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668B1 -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668B1
KR101472668B1 KR1020130036810A KR20130036810A KR101472668B1 KR 101472668 B1 KR101472668 B1 KR 101472668B1 KR 1020130036810 A KR1020130036810 A KR 1020130036810A KR 20130036810 A KR20130036810 A KR 20130036810A KR 101472668 B1 KR101472668 B1 KR 10147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rame
string
cage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014A (ko
Inventor
김태호
오장영
황규석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66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프레임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강용 줄과 상기 보강용 줄의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 및 상기 줄의 고정을 위한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태풍 등 내습시 파랑 등에 의해 플라스틱 프레임이 파손되더라도 보강용 줄에 의해 가두리 시설이 일정 시간동안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태풍 등의 외력에 의한 가두리 시설의 피해와 전복, 어류 등 양식 생물의 폐사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Strengthen device for frame of cage facility}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두리 양식시설의 외곽을 보강용 줄로 고정하고 모서리 또는 발판이 교차되는 부분에 보강용 줄을 고정하기 위한 결속장치가 장착되며, 보강용 줄과 보강용 줄이 만나는 일정 부분에는 보강용 줄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를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에 설치하여, 태풍 등에 의한 가두리 시설의 피해를 방지시킬 수 있는 가두리 양식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식량 위기에 대응하여 양식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양식업은 수산 식량 공급의 주요 원천으로 역할이 높아져, 1980년대 세계 수산물 생산량의 6.5%에 불과하던 양식 생산량은 현재 40%에 육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미래 수산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건강한 양식 수산물의 양산 체제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며, 2011년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10대 전략 품목을 집중 육성하여 2020년까지 100억 달러 수출 달성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들 중 고부가가치 양식 품종인 전복, 해삼 등이 포함되어 있다.
가두리 양식장이라 함은 해수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를 한정된 공간에 가두고 인위적으로 양육하여서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시설물로서 수면 위에 떠있는 상태로 공간을 구획화하여 작업자가 걸어다닐 수 있는 이동통로가 형성된 구조물로서 설치하여 왔다.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용 구조물은 소정의 위치에 놓여지는 부구체들과 상기 부구체들의 상부 양측에 원통형의 파이프를 배치하고 상부에 발판유닛을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발판으로 구성되어서, 양식을 위한 공간을 구획하여 주는 기능과 이동통로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가두리 시설은 대부분 표층에 시설되어 있어 태풍, 폭풍 등 큰 파도에 매우 취약하며, 2011년 태풍 "무이파"와 2012년 태풍 "볼라벤" 및 "덴빈" 내습 시 완도, 해남 등 전남 서부 지역의 가두리 시설물의 파손과 그에 따른 양식생물의 피해가 막대하였다.
기존 가두리 시설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 프레임 구조 측면으로는 지름이 110mm 또는 125mm인 PE 파이프 밑에 부력 유지용 스티로폼 부자가 설치되어 있는 땟목형 구조로써 수면 위에 노출된 면적(부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파도나 바람에 의한 외력을 매우 많이 받는 구조이다.
폴리에틸렌(PE) 파이프는 재질의 특성상 유연성이 커서 파랑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으나 그 밑에 설치되는 스티로폼 부자의 경우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프레임의 구조상 파도를 흡수하는 형태가 아니다. 예를 들면 전복 가두리 양식 현장에서는 작업 및 어장 이용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2.4×2.4m 크기의 가두리 가로 20칸, 세로 4칸(총 80칸)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가 약 50×10m인 1개의 대형 구조물을 1개의 단위 시설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단면적이 너무 커서 파랑, 흐름 등에 의한 외력을 매우 많이 받는 구조이다.
특히, 단위 구조물의 길이와 파장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구조물이 파손되는데, 외양에서 큰 파도가 연안으로 밀려오는 경우 파장이 50m인 파랑이 대부분이므로 80칸 이상의 가두리가 집단적으로 연결, 계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태풍 등 큰 파랑이 작용하면 외력에 의해 연결된 가두리끼리 서로 충돌하여 프레임이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프레임의 무게가 너무 가볍기 때문에 태풍 등 큰 파랑이 내습하는 경우 파랑 에너지로 인해 프레임이 수면 위로 완전히 들려지기 때문에 파도가 프레임 위를 타고 넘어갈 수가 없는 구조이며, 이와 같은 구조적 특성 때문에 프레임이 파손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두 번째, 계류 시스템 측면으로는 가두리 시설에 작용하는 정확한 외력 산정을 통해 계류 시설의 배치와 재료 선정, 닻의 중량 등이 결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대부분 양식업자의 현장 경험에만 의존하여 계류 시스템이 설치되어 계류삭이 절단되거나 닻이 끌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특히, 계류삭이 절단되어 단위 구조의 가두리끼리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해안으로 밀려오면서 다른 구조물과 부딪혀서 2차적인 피해까지 발생되었다. 80칸 이상의 가두리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태풍이나 폭풍 등 큰 파랑이 가두리에 작용하면 가두리에 매우 큰 힘이 작용하며, 이 힘은 계류삭으로 곧바로 전달되는데, 기존 계류삭에는 이 힘을 완충시킬 수 있는 완충 장치(완충 부자, 체인 등)가 전혀 부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과도한 장력에 의해 계류삭이 절단(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계류삭이 가두리 프레임에 바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대한 계류삭의 완충 작용이 매우 약해서 큰 파랑이 작용하면 계류삭이 절단되거나 또는 가두리 양식 시설의 프레임이 변형되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 프레임의 코너 또는 교차되는 부분에 로프 또는 체인 등의 보강용 줄과 상기 보강용 줄의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 및 상기 줄의 고정을 위한 결속장치를 설치하여, 적은 경비로 가두리 시설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고 태풍이나 폭풍 등에 의해 프레임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가두리 시설의 형태를 유지시켜 양식 시설을 보호할 수 있는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2534호에는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 파이프가 쌍으로 삽입되도록 삽입공을 형성하고, 연결파이프의 상부에 발판이 삽입되도록 인입구를 형성하며, 연결파이프와 발판을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볼트공을 형성한 연결 지지편과 볼트공을 형성한 발판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3096호에는 모든 접속관의 일측은 파이프와 열융착방식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고, 일부 접속관의 타측은 고정봉을 접속관과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한 후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고정봉과 접속관, 고정봉과 파이프사이를 체결하는 방식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2226호에는 가두리 양식장의 교차로나 코너부분에는 사방으로 파이프가 병렬로 만나는 부분으로써, 이 부분에 수평을 갖는 다수개의 십자형 연결구를 이용하면 종방향과 횡방향 파이프의 단차가 없이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가두리양식장의 교차로 부분에 사용되는 종·횡파이프의 연결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9060호에는 사각형의 가두리 양식장을 연속하여 제작하기 위하여 삽입관부 외측의 상하부 연결관부의 사이 공간에는 사방 모서리부에 로프구멍을 형성한 지지발판이 형성된 직교연결구와, 길이방향으로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관부의 양측방 상하부에 연결파이프 및 파이프가 삽입될 연결관부가 삽입관부와 직각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삽입관부 외부 양측의 상하부 연결관부의 사이 공간에는 사방 모서리부에 로프구멍을 형성한 지지발판이 일체로 형성된 교차연결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가두리 양식장의 교차로 또는 코너부분에 연결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단순히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순히 파이프와 파이프를 볼트 너트로 고정하기 때문에 상하좌우 외력에 약하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보강용 줄과 상기 보강용 줄의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 및 상기 줄의 고정을 위한 결속장치를 가두리 시설 프레임에 설치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태풍 등 내습 시 고파랑 등에 의해 플라스틱 프레임이 파손되더라도 보강용 줄에 의해 가두리 시설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효과와는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가두리 양식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는 보강용 줄과 상기 보강용 줄의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 및 상기 줄의 고정을 위한 결속장치로 구성되는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두리시설의 프레임 외곽을 감싸는 보강용 줄; 상기 보강용 줄의 일정부분에 위치하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 상기 보강용 줄의 끝단에는 결속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보강용 줄은 상부 보강용줄과 하부 보강용줄의 상하 이중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보강용 줄의 일정부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턴버클이나 탄성을 갖는고무볼, 스프링 장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보강용줄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가두리 시설 프레임의 코너와 중간 부분에는 상기 보강용 줄 결속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용 줄 결속장치의 파이프 부분에는 파단 방지용 덧대 및 보강용 줄 결속장치의 중앙부에는 버팀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이중구조의 덧대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용 줄 결속 장치에 계류용 밧줄 연결용 섀클이 부착되어 있으며, 가두리 시설의 플라스틱 프레임, 프레임 결속장치 및 계류 시설이 일체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는 로프 또는 체인 등의 보강용 줄과 상기 보강용 줄의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 및 상기 줄의 고정을 위한 결속장치로 구성되어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태풍 등 내습 시 고파랑 등에 의해 플라스틱 프레임이 파손되더라도 보강용 줄에 의해 가두리 시설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가두리 시설이 단단히 고정되어 가두리 내 그물의 흔들림이 적어 양식 어류에게 스트레스 및 상처 등을 방지하여 상품성이 향상되고, 적은 비용으로 태풍 등 외력에 의한 가두리 시설의 피해와 전복, 어류 등 양식 생물의 폐사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스틱 가두리 시설의 설치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시설 프레임 보강장치가 설치되는 가두리 양식장의 계류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의 모서리와 프레임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보강용 줄 결속장치의 조립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가 모서리와 프레임 중간 부분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의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가두리 양식 시설의 프레임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외곽을 감싸는 보강용 줄; 상기 보강용 줄과 보강용 줄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가두리 양식장 시설 프레임의 모서리와 중간 부분에는 상기 보강용 줄 결속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강용 줄은 상부 보강용줄과 하부 보강용줄의 상하 이중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보강용 줄의 일정부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턴버클이나 탄성을 갖는 고무볼, 스프링장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보강용줄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보강용 줄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의 일측에는 보강용 줄이 꼬이지 않도록 도래가 형성되며, 보강용 줄 결속장치는 상하부 보강용 줄이 통과할 수 있는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파이프 끝단에는 보강용 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덧대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용 줄 결속장치의 중앙부에는 상하부 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할 수 있는 버팀대가 설치되며, 보강용 줄 결속장치의 버팀대에는 가두리 양식장 계류용 밧줄을 연결하기 위한 섀클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와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스틱 가두리 시설의 설치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플라스틱 가두리 시설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 밑에 부력 유지용 스티로폼 부자가 설치되어 있는 땟목형 구조로서 수면 위에 노출된 면적(부력)이 넓어 파도나 바람에 의한 외력을 많이 받게 된다.
또한, 프레임의 무게가 가벼워 태풍 등 큰 파랑이 내습하는 경우 파랑 에너지로 인해 프레임이 수면 위로 완전히 들려 파도가 프레임 위를 타고 넘어갈 수가 없어 프레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다수개의 가두리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태풍이나 폭풍 등 큰 파랑이 가두리에 작용하면 가두리에 매우 큰 힘이 작용하고 이 힘은 계류삭으로 곧바로 전달되며, 기존 계류삭에는 이 힘을 완충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완충 부자, 체인 등)가 전혀 부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과도한 장력에 의해 계류삭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계류삭이 가두리의 프레임에 바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대한 계류삭의 완충 작용이 매우 약해서 큰 파랑이 작용하면 계류삭이 절단되거나 또는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이 변형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두리 양식시설은 정확한 외력 산정을 통해 계류시설의 배치와 재료 선정, 닻의 중량 등이 결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대부분 양식업자의 현장 경험에만 의존하여 계류 시스템이 설치됨에 따라 양식시설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계류형 밧줄이 절단되거나 닻이 끌리면서 단위 구조의 가두리끼리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해안으로 밀려오면서 다른 구조물과 부딪혀서 2차적인 피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시설 프레임 보강장치가 설치되는 가두리 양식장의 계류도를 나타낸다.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장치는 가두리 양식장 시설 프레임 외곽을 감싸는 보강용 줄; 상기 보강용 줄과 보강용 줄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가두리 양식장 시설 프레임의 모서리와 중간 부분에는 상기 보강용 줄 결속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가두리 양식시설은 발판 하부에 형성된 부자(뜸)를 매개로 상부에 2개의 파이프와 파이프 위에 올려지는 발판으로 구성되어 외력에 매우 취약한 반면,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시설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외주면을 보강용 줄로 고정하고 가두리 양식장 시설 프레임의 모서리와 중간 부분에 보강용 줄 결속장치를 장착함으로서 외력에 견고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가두리시설의 프레임 외곽을 감싸는 상부 보강용 줄과 하부 보강용 줄로 상하 이중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코너와 측면부분에는 보강용 줄과 연결되어 있는 보강용 줄 결속장치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양식시설의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풍 등 내습 시 고파랑 등에 의해 연결된 가두리끼리 서로 충돌하여 플라스틱 프레임이 파손되더라도 상기 프레임 결속 장치와 계류용 밧줄 및 보강용 줄에 의해 가두리 시설의 형상을 일정시간 동안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복, 어류 등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의 모서리와 프레임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보강용 줄 결속장치의 조립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가 모서리와 프레임 중간 부분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모서리 코너부분에 형성되는 보강용줄 결속장치는 상하 이중구조의 보강용 줄과 상기 보강용 줄이 통과될 수 있는 'ㄱ' 형태의 파이프가 상하 이중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를 포함하는 모서리 코너부분의 결속장치는 프레임의 테두리부분 중앙에 상하 이중구조의 보강용 줄과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는 외력 등에 의해 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ㄱ'형태의 파이프의 끝단과 끝단을 연결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결속장치를 구조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버팀대가 상하 파이프의 모서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하 이중구조의 파이프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버팀대 양옆에 수직방향의 연결 고정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용 줄 결속장치의 버팀대에는 가두리 양식장 계류용 밧줄을 연결하기 위한 섀클이 부착되어 있어, 양식어장 해저에 설치되는 닻이나 멍 등 고정부재와 연결하여 일정 해역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측면부분에 설치되는 결속장치는 가두리 양식시설을 구성하는 프레임 발판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며, 끝부분이 "¬" 형태의 구부러진 일자형 파이프가 상하로 마주보고 형성된다. 측면에 설치되는 결속장치는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결속장치와는 달리 양단의 길이가 동일하지 않고, 한쪽부분이 짧게 90도 각도로 구부러져 있는 형상을 갖는다.
짧게 구부러진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4개의 파이프로 설치되는 측면부분의 결속장치는 수평방향의 상단 보강용 줄이 상단 발판 하부로 통과되고, 수평방향의 하부 보강용 줄은 하단 발판과 부력재용 스티로폼 부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수직방향의 상하 보강용 줄은 수평방향의 보강용 줄과 연결되어 수직프레임 외곽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를 포함하는 프레임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결속장치는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 중앙에 상하 이중구조의 보강용 줄과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가두리 양식시설의 측면에 설치되는 결속장치는 일정면적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의 일부구획을 감싸는 보강용 줄과 이와 연결되는 다른 부분의 가두리 양식시설의 구획을 감싸는 보강용 줄을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4개의 보강용 줄을 통과시키기 위해 4개의 파이프 중앙에 버팀대를 매개로 연결되고, 버팀대 양옆으로 연결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상하 이중구조의 덧대를 연결 고정함으로써 결속장치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시킨다.
특히, 버팀대 일측에는 계류용 밧줄을 연결할 수 있는 'U'자형 섀클이 부착되어 있으며, 가두리 시설의 플라스틱 프레임, 프레임 보강 결속장치 및 계류시설이 일체화 되어 구조적으로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 보강용 결속장치에 구성되어 있는 'U'자형 섀클에 계류형 밧줄을 연결하고 상기 계류형 밧줄을 해저지면에 연결된 닻줄과 연결하여 프레임을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큰 하중에 의해 PE 등 플라스틱 프레임이 파손된다 하더라도 프레임 보강용 줄과 보강용 줄 결속장치에 의해 가두리 시설이 유지될 수 있어 가두리 그물이 조류에 의해 변형되거나 용적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용 줄의 길이는 가두리의 프레임 길이와 같거나 여유를 갖도록 정하며, 상기 보강용 줄이 프레임 외각을 감싸 일체화 되도록 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태풍 등 내습 시 고파랑 등에 의해 플라스틱 프레임이 파손되더라도 보강용 줄에 의해 가두리 시설이 일정 시간 동안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용 줄의 재질은 해수, 자외선, 부식 등으로 부터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섬유로프,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로프에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보강용 줄의 길이가 늘어나서 상기 보강장치의 줄 길이가 프레임의 외주길이와 달라 구조적으로 일체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계류형 밧줄의 직경은 밧줄의 인장강도와 가두리양식장 시스템의 하중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재질은 내염성이면서 내식성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한 폴리프로필렌계열의 밧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저에 고정부재로 형성되는 닻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재질은 내식성이면서 내염성인 것을 사용하거나, 탄소강에 내식성 수지를 코팅 또는 라이닝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의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를 나타낸다. 보강용 줄이 끝나는 양단부분에는 보강용 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래가 설치되어 보강용 줄과 연결되며, 상기 도래와 도래 사이에는 보강용 줄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는 줄의 길이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턴버클을 설치하거나 탄성을 갖는 고무볼, 스프링 장치 등에 의한 별도의 보강용 줄 길이 조절용 탄성체를 설치하여 보강용 줄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는 필요에 따라 줄에 다수개 설치하여 사용자가 보강용 줄의 길이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한편, 합성섬유를 보강용 줄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보강용 줄 결속장치의 파이프를 통과한 줄은 끝단의 날카로운 부분에 로프가 지속적으로 쓸리게 되어 밧줄이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속장치의 파이프 끝단 부분에는 보강용 줄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한 덧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덧대는 아연 도금이 된 철제파이프의 끝단을 라운딩처리하거나, 파이프 끝단을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을 덧대어 코팅함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가두리 시설이 단단히 고정되어 가두리 내 그물의 흔들림이 적어 양식 어류에게 스트레스 및 상처 등을 방지하여 상품성이 향상되고, 적은 비용으로 태풍 등 외력에 의한 가두리 시설의 피해와 전복, 어류 등 양식 생물의 폐사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두리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는 로프 또는 체인 등의 보강용 줄과 상기 보강용 줄의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 및 상기 줄의 고정을 위한 결속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은 비용으로 태풍 등에 의한 가두리 시설의 피해와 양식 생물의 폐사량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식 어류에게 상처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어 성장과 육질의 향상됨으로써 상품성이 증대되어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10)

  1. 가두리 양식장 시설 프레임 외곽을 감싸는 상부 보강용 줄과 하부 보강용 줄로 이루어진 보강용 줄;
    상기 보강용 줄과 보강용 줄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가두리 양식장 시설 프레임의 모서리와 중간 부분에는 상기 상부와 하부 보강용 줄이 통과되는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파이프 끝단에는 보강용 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덧대가 형성된 보강용 줄 결속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보강용 줄 결속장치의 중앙부에는 상부와 하부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할 수 있는 버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턴버클, 탄성을 갖는 고무볼, 스프링 장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줄 길이 조절장치의 일측에는 보강용 줄이 꼬이지 않도록 도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줄 결속장치의 버팀대에는 가두리 양식장 계류용 밧줄을 연결하기 위한 섀클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가두리 양식장 시설 프레임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보강용 줄 결속장치는 "ㄱ"형태의 상하부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하부 파이프는 모서리를 버팀대로 연결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가두리 양식장 시설 프레임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보강용 줄 결속장치는 "¬" 형태의 상하부 파이프가 마주보고 형성되며, 상하부 파이프가 마주보는 중간에는 버팀대로 연결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 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36810A 2013-04-04 2013-04-04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KR101472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810A KR101472668B1 (ko) 2013-04-04 2013-04-04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810A KR101472668B1 (ko) 2013-04-04 2013-04-04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014A KR20140121014A (ko) 2014-10-15
KR101472668B1 true KR101472668B1 (ko) 2014-12-16

Family

ID=5199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810A KR101472668B1 (ko) 2013-04-04 2013-04-04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913B1 (ko) * 2021-09-06 2022-02-25 에스비비 주식회사 잘피묘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잘피밭 조성방법
KR102367914B1 (ko) * 2021-09-07 2022-02-25 에스비비 주식회사 해저암반의 백화현상 극복을 위한 해조류 재배용 모판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CN117356497A (zh) * 2023-10-23 2024-01-09 广东精铟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深海养殖网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977A (ja) * 1999-04-01 2000-10-10 Ube Nitto Kasei Co Ltd 浮体構造物
KR200215886Y1 (ko) * 1999-02-10 2001-03-15 김귀화 가두리용 로우프-삽입-파이프
KR200339060Y1 (ko) 2003-10-15 2004-01-16 (주)세진정밀 가두리양식장용 프레임 연결구
KR101197626B1 (ko) * 2009-10-29 2012-11-07 성신조선(주) 가두리 양식 장치용 보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886Y1 (ko) * 1999-02-10 2001-03-15 김귀화 가두리용 로우프-삽입-파이프
JP2000280977A (ja) * 1999-04-01 2000-10-10 Ube Nitto Kasei Co Ltd 浮体構造物
KR200339060Y1 (ko) 2003-10-15 2004-01-16 (주)세진정밀 가두리양식장용 프레임 연결구
KR101197626B1 (ko) * 2009-10-29 2012-11-07 성신조선(주) 가두리 양식 장치용 보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014A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9019B (zh) 一种藻类鱼类混合型立体生态鱼礁及其投放方法
CN103538707B (zh) 一种兼具浮式人工鱼礁的垂钓平台
KR101472668B1 (ko) 가두리 양식시설의 프레임 보강장치
EP3704935A1 (en) Cleaner fish habitat support apparatus
CN101288385B (zh) 一种适用于泥沙底海域的底播式海水养殖设施
CN108207714A (zh) 漂浮式原位珊瑚卵收集及孵化装置
KR100761009B1 (ko) 유선형 격판을 구비하는 사각형 인공어초
CN114128654B (zh) 近海深水区潮间带式多营养层水产养殖网田及养殖方法
KR101216298B1 (ko) 투하고정식 양식용 구조물
KR200317831Y1 (ko) 가두리 양식장 브라켓
CN104429911A (zh) 一种自动升降式藻床系统及其人工藻场构建方法
CN204119997U (zh) 一种曼氏无针乌贼受精卵放流装置
CN204443884U (zh) 一种驱鸟装置
CN208807369U (zh) 加强型深海养殖网箱
WO2017075727A1 (es) Sistema reticulado de fondeo para acuicultura
JP6835341B1 (ja) 海藻漁場の造成方法
CN102239816A (zh) 养殖用圆柱形铜合金网衣网箱
CN109220890A (zh) 一种带有鸟栖架的湖泊浮动式人工鱼礁
KR101613850B1 (ko)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CN104429892B (zh) 一种人工构建的礁体
CN219237314U (zh) 一种植物生境浮岛
CN112335594A (zh) 一种防洪涝水产流失用养殖塘拦挡结构
CN206324016U (zh) 一种用于深海的养殖网箱
KR101253879B1 (ko)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RU171567U1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аквакультур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