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680B1 -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680B1
KR101471680B1 KR1020090023714A KR20090023714A KR101471680B1 KR 101471680 B1 KR101471680 B1 KR 101471680B1 KR 1020090023714 A KR1020090023714 A KR 1020090023714A KR 20090023714 A KR20090023714 A KR 20090023714A KR 101471680 B1 KR101471680 B1 KR 10147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dentifier
indoor
typ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960A (ko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68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 식별자(BSID)를 계층적으로 할당하여 옥내용 기지국(펨토 기지국) 및 옥외용 기지국(매크로 기지국)을 구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 식별자를 운영자 식별자와 기타 식별자로 구분하고, 상기 기타 식별자를 기지국이 위치하고 있는 접속망 게이트웨이의 식별자(이하,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라 함)와 기지국 세부 식별자로 구분하여, 상기 기지국 세부 식별자에 기지국 번호, 주파수 할당 번호, 섹터 식별자를 포함시켜 구성하고, 상기 기지국 타입 식별자, 상기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 상기 운영자 식별자 중 하나에 기지국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기지국 타입 식별자를 구성하여, 이와 같이 계층적으로 할당된 기지국 식별자를 신호 전송시 사용한다.
펨토셀, 옥내용 기지국, 와이맥스, 기지국 식별자, 기지국 타입 식별자

Description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METHOD FOR DISCRIMINATING INDOOR/OUTDOOR CELL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내용/옥외용 기지국이 존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예컨대, WiMax, WiFi, LTE 망 등)에서 기지국 식별자(BSID: Base Station IDentitifier)를 계층적으로 할당하여 옥내용 기지국(펨토 기지국)/옥외용 기지국(매크로 기지국)을 구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크, 반도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자들의 요구 사항은 날이 갈수록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세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현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EV-DO(Evolution Data Only), WCDMA(Wideband CDMA),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최근 가정 내에서 휴대전화 이용과 모바일 데이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옥내 브로드밴드 망을 통해 이동통신 핵심망에 접속하도록 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을 옥내에 설치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을 옥내용 기지국 또는 펨토(Femto) 기지국이라고 부른다.
현재 기존의 옥외용 기지국(또는 매크로(Macro) 기지국)으로 이루어진 통신망에, 이러한 옥내용 기지국을 도입하여, 옥외용 기지국과 옥내용 기지국이 혼재하는 구성을 갖는 통신망 기술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망의 대표적인 예로, 와이맥스(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Fi(Wireless Fidelity),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망 등이 있다.
옥외용 기지국과 옥내용 기지국이 혼재된 망 환경에서 시스템은 단말에게 끊김없는 통신(Seamless Communication)을 제공하기 위해 핸드오버(Handover)를 지원하게 되며, 이러한 핸드오버는 단말의 이동시 옥내용 기지국에서 옥외용 기지국으로 혹은 옥외용 기지국에서 옥내용 기지국으로 자주 발생하게 된다.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을 살펴보면, 단말(MS: Mobile Station)은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으로부터 이웃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기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웃 기지국(Neighbor BS)들을 탐색한다. 즉, 단말은 자신이 감시하고 있어야 할 이웃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수신하여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여 이웃 기지국들의 존재 유무를 판별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옥내용 기지국은 가정, 사무실 등의 옥내 설치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하나의 옥외용 기지국내에는 다수의 옥내용 기지국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옥외용 기지국에 모든 옥내용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가 모두 초기 설정 데이터(예컨대, 시스템 파라미터)로 관리되면, 무선 구간으로 방송되어야 할 데이터 량의 부하는 급속히 증가하게 되고, 옥외용 기지국에서 모든 옥내용 기지국들의 관리를 위한 부하도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옥내용 기지국들의 정보를 옥외용 기지국에서 모두 관리하고 단말로 방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단말은 옥내용 기지국들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옥외용 기지국 내에 있는 옥내용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이를 인지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옥내용 기지국은 기존의 옥외용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옥외용 기지국의 신호 품질이 좋은 경우에도 옥내용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보장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옥외용 기지국에서 옥외용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절차와는 다른 핸드오버 기준 및 타겟 기지국(Target BS) 선정시 우선순위 제어 등의 기능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옥외용 기지국 또한 옥내용 기지국의 정보를 이웃 기지국 정보로 갖고 있지 않게 되며, 따라서 사전에 옥내용 기지국들로부터 무선자원의 상태 정보 및 설정 정보의 변동 상태와 같은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단말로부터 수신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내의 후보 기지국(Candidate Base Station)들 중에서 자신이 관리하고 있지 않는 후보 기지국이 옥내용 기지국 또는 옥외용 기지국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만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단말 및 옥외용 기지국에서 옥내용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구분자가 절실히 필요하며, 이와 함께 옥내용 기지국이 개방형 접속 그룹(OSG: Open Access Group)을 지원하는지 또는 폐쇄형 접속 그룹(CSG: Closed Access Group)을 지원하는지도 식별할 수 있어야만 효율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옥내용/옥외용 기지국이 존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자(BSID)를 계층적으로 할당하여 옥내용 기지국(펨토 기지국) 및 옥외용 기지국(매크로 기지국)을 구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기지국 식별자(BSID)를 계층적으로 할당하여 옥내용 기지국(펨토 기지국) 및 옥외용 기지국(매크로 기지국)을 구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 식별자를 운영자 식별자와 기타 식별자로 구분하고, 상기 기타 식별자를 기지국이 위치하고 있는 접속망 게이트웨이의 식별자(이하,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라 함)와 기지국 세부 식별자로 구분하여, 상기 기지국 세부 식별자에 기지국 번호, 주파수 할당 번호, 섹터 식별자를 포함시켜 구성하고, 상기 기지국 타입 식별자, 상기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 상기 운영자 식별자 중 하나에 기지국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기지국 타입 식별자를 구성하여, 이와 같이 계층적으로 할당된 기지국 식별자를 신호 전송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식별자의 계층적 할당 및 기지국 타입 식별자의 사용을 통하여 핸드오버 등 다양한 상황에서 네트위크 구성요소들이 효과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종래에 사용하던 기지국 식별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메시지 사용 등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옥내용 기지국의 경우 종래의 옥외용 기지국 간 핸드오버와 다른 핸드오버 기준 및 기지국 간의 신호 처리 절차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옥내용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많은 수의 옥내용 기지국이 망 내에 설치되어 이웃 기지국 방송 정보에 포함되지 못하는 경우에 핸드오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옥내용 기지국에 대한 비정상적인 처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은,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망,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예컨대,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 신망, 또는 향후 개발될 4G 등) 및 옥외용 기지국(Macro-eNB), 옥내용 기지국(Home-eNB) 및 단말(UE)을 구성 요소로 포함하는 임의의 기타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망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동통신망에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셀이 혼재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은 옥내에서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 셀(펨토셀)을 관리하는 옥내용 기지국(21,22), 옥외에서 넓은 범위의 셀(매크로셀)을 관리하는 옥외용 기지국(20), 단말(10), 접속망 게이트웨이(30), 연결망(40), 핵심망(50), 시스템 관리국(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각 구성요소의 개수가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MS)(10)은 이동통신 서비스(예컨대, 모바일 와이맥스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장치로서, 가입자에게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기능으로는, 인터넷 무선 접속 기능, IP 기반 서비스 접속 기능, IP 이동성 기능, 장치/사용자 인증 및 보완 기능, 멀티캐스트 서비스 수신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BS)(20,21,22)은 인터넷 무선 접속 기능, 무선자원 관리 및 제어 기능, 이동성(핸드오프) 지원 기능, 인증 및 보안 기능, QoS 제공 기능, 하향링크(Downlink) 멀티캐스트 기능, 과금/통계 정보 생성 및 통보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기지국(20,21,22)은 모바일 와이맥스 서비스를 위한 IEEE 802.16e-2005 물리계층(Physical Layer) 및 맥계층(MAC Layer)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기지국(20,21,22)은 옥외용 기지국(매크로 기지국)(20)과 옥내용 기지국(펨 토 기지국)(21,22)으로 구분된다. 옥내용/옥외용 기지국(20,21,22)이 혼재된 망 환경에서, 옥외용 기지국 셀(매크로 셀)로의 액세스는 모든 단말에게 허용되지만, 옥내용 기지국 셀(펨토셀)로의 액세스는 특정 단말(가입자)에게로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옥내용 기지국(21,22)은 자신이 관리하는 펨토셀에 대한 정보인 SIB 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는데, 이 SIB 1에는 해당 펨토셀로의 액세스가 제한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CSG 지시자(Closed Subscriber Group indicator)가 포함되어 있다. 옥내용 기지국(21,2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SIB 1내의 CSG 지시자가 '참(True)'의 값을 가지면 특정 가입자만이 해당 펨토셀에 액세스할 수 있는 폐쇄형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고(CSG: Closed Subscriber Group), '거짓'의 값을 가지면 모든 가입자가 해당 펨토셀에 액세스할 수 있는 개방형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OSG: Opened Subscriber Group). 예컨대, CSG 지시자가 '참'의 값을 가지면, 단말(10)은 자신이 액세스 가능한 펨토셀의 목록인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 내에 해당 펨토셀이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 펨토셀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펨토셀에서, 옥내용 기지국(21)을 'CSG 기지국'으로 가정하고 옥내용 기지국(22)을 'OSG 기지국'으로 가정하면, OSG 기지국(22)이 화이트 리스트에 속한 옥내용 기지국이 된다. 따라서, 옥내용 기지국(22)에는 모든 단말의 접속이 가능하지만, 옥내용 기지국(21)에는 접속이 허가된 단말만이 접속 가능하다. 다시, CSG 기지국은 두 가지로 운용 가능한데, 하나는 용량이 남아있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Open 모드와, 다른 하나는 가용 용량의 유무에 무관하게 전혀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Closed 모드로 분류된다.
접속망 게이트웨이(Access System Network Gateway)(30)는 이동통신 서비스(예컨대, 모바일 와이맥스 서비스)를 위한 에지 라우터(Edge Router)로서, 단말(10)에 대한 이동성, 인증, 데이터 송/수신 기능 및 연결망(40) 접속 기능을 제공한다. 그 기능으로는, IP 라우팅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인증 및 보안 기능, QoS 제공 기능, IP 멀티캐스트 기능, 과금 서버에 과금 서비스 제공 기능, ASN-GW 간 핸드오버 기능, 자원관리 및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한다.
연결망(CSN: Connectivity Service Node)(40)은 이동통신망(예컨대, 모바일 와이맥스망)의 외부망으로, CSN(40)에는 인가/인증/과금(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버, HA(Home Agent) 등이 위치하며, 그 기능으로는 IP 주소 할당 기능, 인증 및 과금 기능, IP 이동성 지원 기능, IMS 연동 기능, 인터넷 접속 서비스 기능 등을 수행하고, 라우터를 통해 이동통신 핵심망(공용 IP망)(50)과 연결된다.
옥외용 기지국들로만 구성된 망 환경에서 단말(10)이 이웃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이동통신망(예컨대, 와이맥스망) 구성시에 모든 기지국들은 시스템 관리국(60)으로부터 이웃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 이웃 기지국 탐색 및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기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옥외용 기지국(20)은 시스템 관리국(60)으로부터 이웃 기지국, 즉 타 옥외용 기지국(미도시됨)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게 된다. 옥외용 기지국(20)은 이 정보를 단말(10)이 수신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방송하며, 단말(10)은 방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주 변 기지국의 존재를 알 수 있게 되며, 주변 기지국에 대한 탐색 또는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기준이 만족되면 이 정보에 근거하여 주변 기지국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옥외용 기지국(20)은 주변 기지국들(타 옥외용 기지국)의 존재를 사전에 알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정보 제공을 요청하거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주변 기지국(타 옥외용 기지국)의 상태 및 설정 값들을 파악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들은 단말(10)이 핸드오버를 요청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옥외용 기지국(20)과 옥내용 기지국(21,22)이 혼재된 망 환경에서는, 하나의 옥외용 기지국(20) 내에는 무수히 많은 옥내용 기지국들(21,22)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옥외용 기지국(20)에서 모든 옥내용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모두 초기 설정 데이터(예컨대, 시스템 파라미터)로 관리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경우, 무선 구간으로 방송되어야 할 데이터 량의 부하는 급속히 증가하게 되고, 옥외용 기지국(20)에서 모든 옥내용 기지국들(21,22)의 관리를 위한 부하도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옥내용 기지국들(21,22)의 정보를 옥외용 기지국(20)에서 모두 관리하고 단말로 방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국(Element Management System)(60)은 초기 설정 데이터를 옥외용 기지국(20) 및 옥내용 기지국(21,22)으로 전송하되, 이때 옥외용 기지국(20)으로 전송하는 초기 설정 데이터에는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옥내용 기지국들(21,2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여기서, 초기 설정 데이터는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로서, RF 관련 정보(중심주파수, 대역폭, 출력전력레벨 등), 물리 계층 정보(Preamble Index, TTG/RTG, 상/하향링크 변조 방법, 레인징 관련 정보 등), MAC 계층 정보(인접 기지국 정보 및 탐색/핸드오버 조건, 기지국 기능 정보 등)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내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식별자(BSID)(이 기지국 식별자는 망 내의 모든 사용자에게 방송되는 정보임)를 계층적으로 할당하여 옥내용 기지국을 구분함으로써,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의 식별자 인식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옥내용 기지국(21,22)의 수가 너무 많아 서빙 기지국(Serving BS)에서 모든 이웃 기지국(Neighboring BS)들의 정보를 단말(10)로 방송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각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이 기지국의 종류 및 용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기지국 식별자(BSID)는 주소 설정을 위해 기지국이 단말(10)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나, 서빙 기지국이 단말(10)의 핸드오버를 위해 전송하는 메시지 등에 실려 망 내의 모든 단말(10)에게 주기적으로 방송(Broadcast)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와이맥스 표준에서 규정하는 기지국 식별자(BSID)(210)는 48비트의 길이를 가지며, 이중 24비트는 운용자 식별자(Operator Identifier)(210)로 사용하도록 할당되었으며, 나머지 24비트는 기타 식별자(212)로 사용이 가능하다. 기지국 식별자(BSID)(210)는 기지국을 구분하는 48비트의 필드로서, 공지의 기술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기타 식별자(212) 중에서 일부 비트를 사용하여 옥내용 기지국(21,22) 및 사용되고 있는 모드(OSG, CSG)를 구분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타 식별자(212)를 다시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 자(221)과 기지국 세부 식별자(222)로 구분함으로써, 네트워크 망 구조와 유사하게 계층적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구분은 옥외용 기지국(20)이 모든 옥내용 기지국(21,22)의 정보를 관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옥내용 기지국(21,22)과의 신호 송신 및 수신시에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221)를 통해서 기지국이 위치하고 있는 접속망 게이트웨이(30)로의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221)는 6비트를 할당하고, 기지국 세부 식별자(222)는 18비트를 할당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 세부 식별자(222)에는 기지국 번호(Base Station Number)(231), 주파수 할당 번호(Frequency Allocation Number)(232), 섹터 식별자(Sector Identifier)(233)와 함께 추가적으로 기지국 타입 식별자(Base Station Type Identifier)(234)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 번호(231)는 접속망 게이트웨이(30) 내의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한 번호를 의미하며, 주파수 할당 번호(232) 및 섹터 식별자(233)는 다중 주파수 및 다중 섹터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타입 식별자(234)는 옥외용 기지국(20) 또는 옥내용 기지국(21,22)을 구분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아울러 옥내용 기지국(21,22)의 경우 단말 접속 허용 모드(OSG 기지국 모드, CSG 기지국 모드, 가용 용량 유무에 따른 CSG 기지국의 Open/Closed 모드 등)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 번호(231)는 8비트를 할당하고, 주파수 할당 번호(232) 및 섹터 식별자(233)는 각각 4비트를 할당하며, 기지국 타입 식 별자(234)는 2비트를 할당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 타입 식별자(234)는 기지국(20,21,22)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로서 해당 기지국이 옥외용 기지국(매크로 기지국)(20)인지 또는 옥내용 기지국(펨토 기지국)(21,22)인지를 구분하며, 더불어 옥내용 기지국(21,22)일 경우 개방형 접속 모드(OSG 기지국)로 동작하는지 또는 폐쇄형 접속 모드(CSG 기지국 모드, 가용 용량 유무에 따른 CSG 기지국의 Open/Closed 모드 등)로 동작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 타입 식별자(234)의 마지막 두 비트를 기지국 타입 식별자로 사용하는 경우 비트 "00"은 옥외용 기지국(20)을 의미하며, 비트 "01"은 개방형 접속 모드(OSG)로 동작하는 옥내용 기지국(OSG 기지국)(예컨대, 22), 비트 "10"은 폐쇄형 접속 모드(CSG)로 동작하는 옥내용 기지국(CSG 기지국)(예컨대, 21)을 의미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타입 식별자(234)의 위치를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221) 또는 운영자 식별자(211)에 위치하도록 기지국 식별자(210)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비트의 형식 및 의미도 다양하게 정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운용자 식별자(211) ->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221) -> 기지국 번호(231) -> 주파수 할당 번호(232)/섹터 식별자(233)"로 이어지는 계층적인 기지국 식별자의 비트 할당은 구분자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망 내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이 쉽게 해당 기지국을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신호의 송/수신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핸드오버와 같이 신호 전달의 범위가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 법으로 기지국의 종류 및 동작 모드를 판단하게 되면 이동통신망의 각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은 핸드오버 등의 절차에서 별도의 추가 신호 없이 상황에 부합하는 동작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구분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말 20: 옥외용 기지국
21,22: 옥내용 기지국 30: 접속망 게이트웨이
40: 연결망 50: 핵심망
60: 시스템 관리국

Claims (9)

  1. 옥외용 기지국과 옥내용 기지국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을 구분하는 방법으로서,
    신호 전송시 사용되는 기지국 식별자를 운영자 식별자와 기타 식별자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기타 식별자를 기지국이 위치하고 있는 접속망 게이트웨이의 식별자(이하,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라 함)와 기지국 세부 식별자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세부 식별자에 기지국 번호, 주파수 할당 번호, 섹터 식별자를 포함시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지국 세부 식별자, 상기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 상기 운영자 식별자 중 하나에 기지국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기지국 타입 식별자를 구성하는,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타입 식별자는, 상기 기지국의 종류가 상기 옥내용 기지국인 경우, 해당 옥내용 기지국이 개방형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지 또는 폐쇄형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옥내용 기지국이 폐쇄형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 가용 용량에 따라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식별자를 수신한 수신측에서 별도의 신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기지국 종류 및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5. 옥외용 기지국과 옥내용 기지국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기지국 식별자를 운영자 식별자와 기타 식별자로 구분하고, 상기 기타 식별자를 기지국이 위치하고 있는 접속망 게이트웨이의 식별자(이하,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라 함)와 기지국 세부 식별자로 구분하여, 상기 기지국 세부 식별자에 기지국 번호, 주파수 할당 번호, 섹터 식별자를 포함시켜 구성하고, 상기 기지국 세부 식별자, 상기 접속망 게이트웨이 식별자, 상기 운영자 식별자 중 하나에 기지국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기지국 타입 식별자를 구성하여, 이와 같이 계층적으로 할당된 기지국 식별자를 신호 전송시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타입 식별자는, 상기 기지국의 종류가 상기 옥내용 기지국인 경 우, 해당 옥내용 기지국이 개방형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지 또는 폐쇄형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옥내용 기지국이 폐쇄형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 가용 용량에 따라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식별자를 수신한 수신측에서 별도의 신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기지국 종류 및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망 구성시 시스템 관리국이 상기 옥외용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초기 설정 데이터에 자신의 영역 내에 있는 옥내용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90023714A 2009-03-20 2009-03-20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147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14A KR101471680B1 (ko) 2009-03-20 2009-03-20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14A KR101471680B1 (ko) 2009-03-20 2009-03-20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960A KR20100104960A (ko) 2010-09-29
KR101471680B1 true KR101471680B1 (ko) 2014-12-10

Family

ID=4300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714A KR101471680B1 (ko) 2009-03-20 2009-03-20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6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667A (ko) * 2004-05-10 2005-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기지국정보의 제공 방법
KR100782928B1 (ko) * 2006-10-24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압축 정보를 이용한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20080109928A (ko) * 2006-05-17 2008-12-1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기지국들의 식별
KR20090001304A (ko) * 2007-06-29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지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667A (ko) * 2004-05-10 2005-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기지국정보의 제공 방법
KR20080109928A (ko) * 2006-05-17 2008-12-1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기지국들의 식별
KR100782928B1 (ko) * 2006-10-24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압축 정보를 이용한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20090001304A (ko) * 2007-06-29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지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960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5371B2 (en) Identifying hand-over targets in lightly coordinated networks
US9042899B2 (en) Closed subscriber group measurement reporting
JP5612188B2 (ja) 分散モバイルアクセスポイント取得
JP5175356B2 (ja) 多様なアクセスポイント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モバイルアクセス
KR101506172B1 (ko) 펨토셀 환경에서의 인접 셀의 종류와 액세스 모드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101425954B1 (ko) 공동―위치된 매크로와 펨토 기지국 배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들 및 이동국 핸드오프를 개시하기 위한 방법들
US893822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in an overlapping network environment
US2010009335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method therein
KR20100050339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US8934912B2 (en) Method for deciding unregistered macrocell user equipment adjacent to femtocell base station
JP2012530400A (ja) マルチ周波数パイロット信号
US201101518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vering closed subscriber group terminal in femto cell
US9307461B2 (en) Femtocell network
KR101803347B1 (ko) 폐쇄형 펨토 기지국의 동작 방법, 폐쇄형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방법, 그리고 이웃한 폐쇄형 펨토 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방법
Kwak et al. Mobility management survey for home-eNB based 3GPP LTE systems
US20130225160A1 (en)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813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offloa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closed access mode conditions
KR20120067621A (ko) 이기종 망 간의 핸드오버시 역방향 트래픽 채널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KR20100085442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471680B1 (ko) 옥내용/옥외용 기지국 구분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1518517B1 (ko) 옥내용 기지국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WO2024065246A1 (en) Configuring for communications with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s
KR101352311B1 (ko) Mac 스케쥴링을 이용하여 옥내용 기지국과 옥외용 기지국 간의 간섭을 감소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20072312A (ko) 이동성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50084240A (ko) 펨토 기지국에 접속 불가한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