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879B1 -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 Google Patents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879B1
KR101253879B1 KR1020100136583A KR20100136583A KR101253879B1 KR 101253879 B1 KR101253879 B1 KR 101253879B1 KR 1020100136583 A KR1020100136583 A KR 1020100136583A KR 20100136583 A KR20100136583 A KR 20100136583A KR 101253879 B1 KR101253879 B1 KR 10125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frame
buoy
seaweed
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672A (ko
Inventor
박광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6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8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의 조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은, 폐루프 형상의 프레임 로프부와, 상기 프레임 로프부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로프부를 지지하도록 해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부와, 상기 프레임 로프부를 가로지르는 중간 로프부와, 상기 중간 로프부와 상기 프레임 로프부 사이에 위치하고, 해조류 묘조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묘조 부착 로프 및 적어도 한 수평층의 묘조 부착 로프와, 상기 프레임 로프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이(buoy)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SEAWEED FARMING STRUCTURE}
본 발명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해조류를 생육시키기 위한 해조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슬래그 구조물과 로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에 관한 것이다.
인공 해조(人工 海藻)는 화학섬유를 이용하여 잎모양의 해조를 모방한 가공품으로서, 내만(內灣)의 거머리말대(帶)나 모자반, 감태, 대황 등이 번성하는 조장(藻場)은 어패류의 산란장이나 치어, 자어의 성육장으로 이용된다.
이처럼 해조가 생육하지 않는 해저에 폴리에틸렌 등의 화학섬유로 만든 해조모양의 가공물을 설치하여 조장을 인공적으로 형성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제철소에서 배출되는 슬래그(slag)를 이용하여 해조장을 조성함으로써, 자원 재활용률을 향상시키는 것과, 해조장에 의한 이산화탄소 제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해조장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철소에서 배출되는 슬래그(slag)를 이용하여 해조장을 조성함으로써, 자원 재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해조장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주로 로프를 이용해 해조류 서식을 고밀도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은, 폐루프 형상의 프레임 로프부; 상기 프레임 로프부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로프부를 지지하도록 해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부; 상기 프레임 로프부를 가로지르는 중간 로프부; 상기 중간 로프부와 상기 프레임 로프부 사이에 위치하고, 해조류 묘조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묘조 부착 로프; 및 상기 프레임 로프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이(buoy)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로프부는 제1 로프와 상기 제1 로프와 연결되는 제2 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이는 상기 제1 로프와 상기 제2 로프가 만나는 에지(edge)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 로프부는 상기 제2 로프와 연결되며, 상기 묘조 부착 로프는 일측과 타측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은 제1 로프와 연결되고, 상기 타측은 상기 중간 로프와 연결된다.
삭제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제철소에서 배출되는 슬래그를 이용하여 해조장을 조성함으로써 자원 재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해조장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조장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조장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을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조장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조장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10)은 프레임 로프부(100), 앵커부(211), 중간 로프부(301), 해조류의 묘조가 부착되는 묘조 부착 로프(311), 제1 부이(4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 로프부(100)는 해조장(10)의 본체를 이룬다. 프레임 로프부(100)는 폐루프 형상일 수 있다. 즉, 프레임 로프부(100)는 고리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로프부(100)는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폐루프 형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로프부(100)는 제1 로프(101)와 제2 로프(2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로프부(100)가 장방형으로 형성될 경우, 제1 로프(101)는 장변을 제2 로프(102)는 단변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로프(101, 102)는 파도에 의해서도 절단되지 않는 내파성()과 해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내부식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로프(101)와 제2 로프(102)는 합성 펄프, 합성 플라스틱 또는 합성 섬유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로프(101, 102)는 24mm 내지 30mm 정도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제1 및 제2 로프(101, 102)의 두께가 24mm 내지 30mm인 경우, 해수 환경에서 프레임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 즉, 내파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내파성을 확보한 가운데 경제성도 확보될 수 있다. 즉, 내파성과 경제성은 일종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일 수 있는데, 상기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로프(101, 102)의 내파성과 경제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앵커부(211)는 해수의 일정 공간에서 프레임 로프부(100)를 일정 상태로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 로프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앵커부(211)의 일측은 프레임 로프부(100)와 연결되고, 타측은 해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로프부(100)가 장방형으로 형성될 경우, 앵커부(211)는 프레임 로프부(100)의 각 모서리, 즉 에지(edge)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에지부에는 2개의 앵커부(211)가 연결되어, 프레임 로프부(100)를 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앵커부(211)는 앵커 연결 로프(213)를 통해 프레임 로프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앵커 연결 로프(213)는 프레임 로프부(10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 연결 로프(213)는 프레임 로프부(100)가 위치하게 될 수심에 대해 2.5 내지 3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로프부(100)가 수심 2m 내지 3m에 위치할 경우, 앵커 연결 로프(213)의 길이는 5m 내지 9m일 수 있다. 파도나 해류에 의해 프레임 로프부(100)가 위치하는 수심이 변하게 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앵커 연결 로프(213)의 길이를 구성하면, 파도나 해류의 영향을 비교적 최소화 하면서, 해조류가 태양광 에너지의 이용을 극대화 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앵커부(211)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슬래그, 시멘트 및 소량의 석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앵커부(211) 형성용 주형에 상기 혼합물을 주입하여 건조시켜 앵커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조장(10)의 앵커부(211)는 제철 또는 제강시 잔존하는 슬래그를 이용하여 형성됨으로써, 슬래그의 재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어 친환경성의 해조장(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중간 로프부(301)는 프레임 로프부(100)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로프부(301)는 프레임 로프부(100)의 일측의 제2 로프(102)와 상기 일측과 마주하는 타측의 제2 로프(102)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로프(101)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간 로프부(301)는 프레임 로프부(100)의 중간 영역을 가로지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조장(10)의 이용 상황에 따라 프레임 로프부(100) 내의 중간 로프부(301)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중간 로프부(301)는 프레임 로프부(10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묘조 부착 로프(311)는 중간 로프부(301)와 프레임 로프부(100)의 제1 로프(10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묘조 부착 로프(311)는 일측과 타측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일측은 프레임 로프부(100)의 제1 로프(101)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타측은 중간 로프부(301)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묘조 부착 로프(311)가 해조장(10) 내에 2개 이상 포함될 경우, 묘조 부착 로프(311)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묘조 부착 로프(311)는 해조류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해조료의 광합성을 통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제거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즉, 해조장(10)이 대기중 이산화타소를 제거하는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해조장(10)내에 배치된 묘조 부착 로프(311) 간의 간격은 1m 내지 2.5m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묘조 부착 로프(311) 간의 간격이 1m 내지 2.5m인 경우, 해조장(10)에 조성되는 해조류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고, 밀식에 따른 광 저해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묘조 부착 로프(311)에는 다년생 해조류인 감태, 곰피, 대황, 미역, 다시마 등 갈조류의 묘조(21)가 부착될 수 있다. 묘조는 대략 10cm 내지 30cm 정도의 길이를 갖는데, 이러한 묘조(21)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묘조 부착 로프(311)는 프레임 로프부(100)보다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그러나, 묘조 부착 로프(311)도 프레임 로프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부이(buoy, 411)가 프레임 로프부(100)와 연결된다. 제1 부이(411)는 해조장(10)의 프레임 로프부(100)가 일정한 수심에 위치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제1 부이(411)는 제1 부이 연결 로프(413)을 통해 제1 로프(101)와 제2 로프(102)가 만나는 프레임 로프부(100)의 에지(edge)부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부이(411)는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부이(411)기 해수면에 부유할 수 있으면, 어떤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상관없다. 제1 부이(411)는 내부가 비거나 찬 구형의 형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해조장(10)은 제2 부이(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이(421)는 제1 부이(411)를 보조하여 해조장(10)의 프레임 로프부(100)가 일정한 수심에 위치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도나 해류의 영향을 비교적 최소화 하면서, 해조류의 묘조(21)가 태양광 에너지의 이용을 극대화 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제2 부이(421)는 제1 부이(411)를 보조하는 것으로, 제2 부이(421)의 체적은 제1 부이(411)의 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이(411)가 400L의 체적을 갖는 경우, 제2 부이(421)는 100L의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이(411)의 체적과 제2 부이(421)의 체적은 해조장(10)의 크기나 해조장(10)이 위치할 수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부이(421)는 제2 부이 연결 로프(423)를 통해 제1 로프(101)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부이(421)는 다수개가 제1 로프(101)에 연결될 수 있는데, 각각의 제2 부이(421)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로프(10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이(421)가 배치되는 간격은 해조장(10)의 크기나 해조장이 위치할 수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부이(421)는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부이(421)기 해수면에 부유할 수 있으면, 어떤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상관없다. 제2 부이(421)는 내부가 비거나 찬 구형의 형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해조장(10)은 제3 부이(4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이(431)는 제1 및 제2 부이(411, 421)를 보조하여 해조장(10)의 프레임 로프부(100)가 일정한 수심에 위치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3 부이(431)는 중간 로프부(301)가 일정한 수심에 위치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도나 해류의 영향을 비교적 최소화 하면서, 해조류의 묘조(21)가 태양광 에너지의 이용을 극대화 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제3 부이(431)는 제1 및 제2 부이(411, 421)를 보조하는 것으로, 제3 부이(431)의 체적은 제2 부이(421)의 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이(421)가 100L의 체적을 갖는 경우, 제3 부이(431)는 20L의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이(421)의 체적과 제3 부이(431)의 체적은 해조장(10)의 크기와 해조장(10)이 위치할 수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3 부이(431)는 제3 부이 연결 로프(433)를 통해 중간 로프부(301)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3 부이(431)는 다수개가 중간 로프부(301)에 연결될 수 있는데, 각각의 제3 부이(431)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중간 로프부(30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이(431)가 배치되는 간격은 해조장(10)의 크기나 해조장(10)이 위치할 수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3 부이(431)는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부이(431)기 해수면에 부유할 수 있으면, 어떤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상관없다. 제3 부이(431)는 내부가 비거나 찬 구형의 형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해조장(10)은 무게추(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221)는 앵커부(211)를 보조하여 해조장(10)의 프레임 로프부(100)가 일정한 수심에 위치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도나 해류의 영향을 비교적 최소화 하면서, 해조류의 묘조(21)가 태양광 에너지의 이용을 극대화 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무게추(221)는 프레임 로프부(100)의 제1 로프(10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게추(221)의 일측은 제1 로프(101)와 연결되고, 타측은 해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무게추(221)는 무게추 연결 로프(223)를 통해 프레임 로프부(100)의 제1 로프(101)와 연결될 수 있다. 무게추 연결 로프(223)는 프레임 로프부(10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무게추 연결 로프(223)는 프레임 로프부(100)가 위치하게 될 수심에 대해 2.5 내지 3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로프부(100)가 수심 2m 내지 3m에 위치할 경우, 무게추 연결 로프(223)의 길이는 5m 내지 9m일 수 있다. 파도나 해류에 의해 프레임 로프부(100)가 위치하는 수심이 변하게 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무게추 연결 로프(223)의 길이를 구성하면, 해조장(10)에 대한 파도나 해류의 영향을 비교적 최소화할 수 있다.
무게추(221)는 앵커부(211)와 동일하게 예를 들어, 슬래그를 주성분으로 하여 시멘트 및 소량의 석회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해조장(10)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황토 벽돌로 형성된 중층 부이(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층 부이(435)는 제1 로프(101) 또는 중간 로프부(30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중층 부이(435)는 다수개가 포함될 수 있는데, 각각의 중층 부이(435)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로프(101) 또는 중간 로프부(30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중층 부이(435)가 배치되는 간격은 해조장(10)의 크기나 해조장이 위치할 수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제철소에서 배출되는 슬래그를 이용하여 해조장을 조성함으로써 자원 재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해조장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해조장 100: 프레임 로프부
211: 앵커부 301: 중간 로프부
311: 묘조 부착 로프 411: 제1 부이
421: 제2 부이 431: 제3 부이
435: 중층 부이 231: 무게추

Claims (6)

  1. 폐루프 형상의 프레임 로프부;
    상기 프레임 로프부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로프부를 지지하도록 해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부;
    상기 프레임 로프부를 가로지르는 중간 로프부;
    상기 중간 로프부와 상기 프레임 로프부 사이에 위치하고, 해조류 묘조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묘조 부착 로프; 및
    상기 프레임 로프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이(buoy)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로프부는 제1 로프와 상기 제1 로프와 연결되는 제2 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이는 상기 제1 로프와 상기 제2 로프가 만나는 에지(edge)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 로프부는 상기 제2 로프와 연결되며,
    상기 묘조 부착 로프는 일측과 타측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은 제1 로프와 연결되고, 상기 타측은 상기 중간 로프와 연결되는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묘조 부착 로프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될 경우, 각각의 상기 묘조 부착 로프간의 간격은 1m 내지 2.5m인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부이보다 체적이 작은 복수의 제2 부이(buoy)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2 부이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로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로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부이보다 체적이 작은 복수의 제3 부이(buoy)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3 부이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중간 로프부이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KR1020100136583A 2010-12-28 2010-12-28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KR10125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583A KR101253879B1 (ko) 2010-12-28 2010-12-28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583A KR101253879B1 (ko) 2010-12-28 2010-12-28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672A KR20120074672A (ko) 2012-07-06
KR101253879B1 true KR101253879B1 (ko) 2013-04-16

Family

ID=4670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583A KR101253879B1 (ko) 2010-12-28 2010-12-28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1224A (zh) * 2016-02-03 2016-09-28 合肥学院 固定网箱用拼装式水泥墩锚系统
KR101941918B1 (ko) 2017-04-28 2019-04-12 제주해양연구소 주식회사 해조류 로프의 설치가 간편한 수중 저연승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860Y1 (ko) 2000-09-29 2001-04-16 김연영 모자반과 해초류의 양식 장치
KR200284605Y1 (ko) 2002-05-03 2002-08-05 최승국 수산물의 양식장치
KR20060132142A (ko) * 2005-06-17 2006-12-21 지. 월드건설 주식회사 해조장 조성용 인공어초
KR100872496B1 (ko) 2006-11-23 2008-12-10 대한민국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860Y1 (ko) 2000-09-29 2001-04-16 김연영 모자반과 해초류의 양식 장치
KR200284605Y1 (ko) 2002-05-03 2002-08-05 최승국 수산물의 양식장치
KR20060132142A (ko) * 2005-06-17 2006-12-21 지. 월드건설 주식회사 해조장 조성용 인공어초
KR100872496B1 (ko) 2006-11-23 2008-12-10 대한민국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672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60982B (zh) 一种混水海区的大型海藻人工藻场及其构建方法
CN203968948U (zh) 海底流沙环境珊瑚移植礁基
KR100872496B1 (ko)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CN203575278U (zh) 一种大型海藻养殖筏架
KR101002567B1 (ko) 해삼 양식용 인공 어초
JP6566391B2 (ja) 浮魚礁
CN102499160B (zh) 一种悬浮延绳式水产养殖设施及方法
CN102657124A (zh) 一种浮动框架式粘性卵立体人工鱼巢
CN206251751U (zh) 组合式人工鱼礁
CN105900865A (zh) 立体生态养殖人工鱼礁
CN104429911B (zh) 一种自动升降式藻床系统及其人工藻场构建方法
CN203775866U (zh) 一种浅海立体浮式藻床装置
KR101253879B1 (ko) 해조류 생육용 해조장
CN101849519A (zh) 近海浮绳式网箱系统
CN104839006B (zh) 一种鼠尾藻的围堰增殖方法
CN101569273B (zh) 一种湖泊深水区近水面高大挺水植物种植的装置
CN204138428U (zh) 一种生态浮床的消浪助浮装置
CN201962124U (zh) 一种人工漂浮湿地
KR101788562B1 (ko) 부력부재를 이용한 다기능 부어초
CN104429912B (zh) 一种海黍子增殖礁及使用方法
KR20140056687A (ko) 해삼 양식용 인공어초
JP2002315459A (ja) 海藻育成装置による浮藻場
CN205241360U (zh) 用于深水湖泊沉水植物种植的悬浮床系统
CN207443989U (zh) 一种浮体及利用浮体进行生态养鱼和净化水质的装置
KR101613850B1 (ko)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