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489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489B1
KR101473489B1 KR1020080044085A KR20080044085A KR101473489B1 KR 101473489 B1 KR101473489 B1 KR 101473489B1 KR 1020080044085 A KR1020080044085 A KR 1020080044085A KR 20080044085 A KR20080044085 A KR 20080044085A KR 101473489 B1 KR101473489 B1 KR 10147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unit function
unit
execution sequence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350A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4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48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위 기능 표시 단계,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위 기능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실행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하는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 기능을 설정할 수 있고, 제공되는 단위기능과 사용자가 설정한 단위기능을 조합하여 다양한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기능 실행 시퀀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스케줄, 단위 기능, 기능 실행 시퀀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Method of Scheduling for Mobile Equipment Functions}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 실행 시퀀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기기들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사용자 입력 장치로는 아직까지도 고정적인 매트릭스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key pad)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정보기기에 컬러 및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채용되고, 외형적으로도 슬림화, 소형화가 진행되는 중에도 사용자 입력 장치의 경우에는 종래의 키패드 형태의 입력 장치에서 큰 변화가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키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으로 최근 생산되는 정보기기들의 상당수는 터치패드(touch pad)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터치 방식 인터페이스 장치의 비용절감 및 종래의 터치 방식 인터페이스 장치들의 낮은 신뢰성과 수명의 문제가 해결된 결과이다.
터치패드(touch pad)는 압력 감지기가 달려 있는 평판으로서,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 접촉하면 압력을 감지하여 화면의 지시자가 움직이고 이 위치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한다.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한 점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패드의 역할을 겸하는 장치를 터치스크린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방식의 입력 장치들에는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초음파전도(SAW: Surface Acoustic Wave)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및 압전 방식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이들 중, 터치스크린에는 투과율이 높고 반응속도가 빠르며 내성이 우수하여 작동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압력식 저항막 방식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채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화면상에 출력되는 내용과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의 대화적이고 즉시적인 대응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채로운 형태의 입력이 가능하여 높은 사용자 만족도와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고정적인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와 같은 정형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에 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출력장치와 입력장치를 일체화시키는 개념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특히, 종래의 저해상도 숫자 및 문자로 구성된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에서 고해상도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로 변화되어 가면서, 그래픽 기반의 객체를 통한 입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 고, 키패드를 대체할 경우에는 키패드 설치면적을 생략 가능하므로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정보기기에서 상대적으로 대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진다는 장점 또한 가진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 멀티터치(multi touch)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멀티터치 기술이란 두 개 이상의 터치를 동시에 인식하는 기술로서, 두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터치 기술은 종래 한 손가락에 의한 단순한 터치 기술보다 스크롤(scroll),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패닝(panning) 등 더 많은 기능을 구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단순히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통해 단순히 아이템의 선택하는 등의 동작을 넘어서서,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가 고유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경우, 이 고유한 패턴을 구별하여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동작이 일련의 정하여진 방향성으로 궤적을 그리거나(예컨대, 오른쪽으로 그어지는 직선, 위쪽으로 이어지는 직선), 정하여진 방향성의 패턴으로 궤적의 변화가 생기거나(예컨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그려지는 원형 궤적), 정하여진 도형의 형상(예컨대, 'O', 'X' 등)을 그리거나, 정해진 방향성을 가지는 직선 및/또는 곡선의 조합(예컨대, 'ㄱ' 자 형태, 'ㄴ' 자 형태)을 이루는 경우 등에 있어서, 터치 입력의 패턴을 고유하게 식별해낼 수 있다.
다만, 상기의 터치스크린 관련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 및 내용 즉, 다양한 콘텐트(Contents)의 개발에는 한계가 있는 실 정이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요구에 맞게 기능을 스케줄링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은 현재까지도 전무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일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단위 기능들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위 기능 표시 단계,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위 기능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실행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하는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은 전화 걸기, 전화 번호 입력, 주소록 편집, DMB 시청, SMS 송신, MMS 송신,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및 이미지 편집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은 이후의 단위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판단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은 상기 기능 실행 시퀀스를 구성하는 단위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을 포함하는 반복 실행 구 간 및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반복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위 기능 표시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위 기능 선택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실행 순서에 따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단위 기능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위 기능 설정 단계는 설정하고자 하는 해당 기능 메뉴 화면, 해당 기능 메뉴에 도달하기 위한 키 입력 조합 및 해당 기능 실행 화면 중 어느 하나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 기능을 설정할 수 있고, 제공되는 단위기능과 사용자가 설정한 단위기능을 조합하여 다양한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기능 실행 시퀀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 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은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위 기능 표시 단계(S110),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위 기능 선택 단계(S120)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실행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하는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단위 기능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위 기능 표시 단계(S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단위 기능 중에서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단위 기능 아이콘을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 표시되는 단위 기능 아이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위 기능이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기능으로서 다른 기능과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은 단위 기능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을 말한다.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 표시된 단위 기능 아이콘들은 단위 기능 선택 단계(S120)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 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위 기능 선택 단계(S120)는 단위 기능 표시 단계(S110)에서 화면에 표시된 단위 기능 아이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단위 기능 아이콘은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서 복사되어 단위 기능 선택 창 화면에 표시된다. 단위 기능 아이콘의 선택 동작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에서, 단위 기능 선택 창 화면은 선택된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단위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창 화면을 말한다. 상기 단위 기능 선택 창 화면은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선택된 단위 기능 아이콘은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S130)에서 기능 실행 순서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실행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하는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S130)는 단위 기능 선택 단계(S120)에서 선택된 단위 기능 아이콘을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기능 실행 시퀀스의 생성은 기능 실행 시퀀스 창 화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능 실행 시퀀스 창 화면은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단위 기능 아이콘들을 배치한 화면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표시 단계의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위 기능 표시 단계(S110)에서는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단위 기능 아이콘을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 표시하여 사 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단위 기능 아이콘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단위 기능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 표시된 단위 기능 아이콘은 단위 기능 선택 단계(S120)에서 선택 가능한 단위 기능 아이콘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면, 단위 기능은 전화 번호 입력, 전화 걸기, 주소록 편집, DMB 시청, SMS 송신, MMS 송신, 알람 설정, 벨소리 검색,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이미지 편집, 판단 기능 및 반복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 기능은 판단 기능 및 반복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단위 기능 아이콘은 단위 기능 표시 단계(S110)에서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 표시되며,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선택 단계의 단위 기능 선택 창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위 기능 선택 단계(S120)는 상기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먼저, 단위 기능 표시 단계(S110)에서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 표시한 단위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여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방식으로 단위 기능 선택 창 화면으로 복사할 수 있다. 단위 기능 선택 창으로 선택된 각각의 단위 기능 아이콘은 기능 실행 시퀀스에서 독립적으로 작용하므 로 복수 횟수에 걸쳐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단위 기능 선택 창 화면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택된 단위 기능 아이콘은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S130)에서 기능 실행 순서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단위 기능 표시 창 화면에 표시된 '사진 촬영', '판단 기능', '이미지 편집' 및 'MMS 송신' 등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방식으로 단위 기능 선택 창 화면으로 복사하여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되어 단위 기능 선택 창 화면에 표시된 '사진 촬영', '판단 기능', '이미지 편집' 및 'MMS 송신' 등에 대응되는 단위 기능 아이콘은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S130)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의 기능 실행 시퀀스 창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S13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실행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상기 단위 기능 선택 단계(S120)에서 선택된 단위 기능 아이콘을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분기를 만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 할 수 있다. 배치가 끝난 단위 기능 실행 시퀀스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중에 기능 실행 시퀀스의 첫 번째 기능이 실행되면, 자동적으로 기능 실행 시퀀스의 다음 단계의 단위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단위 기능의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실행 시퀀스의 생성은 기능 실행 시퀀스 창 화 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기능 실행 시퀀스 창 화면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위 기능 선택 단계(S120)에서 선택된 '사진 촬영', '판단 기능', '이미지 편집' 및 'MMS 송신' 등의 단위 기능 아이콘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위 기능 아이콘과 화살표를 이용하여 배치한다. 먼저, '사진 촬영' 단위 기능 아이콘을 배치하고, 이어서 '판단 기능' 단위 기능 아이콘을 배치하고, 두 개의 분기를 형성하여 한 쪽 분기에는 '이미지 편집' 단위 기능 아이콘을 배치하고, 다른 쪽 분기에는 'MMS 송신' 단위 기능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경우에, 기능 실행 시퀀스의 실행 시에는 '판단 기능'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촬영한 사진을 '이미지 편집' 단위 기능 또는 'MMS 송신' 단위 기능으로 두 가지의 분기를 가지고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중에서 판단 기능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판단 기능' 단위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실행 시퀀스를 유용하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위 기능만으로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분기의 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분기를 가지지 않거나,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분기를 가질 수 있다. 분기를 이용하여 조건이 있는 기능 실행 시퀀스 등의 구현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S130)에서 '사진 촬영' 단위 기능을 설정하고, 이어서 '판단 기능' 단위 기능을 설정한 후에, 왼쪽 분기로는 '이미지 편집' 단위 기능을 배치하고, 오른쪽 분기로는 'MMS 송신' 단위 기능을 배치하여,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중에 '사진 촬영' 단위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생성된 기능 실행 시퀀스에 따라 다음 단위 기능인 '판단 기능' 단위 기능이 실행되며, '판단 기능' 단위 기능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촬영된 사진을 편집하기 위한 '이미지 편집' 단위 기능을 선택하거나 촬영된 사진을 편집하지 아니하고 타인에게 송신하기 위하여 'MMS 송신' 단위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진 촬영'이라는 단일의 단위 기능 실행에도 두 가지의 선택 가능한 분기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기능 실행 시퀀스를 만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중에서 반복 기능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복 기능' 단위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실행 시퀀스를 유용하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반복 기능' 단위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한 일정한 구간내의 단위 기능을 정해진 횟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반복 구간은 기능 실행 시퀀스 전체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S130)에서 '사진 촬영' 단위 기능을 설정하고, 이어서 '판단 기능' 단위 기능을 설정한 후에, 왼쪽 분기로는 '이미지 편집' 단위 기능을 배치하고, 오른쪽 분기로는 'MMS 송신' 단위 기능을 배치하여,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복 기능' 단위 기능을 설정하여, '사진 촬영' 단위 기능부터 'MMS 송신' 단위 기능까지의 구간을 3회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기능 실행 시퀀스에 따라서 '사진 촬영' 단위 기능이 실행되면, '판단 기능' 단위 기능을 거쳐서 'MMS 송신' 단위 기능까지 3회에 걸쳐 반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반복 기능' 단위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 실행 시퀀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은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위 기능 표시 단계(S710),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위 기능 선택 단계(S720)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실행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하는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S730)에 추가적으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단위 기능 설정 단계(S7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기능 설정 단계(S74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능의 메뉴 화면에서 설정하거나, 해당 기능 메뉴에 도달하기 위한 키 입력의 조합을 이용하여 설정하거나, 해당 기능 실행 화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단위 기능은 단위 기능 표시 화면에 표시되고, 단위 기능 선택 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단위 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설정 단계의 단위 기능 설정 창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위 기능 설정 단계(S74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능의 메뉴 화면에서 설정하거나, 해당 기능 메뉴에 도달하기 위한 키 입력의 조합을 이용하여 설정하거나, 해당 기능 실행 화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단위 기능은 단위 기능 표시 화면에 표시되고, 단위 기능 선택 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단위 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기능 설정 단계(S74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 키 입력을 단위 기능 설정용 핫키(hot key)로 정의 한다. 해당 기능의 메뉴 화면에서 즉, '사진 촬영' 메뉴가 음영으로 나타나면 선택된 화면에서 '#' 키 입력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 기능을 단위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기능 메뉴에 도달하기 위한 메뉴 키, 즉, '메시지 작성' 단위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 '메뉴 + 7(메시지) + 2(메시지 작성)'을 입력한 후에 '#' 키 입력을 하여 설정할 수 있다. 더불어, 해당 기능 실행화면, 즉, 메시지 작성 화면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 키 입력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단위 기능들은 단위 기능 표시 단계에서 터치스크린 화면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표시 단계의 단위 기능 표시 창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선택 단계의 단위 기능 선택 창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의 기능 실행 시퀀스 창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중에서 판단 기능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중에서 반복 기능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기능 설정 단계의 단위 기능 설정 창의 예시도이다.

Claims (10)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단위 기능들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위 기능 표시 단계;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위 기능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실행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기능 실행 시퀀스를 생성하는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기능 선택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은 전화 걸기, 전화 번호 입력, 주소록 편집, DMB 시청, SMS 송신, MMS 송신,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및 이미지 편집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은 이후의 단위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판단 기능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은 상기 기능 실행 시퀀스를 구성하는 단위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을 포함하는 반복 실행 구간 및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반복 기능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능 표시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실행 시퀀스 생성 단계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기능 아이콘을 실행 순서에 따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단위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단위 기능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능 설정 단계는 설정하고자 하는 해당 기능 메뉴 화면, 해당 기능 메뉴에 도달하기 위한 키 입력 조합 및 해당 기능 실행 화면 중 어느 하나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KR1020080044085A 2008-05-13 2008-05-13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KR101473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085A KR101473489B1 (ko) 2008-05-13 2008-05-13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085A KR101473489B1 (ko) 2008-05-13 2008-05-13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350A KR20090118350A (ko) 2009-11-18
KR101473489B1 true KR101473489B1 (ko) 2014-12-16

Family

ID=4160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085A KR101473489B1 (ko) 2008-05-13 2008-05-13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5592A (zh) * 2021-09-29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功能组合方法、装置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350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8597B2 (en) Method for switching user interface,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EP2207342B1 (en) Mobile terminal and camera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US89356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KR100779174B1 (ko) 로테이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
KR100842547B1 (ko) 터치 센시티브 키패드를 갖는 이동 핸드셋 및 사용자인터페이스방법
US7450111B2 (en) Key functionality for communication terminal
EP2081107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etween two display unit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90289917A1 (en) Dynamic visual feature coordination in an electronic hand held device
JP5160337B2 (ja) 入力処理装置、入力処理方法、入力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891777B1 (ko) 터치 센시티브 스크롤 방법
JP2012505567A (ja) 開いているウインドウのライブプレビュー
JP2009266220A (ja) グラフィックメニューバーを操作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る記録媒体
KR20070091531A (ko) 이동 핸드셋에서의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이동 핸드셋
US9690391B2 (en) Keyboard and touch screen gesture system
KR20070091532A (ko) 이동 핸드셋을 사용하는 전화 번호 다이얼링 방법 및 그이동 핸드셋
US20120139845A1 (en) Soft key with main function and logically related sub-functions for touch screen device
CN101571786A (zh) 用户界面切换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子装置与存储介质
KR20070091528A (ko) 터치 센시티브 키패드에 의한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 핸드셋
WO2011055816A1 (ja) 情報端末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TWI362876B (en) Input unit, mobile terminal unit, and content data manipulation method in mobile terminal unit
KR100810215B1 (ko) 이동 핸드셋을 사용한 사진 촬영 방법 및 그 이동 핸드셋
KR1014734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JP2007202124A (ja) 入力装置およびこの入力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機器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におけるコンテンツデータの閲覧方法
US20090327966A1 (en) Entering an object into a mobile terminal
KR20140048756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