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976B1 -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976B1
KR101471976B1 KR20140028700A KR20140028700A KR101471976B1 KR 101471976 B1 KR101471976 B1 KR 101471976B1 KR 20140028700 A KR20140028700 A KR 20140028700A KR 20140028700 A KR20140028700 A KR 20140028700A KR 101471976 B1 KR101471976 B1 KR 10147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ist
unit
high voltage
fixing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준
김용진
한방우
우창규
김태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주)대경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주)대경나노텍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2014002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는 오일 미스트와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복수 개가 마련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접지판과, 상기 이격공간 내부에 마련되며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배기가스를 하전시키는 방전극과, 고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방전극에 공급하는 제1고전압 인가부를 포함하는 하전부; 상기 하전부에 연결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전부에서 하전된 상기 오일 미스트를 상기 몸체부 내벽 방향에 안내하여 집진하며, 상기 하전부에서 미하전된 입자와 이온을 혼합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의하여 제거되지 못한 상기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도록 전기장이 형성되는 전기 집진부; 비금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전압 인가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 내부로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고정부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하전된 오일 미스트를 회전부를 통하여 몸체부 내벽에 포집한 뒤 전기장을 이용하여 전기집진부에 집진하여 처리하되,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오일 미스트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며, 회전부와 모터를 일체화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한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OIL MIST}
본 발명은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전된 오일 미스트를 회전부를 통하여 몸체부 내벽에 포집한 뒤 전기장을 이용하여 전기집진부에 집진하여 처리하되,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오일 미스트의 제거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회전부와 모터를 일체화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한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 연삭 및 세정 등과 같은 가공 공정을 수행하는 기계 가공에서는 냉각유 또는 절삭유 등에 의하여 오일 미스트가 발생한다.
오일 미스트는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비산하여 공기 상에 존재함으로써 기계 가공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오일 미스트를 흡입하게 된다. 이러한 오일 미스트의 흡입은 작업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신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오일 미스트가 기계 장치 또는 제품 등에 부착되어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기계 가공을 수행하는 작업장에서는 오일 미스트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 장치를 사용한다.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는 섬유상의 필터를 이용하는 포집 장치 또는 전기 집진을 이용하는 포집 장치로 분류된다.
섬유상의 필터를 이용하는 포집 장치는 오일 미스트에 의해 오염된 기체를 섬유상의 필터로 여과시킴으로써 공기로부터 오일미스트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장치이다. 섬유상의 필터를 이용하는 포집장치는 설치가 간편하고 투자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섬유상의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섬유상의 필터의 빈번한 막힘에 의해 섬유상의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환되는 섬유상의 필터가 산업 폐기물로 취급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처리 또한 문제된다.
도 1은 종래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은 또 다른 종래의 원심분리 방식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섬유상의 필터를 이용하는 포집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10-2000-0000063호의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는 도 1과 같이 양극으로 하전을 시켜 오일 미스트를 응집시키는 예비하전/응집부(11)와, 예비하전/응집부(11)의 후방에 설치되어 팬으로 강제 회전시켜 발생되는 관성 충돌력으로 분리되는 응집된 오일 미스트를 포집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부를 포함한다. 이는 예비하전/응집부(11)에서 양극성(양(+)극과 음(-)극)의 전하를 공급하여 오일 미스트를 하전시키고, 양극성으로 하전된 오일 미스트는 응집에 의하여 입자 크기가 증가하여 조대화되며, 응집되어 조대화된 오일 미스트는 팬에 의한 강제 회전에 의하여 관성력이 증가되어 포집면인 벽면에 집진된다. 그러나, 공간상의 제약에 의하여 예비하전/응집부(11)에서 하전된 오일 미스트가 오일 미스트 포집부(12)에 도달할 때까지 충분히 응집되지 못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하여 제거되지 않거나 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등록특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상기 오일 미스트 포집부(12)의 후방에 헤파(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필터와 같은 입자상 물질 (particulate) 필터(23)를 더 설치하여 오일 미스트 포집부(12)에서 제거되지 못한 나머지 오일 미스트를 입자상 물질(particulate) 필터(23)가 포집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입자상 물질 필터(23)를 오일 미스트 포집부(12)의 후방에 배치하더라도 오일 미스트 포집부(12)에서 제거되지 못한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오일 미스트의 경우 입자상 물질 필터(23)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종래에는 냉각유 또는 절삭유로서 비수용성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냉각유 또는 절삭유를 오일과 물이 약 1:4의 비율을 갖는 수용성을 사용하여 가공 공정을 수행한다. 수용성 냉각유 또는 수용성 절삭유를 사용하는 경우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분에 수증기에 의하여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수증기에 의하여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구성도 전기가 통하게 되어 전기집진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전된 오일 미스트를 회전부를 통하여 몸체부 내벽에 포집한 뒤, 전기장을 이용하여 전기집진부에 집진하여 처리하되,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오일 미스트의 제거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오일 미스트와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복수 개가 마련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접지판과, 상기 이격공간 내부에 마련되며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배기가스를 하전시키는 방전극과, 고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방전극에 공급하는 제1고전압 인가부를 포함하는 하전부; 상기 하전부에 연결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전부에서 하전된 상기 오일 미스트를 상기 몸체부 내벽 방향에 안내하여 집진하며, 상기 하전부에서 미하전된 입자와 이온을 혼합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의하여 제거되지 못한 상기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도록 전기장이 형성되는 전기 집진부; 비금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전압 인가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 내부로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고정부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오일 미스트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대향되며, 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오일 미스트의 상기 전기집진부 쪽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밀폐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밀폐부를 상호 연결하며, 회전을 통해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밀폐부 사이의 공간에 모터가 수용되도록 하는 모터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기집진부는, 복수 개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 되어 배치되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집진판; 상기 집진판과 교대로 배치되며,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집진판과의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금속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고전압 인가부; 비금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전기 집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고전압 인가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더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 내부로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2고정부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 내의 수증기의 증발을 유도하는 제2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 내의 수증기의 증발을 유도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전극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방전극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일미스트가 집진되는 상기 접지판의 면은 샌딩(sanding)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는 상기 접지판의 단부는,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일미스트가 집진되는 상기 집진판의 면은 샌딩(sanding) 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는 상기 집진판의 단부는,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전부에서 오일 미스트의 1차 집진을 하고 회전부에서 오일 미스트의 2차 집진을 하며 최종적으로 전기 집진부에서 오일 미스트가 집진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 내에 포함되는 오일 미스트의 포집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하전부는 복수 개의 방전극이 강체로 형성되어 병렬로 연결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를 보다 용이하게 하전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증발될 수 있도록 제1가열부가 설치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절연 구성이 통전되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에는 제1고정부 내부로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1공기 주입부가 설치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절연 구성이 통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는 회전부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절연 구성이 통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증발될 수 있도록 가열부가 설치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절연 구성이 통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에는 제2고정부 내부에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2공기 공급부가 설치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절연 구성이 통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접지판은 오일 미스트가 집진되는 면이 샌딩처리 되어 집진된 오일미스트가 용이하게 중력방향으로 낙하되어 잦은 스파크에 의한 내구성 저하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지판의 단부는 일부가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집진된 오일미스트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집진판는 오일 미스트가 집진되는 면이 샌딩처리 되어 집진된 오일미스트가 용이하게 중력방향으로 낙하되어 잦은 스파크에 의한 내구성 저하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집진판의 단부는 일부가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집진된 오일미스트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또 다른 종래의 원심분리 방식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하전부의 예시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제1고정부에 제1가열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제1고정부에 제1공기 주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전기집진부의 제2고정부에 송풍팬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제2고정부에 제2가열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제2고정부에 제2공기 주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의 하전부 및 회전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오일미스트의 하전부 및 회전부의 개략적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오일미스트의 회전부 및 전기집진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예시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100)는 하전부(110)와, 하전부(110)에 연결되는 몸체부(125)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부(120)와, 회전부(120)에 연결되는 전기집진부(130)와, 하전부(11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150)와, 하전부(110)에 설치되는 제1공기 공급부(160)와, 전기집진부(130)에 설치되는 송풍팬(170), 제2가열부(180) 및 제2공기 주입부(19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하전부의 예시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제1고정부에 제1가열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제1고정부에 제1공기 주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하전부(110)는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하를 배기가스에 공급하여, 오일 미스트가 하전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하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하전하며, 하전된 오일 미스트의 일부를 집진하는 구성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전부(110)에는 오일 미스트와 수증기가 포함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하전부(110)는 방전극(111)과, 제1고전압 인가부(112)와, 접지판(113)과, 케이싱(114) 및 제1고정부(115)를 포함한다.
방전극(111)은 오일 미스트에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하를 공급함으로써, 오일 미스트를 방전극(111)에 의해 제공되는 전하와 동일한 극성으로 하전시키는 구성이다. 방전극(111)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접지판(113) 사이마다 배치된다. 즉, 방전극(111)과 접지판(113)은 복수 개가 상호 교대로 배치된다. 한편, 방전극(111)은 제1고전압 인가부(112)와 연결되어 제1고전압 인가부(112)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음으로써 오일 미스트에 전하를 공급한다.
방전극(111)은 다양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방전극(111)은 강체로 마련되며, 방전극(1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방전극(1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111a)가 형성된다. 방전극(111)을 강체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이 불필요하며, 따라서 복수 개의 방전극(111)이 병렬로 연결 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미세 금속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이용하는 것과 달리 강체를 이용하는 경우, 전압이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부(111a)가 형성됨으로써 돌기부(111a)로부터 전압이 용이하게 발생되어 오일 미스트를 하전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는 핀 형상, 사각형, 방전극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 등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하전부(110)는 방전극(111)이 강체로 형성되어 접지판(113) 사이마다 복수 개가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방전극(1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111a)에 의하여 용이하게 오일 미스트를 하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한 크기의 공간 내에서 방전극(111)의 개수를 증가하여 하전부(11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오일 미스트를 보다 용이하게 하전시킬 수 있다.
제1고전압 인가부(112)는 오일 미스트에 전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방전극(111)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이다. 제1고전압 인가부(112)는 측면이 복수 개의 방전극(111)의 일단과 연결된다. 즉, 방전극(111)은 제1고전압 인가부(112)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연결된다. 한편, 제1고전압 인가부(112)에는 고전압의 전압인가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압인가부에 의하여 전압을 인가받아 방전극(111)에 인가함으로써, 방전극(111)은 오일 미스트에 극성을 갖는 전하를 배출할 수 있다.
접지판(113)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오일 미스트와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이격공간을 따라 유동하도록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또한, 접지판(113)은 방전극(111)에 의하여 하전된 오일 미스트의 일부가 집진되도록 한다. 접지판(113)은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방전극(111)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전기장의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접지판(113)과 방전극(111)은 상호 교대로 배치되며, 접지판(113)이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으므로 방전극(111)로부터 접지판(113) 방향으로 전기장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방전극(111)에서 하전된 오일 미스트 중 일부는 접지판(113)에 집진된다.
케이싱(114)은 방전극(111)과 제1고전압 인가부(112) 및 접지판(113)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비금속으로 마련된다. 즉, 케이싱(114)은 절연체로 마련된다. 또한, 케이싱(114)에는 제1고전압 인가부(112)의 양 단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1고정부(115)는 제1고전압 인가부(112)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케이싱(114)에 설치되며 비금속으로 마련된다. 즉, 제1고정부(115)는 절연체로 마련된다. 제1고전압 인가부(112)는 양 단부가 케이싱(114)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제1고정부(115)는 케이싱(114)을 관통한 제1고전압 인가부(112)의 양 단부를 고정한다. 한편, 최근 가공 공정에서는 오일과 물이 혼합된 수용성 냉각유 또는 절삭유를 사용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배기가스에는 수증기가 포함된다. 이때, 제1고정부(115)와 제1고전압 인가부(112)가 접촉하는 공간에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존재하게 되면 제1고정부(115)와 케이싱(114) 및 이와 연결된 접지판(113)이 통전(通電)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수증기에 의하여 제1고정부(115)와 제1고전압 인가부(112)가 접촉하는 공간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고정부(115)에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1가열부(150) 또는 제1공기 공급부(160) 등의 구성이 제1고정부(115) 구체적으로는 관통부 측에 설치된다.
한편, 회전부(120)에 의하여 하전부(110) 측과 전기집진부(130) 측 간에는 압력 차이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20)가 회전하면 하전부(110) 측에는 부압이 형성되며, 전기 집진부(130) 측에는 정압이 형성된다. 이때, 케이싱(14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제1고정부에도 외부공기와 연통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장치 없이 외부 공기가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100) 내부로 유입된다. 즉, 외부 공기의 자연적인 대류에 의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유동되어 스파크에 의하여 내구정이 저하되거나, 접지판(113)이 통전되어 전기 집진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부(120)는 하전부(110)에 의하여 하전된 오일 미스트에 원심력을 가하여 몸체부(125) 내벽으로 안내하여 충돌시킴으로써 몸체부(125) 내벽에서 2차적으로 오일 미스트를 포집하는 구성이다. 또한, 회전부(120)는 하전부(110)에서 하전되지 못한 오일 미스트와 하전부(110)에서 발생한 이온을 혼합시켜 오일 미스트를 2차적으로 하전시킨다. 회전부(120)는 유입부(121)와, 밀폐부(122)와, 블레이드(123)와 모터 수용부(124) 및 몸체부(125)를 포함한다.
유입부(121)는 하전부(110)에 의하여 하전된 오일미스트를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영역이다. 유입부(121)는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프레임으로 하였으나, 다른 형상으로도 마련할 수 있다.
밀폐부(122)는 유입부(121)를 통과한 오일미스트가 몸체부(124)의 내벽에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밀폐부(122)는 유입부(121)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원형으로 마련된다. 즉, 밀폐부(122)는 유입부(121)와 달리 오일 미스트가 통과할 수 없도록 전면이 차단되어 오일 미스트가 몸체부(125) 내벽으로 유동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회전부(120)를 통해 발생하는 원심력은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는 힘이므로 오일 미스트의 크기가 충분히 작아 원심력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따라서, 미소한 크기의 오일 미스트는 포집되지 않고 회전부(12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밀폐부(122)는 유입부(121)와 달리 전면이 밀폐되어 있어 원심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오일 미스트의 전기집진부(130) 쪽으로의 유동이 차단된다. 오일 미스트가 배출되는 출구는 회전부(120)의 측면 즉, 블레이드(123) 간의 이격공간 밖에 없으므로 오일 미스트는 몸체부(125) 내벽에 포집된다. 이로 인해, 하전부(110)에서 하전된 오일 미스트는 몸체부(125) 내벽에 충돌되어 2차적으로 포집되며, 하전부(110)에서 미하전된 오일 미스트는 회전부(120)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이온과 혼합되어 하전된다.
블레이드(123)는 회전함으로써 오일 미스트에 원심력을 가하는 부재이다. 블레이드는 복수 개가 마련되며, 유입부(121)와 밀폐부(122)를 상호 연결한다. 따라서,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인가 받으면, 유입부(121)와 밀폐부(122)와 블레이드(123)는 일체로 회동하여 오일 미스트에 원심력을 가함으로써 오일 미스트를 몸체부(125) 내벽에 포집한다.
모터 수용부(124)는 회전부(120)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모터가 설치되는 영역이다. 모터 수용부(124)는 유입부(121)와 밀폐부(122) 사이의 공간에 모터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와 회전부(120)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한다. 종래에는 회전부(1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모터가 연결되어 장치 전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가 회전부(120) 내부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줄여 작업시 휴대가 용이하며, 따라서 가공 현장에서 발생하는 오일 미스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와 회전부가 별도로 설치되거나 나란하게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장치 전체의 크기가 약 1/4로 감소하여 휴대가 용이하다.
몸체부(125)는 회전부(120)에 의하여 원심력을 받은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유입부(121), 밀폐부(122), 블레이드(123)가 수용된다. 몸체부(125)는 케이싱(114)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전기집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기집진부(130)는 하전부(110)에 의하여 하전된 오일 미스트를 최종적으로 포집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기집진부(130)는 금속판(131)과 집진판(132) 및 제2고정부(134)를 포함한다.
금속판(131)은 전압 인가부와 연결되어 집진판(132)과의 사이에서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 개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집진판(132)은 금속판(131)과의 사이에서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되며 각각의 집진판(132)은 금속판(131) 사이의 간격에 배치된다. 즉, 집진판(132)과 금속판(131)는 교대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금속판(131)은 제2고전압 인가부와 연결되어 전압이 인가되나, 집진판(132)은 비금속으로 마련되고 케이싱과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이로 인해, 금속판(131)로부터 집진판(132)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기장이 형성된다. 하전부(110)를 통과하면서 오일 미스트는 극성을 갖도록 하전되므로, 금속판(131)과 집진판(132)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집진판(132)에 포집된다. 한편, 제2고전압 인가부(133)는 복수 개의 금속판(131)을 상호 연결하며, 일단이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전압인가부에 의하여 전압을 인가받아 금속판(131)에 인가함으로써, 금속판(131)은 집진판(132)과의 사이에서 전기장을 형성한다.
제2고정부(134)는 제2고전압 인가부(133)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케이싱에 설치되며 비금속으로 마련된다. 즉, 제2고정부(134)는 절연체로 마련된다. 제2고전압 인가부(133)는 양 단부가 케이싱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제2고정부(134)는 케이싱을 관통한 제2고전압 인가부(133)의 양 단부를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배기가스는 수증기를 포함하므로, 제2고정부(134)와 제2고전압 인가부(133)가 접촉하는 공간에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존재하게 되면 집진판(132)이 통전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수증기에 의하여 제2고정부(134)와 제2고전압 인가부(133)가 접촉하는 공간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2고정부(134)에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또한, 송풍팬(170), 제2가열부(180), 제2공기 주입부(190)가 제2고정부(134), 구체적으로는 관통부 측에 설치된다.
제1가열부(150)는 제1고정부(115) 상에 열을 가함으로써 제1고정부(115) 내의 수증기의 증발을 유도하여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접지판(113)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고정부(115)에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수증기를 포함한다. 이때, 수증기는 제1고정부(115)와 제1고전압 인가부(112) 사이에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스파크 등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접지판(113)이 통전되어 전기집진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115)의 관통부 근처에 제1가열부(150)를 설치하여 케이싱(114) 내부의 수증기의 증발을 유도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 및 오일 미스트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가열부(150)는 일반적인 히터와 같이 제1고정부(115)에 열을 가함으로써 수증기의 증발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1고정부(115), 특히 관통부가 형성된 영역을 중심으로 전도성 물질을 설치한 뒤, 이 전도성 물질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전압의 크기는 12V, 24V, 220V가 바람직하다.
제1공기 주입부(160)는 제1가열부(150)와 마찬가지로, 수증기에 의한 장치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고정부(115) 내에 공기를 계속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제1고정부(115) 내부로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수증기가 제1고전압 인가부(112) 및 제1고정부(115) 사이에 계속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차이로 인하여 자연적인 공기 주입이 형성되나, 제1공기 주입부(160)에 의한 강제적인 공기 주입에 의하여 오일 미스트 포집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전기집진부의 제2고정부에 송풍팬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제2고정부에 제2가열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3의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제2고정부에 제2공기 주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송풍팬(170)은 제2고정부(134)에 강제적으로 외부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집진판(132)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가열부(180)는 제2고정부(134)에 열을 가함으로써 제2고정부(134) 내의 수증기의 증발을 유도하여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집진판(132)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고정부(134) 내의 수증기가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제2고정부(134) 및 제2고전압 인가부(133) 사이의 공간에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가열부(180)는 제1가열부(150)와 같이 전도성 물질을 설치한 뒤, 이 전도성 물질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전압의 크기는 12V, 24V, 220V가 바람직하다.
제2공기 주입부(190)는 제2고정부(134)에 강제적으로 외부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장치의 파손 및 집진판(132)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기 집진부(130)는 하전부(110)와 달리 회전부(120)에 의한 압력 차이에 따른 자연적인 공기 주입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2고정부(134) 내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수증기가 유동되도록 한다. 이때, 제1공기 주입부(160)는 회전부(120)에 의한 자연대류도 포함되므로, 제2공기 주입부(190)는 제1공기 주입부(160)에 비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압력의 힘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에 구동력을 인가하여 모터가 작동되면, 회전부(120)는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모터가 작동되면 밀폐부(122)가 회전하게 되며, 밀폐부(122)와 연결되는 블레이드(123) 및 유입부(121)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1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120)의 상측 즉, 하전부(110) 측에는 부압이 형성되며, 회전부(120)의 하측에는 정압이 형성된다.
오일 미스트와 수증기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상태로 하전부(110) 내부로 유입된다. 하전부(110)로 유입된 오일 미스트는 하전부(110)로부터 방출되는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하에 의해 하전된다. 또한, 하전부(110)의 접지판(113)을 따라 회전부(120) 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제1고정부(115)에 설치된 제1가열부(150) 또는 공기 공급부(160) 또는 회전부(120)에 의한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수증기가 제1고정부(115)와 제1고전압 인가부(112) 사이에 계속하여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가열부(150)를 이용하여 제1고정부(115) 내에 열을 가함으로써 수증기를 증발시키거나, 제1공기 주입부(160)를 통하여 제1고정부(115) 내부에 계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제1고정부(115) 내부로 수증기의 유입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수증기에 의하여 스파크 등이 발생함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방지되며, 오일 미스트 포집 효율이 상승된다.
이후, 하전부(110)를 통과한 오일 미스트는 회전부(120)에 유입된다. 회전상태를 유지하는 회전부(120)로 유입되면 회전부(1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오일 미스트에 가해지므로 회전부(120)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을 따라 오일 미스트가 유동한다. 이로 인해, 오일 미스트는 몸체부(125) 내벽에 포집된다. 또한, 미하전된 오일 미스트와 하전부(110)에서 배출된 이온이 혼합됨으로써 하전부(110)에서 미하전된 오일 미스트가 하전된다.
이후, 몸체부(125) 내벽에 포집된 오일 미스트는 전기집진부(130) 측으로 이동한다. 고전압이 인가되는 금속판(131)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집진판(132)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오일 미스트는 집진판(132)에 포집된다. 이때, 제2고정부(134) 내부에는 송풍팬(170) 또는 제2공기주입부(190)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공기가 주입되거나 제2가열부(180)에 의하여 열이 공급됨으로써, 수증기에 의하여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오일 미스트 포집 효율이 상승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접지판와 집진판의 면이 샌딩처리 되며 일부가 절곡형성되는 점 및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챔버 형태로 마련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는 하전부(210)와, 하전부(210)에 연결되는 몸체부(125)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부(120)와, 회전부(120)에 연결되는 전기집진부(230)와, 하전부(11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150)와, 하전부(110)에 설치되는 제1공기 공급부(160)와, 전기집진부(130)에 설치되는 송풍팬(170), 제2가열부(180) 및 제2공기 주입부(19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120)와 제1가열부(150)와 제1공기 공급부(160)와, 송풍팬(170), 제2가열부(180) 및 제2공기 주입부(19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의 하전부 및 회전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오일미스트의 하전부 및 회전부의 개략적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11 또는 도12를 참조하면, 하전부(210)는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하를 배기가스에 공급하여, 오일 미스트가 하전부(210)로부터 공급되는 전하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하전하며, 하전된 오일 미스트의 일부를 집진하는 구성이다. 하전부(210)는 방전극(111)과, 제1고전압 인가부(112)와, 접지판(213)과, 케이싱(114) 및 제1고정부(115)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접지판(213)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오일 미스트와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이격공간을 따라 유동하도록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또한, 접지판(213)은 방전극(111)에 의하여 하전된 오일 미스트의 일부가 집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판(213)의 표면은 샌딩(sanding) 처리된다. 구체적으로, 오일 미스트가 일부 집진되는 접지판(213)의 면은 샌딩 처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전부(210)에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수증기를 포함한다. 접지판(213)의 표면장력이 센 경우, 집진되는 오일 미스트가 접지판(213)의 단부 측으로 이동하여 포집된 뒤 제거되는 속도보다 접지판(213)에 오일 미스트가 집진되는 속도가 빠르게 된다. 이 경우 접지판(213) 표면, 특히,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는 접지판(213)의 단부 측에서 수증기에 의하여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오일 미스트가 일부 집진되는 접지판(213)의 면을 샌딩 처리 함으로써, 중력방향을 따라 낙하하는 오일 미스트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접지판(213)은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는 단부가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진다. 접지판(213)의 형상으로 인하여 중력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오일 미스트의 속도가 증가됨으로써, 접지판(213)의 단부 측에서 수증기에 의하여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판(213)의 표면을 샌딩 처리하며 단부가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오일 미스트의 이동 속도또는 낙하속도를 증가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고정부(215)는 제1고전압 인가부(112)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챔버 형태로 마련되어 케이싱(114)에 설치되며 비금속으로 마련된다. 즉, 제1고정부(215)는 절연체로 마련된다. 제1고정부(215) 내부에는 제1고전압 인가부(112)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장치가 설치되며, 제1고전압 인가부(112)는 제1고정부(215)를 관통하여 연결된다. 이때, 제1고전압 인가부(112)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1고전압 인가부(112)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다. 한편, 제1고정부(215)에는 제1공기주입부(160)에 의하여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주입부가 형성된다. 즉, 주입부를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거나, 제1가열부(150)로 관통부 측을 가열하여 관통부와 제1고전압 인가부(112) 사이의 공간에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접지판(213)의 통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오일미스트의 회전부 및 전기집진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기집진부(130)는 하전부(110)에 의하여 하전된 오일 미스트를 최종적으로 포집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기집진부(130)는 금속판(131)과, 집진판(232)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금속판(131)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집진판(232)는 금속판(131)과의 사이에서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되며 각각의 집진판(232)는 금속판(131) 사이의 간격에 배치된다. 즉, 집진판(232)와 금속판(131)는 교대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금속판(131)에는 전압이 인가되나 집진판(232)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이로 인해, 금속판(131)로부터 집진판(232)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기장이 형성된다. 하전부(110)를 통과하면서 오일 미스트는 극성을 갖도록 하전되므로, 금속판(131)과 집진판(232)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집진판(232)에 포집된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판(232)의 표면은 샌딩(sanding) 처리된다. 구체적으로, 오일 미스트가 집진되는 집진판(232)의 면은 샌딩 처리된다. 접지판(213)와 같이 집진판(232)에 집진되는 오일 미스트는 집진판(232)를 따라 이동하여 단부에서 포집된다. 이로 인해, 집진판(232)의 단부 측에서 수증기에 의하여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판(232)의 면을 샌딩 처리함으로써 집진된 오일미스트의 이동속도를 증가시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집진판(232)은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는 단부가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진다. 집진판(232)의 형상으로 인하여 중력방향을 따라 낙하하는 오일 미스트의 속도가 증가됨으로써, 집진판(232)의 단부 측에서 수증기에 의하여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집진판(232)의 표면을 샌딩 처리하며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는 단부가 절곡형성 되도록 함으로써, 오일 미스트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고정부(234)는 제2고전압 인가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챔버 형태로 마련되어 케이싱에 설치되며 비금속으로 마련된다. 즉, 제2고정부(234)는 절연체로 마련된다. 제2고정부(234) 내부에는 제2고전압 인가부(133)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장치가 설치되며, 제2고전압 인가부(133)는 제2고정부(234)를 관통하여 연결된다. 이때, 제2고전압 인가부(133)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2고전압 인가부(133)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다. 한편, 제2고정부(234)에는 제2공기주입부(190)에 의하여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주입부(234a)가 형성된다. 즉, 주입부(234a)를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거나, 제2가열부(180)로 관통부 측을 가열하여 관통부와 제2고전압 인가부(133) 사이의 공간에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집진판(232)의 통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110 : 하전부
111 : 방전극 112 : 제1고전압 인가부
113 : 접지판 114 : 케이싱
115 : 제1고정부 120 : 회전부
121 : 유입부 122 : 밀폐부
123 : 블레이드 124 : 모터 수용부
130 : 전기집진부 131 : 금속판
132 : 집진판 133 : 제2고전압 인가부
134 : 제2고정부 150 : 제1가열부
160 : 제1공기 주입부 170 : 송풍팬
180 : 제2가열부 190 : 제2공기 주입부
213 : 접지판 215 : 제1고정부
215a : 주입부 232 : 집진판
234 : 제2고정부 234a : 주입부

Claims (16)

  1. 오일 미스트와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복수 개가 마련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접지판과, 상기 이격공간 내부에 마련되며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배기가스를 하전시키는 방전극과, 고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방전극에 공급하는 제1고전압 인가부를 포함하는 하전부;
    상기 하전부에 연결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전부에서 하전된 상기 오일 미스트를 상기 몸체부 내벽 방향에 안내하여 집진하며, 상기 하전부에서 미하전된 입자와 이온을 혼합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의하여 제거되지 못한 상기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도록 전기장이 형성되는 전기 집진부;
    비금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전압 인가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 내부로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고정부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오일 미스트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대향되며, 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오일 미스트의 상기 전기집진부 쪽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밀폐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밀폐부를 상호 연결하며, 회전을 통해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밀폐부 사이의 공간에 모터가 수용되도록 하는 모터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부는,
    복수 개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 되어 배치되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집진판; 상기 집진판과 교대로 배치되며,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집진판과의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금속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고전압 인가부; 비금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전기 집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고전압 인가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 내부로 수증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2고정부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 내의 수증기의 증발을 유도하는 제2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 내의 수증기의 증발을 유도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극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방전극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미스트가 집진되는 상기 접지판의 면은 샌딩(sanding)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는 상기 접지판의 단부는,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미스트가 집진되는 상기 집진판의 면은 샌딩(sanding)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는 상기 집진판의 단부는,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20140028700A 2014-03-12 2014-03-12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KR101471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8700A KR101471976B1 (ko) 2014-03-12 2014-03-12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8700A KR101471976B1 (ko) 2014-03-12 2014-03-12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976B1 true KR101471976B1 (ko) 2014-12-12

Family

ID=5267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8700A KR101471976B1 (ko) 2014-03-12 2014-03-12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9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0849A (zh) * 2018-10-18 2019-0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油烟机的自清洁装置
CN109894277A (zh) * 2019-03-08 2019-06-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静电油网组件、风机及油烟机
KR20190071247A (ko) * 2017-12-14 2019-06-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응집기 및 이를 이용한 미세입자 응집방법
CN109926209A (zh) * 2018-12-27 2019-06-25 皓庭(唐山)环境科技有限公司 静电集尘器集尘板的电极连接线
KR20210062361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전기 자석식 집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322A (ja) * 1999-01-11 2000-07-25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電気集塵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24556B1 (ko) 2005-12-22 2007-06-11 주식회사 리트코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KR20080067534A (ko) * 2007-01-16 2008-07-21 주식회사 코스모스사이언스 오일미스트 포집장치
KR101157822B1 (ko) * 2011-09-20 2012-06-22 한국기계연구원 단극 하전 원심분리방식의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322A (ja) * 1999-01-11 2000-07-25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電気集塵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24556B1 (ko) 2005-12-22 2007-06-11 주식회사 리트코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KR20080067534A (ko) * 2007-01-16 2008-07-21 주식회사 코스모스사이언스 오일미스트 포집장치
KR101157822B1 (ko) * 2011-09-20 2012-06-22 한국기계연구원 단극 하전 원심분리방식의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247A (ko) * 2017-12-14 2019-06-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응집기 및 이를 이용한 미세입자 응집방법
KR102079297B1 (ko) 2017-12-14 2020-02-1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응집기 및 이를 이용한 미세입자 응집방법
CN109340849A (zh) * 2018-10-18 2019-0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油烟机的自清洁装置
CN109926209A (zh) * 2018-12-27 2019-06-25 皓庭(唐山)环境科技有限公司 静电集尘器集尘板的电极连接线
CN109894277A (zh) * 2019-03-08 2019-06-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静电油网组件、风机及油烟机
KR20210062361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전기 자석식 집진장치
KR102298965B1 (ko) * 2019-11-21 2021-09-06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전기 자석식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976B1 (ko)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CN106140467B (zh) 用于同时减少有害气体和颗粒的车辆空气净化装置
KR920004208B1 (ko) 공기 청정기용 전기 집진장치
US20090056551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957095B1 (ko) 전기집진 기능을 갖는 소형 공기청정기
JP4687595B2 (ja) 電気集塵装置
CN103313795A (zh) 使用多交叉针离子产生器的感应式静电集尘器
KR102340176B1 (ko) 지하철역사의 공기정화 시스템
KR20150065501A (ko) 공기조화기용 공기청정기구
KR101864480B1 (ko) 폭발성 배기가스 입자의 정전 제거 장치
KR101221962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 시스템
KR101486887B1 (ko) 오일 미스트 처리장치
KR102331015B1 (ko) 전기 집진기
KR101064486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90014779A (ko) 습식 집진 장치의 액체 분사 장치
KR101310818B1 (ko) 오일미스트 포집장치
KR20150045069A (ko) 탈진 수단을 갖는 전기집진 장치
KR101973242B1 (ko) 공기 중 입자 수집 장치
KR102308868B1 (ko) 전기 집진기
KR101183946B1 (ko) 비산방지 및 비돌출형 집진판 재생장치가 설치된 전기집진장치
KR102331012B1 (ko) 전기 집진기
KR100344758B1 (ko)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KR100499449B1 (ko) 상향식 건식 전기집진기
KR101535148B1 (ko) 전기집진장치
US2333431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