기 오염물인 염료 제거에 있어 과산화수소에 비해 우수하며, 산화제 (과산화수소 등)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염료 제거율이 크게 향상된다(Zhang 등, 2006). 덧붙여,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는 산화제 (과산화수소 등)가 존재하여도 그 특성이 변화하지 않으며(Wang 등, 2006), 5 회 재사용하여도 촉매 활성 (catalytic activity)이 감소하지 않아(Zhang 등, 2006),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유기 오염물을 흡착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고정화함으로써 흡착제거와 산화제거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므로, 물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탄소나노튜브는 가볍고, 이를 적용함에 있어 융통성이 크며, 화학적, 열적으로 안정적이고,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나노입자 고정화에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크기는, 1 nm 내지 100 nm일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중금속 또는 유기오염물의 흡착성능이 더욱 우수해진다.
그리고,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는 단독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2 이상의 입자들이 응집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수처리제는 산화제를 더 포함하게 되면, 촉매산화에 의한 오염물 제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H2O2), 오존 (O3),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 자외선 (Ultraviolet light), 전자선 (Electron beam), 감마선 (γ-ray), 수리학적 공동 (hydrodynamic cavitation) 및 초음파 (Sonicati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도 4는 탄소나노튜브(C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제(CMO/CNT) 및 상기 수처리제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P)의 혼합물(CMO/CNT+HP)을 이용하여, 독성이 높은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on chemicals, EDCs) 중의 하나인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17α-ethinylestradiol, EE2)의 제거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CNT)에 비해서,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CMO/CNT)가 EE2 제거속도와 제거율이 더 높게 나타났고, 상기 CMO/CNT에 비해서, CMO/CNT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의 혼합물(CMO/CNT+HP)이 EE2 제거속도와 제거율이 더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EE2의 초기농도는 4 mg/L, 상기 CMO/CNT의 농도는 100 mg/L, 상기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1,000 mg/L였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제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과망간산칼륨, 증류수, 알코올 및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한다(S1).
이때, 상기 과망간산칼륨과 상기 증류수의 중량비는, 1:50 내지 1:200일 수 있으며,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게 되면, 적정한 크기의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를 최대한 많은 양으로 탄소나노튜브에 고정화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중량비와 관련하여, 상기 증류수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재료인 과망간산칼륨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탄소나노튜브에 고정화되는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양이 적어지고, 이로 인해 오염물 제거효율도 낮아질 수 있다. 반면, 상기 증류수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 미만이면,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재료인 과망간산칼륨의 양이 상대적으로 과다하게 많아지므로, 과량의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형성된다. 이때, 탄소나노튜브에 고정화되는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양은 증가하나, 형성된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들이 서로 응집 (aggregation)되므로, 나노입자에 비해 커다란 단일 입자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오염물 제거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류수와 상기 알코올의 부피비는, 1:20 내지 1:150일 수 있다. 상기 증류수와 상기 알코올의 부피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게 되면, 결정도 (Crystallinity)가 높아 오염물 산화효율이 우수한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형성되기에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산화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부피비와 관련하여, 상기 알코올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과도한 압력 상승과 온도 상승을 초래하여, 생성된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변성되거나 열분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의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흡착량과 흡착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산, 알칼리, 염 등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전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의 전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전처리하고자 하는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염산(HCl), 질산(HNO3), 황산(H2SO4), 염화나트륨(NaCl), 수산화나트륨(NaOH) 등의 수용액(水溶液, aqueous solution)에 일정시간 동안 함침(impregnation)시킨다. 이어서, 상기 함침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침전 또는 여과에 의해 상기 수용액에서 분리한다. 그 후, 상기 분리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건조시킴으로써 전처리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혼합액을 120 내지 200 ℃에서 15 내지 36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입자크기가 1,000 nm 이하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형성한다(S2).
한편, 상기 (S2) 단계 이후의 생성물에는,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 이외에, 반응 부산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고 세척 및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만을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S2) 단계 이후에,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의 결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250 내지 500 ℃에서 2 내지 8 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수처리제의 품질 및 순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는, 일반적인 수처리, 물의 재이용, 토양 및 지하수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관련 시장이 광범위하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반응조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및 투수성 반응벽체를 포함하는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150)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100)로서, 상기 반응조(15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제(151)가 충전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반응조(150)를 고정상(fixed bed) 또는 유동상(fluidized bed)으로 운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반응조(150)를 상향류식(up-flow) 또는 하향류식(down-flow)으로 운전할 수 있다. 나아가, 필요시,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약품(산화제)을 더 주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반응벽체(250)를 포함하는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200)로서, 상기 투수성 반응벽체(25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제(251)가 충전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약품(산화제)을 더 주입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제는, 지표수 및 지하수 처리, 하수 재이용 등의 다양한 수처리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지표수와 지하수는 정수공정의 수원으로 이용되며, 물의 재이용 시에는 안전한 재이용수의 생산을 위해 미량독성물질의 제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최근 들어 수자원 오염, 기상의 변화 및 인구의 증가로 인해 양호한 수자원이 부족하여, 물 공급량이 수요량을 초과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인구는 2008년 7억 명에서 2025년에는 3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UN, 2007). 그러므로, 충분한 양의 양질의 수자원 확보를 위해, 정수 및 하폐수 등 모든 수처리에 있어서, 적절한 미량독성물질의 처리기술이 시급하게 요구되며,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책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수처리 장치 110: 집수조
120: 펌프 130, 230: 약품탱크
140, 240: 약품펌프 150: 반응조
151, 251: 수처리제 160: 처리수조
200: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250: 투수성 반응벽체

Claims (11)

  1. 탄소나노튜브 지지체;
    상기 탄소나노튜브 지지체에 흡착되고, 입자크기가 1,000 nm 이하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수처리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의 크기는, 1 nm 내지 1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는 단독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입자들이 응집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H2O2), 오존 (O3) 및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제.
  6. (S1) 과망간산칼륨, 증류수, 알코올 및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혼합액을 120 내지 200 ℃에서 15 내지 36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입자크기가 1,000 nm 이하인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지지체를, 250 내지 500 ℃에서 2 내지 8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제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망간산칼륨과 상기 증류수의 중량비는, 1:50 내지 1: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제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수와 상기 알코올의 부피비는, 1:20 내지 1: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제의 제조방법.
  10. 반응조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로서,
    상기 반응조는,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처리제가 충전된 수처리 장치.
  11. 투수성 반응벽체를 포함하는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로서,
    상기 투수성 반응벽체는,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처리제가 충전된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KR1020140078351A 2014-06-25 2014-06-25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KR101473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51A KR101473923B1 (ko) 2014-06-25 2014-06-25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PCT/KR2015/006276 WO2015199389A1 (ko) 2014-06-25 2015-06-22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US15/321,616 US10201801B2 (en) 2014-06-25 2015-06-22 Hybrid water treatment agent of β-manganese dioxide nanoparticles and carbon nanotub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same, and underground water in situ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51A KR101473923B1 (ko) 2014-06-25 2014-06-25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923B1 true KR101473923B1 (ko) 2014-12-17

Family

ID=5267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351A KR101473923B1 (ko) 2014-06-25 2014-06-25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01801B2 (ko)
KR (1) KR101473923B1 (ko)
WO (1) WO20151993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52A (ko) 2015-03-13 2016-09-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산화망간 촉매의 산화-환원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및 방법
CN106311135A (zh) * 2016-08-22 2017-01-11 青岛引黄济青水务有限责任公司 一种去除水中氟离子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1101330A3 (ko) * 2019-11-22 2021-07-15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수처리용 산화 반응 촉매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응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5014B (zh) * 2018-12-19 2021-08-03 中大立信(北京)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控臭氧和双氧水分解速率的双效催化剂、其制备方法及用途
CN110272085B (zh) * 2019-07-30 2023-02-24 江南大学 一种改性蓝藻生物炭复合材料及在处理电镀废水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82B1 (ko) * 2009-07-31 2012-01-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성 고분자/전이금속산화물/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26784B1 (ko) 2009-09-25 2012-04-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망간산화물/탄소나노섬유복합재 제조방법 및 그 탄소나노섬유복합재를 포함하는 고용량 하이브리드 슈퍼의사캐패시터용 전극
KR101152351B1 (ko) * 2009-10-30 2012-06-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선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성장된 나노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이온흡착 전극 및 전기흡착 수처리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Environ. Sci. Pollut. Res. (2012) 19:1224-1228*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52A (ko) 2015-03-13 2016-09-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산화망간 촉매의 산화-환원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및 방법
US9938168B2 (en) 2015-03-13 2018-04-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using in-situ activation of manganese dioxide catalyst
CN106311135A (zh) * 2016-08-22 2017-01-11 青岛引黄济青水务有限责任公司 一种去除水中氟离子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1101330A3 (ko) * 2019-11-22 2021-07-15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수처리용 산화 반응 촉매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응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01801B2 (en) 2019-02-12
WO2015199389A1 (ko) 2015-12-30
US20170144129A1 (en)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 et al. An overview of nanomaterials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Nidheesh Graphene-based materials supported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a review
Jun et al. Enhanced sonocatalytic degradation of carbamazepine and salicylic acid using a metal-organic framework
Zhang et al. Nanomaterials-enabled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Bello et al. Synergy of adsorption and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in recalcitrant wastewater treatment
Bagheri et al. Photocatalytic pathway toward degradation of environmental pharmaceutical pollutants: structure, kinetics and mechanism approach
Singh et al. A study on nanomaterials for water purification
Bagheri et al. Removal of pharmaceutical compounds from hospital wastewaters using nanomaterials: a review
Mohmood et al. Nanoscale materials and their use in water contaminants removal—a review
Nava-Andrade et al. Layered double hydroxides and related hybrid materials for removal of pharmaceutical pollutants from water
Sheoran et al. Recent advances of carbon-based nanomaterials (CBNMs) for wastewater treatment: Synthesis and application
KR101473923B1 (ko) β-이산화망간 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Opoku et al. Metal oxide polymer nanocomposites in water treatments
KR101386599B1 (ko)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Prakruthi et al. Recent advances in photocatalytic remediation of emerging organic pollutants using semiconducting metal oxides: an overview
Liu et al. Potential of carbon nanotubes in water treatment
Zhao et al. Hydrogenated graphene as metal-free catalyst for Fenton-like reaction
KR101473924B1 (ko) 생물유래 망간산화물 나노입자와 활성탄의 융합 수처리제와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지하수 현장처리 장치
Kumar et al. Removal of heavy metals and radionuclides from water using nanomaterials: current scenario and future prospects
Lee et al. Facet-induced charge transfer and photocatalytic performance of an S-scheme hybrid heterojunction composed of porous g-C3N4 nanosheets and WO3 nanorods with exposed high-energy (0 0 1) facets
Jusoh et al. Nanomaterial for inorganic pollutant remediation
Bhanvase et al. Nanomaterials for wastewater treatment: concluding remarks
Kozub et al. Treatment schemes–conventional and dedicated for PhACs treatment
Chandrasekar et al. Graphene-Based Materials in Effective Remediation of Wastewater
Desireddy et al. Emerging Contaminants Removal from Wastewater by Nanotechnological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