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565B1 -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565B1
KR101472565B1 KR1020130105091A KR20130105091A KR101472565B1 KR 101472565 B1 KR101472565 B1 KR 101472565B1 KR 1020130105091 A KR1020130105091 A KR 1020130105091A KR 20130105091 A KR20130105091 A KR 20130105091A KR 101472565 B1 KR101472565 B1 KR 10147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primo
light
electron beam
ultraviole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소광섭
박수연
김정대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5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6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ner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2Devices for locating such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2005/0612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using probes penetrating tissue; interstitial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61N2005/063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using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모 순환계(Primo-vascular system)에서 프리모 마이크로셀을 자외선으로 자극하여 상기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흐름과 활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노화 또는 질병으로 손상된 조직에 프리모 마이크로셀이 분화된 조직세포가 보충되어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모노드(경혈, 아시혈)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인체의 프리모 순환계를 흐르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이 자외선을 조사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운동을 더욱 활발하게 하여 조직 재생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에 ALS(루게릭병) 등 세포 조직에 의한 난치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신경이나 근육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INVASIVE ILLUMINATION DEVICE FOR THE ACTIVATION OF PRIMO-MICROCELL}
본 발명은 프리모 마이크로셀(Primo-microcell)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빛 조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단에서 자외선이 방출되는 탐침을 구비하며, 탐침을 피부 표면에 침습시켜 자외선을 조사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빔방출부를 더 포함하되, 전자빔방출부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피부 내 영상을 획득하며, 상기 영상에 근거하여 프리모노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프리모노드의 위치에 해당하는 피부의 표면에 탐침을 침습시켜 프리모노드에 355 ~ 375nm 파장영역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운동성을 활성화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장치는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이에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시간을 조절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과 뜸 등은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의료수단으로 사용되어 지금까지도 관심받고 행해지고 있으며, 근래에는 국외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이때 침과 뜸을 놓는 자리를 경혈(經穴)이라 하고, 경혈을 따라 이어나가는 선을 경맥(經脈)이라 한다. 이러한 경맥은 신체의 좌우 각각에 12개씩 24개로 이루어져 몸안의 장부를 다스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경맥 이외에도 경맥에서 갈라져 나와 신체 곳곳에 그물처럼 퍼져 있는 가지를 낙맥(絡脈)이라고 하며, 한의학에서는 경맥 및 낙맥을 통칭하여 경락이라 부른다.
이러한 경락은 전신에 그물망처럼 퍼져 있으며, 체내에서 각 장부들의 기능을 조절하는데, 경락을 통해 기(氣)가 순행하며, 기의 흐름이 막히거나 쌓이면 장부의 기능 이상과 질병을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장부의 기능 이상과 질병을 치료하는 수단이 침과 뜸인데, 상기 침과 뜸이 작용하는 근거에 대하여 여러 견해가 있다.
그 중 김봉한 박사의 '경락의 실태에 관한 연구(1961년 8월)'에서는, 경락(프리모) 시스템이 제3의 순환계로서 경락의 해부학적 실체가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김봉한 박사의 연구는 "봉한 학설"로 국내외에 널리 퍼져 한의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또한 김봉한 박사의 "봉한 학설"에 따르면 경혈(침자리)은 피부의 진피층에 계란 모양의 소체가 위치하는 자리로, 이 소체는 결합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겉질과 속질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아울러 소체의 주변과 내부에는 작은 혈관망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체는 봉한관에 의해 다른소체와 연결된다고 한다.
이하, "봉한 학설"에 따른 소체(봉한소체)를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봉한 학설에 따른 봉한소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모간(10), 표피층(20), 진피층(30), 봉한소체(40) 및 피하지방층(50)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봉한소체(40)는, 혈관망(41), 겉질(42), 산알(43), 속질(44), 표층 봉한관(45) 및 심층 봉한관(46)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봉한 네트워크(이하, 봉한관(45, 46)을 포함하는 봉한소체(40)를 "봉한 네트워크"라 지칭함)의 생리적 기능은 봉한관 속을 흐르는 액체에 의해서 행해지며, 이때 봉한액 속에는 공 모양 알갱이의 형태를 갖고 있는 산알(살아있는 알)이 봉한 네트워크를 흘러다니는데, 이때 산알은 DNA의 공 모양 알갱이라고 해석되기도 한다.
산알(43)은 봉한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손상된 조직이나 세포가 있는 곳에 이르면 세포를 재생하는 것으로, 이때 구성된 산알(43)은 세포화되기도 하고, 세포가 자체사멸(Apoptosis)되는 과정에서 산알(43)이 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알(43)은 봉한소체에서 빛을 받았을 때 재생기능이 활성화되며, 특히 355 ~ 375nm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했을 경우 운동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J International Society of life information Science, 23(2), 297-300, 2005, UV-A-Induced Activation of Bonghan Granules in Motion, Kwang-Sup SOH).
즉 김봉한 박사의 "봉한 학설"은, 경락이 신체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실체이며, 이에 따라 경락은 해부학적 조직이 별도로 존재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김봉한 박사의 연구 결과가 적절하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과학사상 통권47호 (2003 겨울) pp.68-88, 봉한 학설에서의 경혈과 경락의 실체, 소광섭).
한편, "봉한 학설"에 근거하는 경혈 탐색장치 및 침 치료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침 치료 장치와 관련하여 최근 한방 의학에서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광(光, 자외선, 적외선 및 레이저 등)을 조사할 수 있는 기기 또는 장비들을 이용하여 경락(經絡)을 자극하고 기(氣)와 혈(血)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광선 치료 요법을 사용하고 있다.
위의 광선 치료 요법은 대표적으로 비침습형 치료 요법과 침습형 치료 요법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광선을 피부의 표면에 직접 조사하여 빛을 경혈점까지 침투시키는 비침습형 치료 요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비침습형 치료 요법은, 피부 표면에 조사된 대부분의 광선이 피부 표면에서 반사 또는 산란되어 손실됨에 따라 광선이 경혈에 효율적으로 도달되지 못하므로 광선의 효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55 ~ 375nm 파장대의 자외선을 피부에 조사하는 경우, 자외선은 피부 내부에 1mm 이하로 투과되는데, 이는 피부의 진피층이 1mm ~ 4mm인 것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자외선이 피부의 진피층까지 투과될 수 없기 때문에 치료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탐침을 형성하고, 탐침을 피부 내에 침습시켜 광선을 조사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과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088490호에 광섬유에 금속을 전기 도금한 침습형 침 및 그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기술의 침습형 침은, 일단이 고분자 코팅이 제어되고 일단의 전체 또는 일부가 테이퍼 형상인 광섬유와, 광섬유의 외부 표면에 증착되고 전지 전도성을 갖는 제1층과 제1층의 외부 표면에 증착되는 금속 코팅층 및 광섬유의 상기 일단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금속 코팅층으로부터 광섬유의 코어까지 형성된 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금속 코팅된 광섬유 탐침을 이용한 침습 형태의 광섬유 침을 제공함으로써 금속 침에 대응되는 침지 효과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혈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낮은 출력의 반도체 레이저를 광원으로 이용하더라도 레이저 광선 치료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산알의 운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즉 봉한소체 내에 있는 산알에 광원을 조사하려면 봉한소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어야하는데, 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위치 감지에 관한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위의 기술은 침습되는 침의 교체에 관한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여러 피시술자가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 질병에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혹은 침습되는 침을 일회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산알에 광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피부 내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을 근거하여 봉한소체가 위치하는 피부의 표면에 탐침을 침습시키는 것으로, 봉한소체에 광원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나아가 355 ~ 375nm 파장대의 자외선 영역을 조사함으로써, 산알의 운동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더 나아가 피부에 침습되는 침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질병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88490호 (2011.11.24.)
소광섭, 봉한 학설에서의 경혈과 경락의 실체, 과학사상 통권47호 pp.68-88 (2003.12.11.) J International Society of life information Science, 23(2), 297-300, 2005, UV-A-Induced Activation of Bonghan Granules in Motion, Kwang-Sup SOH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탐침을 통해 프리모노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프리모노드가 위치하는 피부의 표면에 탐침을 침습하는 것으로, 프리모노드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을 집광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집광된 자외선을 탐침으로 입광(入光)되도록 유도하는 투과구를 마련하되, 투과구를 크리스탈로 형성하여 자외선의 산란 및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외선을 제공하는 제어장치에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탐침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는 탐침을 구비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수단과 발광수단으로부터 자외선을 입광하여 방출하며 피부에 침습되는 탐침이 구비되는 탐침장치; 발광수단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피부 내에 존재하는 프리모노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되, 탐침은 영상표시장치에서 표시된 영상에 근거하여 방출되는 자외선 범위에 프리모노드가 위치되도록 피부에 침습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피부에 조사되는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빔방출부; 전자빔방출부에서 방출되어 피부를 투과한 투과전자를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카메라부에서 획득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는, 영상으로 프리모노드의 정확한 위치 검출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프리모노드가 위치하는 피부의 표면에 탐침을 침습시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밀하고 신속하게 프리모노드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탐침으로 자외선의 입광을 유도하는 투과구를 크리스탈로 형성하기 때문에 탐침으로 입광되는 자외선이 투과구를 투과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산란 및 반사 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제어장치를 통해 프리모노드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치료목적에 맞춰 프리모노드에 적절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이에 따라 프리모관과 프리모노드를 통해 자전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Primo-microcell, 산알)의 위치를 파악하지 않아도, 프리모노드에 일정세기의 자외선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여 프리모 마이크로셀이 자외선을 조사받도록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탐침을 탐침장치와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탐침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위생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간에 탐침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질병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김봉한 박사의 봉한 학설에 따른 봉한 소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서 탐침장치가 피부 표면에 침습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서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화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서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프리모노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화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서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서 탐침장치가 피부 표면에 침습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의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예를 들어, 탐침장치 및 제어장치)을 주요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프리모노드의 위치를 검출하여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영상으료 표시하고, 프리모노드가 위치하는 피부의 표면에 침단을 침습시켜 프리모노드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프리모노드 내에 존재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이 자외선을 조사받을 수 있어서 프리모 마이크로셀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프리모 마이크로셀 활성화를 위한 빛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기재된 프리모 마이크로셀(Primo-microcell), 프리모관(Primo-vessel), 프리모노드(Primo-node)에 대해 설명한다.
프리모 마이크로셀(Primo-microcell)은, 김봉한 박사의 봉학 학설에서 의미하는 산알(살아있는 알)을 의미하는 것으로, 프리모 마이크로셀은 자전하면서 프리모관 및 프리모노드(이하, 프리모관 및 프리모 노드를 포함하는 단어를 "프리모 순환계"라 지칭함.)를 흐르며, DNA 알갱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리모 마이크로셀은 프리모 순환계(Primo-vascular system)를 흐르면서 노화 또는 질병에 따라 사멸된 세포를 대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리모관(Promo-vessel)은, 봉한 학설에서의 봉환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체에 존재하는 프리모노드를 연결하는 관을 의미한다.
프리모노드(Primo-node)는, 봉한 학설에서의 봉한소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도 1 참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리모노드에서 추출된 프리모 마이크로셀(Primo-microcell)은 355 ~ 375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받았을 때, 그 운동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진바 있다.
이는 프리모노드 내에서 355 ~ 375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받았을 때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운동성이 활발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프리모노드를 감지하여 상기 프리모노드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어야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자빔(Electro-Beam)을 방출하는 전자빔방출부, 전자빔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장치에서 획득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영상표시장치를 상술된 전자빔 이외에 다른 수단, 예를 들어 전류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는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 Microscope, SEM) 또는 원자간력을 이용해 영상을 획득하는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 등으로 이룰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장치들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탐침에 영상 획득을 위한 수단(카메라 등)을 구비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는 마이크로프로브(탐침)를 통해 프리모노드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면 충분한 것이며,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
다시 말해 탐침은 영상표시장치에서 표시된 영상에 근거하여 방출되는 자외선 범위에 프리모노드가 위치되도록 피부에 침습되는 것이다.
즉 영상을 통해 프리모노드를 육안으로 감지하고, 탐침을 프리모노드가 위치하는 피부의 표면에 침습시켜 프리모노드에 일정세기의 자외선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프리모 순환계를 흐르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이, 프리모노드에서 자외선을 조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1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실시예 1. 프리모 마이크로셀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서 탐침장치가 피부 표면에 침습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른 본 발명은 탐침장치(100) 및 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탐침장치(100)는, 탐침이 구비되어 피부 내에 침습하는 것으로, 프리모노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프리모노드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탐침장치(100)는, 발광수단(110), 집광기(120), 탐침(130), 홀더케이스(140) 및 연결수단(150)을 포함한다.
발광수단(110)은, 제어장치(200)에 연결되어 제어장치(200)의 전기신호에 의해 자외선을 발광한다.
집광기(120)는, 발광수단(110)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을 집광하는 것으로,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집광기(120)에는 탐침(130)으로 자외선이 입광(入光)되도록 유도하는 제1 투과구(121)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 제1 투과구(121)는, 집광기(120)와 탐침(130)이 연결되는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크리스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집광기(120)는, 제1 투과구(121)에 해당하는 부분만 빛이 투과되도록 크리스탈로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다.
탐침(130)은 침단(131), 코어(132), 클래드(133) 및 도포층(134)을 포함한다. 침단(131)은 탐침(130)의 끝 부분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조사구이다.
코어(132)는 탐침(130)에 입광된 자외선이 흐르는 통로를 의미한다. 즉 코어(132)는 탐침(130)에 입광된 자외선을 침단(131)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클래드(133)는 코어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클래드(133)는 코어(132)보다 빛의 굴절율이 낮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코어로 입광된 자외선은, 클래드(133)와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게 되어 코어 내에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도포층(134)은 클래드(133)의 표면에 도포된다. 이때 도포층(134)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구성되는데, 금 또는 레진(Resin) 등의 천연수지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포층(134)의 재질은 전술된 금 또는, 레진 등에 한정되지 않고, 피부에 침습될 정도의 강도를 갖으면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홀더케이스(140)는 발광수단(110) 및 집광기(1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이다. 이때 홀더케이스(140)는 집광기(120)에 연결된 탐침(130)이 피부 내에 침습되는 경우, 소정의 깊이를 초과하여 침습되지 않도록 홀딩(hol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리모노드는 피부의 진피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진피층은 피부 표면으로부터 1mm ~ 4mm의 깊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알려진바, 소정의 깊이를 초과하여 침습된 탐침이 프리모노드 또는 다른 세포 조직 등을 통과하여 침습되지 않도록 한다(도 3 참조).
즉 탐침장치(100)는 피부 내에 침습되되, 프리모노드에 직접 닿지 않도록 침습되어 자외선을 발광한다.
다시 말해 탐침장치(100)는 첨부된 도면의 도 3과 같이 프리모노드에 근접되도록 침습되며, 상기 프리모노드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연결 수단(150)은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홀더케이스(140)와 탐침(130)을 연결하고 탐침을 홀더케이스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한다.
즉 탐침(130)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탐침(130)이 피부 내에 침습되는 것이므로, 질병을 보유하고 있는 피시술자에게 사용되었던 탐침을 다른 피시술자에게 사용하는 경우, 질병을 감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탐침(13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질병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제어장치(200)는 탐침장치(100) 및 후술될 영상표시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서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술된 동작은 온(on)/오프(off) 동작을 의미하는데, 탐침장치(100)에 인가되는 전류 및 영상표시장치(300)의 전자빔방출부의 동작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어장치(200)는, 전류제어부(210), 전자빔제어부(220), 자외선세기조절부(230) 및 시간조절부(240)를 포함한다.
전류제어부(210)는, 탐침장치(100)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탐침장치(100)의 발광수단(110)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광수단(100)이 자외선을 발광하도록 한다.
전자빔제어부(220)는, 영상표시장치(300)의 전자빔방출부가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자외선세기조절부(230)는 탐침장치(10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장치(200)에 자외선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 또는 입력수단 등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시간조절부(240)는 탐침장치(10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장치(200)에 자외선의 조사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 또는 입력수단 등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리모노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영상표시장치(300)를 더 포함하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서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프리모노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서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300)는, 전자빔방출부(310), 카메라부(320) 및 표시부(330)를 포함한다.
전자빔방출부(310)는, 제어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피부에 조사되는 전자빔을 방출한다(도 5의 점선 참조).
이때 전자빔방출부의 전자빔 방출은, 발광수단과 같이 전자빔방출수단을 별도로 구비하고 제어장치(200)가 인가하는 전류에 따라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다른 일예로 전자빔 소스를 제어장치(200)에 더 마련하고, 전자빔 소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자빔이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전자빔 소스가 전달되는 선을 광섬유로 구성한다.
또한 전자빔 방출부(310)에서 방출된 전자빔은 피부에 조사되며, 피부에 조사된 전자빔 중에서 피부를 투과한 투과전자를 카메라부(320)가 수광받는다.
카메라부(320)는 상기와 같이 전자빔방출부(310)에서 방출되어 피부를 투과한 투과전자를 수광받는 것으로, 전자빔수광모듈(321), 영상획득모듈(322), 신호변환모듈(323) 및 신호출력모듈(324)를 포함한다.
전자빔수광모듈(321)은 전자빔방출부(320)에서 방출되어 피부를 투과한 투과전자를 수광(受光)한다.
즉 전자빔(Electro-Beam)은 방출되어 피부에 조사됨으로써, 피부 표면에서 산란되는 전자, 반사되는 전자 및 피부 내에 투과되는 투과전자로 구분되는데, 이 중에서 카메라부(320)가 투과전자를 수광하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부(320)는 전자빔방출부(310)와 피부를 기준하여 반대측에 형성된다.
영상획득모듈(322)은 전자빔수광모듈(321)에서 수광된 전자빔에 근거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신호변환모듈(323)은 영상획득모듈(322)에서 획득한 영상을 신호 단위, 즉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신호 단위로 변환된 영상신호는 신호출력모듈(324)를 통해 출력된다.
상술된 영상획득과정은, 종래에 사용되는 X-ray(x선) 촬영과 그 원리가 유사하나 nm 단위의 미세한 원자까지 확대 촬영 가능한 점에서 상이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인 프리모노드의 위치 검출은,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미세한 nm 단위로 이루어져 있는 프리모노드를 영상 확대하여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부(320)에서 획득한 영상은,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된다.
즉 표시부(330)가 카메라부(320)의 신호출력모듈(324)에서 출력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표시부(330)는 신호수신모듈(도면에 미표시)을 구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탐침장치(100)에 구비되는 탐침(130)을 하나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는 데, 이를 제2 실시예로하여 첨부된 도면의 도 7 및 8을 통해 설명한다.
실시예 2. 복수 개의 탐침이 구비되는 탐침장치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에서 탐침장치가 피부 표면에 침습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7에 따르면 탐침장치(100)의 탐침(130)은 복수 개로 구성된다. 이때 탐침(130)과 집광기(120)는 광섬유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탐침장치(100)는 집광연결기(170)와 제2 투과구(171)를 더 포함한다.
집광연결기(170)는, 탐침(130)이 집광기(120)로부터 자외선을 입광(入光)받기 위하여 상기 집광기(120)로부터 연결된 광섬유와 연결된다.
이때 제1 투과구(121)는 첨부된 도면의 도 7과 같이 탐침(130)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재질은 제1 실시예와 같이 크리스탈로 이루어진다.
제2 투과구(171)는, 집광연결기(170)과 탐침(130)이 연결되는 일측에 구비되어 집광연결기(170)의 자외선이 탐침(130)으로 입광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며, 자외선의 효율적인 입광을 위해 크리스탈로 이루어진다.
즉 제1 투과구(121) 및 제2 투과구(171)는 발광수단(110)에서 발광된 자외선이 탐침(130)의 침단(131)까지 산란 및 반사 작용없이 흘러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1, 2 투과구(121, 171) 모두 크리스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제1 투과구(121) 및 제2 투과구(171) 중 선택된 어느 하나만 크리스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탐침장치(100)를 구성하는 경우, 프리모노드가 위치하는 피부의 표면에 침습시키는 것으로, 프리모관으로 이어져 있는 다수 개의 프리모노드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도 8 참조).
이 경우 탐침(130)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탐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또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탐침(130)을 식별할 수 있는 구성(예를 들어, 탐침식별부)을 제어장치(200)에 더 마련할 수 있으며, 각 탐침의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영상표시장치(300)에 복수 개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탐침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을 더 마련함에 따라 각 탐침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어장치(200)에 더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는, 영상으로 프리모노드의 정확한 위치 검출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프리모노드가 위치하는 피부의 표면에 탐침을 침습시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밀하고 신속하게 프리모노드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탐침으로 자외선의 입광을 유도하는 투과구를 크리스탈로 형성하기 때문에 탐침으로 입광되는 자외선이 투과구를 투과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산란 및 반사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를 통해 프리모노드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 및 조사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치료목적에 맞춰 프리모노드에 적절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모관과 프리모노드를 통해 자전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Primo-microcell, 산알)의 위치를 파악하지 않아도, 프리모노드에 일정세기의 자외선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여 프리모 마이크로셀이 자외선을 조사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탐침을 탐침장치와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탐침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위생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간에 탐침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질병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8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탐침장치 110 : 발광수단
120 : 집광기 121 : 제1 투과구
130 : 탐침 131 : 침단
132 : 코어 133 : 클래드
134 : 도포층 140 : 홀더케이스
150 : 연결수단 170 : 집광연결기
171 : 제2 투과구 200 : 제어장치
210 : 전류제어부 220 : 전자빔제어부
230 : 자외선세기조절부 240 : 시간조절부
300 : 영상표시장치 310 : 전자빔방출부
320 : 카메라부 321 : 전자빔수광모듈
322 : 영상획득모듈 323 : 신호변환모듈
324 : 신호출력모듈 330 : 표시부

Claims (12)

  1. 조사된 전자빔이 피부에 투과된 투과전자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피부에 침습되며 침단에서 자외선이 방출되는 탐침이 구비되는 탐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빛 조사 장치.
  2.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자외선을 입광하여 방출하며 피부에 침습되는 탐침이 구비되는 탐침장치;
    상기 발광수단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피부 내에 존재하는 프리모노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탐침은,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 표시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모노드의 위치에 침습되고, 자외선 파장영역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빛 조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355 ~ 375nm의 파장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빛 조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의 광로에 크리스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빛 조사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탐침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수단;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을 집광하는 집광기;
    상기 집광기와 연결되며, 상기 집광기에 집광된 자외선을 입광하여 조사하는 탐침;
    상기 발광수단, 집광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홀더케이스; 및
    상기 홀더케이스와 상기 탐침을 연결하고, 상기 탐침을 상기 홀더케이스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탐침은,
    상기 탐침의 종단에 형성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침단;
    상기 탐침에 입광된 자외선을 상기 침단으로 유도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클래드; 및
    상기 클래드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포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광기는,
    상기 탐침과 집광기가 연결되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탐침으로 자외선이 입광되도록 유도하는 제1 투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탐침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탐침장치는,
    상기 집광기와 광섬유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집광기의 자외선을 입광하여 탐침으로 자외선을 입광하는 집광연결기; 및
    상기 집광연결기와 상기 탐침이 연결되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탐침으로 자외선이 입광되도록 유도하는 제2 투과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구 및 제2 투과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크리스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탐침장치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제어부;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전자빔방출부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을 제어하는 전자빔제어부;
    상기 탐침장치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를 조절하는 자외선세기조절부; 및
    상기 탐침장치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시간을 조절하는 시간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피부에 조사되는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빔방출부;
    상기 전자빔방출부에서 방출되어 피부를 투과한 투과전자를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빛 조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전자빔방출부에서 방출되어 피부를 투과한 투과전자를 수광하는 전자빔수광모듈;
    상기 수광된 전자빔에 근거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모듈;
    상기 영상획득모듈에서 획득된 영상을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모듈; 및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빛 조사 장치.
KR1020130105091A 2013-09-02 2013-09-02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KR101472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091A KR101472565B1 (ko) 2013-09-02 2013-09-02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091A KR101472565B1 (ko) 2013-09-02 2013-09-02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565B1 true KR101472565B1 (ko) 2014-12-16

Family

ID=5267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091A KR101472565B1 (ko) 2013-09-02 2013-09-02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904B1 (ko) 2015-08-17 2017-02-21 김성철 광선 자침과 약침 주사를 위한 침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904B1 (ko) 2015-08-17 2017-02-21 김성철 광선 자침과 약침 주사를 위한 침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5501B2 (ja) 歯用装置及び医療用装置
US8285367B2 (en) Vasculature and lymphatic system imaging and ablation associated with a reservoir
US20080033513A1 (en) Directed Energy for Point Oriented Medical Treatment
US201000167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ural-signal capture to drive neuroprostheses or control bodily function
US20130046357A1 (en) Tissue or nerv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KR101784063B1 (ko) 펜타입의 의료용 형광 이미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형광 영상의 정합 시스템
Maimon et al. Transdermal optogenetic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Mesquita et al. Diffuse optics: fundamentals and tissue applications
WO20100094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ural-signal capture to drive neuroprostheses or control bodily function
JP2007167339A (ja) 歯髄内血液濃度・血流量測定方法及び装置
Zhou et al. Bioelectrodynamics in living organisms
Ohta et al. Micro-LED array-based photo-stimulation devices for optogenetics in rat and macaque monkey brains
Gratton et al. Seeing right through you: applications of optical imaging to the study of the human brain
JP2017000838A (ja) 医療用装置及び制御方法
Alaa Recent Advances in the Laser Radiation Transport through the Head Tissues of Humans and Animals-A Review
Gloveli et al. Play and tickling responses map to the lateral columns of the rat periaqueductal gray
Litscher Yes, there is deqi sensation in laser acupuncture
KR101472565B1 (ko) 프리모 마이크로셀의 활성화를 위한 침습형 빛 조사 장치
Funk et al. Potent stimulation of blood flow in fingers of volunteers after local short-term treatment with low-frequency magnetic fields from a novel device
Perkins et al. High-density microfibers as a potential optical interface to reach deep brain regions
KR101708904B1 (ko) 광선 자침과 약침 주사를 위한 침술 장치
Seo et al.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for the prediction of hemodynamic changes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EP2197381B1 (en) Vasculature and lymphatic system imaging and ablation
Lisitsyna et al. Effect of transfer of light energy on acupuncture meridians
Romo Badillo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 (BCI) Development for Motor Disabled People Integration in a Water Fountains Compa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