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741B1 - 보컬프랙틱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컬프랙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741B1
KR101471741B1 KR1020130009225A KR20130009225A KR101471741B1 KR 101471741 B1 KR101471741 B1 KR 101471741B1 KR 1020130009225 A KR1020130009225 A KR 1020130009225A KR 20130009225 A KR20130009225 A KR 20130009225A KR 101471741 B1 KR101471741 B1 KR 101471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vocal
calibration
interva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444A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ublication of KR2013008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8Apparatus for correcting stammering or stutt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ur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컬 치료 및 트레이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설정된 샘플링구간에 대해 피교정자의 노래 또는 낭독에 의한 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에 녹취모듈과; 상기 녹취모듈에서 녹취된 구간발성을 파형화하여 초기구간파형 또는 추가구간파형으로 검출하는 파형검출모듈과;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숙련자의 구간발성에 의한 모범파형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제1구간파형과 대비하여 표시하는 파형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교정영역에 대한 교정이 진행 중 또는 수행이 완료된 복수의 시점에서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상기 피교정자의 추가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추가구간파형으로 검출한 후 상기 초기구간파형 및 상기 모범파형과 분석 대비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피교정자가 교정정도 및 교정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피교정자의 구간발성을 녹취하여, 교정 전후의 파형을 비교하고, 모범파형과의 비교를 통해 교정 전후의 효과를 시각적 및 수치화할 수 있어, 과학적인 발성교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보컬프랙틱 시스템{VOCAL PRACTIC SYSTEM}
본 발명은 보컬 치료 및 트레이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트레이닝 영역을 발성-표현력-리듬 영역으로 구분하고, 발성은 다시 성대-공명-공기압조절 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로 성대를 포함한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이완 및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이를 다시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지화 하여 뇌에 각인함으로써 종래 경험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이 아닌 치료에 근거하여 피교정자에게 구분없이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단시간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보컬 프랙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위 말하는 '보컬 트레이닝', '보컬 레슨', '보컬 코치'등으로 불리워지는 것들은 흔히 말하는 노래를 가르치는 행위 그 자체이다.
추상적인 느낌에 의존하는 상기 교육법들은 결국 타고난 사람에게는 장시간에 걸쳐 효과를 조금 줄 수 있었지만, 이 역시도 자기 연마와 끊임없는 연습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소위 음치 또는 노래를 잘 못하는 사람이나 목소리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장시간의 교육 또는 훈련을 통하여도 가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현재 보컬 트레이너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가수추린 또는 실용음악과 전공학생들이었고, 가수를 트레이닝하는 보컬트레이너 역시도 다된밥에 숟가락을 얹는 것이 전부(즉, 원래 잘할 수 있는 사람을 조금더 잘할 수 있도록 가르침)였으며, 자신들의 목소리 외에는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단순히 음악안에 포함되어 있는 예술이라는 틀을 넘어 과학적으로 표현해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로 인해, 음치탈출, 음치교정이라는 말은 흔히 많이 접하고 있는 익숙한 단어들이지만 음치교정하는데에 가서 정말 음치가 가수 만큼 노래하게 바뀌었다는 것은 그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즉, 종래 기술은 병원에 가서 주사를 맞고 약을 먹으면 감기가 낫는 것처럼 당장에 결과를 줄 수 있는 것이 아닌 자신의 느낌과 노하우를 가르쳐주는 추상적인 교육일 뿐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순히 목에 힘을 빼라' 혹은 '배로 노래해라'라는 주문이 그것인데, 이렇게 경험에 의존하여 원론적인 교정방법에 의하는 경우, 배운다는 의미만 줄 뿐 직접적인 효과를 보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장시간 동안 시간낭비만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8339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닝 영역을 발성-표현력-리듬 영역으로 구분하고, 발성은 다시 성대-공명-공기압조절 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로 성대를 포함한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이완 및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이를 다시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지화 하여 뇌에 각인함으로써 종래 경험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이 아닌 치료에 근거하여 피교정자에게 구분없이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단시간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보컬 프랙틱에 의한 보컬프랙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노래에 필요한 근육들을 물리적으로 운동시켜 줌으로써 타고난 사람이 아닌 일반인 혹은 음치들에게도 매우 빠른 시간내에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도록 명확한 결과를 입증할 수 있으며, 노래를 단순히 레슨한다는 발상을 넘어 많은 사람들이 물리적치료 혹은 운동치료 등을 통해서 바로바로 변화의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보컬 프랙틱에 의한 보컬프랙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샘플링구간에 대해 피교정자의 노래 또는 낭독에 의한 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에 녹취모듈과; 상기 녹취모듈에서 녹취된 구간발성을 파형화하여 초기구간파형으로 검출하는 파형검출모듈과;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숙련자의 구간발성에 의한 모범파형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초기구간파형과 대비하여 표시하는 파형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교정영역에 대한 교정이 진행 중 또는 수행이 완료된 복수의 시점에서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상기 피교정자의 추가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추가구간파형으로 검출한 후 상기 초기구간파형 및 상기 모범파형과 분석 대비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피교정자가 교정정도 및 교정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컬프랙틱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교정영역은, 성대교정영역, 공명교정영역 및 공기압조절교정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분류될 수 있다.
상기 파형분석모듈은, 상기 초기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의 대비 또는 상기 각 추가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을 대비할 때, 상기 교정영역별로 일치율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파형분석모듈은, 상기 일치율에 따라 상기 교정영역별 교정순서에 의한 스케줄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성대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성대의 반동을 이용한 진동유지법(A), 진동유지와 후두 위치 교정법(B), 후두 이완법(B-1), 진동유지와 근육이완법(C), 진동유지와 표정이완법(D), 진동유지와 자세이완법(E), 진동유지와 뇌의 인지법(F), 무의식 호흡유지와 복부 이완을 통한 횡경막 압력법(G), ' AND FOR' 성대의 중간접지 활용법(H), 흑인 보이스응용 성대의 뒤쪽 접지활용법(I), '음~' 허밍 성대의 앞쪽 접지 활용법(J), '때끼' 성문 닫기 감각법(K),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공명기로 소리내법(R),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상황극을 이용한 4가지 전달력법(U),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명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법은,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압조절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공명기로 소리내법(R),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컬프랙틱 시스템은, 크게 트레이닝 영역을 발성-표현력-리듬 영역으로 구분하고, 발성은 다시 성대-공명-공기압조절 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로 성대를 포함한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이완 및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각 트레이닝 영역은 최초 피교정자를 각 영역별로 테스트하여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경우 이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거나, 아니면 테스트 결과에 따라 각 트레이닝 영역의 순서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 트레이닝 영역은 더 세분화된 각 영역을 가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발성 영역은 다시 성대, 공명, 공기압조절 단계로 세분화된다.
각 세분화된 단계별로는 후술할 A ~ V 까지의 교정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대 교정을 위해서는 A~F 단계의 교정법이 적용되며, 공명 교정을 위해서는 L ~Q, S 교정법이 적용될 수 있고, 공기압 조절을 위해서는 R,T,U, V,W 교정법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대 교정의 단계를 살펴보면, 성대의 긴장에 의한 탄성, 진동의 원리 등을 이용하여 노래하는데 필요한 근육들을 반복적으로 운동시킴으로써 성대의 운동을 관장하는 뇌의 부분이 지속적으로 이를 기억하게 하여 올바른 발성법을 낼 수 있도록 한다.
발성은 크게 호흡기(폐)-진동시(성대)-공명기(비강,구강, 인두강 등)-발음기(발음을 관장하는 근육들)의 순서를 거쳐 입 밖으로 나오게 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각종 근육들의 긴장들이 소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개입되며 성대가 그 간섭들로부터 얼마가 자유로워질 수 있느냐가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는 발음/발성교정의 관건이다.
또한, 올바른 감각에 의한 뇌의 인지능력을 통해 올바른 발성의 습관을 유지하고 기억하는 것 역시 중요한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발성체계와 습관들을 가지고 있고, 이를 인지하는 뇌의 인지능력 또한 천차만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보컬프랙틱 시스템에서는, 성대 주변 근육의 이완을 위하여, 예를 들어, 턱 아래 근육, 인중, 혀, 광대, 미간, 후두, 어깨, 복근 등 발성과 관련된 근육들을 이완하는 구체적인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전술한 각 교정방법을 적용하는 것과 동시에, 적용 전후를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지화 하여 뇌에 각인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컬프랙틱 시스템에 의하면, 트레이닝 영역을 발성-표현력-리듬 영역으로 구분하고, 발성은 다시 성대-공명-공기압조절 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로 성대를 포함한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이완 및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이를 다시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지화 하여 뇌에 각인함으로써 종래 경험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이 아닌 치료에 근거하여 피교정자에게 구분없이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단시간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컬프랙틱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분석모듈의 표시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분석모듈에 따른 초기구간파형과 모범파형 및 추가구간파형의 비교분석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분석모듈에 따른 초기구간파형과 추가구간파형의 비교분석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컬프랙틱 시스템(1)은, 설정된 샘플링구간에 대해 피교정자의 노래 또는 낭독에 의한 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저장하는 저장부(40)에 녹취모듈(10)과; 녹취모듈(10)에서 녹취된 구간발성을 파형화하여 초기구간파형으로 검출하는 파형검출모듈(20)과;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숙련자의 구간발성에 의한 모범파형을 상기 저장부(40)에서 추출하여 상기 제1구간파형과 대비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하는 파형분석모듈(30);을 포함하여, 상기 교정영역에 대한 교정이 진행 중 또는 수행이 완료된 복수의 시점에서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상기 피교정자의 추가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추가구간파형으로 검출한 후 상기 초기구간파형 및 상기 모범파형과 분석 대비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함으로써, 피교정자가 교정정도 및 교정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샘플링구간이란, 피교정자의 발성상태를 파악하고, 추후 교정의 정도를 가늠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특정 노래의 한 소절 또는 특정 문장 등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음역, 울림 등 특정 교정항목을 파악하기 적합하도록 각 교정항목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녹취모듈(10)은 녹음을 위한 통상의 마이크와, 녹취를 위한 녹취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형검출모듈(20)은, 녹취된 구간발성에 대하여 이를 파형화하여 표시한다. 파형검출모듈(20)은, 교정 도중 또는 교정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새로 녹취된 구간발성으로부터 추가구간파형을 검출한다.
파형분석모듈(30)은, 상기 초기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의 대비 또는 상기 각 추가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을 대비할 때, 상기 교정영역별로 일치율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파형분석모듈(30)은, 모범파형의 길이, 진동수, 진폭 등을 수치화하여 상기 모범파형에 대한 상기 추가구간파형의 차이를 수치화함으로써, 피교정자가 교정의 정도는 시각적으로는 물론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파형분석모듈(30)은, 상기 일치율에 따라 상기 교정영역별 교정순서에 의한 스케줄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파형분석모듈(30)은 상기 일치율 분석항복을 교정영역별로 구성한 후에, 각 일치율의 정도 예를들어, 일치율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 교정영역 순서대로 교정 스케줄링을 생성하여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영역은, 성대교정영역, 공명교정영역 및 공기압조절교정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성대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성대의 반동을 이용한 진동유지법(A), 진동유지와 후두 위치 교정법(B), 후두 이완법(B-1), 진동유지와 근육이완법(C), 진동유지와 표정이완법(D), 진동유지와 자세이완법(E), 진동유지와 뇌의 인지법(F), 무의식 호흡유지와 복부 이완을 통한 횡경막 압력법(G), ' AND FOR' 성대의 중간접지 활용법(H), 흑인 보이스응용 성대의 뒤쪽 접지활용법(I), '음~' 허밍 성대의 앞쪽 접지 활용법(J), '때끼' 성문 닫기 감각법(K),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공명기로 소리내법(R),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상황극을 이용한 4가지 전달력법(U),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명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법은,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압조절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공명기로 소리내법(R),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보컬프랙틱 시스템에 적용되는 세분화된 교정법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A. 성대의 반동을 이용한 진동유지
이 교정법(치료법)은 피교정자가 발성을 함에 있엇 가장 중요한 성대의 운동을 관장하는 뇌가 이를 인지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정법이다.
탄성재질의 작은 공(이른 바, '얌체공')을 바닥에 튕긴 후에 공의 탄성과 반동의 모양 (시간적으로 표현하면 점차 감소하는 사인파 형상)을 뇌로 인지하는 훈련과 동시에 '아~'라는 발성을 피교정자가 공의 튕기는 타이밍에 맞추어 소리를 내는 연습을 수행한다.
이 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바이브레이션의 연결이 반동에 의해 나오도록 연습하며, B,C,D,E,F의 교정법들이 동시에 이행될 수 있다.
이때 노래를 녹음하는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해 목소리의 진동상태를 같이 확인하며 뇌에 현재의 소리의 상태를 알리며 이를 반복한다
소리가 끊어지지 않게 되면 얌체공을 떨어뜨릴때 가속을 주고, 목소리역시 같은타이밍의 빠르기로 소리를 시작한다.
성대는 평상시에 후두 안에 있고 우리가 성대를 통해 소리를 낼 때 성대 외에도 어깨, 턱, 가슴, 복근, 후두 외부의 각종 근육 등 50여개의 근육들의 간섭이 동시에 시작된다. 그로 인해 가장 중요한 성대의 움직임에 대한 뇌의 인지가 매우 어렵거니와, 성대의 움직임과 후두의 움직임을 착각하게 될 확률또한 매우 높다.
성대는 음파 즉 소리의 시작지점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바이브레이션이란 성대의 진동을 뜻한다. 즉 노래가 끊기는 것은 호흡이 부족해서가 아닌 바이브레이션이 끊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의 발성법은 의식적인 복식호흡을 유도하여 부자연스러운 호흡과정으로 성대의 진동상태를 더욱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성대는 횡경막에서 올라오는 공기압을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압축된 공기로 얼마만큼의 음파를 만들어 밖으로 내보내느냐를 결정짓게 되는데, 공기와 성대의 밸런스가 맞지않아 공기압이 과한 것은 수도꼭지의 수압을 종이에 대고 있는 것과 매우 흡사하다.
반동에 의한 바이브레이션은 성대가 다른 근육에 의존하지 않고 자립적으로 소리를 이어나가는데 도움을 주고 노래를 할 때 음을 안정적이고 길게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본베이스가 된다.
B. 진동유지와 후두 위치 교정
A를 이행하며 갑상연골(아담의사과)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턱밑 근육을 집게 손가락으로 눌러 살짝 자극을 주며 턱밑근육의 이완을 동시에 유도한다.
소리를 내는 동시에 턱밑근육을 양옆으로 이동시키며 다른 근육들의 방해가 있는지 확인하고 후두의 위치가 너무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P교정법(산정상 발성)을 이행하는 동시에 후두 위치를 확인하고 갑상연골(아담의 사과)의 아래쪽에 손가락을 일자로 대고, 가상의 평행선을 그으며 동시에 소리의 이동경로를 갑상 연골의 아래쪽에서 시작하도록 거울을 보며 모니터한다. 그리고 뇌에 인지가 될 수 있도록 반복 발성한다.
이는 뇌가 고음으로 갈수록 후두가 위로 올라간다고 당연히 인식을 하게 되는 일반사람들의 인식이 실제와는 매우 다르게 소리가 나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하고, 실천함에 있어 귀-뇌-입에 순서로 소리가 나오는 것을 역으로 이용해 감각을 몸으로 알게 하고 뇌가 기억하여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업이다.
후두는 0을 가운데 기준으로 잡고 10의 이동이 가장 자연스럽게 성대를 진동할 수 있는 조건이다. 갑상연골이 위로 올라갈 때 성대는 앞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적당한 팽팽함은 진동과 고음에도 탄성의 원리를 적용시켜 좋은 소리를 유지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늘어나면 진동에 방해는 물론 다른 근육들의 개입이 시작된다.
그리고 우리는 실제 똑같은 음의 소리를 낼 때에도 후두를 올렸을 때 소리가 성대를 얇게 만들었기 때문에 톤이 조금더 얇게 들리는 것을 착각하여 더 높은 음이라고 착각하는 현상까지 벌어지게 된다.
B-1. 후두 이완
후두 이완을 돕기 우해 후두 바깥쪽을 손가락으로 마사지하듯 양 옆으로 자극을 준다. 턱의 이완을 돕기 위해 턱쪽 근육을 손가락으로 마사지 하듯 양 옆으로 자극을 준다. 이 때 너무 강하게 해서는 안되며, 고개를 흔들때 이완되는 때를 노려 서서히 압박하며 자극을 준다.
원리는, 소리를 내는 순간 동시에 후두 바깥쪽과 고개를 동시에 흔들며 이완하며 소리를 내게 되며, 성대의 활동의 감각을 후두 바깥쪽 이완과 동시에 뇌가 순간 인지하게 되어 그 기억으로 소리를 내고 이것은 평생의 습관도 바꿀만큼 효과적이며, 한번 시술시 마다 조금씩 변화를 보이며 100% 중에 30%는 본래로 돌아가게 된다.
즉, 매회 시술시마다 70%씩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며, 이렇게 조금씩 시술을 거듭하게 되면 고음을 내는 것이나, 발성을 하는 것 자체가 점점 편해지며, 심지어 말하는 목소리까지 단번에 변화가 가능하다.
이는, 흔히 목에 힘이 들어간다고 하는 경우는 후두 바깥쪽 근육이 문제이며, 후두 바깥쪽 근육의 간섭으로 인해 성대의 원활한 진동에 방해를 받기에 이를 해결하여 목에 힘이 빠진 상태로 노래를 부르도록 해준다.
C. 진동유지와 근육이완
이 교정법은 진동을 유지하며 턱밑의 근육을 손가락으로 잡고 이완시키며, 손을 이용하여 이마, 미간, 양볼, 어깨 등의 움직임을 이완시킨다.
인중은 손가락으로 소리를 내는 동시에 근육의 경직을 이완시켜, 경직되었을 때와 이완 시켰을때의 소리를 거울로 비교하게 하여 이완시켰을 때의 소리를 반복함으로써 뇌에서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혀는 R발음을 내도록 유도하는 것을 통해 치아에 붙지 않도록 유도하고, '메롱' 할 때와 같이 혀를 내밀며 이완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리의 변화를 인지하도록 해준다. 결과적으로 입 안쪽에서 혀가 내밀어져 있는 상태와, 이완된 상태, 그리고 치아에 붙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유도한다.
D. 진동유지와 표정이완
이 교정법은 전화할 때처럼 상황극을 연출하여 실제 전화를 받는 것처럼 하고, 전화할 때의 표정을 거울을 통해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 진동을 할 때에도 전화할 때의 표정과 같은 표정이 나오게 하여 성대의 진동을 소리낼 때 준비없는 시작을 함으로 인해 표정 근육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성대의 원활한 진동을 유도하게 한다.
E. 진동유지와 자세이완
이 교정법은, 진동을 유지한 상태로 걷고, 앉았다 일어나기를 반복하며, 고개를 숙이는 자세 등 평상시에 무의식 중에 말할 때의 편한 자세를 취하게 하여 경직된 자세로 인해 성대의 진동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제거하도록 한다.
F. 진동유지와 뇌의 인지
이 교정법은, 자신의 소리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대해 실시간 시퀀싱프로그램(컴퓨터로 노래를 녹음하며 파형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거울을 이용해 모니터하고, 끊어지는 진동과 지속되는 진동의 차이점을 인지하여 이를 교정한다.
G. 무의식 호흡유지와 복부 이완을 통한 횡경막 압력
이 교정법은, 기존의 발성은 '호흡(의식)-배에서 올라옴- 입밖으로 나감'의 이미지를 통해 발성을 하게 되므로, 발성을 하는데에만 3단계나 생각하게 되고 이로인해 다른 근육의 개입 및 발성의 딜레이 등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발성에 있어서, 횡경막에 억지로 압력을 가하는 것은 지나친 압력으로 인해 성대가 공기의 저항을 이기지 못하고 쉽게 풀려버리는 결과를 초래하여 다른 근육에 힘이 들어가게 되고, 음이탈이 나는 등 발성의 악순환을 만들게 되었다.
인간 신체의 앞면과 뒷면을 생각해 볼때, 횡경막의 압력은 인간 신체의 앞면을 자연스럽게 의식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인간 신체의 뒷면의 괄약근에 CD 케이스(보조 부재)를 이용해 CD가 떨어지지 않도록 힘을 준 상태에서 소리를 냄으로써, 신체 앞쪽(횡경막)에 긴장이 이완되어 적당하고 필요한 만큼 스스로 횡경막이 알아서 공기압을 만들어 낼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성대의 감각을 인지하고 바로 입 밖으로 나간다'라는 단순한 의식을 갖게 됨으로써 말할때처럼 자연스러운 발성도 가능하게 된다.
H. < AND FOR > 성대의 중간접지 활용
이 교정법은 'AND FOR"를 발음하는 오디오파일을 미리 녹음하여 저장해두고, 피교정자가 상기 오디오파일과 같은 소리를 따라하는 교정법이다.
이는 성대의 성문에 어떤 면적의 울림을 이용하느냐를 반복적으로 연습함으로써 피교정자가 이를 감각적으로 기억하게 한다.
갈라지는 소리는 성대의 성문이 상호 접지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므로 앞에서 나왔던 C,D,E의 교정법을 중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I. 흑인 보이스응용 성대의 뒤쪽 접지 활용
이 교정법은, 실제 흑인의 목소리를 녹음한 오디오파일을 이용한다. 흑인들은 성대의 성문 뒤쪽을 활용해 소리를 내므로, 피교정자가 이 샘플을 직접 듣고 반복적으로 따라하며 성대의 뒤쪽을 활용하는 연습을 한다.
이 교정법에서 유의할 것은, 소리를 낼 때, 어떠한 근육의 방해가 없는 상태에서 성대의 진동소리를 냈을 때 갈라짐이 있다면, 이는 성문의 접지가 되는 않는 면적이므로 갈라짐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며 갈라짐이 없어질 때까지 이완된 상태로 소리를 내준다. 이 때 C,D,E 교정법에 의한 근육의 이완을 반드시 체크해야한다.
J. 음~음 허밍 성대의 앞쪽 접지 활용
이 교정법은 I 교정법과 유사하게, 성대의 성문 앞쪽을 활용하는 연습니다. 이 경우에도 C,D,E 교정법에 의한 근육의 이완상태를 반드시 체크하여야 한다.
K. 때끼 (성문 닫기감각 )
이 교정법은, 성대의 성문을 닫았을 때의 감각을 익히게 할 수 있으며, '때~끼'라는 소리 이후에 끼~ 라는 소리를 이어서 내며 성문을 닫았을 때의 감각을 익히게 한다.
L. 비인두강 공명감각
이 교정법은, 주먹을 쥔 상태에서 접혀져 있는 가운데 손가락을 내밀도록 한다. 접혀진 가운데 손가락을 치아 사이에 낀 후 이완된 상태로 입을 벌리도록 한다. 거울로 동시에 모니터하며 볼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45도 사선 위로 새끼 손가락에 옆 부분을 접지한다.
소리를 내게 하고 동시에 거울에 옆모습을 비추게 하여 소리의 이동경로를 뇌에 인지시킨다. 그곳은 인두강 위쪽이며 그곳을 공명시켜 주도록 한다. 이로인해, 고음에서 소리를 낼 대 공명하는 위치가 정확히 어디인지 뇌가 인식하도록 한다.
M. 비강공명감각
이 교정법은, '잉잉' 소리를 내며 상악동에 소리를 울려준다. 이 때, 두 손가락을 htkddkr동 위치를 집어주며 손가락의 위치를 보고 소리를 상악동 쪽으로 유도한다. 이 때, 인중 근육이 살짝 위로 올라가도록 해준다. 이 경우에도 근육이 이완된 느낌으로 내준다.
손가락으로 인중 근육을 살짝 밀어올려 이완과정을 돕는다.
N. < DREAM > 비강공명당기기
이 교정법은, 'DREAM' 소리를 내며 상악동을 울리는 동시에 인중 근육과 광대 근육의 움직임을 손가락을 이용해 움직여 준다.
동시에 성대가 살짝 당겨지며 팽팽해지고 고음을 내는데 유리한 성대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O. 산정상발성 (진성베이스 Long Tone )
이 교정법은, 갑성연골 아래 부분에 손가락을 대고, 소리를 시작하는 동시에 소리가 갑성 연골 아래 부분에서 시작한다는 이미지를 뇌에 알리도록 손가락을 댄 지점으로부터 45도 아래족으로 사선을 그으며 소리의 도착지점을 아래로 인식시켜준다.
그리고 높은 산에 올라가 산 위 정상에서 함성을 외칠 때처럼 왼손과 오른손을 입 주변으로 모아 '야~호'를 외친다.
우리가 소리를 크게 내려할 때 고개가 위로 올라가거나 후두가 위로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게 위해 아래를 내려다보는 이미지를 유지하며 거울을 보고 후두의 위치도 동시에 파악한다.
산정상발성은 우리가 낼 수 있는 저음 베이스의 소리를 다른 근육의 간섭없이 낼 수 있도록 유도해 준다.
P. 롤러코스터(진성베이스 Long Tone )
이 교정법은, 오른팔을 지면과 수평이 되게 올린다음 '아~'의 음정을 위에서 아래로 살짝 내려가게 설정한 다음 손의 모양 역시 위에서 45도 사선 아래로 다운되는 동작을 설정해준다.
이 때, 30M 정도의 거리를 빠르게 걸음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롤러코스터가 내려올 때의 가속으로 동시에 소리를 내며 소리가 나올때까지 그대로 유지하게 한다.
순간 뇌의 신경이 소리보다 움직임에 먼저 반응하게 될 때 소리를 길게 내기 위해 준비하는 동작이 없어지게 되며, 준비 없는 동작으로 시작된 소리는 성대주변의 불필요한 근육들의 간섭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준다.
30M 정도를 같은 방법으로 여러 번 왕복하게 되면 음의 길이는 더욱 길어진다. 롤러코스터는 기본 베이스의 소리를 길게 유지시켜주는 방법이다.
소리를 길게 내려고 할 때, 이미 준비동작 동안 긴 음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공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자신도 모르게 들숨을 크게 할 확률이 높다. 이에 쓸데 없는 근육들의 긴장이 같이 동반되고 소리는 오히려 불안하고 짧게 끊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문제점을 본 교정법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Q. 횡경막 공기압 강화
이 교정법은, 하기와 같은 3단계로 수행된다.
1단계 : 일어선 자세에서 벽에 토구를 붙게 한 다음, 토구 앞에 배를 대고 벽쪽으로 등을 살짝 밀어준다. 이 때, 등을 서서히 압박하면 벽 쪽에서 밀어내는 힘과 등쪽에서 밀어내는 힘이 동시에 배를 압박하게 된다. 이 때, '츠' 라는 소리와 함게 호흡을 서서히 빼준다. 호흡이 끝날때 까지 등쪽에서 서서히 밀어준다.
*2단계 : 요가 매트 위에 엎드린 자세에서 토구를 배에 깔아둔다. 이 때, 양쪽 팔꿈치와 발끔으로 지지하게 하며 위와 마찬가지로 '츠~'라는 소리와 함게 호흡을 서서히 빼도록 한다.
3단계: 요가 매트 위에 다리를 펴고 앉아서 '열중 쉬어' 자세를 시킨 상태로 다리를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이때 엉덩이로 중심을 잡고 복부에 압박을 약간 주게하여 중심을 제대로 잡을 수 있도록 유지하며, 그 상태로 '아' 소리를 짧게 끊어 스타카토로 내는 것과 소리르 길게 내는 것을 병행하며 이행한다. 이 때, 몸과 다리가 V자의 각도로 점점 멀어지도록 등과 다리를 잡고, 그 이후에는 다리만 잡고, 그 이후에는 보조 없이 스스로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교정법은 큰 공기압을 이용해 큰 소리르 만들어 낼 수 있게 하며, 가창력에 있어 크고 풍부한 울림을 만들어 내는 데에도 중요한 치료법이다. 하지만 공기압을 지탱할 수 있는 성대의 저항력이 부족하다면 성대가 큰 공기압을 저항할 수 있는 힘이 없기 때문에 개개인 마다의 저항력을 인지해야하는 것은 물론 횡격막의 압력과 성대 저항의 밸런스를 맞춰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R. 공명기로 소리내기
이 교정법은, '이'를 소리낼 대의 입모양으로 모든 가사의 발음을 낼 수 있도록 한다. '이'라는 소리를 발음했을 대 영어와 한글의 차이는, 영어발음에서는'i', 한글발음에서는 '이'로 표현되는 데, 이는 피상적으로는 같은 소리처럼 들리지만 명확히 다르다.
한글발음에 '이'는 성대의 진동보다는 턱 근육과 후두 주변 근육, 입 주변 근육들의 개입이 강하다. 그래서, 흔히 최종적으로 입 밖으로 나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거치는 발음이 근육들을 이용한다. 하지만, 영어발음의 'i'는 한글의 '이'와는 다른 차이를 보인다. 즉, 한글발음 '어', '에', '오', '우' 등 모든 입모양으로 영어발음 'i'를 발음할 수 있다. 이는 성대의 진동과정을 방해받지 않는 상태에서 동시에 공명기로 소리를 완성하였기 때문이다.
공명하는 과정에도 성대 이외의 많은 근육들이 개입되는데, 진동과정을 방해하는 근육들의 개입이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공명기로만 소리를 내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영어와 노래는 비슷한 발성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교정법에서는 한글의 모든 발음을 'LM'에 대입시켜 'LM'의 공명기로 소리를 유도하는 것이다.
S. 브레인 이미지 음정
보통 음정 연습을 위해 스케일 연습을 한다. 반복적으로 여러 음정을 내다보면 음감이 조금씩 몸에 익혀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음감이 없는 사람에게는 그 스케일을 내는 것조차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런 행위를 반복하는 것은 그냥 될 때까지 연습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하지만, 브레인 이미지 음정은 음정의 이미지화를 통해 올바른 음정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아노의 건반을 살펴보면, 도-도#-레-레#-미-파-파# 등으로 건반이 배열되어 있다. 음표로는 표기할 수 없지만 도-도# 사이에도 무수히 많은 음들이 존재하며, 레-레# 사이에도 무수히 많은 음들이 존재한다.
노래를 부르다보면 음정만 음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기타 튜닝을 할 때 우리는 조금씩 음정을 맞추어간다. 튜닝되지 않은 소리도 소리라는 것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만약 '도'를 '도#'에 가까운 '도'로 소리를 내고, '레'를 '레#'에 가까운 소리로 이어간다면 음정이 '시'에 가까워진다거나 '도#'에 가까워지며 플랫되는 현상은 없게 되며, 이것을 노래에 대입시키면 모든 음정에 #에 가까운 소리르 유도해 음정이 플랫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음으로 갈때 후두의 위치를 내려주면 음정도 낮아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대부분 사람들의 귀가 높은 주파수에 예민하고 고음은 얇아진다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후두가 위로 당겨졌을때 살짝 얇아진 성대의 소리를 고음소리로 착각을 하게되는 현상이다. 이런 음정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후두를 내린 상태에서의 음정과 후두를 올린 상태에서의 음정이 결국 같은 음이라는 것을 인지시켜주어야 하는데, 이 때 시퀀싱 프로그램(노래 녹음과 파형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같은 음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개선할 수 있다.
T. Groove 연음법칙 영어권 리듬
'GROOVE'는 자신만의 자연스런 리듬감각을 뜻하며, 메트노롬의 박자보다 메트로놈을 만든 인간의 박자가 훨씬 정확하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리듬감각이다. 이제까지 한국인들의 리듬은 서양인, 흑인 등 영어권 사람들과 매우 다른 타이밍에 리듬을 타고 있었으며, 특히 드럼 비트를 따라가며 타는 리듬은 노래의 흐름을 끊어지게 하였고 무반주로 노래할 때 역시 속도의 흐름도 들쑥날쑥하여 느낌이 이어지지 못하였다.
이것은 언어에도 영향이 있으며, 영어라는 언어가 연음법칙과 그루브를 가지고 있는 반면, 한글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그 원인이다.
이 그루브는 악기연주(피아니스트가 고개를 원형으로 돌리며 피아노를 치는 행위) 혹은 영어, 걸음 등 우리의 모든 일상에도 존재한다.
특히, 노래의 리듬에 적용될 경우 시간차를 뇌로 인지하고 몸으로 기억하여 연음이 되게 하며, 노래의 흐름이 끊기는 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어떤 리듬의 곡도 자신의 리듬대로 완벽히 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음을 밀고 당기는 것도 사실 이 그루브 리듬을 하게되면 해결되는 것이며, 가사의 전달력 역시 음절의 길고 짧음을 관장함으로써 말을 하듯이 노래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운동치료를 통해 몸이 이를 기억하게 한다.
치료방법은,
1단계: 왼쪽다리를 어깨넓이 만큼 앞으로 벌리고, 오른쪽 팔에 남자는 2kg 여자는 1kg의 아령을 잡게 한다. 놀이동산에서 흔히 '바이킹'이라 불리는 놀이기구의 원리로 아령을 살짝 들어올리게 한다음 올라감과 내려옴을 반복하며 노래를 연음으로 이어가게 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팔에 힘을 빼고 중력과 원심력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2단계: 1단계의 느낌을 걸음에 대입시켜 걸음이 큰 원을 그리며 게속 이어지도록 하고, 걸음을 이용해 연음법칙을 이어가며 노래를 끊어지지 않도록 실습한다.
이 걸음의 타이밍을 뇌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반복하며, 걷지 않을 대에도 걸을 때의 감각과 타이밍을 이용해 리듬을 자연스럽게 이어 나갈 수 있다.
어떠한 리듬의 곡도 약감의 속도 차이를 보일 뿐 이 법칙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T-1. 런닝리듬
런닝리듬은, 메트로놈의 BPM을 런닝리듬의 속도에 대입시켜 원하는 곳의 리듬을 걸음의 감각으로 이해할 수 있게함으로써 런닝머신 종료후에도 그 속도의 감각을 걸음으로 이어 노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U. 상황극을 이용한 4가지 전달력
이 교정법은, 예를 들어, 국어책을 읽고 있는 느낌의 상황극, 나레이션을 하고 있는 느낌의 상황극, 뮤지컬을 하고 있는 느낌의 상황극, 기존 노래를 부르는 느낌의 상황극 등을 통하여 가장 이상적이고 자연스러운 전달력을 구사할 수 있다.
가사를 분석하고 이해하며, 각 상황극의 느낌을 충분히 연습하고 포커스를 뮤지컬과 기존 노래의 중간에 해당하는 상황극 느낌에 맞춰 노래의 자연스런 전달력을 연출한다.
V. 모창탈피
대부분 자기 목소리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가수의 목소리가 뇌에 각인되어 있다. 그로 인해 노래를 부를 때, 나에 초점이 맞춰진 진동과 공명이 아니라 흔히 말하는 가수들의 모창을 하게 된다.
목소리와 가수의 음악이 동시에 뇌에 입력되므로 자신의 목소리로 노래를 부른다느 것에 대한 느낌을 전혀 알 수 없다.
하지만, L,M,O 의 공명기의 느낌으로 그대로 노래를 부르고, 시퀀싱프로그램으로 녹음하여 모니터하고 모창을 할 때의 목소리와 공명기에 가사를 대입한 목소리의 차이를 충분히 인지하며 자신의 공명기의 톤을 그대로 살려 노래를 하게 되면, 어떤 음을 들어도 자신의 목소리로 재해석해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된다.
1 : 보컬프랙틱 시스템
10 : 녹취모듈 20 : 파형검출모듈
30 : 파형분석모듈 40 : 저장부
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설정된 샘플링구간에 대해 피교정자의 노래 또는 낭독에 의한 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에 녹취모듈과;
    상기 녹취모듈에서 녹취된 구간발성을 파형화하여 초기구간파형으로 검출하는 파형검출모듈과;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숙련자의 구간발성에 의한 모범파형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초기구간파형과 대비하여 표시하는 파형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교정영역에 대한 교정이 진행 중 또는 수행이 완료된 복수의 시점에서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상기 피교정자의 추가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추가구간파형으로 검출한 후 상기 초기구간파형 및 상기 모범파형과 분석 대비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피교정자가 교정정도 및 교정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컬프랙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영역은, 성대교정영역, 공명교정영역 및 공기압조절교정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분석모듈은, 상기 초기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의 대비 또는 상기 각 추가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을 대비할 때, 상기 교정영역별로 일치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분석모듈은, 상기 일치율에 따라 상기 교정영역별 교정순서에 의한 스케줄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대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성대의 반동을 이용한 진동유지법(A), 진동유지와 후두 위치 교정법(B), 후두 이완법(B-1), 진동유지와 근육이완법(C), 진동유지와 표정이완법(D), 진동유지와 자세이완법(E), 진동유지와 뇌의 인지법(F), 무의식 호흡유지와 복부 이완을 통한 횡경막 압력법(G), ' AND FOR' 성대의 중간접지 활용법(H), 흑인 보이스응용 성대의 뒤쪽 접지활용법(I), '음~' 허밍 성대의 앞쪽 접지 활용법(J), '때끼' 성문 닫기 감각법(K),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공명기로 소리내법(R),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상황극을 이용한 4가지 전달력법(U),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법은,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조절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공명기로 소리내법(R),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 시스템.
KR1020130009225A 2012-01-27 2013-01-28 보컬프랙틱 시스템 KR101471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8576 2012-01-27
KR1020120008576 2012-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444A KR20130087444A (ko) 2013-08-06
KR101471741B1 true KR101471741B1 (ko) 2014-12-11

Family

ID=4921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225A KR101471741B1 (ko) 2012-01-27 2013-01-28 보컬프랙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7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075A (ko) 2022-10-27 2024-05-07 김기범 기계학습 기반 온라인 보컬 분석 서비스 시스템
KR102668523B1 (ko) 2024-01-04 2024-05-22 박종혁 해부학 데이터 기반 발성 트레이닝 솔루션 및 커리큘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228B1 (ko) * 2017-11-16 2019-12-27 윤성현 자막 기반의 보컬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098A (ko) * 2005-07-12 2005-08-11 공유찬 폐를 공명실로 이용 한 모음발성법 및 그 발성 인체지도
KR20080019278A (ko) * 2005-06-09 2008-03-03 미쓰요시 슌지 피치 주파수를 검출하는 음성 해석 장치, 음성 해석 방법,및 음성 해석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278A (ko) * 2005-06-09 2008-03-03 미쓰요시 슌지 피치 주파수를 검출하는 음성 해석 장치, 음성 해석 방법,및 음성 해석 프로그램
KR20050080098A (ko) * 2005-07-12 2005-08-11 공유찬 폐를 공명실로 이용 한 모음발성법 및 그 발성 인체지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075A (ko) 2022-10-27 2024-05-07 김기범 기계학습 기반 온라인 보컬 분석 서비스 시스템
KR102668523B1 (ko) 2024-01-04 2024-05-22 박종혁 해부학 데이터 기반 발성 트레이닝 솔루션 및 커리큘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444A (ko)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ades A spectrum of voices: Prominent American voice teachers discuss the teaching of singing
Davids et al. Vocal technique: A guide for conductors, teachers, and singers
Bunch et al. Dynamics of the singing voice
Bell The Mechanism of Speech: Lectures Delivered Before the American Association to Promote the Teaching of Speech to the Deaf: to which is Appended a Paper Vowel Theories, Read Before the National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McKinney The diagnosis and correction of vocal faults: A manual for teachers of singing and for choir directors
Miller Training soprano voices
Vennard Singing: the mechanism and the technic
Chan Embodied Pronunciation Learning: Research and Practice.
Miller Securing baritone, bass-baritone, and bass voices
Aikin The voice: an introduction to practical phonology
Bluemel Stammering and cognate defects of speech v. 2
RU2380760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голосовых данных и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резонансной вокально-речевой технике
KR101471741B1 (ko) 보컬프랙틱 시스템
Avery et al. First principles of speech training
Patterson The rhythm of pros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sense of rhythm
US20160027317A1 (en) Vocal practic and voice practic system
Witherspoon Singing: A treatise for teachers and students
Moorcroft Pre-performance practices: breathing imagery and warm-up for singers
Alderson et al. A new handbook for singers and teachers
Atkins Focus of attention affects singer's tone production
Bell Lectures upon the Mechanism of Speech
RU2612804C2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лечебно-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й вокальной вибрационной гимнастики
Smith et al. Class Voice: Fundamental Skills for Lifelong Singing
Zaliouk A visual-tactile system of phonetical symbolization
Leavens The Horn and the Voice: A Study in Comparative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