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424B1 -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424B1
KR101471424B1 KR1020130009683A KR20130009683A KR101471424B1 KR 101471424 B1 KR101471424 B1 KR 101471424B1 KR 1020130009683 A KR1020130009683 A KR 1020130009683A KR 20130009683 A KR20130009683 A KR 20130009683A KR 101471424 B1 KR101471424 B1 KR 101471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book
data
braille
output device
ph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724A (ko
Inventor
전광일
김정윤
박설민
허청일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4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는 점자입출력장치로부터 페이스북 사용 관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스북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페이스북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과정을 거쳐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페이스북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는 점자입출력장치를 통해서도 페이스북의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페이스북의 내용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에게 점자 형태의 페이스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청각 보호 및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For the blind with Braille or raised signage facebook support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는 점자입출력장치로부터 페이스북 사용 관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스북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페이스북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과정을 거쳐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페이스북 사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SNS(Social-Network-System)는 MSN Messenger, Google Talk등의 실시간 대화 위주의 메신저 형태였다. 그러다 RSS, CSS, AJAX와 같은 기술이 도입된 웹 2.0 시대가 도래하면서 다른 형태의 SNS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기존의 컨텐츠 접근에 제약이 따르던 SNS 방식에서 누구나 SNS 서비스에 쉽게 접근 가능하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트위터(twitter)나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형태의 SNS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SNS는 인터넷 웹 페이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통해 널리 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시각장애인이 이용하기에는 큰 불편이 따르거나 실질적으로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용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TTS(Text To Speech) 방식의 Voice Over, Talk Back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음성 지원 서비스도 장시간에 걸쳐 이를 이용하는 경우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청각에 많은 무리를 주게 되어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쉽게 유발한다는 문제와 시각장애인들이 청각에 집중함에 따라 주변인지에 소홀하게 되어 위험한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점자입출력장치를 이용한 점자 형태의 SNS 서비스 제공 방법이 해결책으로 제시되어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를 통해 Google Talk와 트위터 등의 SNS 서비스가 점자 형태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아 페이스북은 여전히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6467호(2012.9.13. 공고)가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는 점자입출력장치와 페이스북 서버간 데이터 통신을 매개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점자입출력장치로부터 페이스북 사용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신호 수신부, 페이스북 서버로 Graph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신호를 페이스북 서버로 전송하는 요청부, 상기 서버로부터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으로 인코딩(encoding) 된 페이스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를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PHP 데이터를 점자입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를 이용한 점자 페이스북 사용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단축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에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PHP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대체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은 (a) 하나 이상의 점자입출력장치로부터 페이스북 사용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Graph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신호를 페이스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버로부터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으로 인코딩(encoding) 된 페이스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를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PHP 데이터를 점자입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하여 개체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개체에 옵션(option)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따.
상기 (b) 단계는 상기 옵션으로 상기 지정된 개체에 대응되는 개체 데이터를 전송 요청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옵션으로 상기 지정된 개체에 전송하는 개체 데이터를 저장 요청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옵션으로 상기 지정된 개체에 대응되는 개체 데이터를 삭제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는 점자입출력장치를 통해서도 페이스북의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페이스북의 내용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에게 점자 형태의 페이스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청각 보호 및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Graph API를 이용한 요청 신호 생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는 점자입출력장치로부터 페이스북 사용 관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스북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페이스북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과정을 거쳐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페이스북 사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100)은 점자입출력장치(110)와 페이스북 서버(120)간 데이터 통신을 매개한다.
상기 점자입출력장치(110)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는 기기로서 텍스트(text) 데이터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자체 웹-브라우저(web-browser)를 통해 웹-페이지(web-page)에 접속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구축된 서버를 통해 상기 점자입출력장치(110)와 상기 페이스북 서버(120)간 데이터 통신의 매개 과정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은 HTML(HyperText Markup Style Sheets), 약시력자를 위한 CSS(Cascading Style Sheets),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을 구현한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시각장애인이 보다 쉽게 페이스북을 이용할 수 있도록 TTS(Text To Speech)를 이용한 음성 안내 기능 및 점자 페이스북의 단축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점자입출력장치(110)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 또는 저시력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링크(link), 버튼(button), 입력 폼(form) 등에 접근할 수 있는 단축키 및 신속하게 원하는 컴포넌트(component)로 이동하여 기능 동작 가능한 단축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미지 정보에 대하여는 텍스트 정보로 대체하여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이 구축된 서버에는 점자 페이스북 지원과 관련된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페이스북을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상기 점자입출력장치(110) 사용자의 페이스북 사용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등록 관리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점자입출력장치(110)와 상기 페이스북 서버(120)간 데이터 매개를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200)은 사용자 신호 수신부(210), 요청부(220), 데이터 수신부(230), 데이터 변환부(240), 데이터 전송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신호 수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점자입출력장치로부터 페이스북 사용 관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 관련 신호는 페이스북 사용과 관련된 포괄적 의미의 신호를 지칭하는 것으로, 일 예로 페이스북 접속 요청 신호, 페이스북 인증 정보 전송 신호, 페이스북 데이터 입력 신호, 페이스북 데이터 삭제 신호 일 수 있다.
상기 사용 관련 신호는 점자입출력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점자입출력장치에 탑재된 점자 입력 장치에 입력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부(220)는 페이스북 서버로 Graph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신호를 페이스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페이스북은 “https://www.facebook.com”을 홈페이지 주소로 하는 소셜(social)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칭한다.
상기 API는 프로그래머를 위한 운영체제나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로서,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체제나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관리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 프로그램과 데이터 통신할 때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포함하며, 프로그램 내에서의 실행을 위해 특정 서브루틴(sub-routine)에 연결을 제공하는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Graph API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해당하는 페이스북 서버의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API로서, 상기 Graph API는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 및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환경에서 페이스북 서버의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페이스북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Software development tool kit)가 존재한다.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페이스북 사용 신호에 기초한 신호로서 일 예로 페이스북 접속 요청, 페이스북 데이터의 전송 요청, 페이스북 데이터의 저장 요청, 페이스북 데이터의 삭제 요청 신호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은 PHP SDK 환경 구축을 통해 상기 점자입출력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신부(230)는 상기 페이스북 서버로부터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으로 인코딩(encoding) 된 페이스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은 네트워크 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시 교환되는 데이터를 표현하는 한 방법으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객체 형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는 페이스북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스북 접속 및 페이스북 사용 관련 데이터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240)는 상기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으로 인코딩(encoding) 된 페이스북 데이터를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는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에 포함되어 동작되는 스크립팅(Scripting) 언어이다. 상기 PHP는 별도의 실행 파일을 만들 필요 없이 HTML 문서 안에 상기 실행 파일을 직접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C 언어, 자바 언어, 펄(Perl) 언어 등에서 많은 문장 형식을 준용하고 있어 웹 문서를 빠르고 쉽게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200)은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를 이용한 점자 페이스북 사용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단축키 기능을 제공하여 시각장애인 및 저시력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변환부(240)는 점자입출력장치를 통한 점자 페이스북 사용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단축키 설정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를 PHP 데이터로 변환 할 수 있다. 즉, 상기 PHP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단축키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데이터 변환부(240)는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에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정보를 텍스트로 대체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를 PHP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PHP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텍스트로 대체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부(250)는 상기 PHP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점자입출력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는 수신한 상기 PHP 데이터를 점자 또는 음성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점자 정보는 상기 점자입출력장치에 탑재된 점자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점자입출력장치에 탑재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HP 데이터의 점자 또는 음성 정보로의 변환 과정은 상기 점자입출력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간편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MFC 어플리케이션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윈도우(window) 응용 프로그램 개발용 클래스 라이브러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Visual C++에 포함되어 있고, Win32 프로그래밍에 사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점자입출력장치로부터 페이스북 사용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Graph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신호를 페이스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으로 인코딩(encoding) 된 페이스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를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PHP 데이터를 점자입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에 대하여 단계별로 설명한다.
먼저,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은 점자입출력장치로부터 페이스북 사용 관련 신호를 수신한다.(S301)
상기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은 Graph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한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S303)
상기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은 상기 요청 신호를 페이스북 서버로 전송한다.(S305)
상기 페이스북 서버는 상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S307) 이때, 상기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페이스북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받은 경우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으로 인코딩(encoding) 된 해당 페이스북 데이터를 상기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S309)
상기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으로 인코딩(encoding) 된 페이스북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은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를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PHP 데이터를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311, S313)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는 상기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PHP 데이터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S315)
한편, 상기 단계(S303)는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하여 개체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개체에 옵션(option)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03)에 관하여 새로운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Graph API를 이용한 요청 신호 생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의 상기 단계(S303)는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하여 Graph API를 이용한 개체를 지정하는 단계(S401) 및 Graph API를 이용한 상기 지정된 개체에 옵션(option)을 설정하는 단계(S4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raph API에는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 환경에서 페이스북 서버의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페이스북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Software development tool kit)가 존재하며, 상기 PHP-SDK를 이용하여 개체와 개체 사이의 연결을 일정하게 표현할 수 있고, 각 개체에 부여된 고유한 아이디(ID, Identification)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페이스북 서버의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다.
상기 사용 관련 신호는 페이스북 사용과 관련된 포괄적 의미의 신호를 지칭하는 것으로, 일 예로 페이스북 접속 요청 신호, 페이스북 인증 정보 전송 신호, 페이스북 데이터 입력 신호, 페이스북 데이터 삭제 신호 일 수 있다.
상기 단계(S401)는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하여 관련 개체를 Graph API를 이용하여 지정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페이스북 사용자 또는 페이스북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그 일 예로 사용자 아이디, 담벼락 보기, 뉴스피드 보기 일 수 있다.
상기 단계(S403)는 상기 지정된 개체에 Graph API를 이용하여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옵션의 일 예로 상기 지정된 개체에 대응되는 개체 데이터의 전송 요청, 상기 지정된 개체에 전송하는 데이터의 저장 요청, 상기 지정된 개체에 대응되는 개체 데이터의 삭제 요청 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의 메뉴 페이지는 담벼락 메뉴(510), 뉴스피드 메뉴(520), 친구목록 메뉴(530), 알림 메뉴(540), 설정 메뉴(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담벼락 메뉴(510) 및 상기 뉴스피드 메뉴(520)는 하위 메뉴로 댓글달기/삭제 메뉴(511,521), 글쓰기/삭제 메뉴(512,522), 좋아요/취소 메뉴(513,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점자입출력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담벼락 메뉴(510) 또는 상기 뉴스피드 메뉴(520)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담벼락 페이지 또는 상기 뉴스피드 페이지는 “글쓴이”정보와 “본문 내용”정보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글쓴이” 또는 “본문 내용”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글쓴이”의 담벼락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벼락 페이지 또는 상기 뉴스피드 페이지는 댓글 및 댓글이 쓰여진 시간 정보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점자입출력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좋아요/취소 메뉴(513,523)가 활성화 되는 경우, 좋아요 목록 페이지는 “좋아요”를 선택한 사람들의 수와 리스트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리스트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리스트에 링크(link) 연결된 사용자의 담벼락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점자입출력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친구목록 메뉴(530)가 활성화되는 경우, 친구목록 페이지는 친구로 설정된 사용자의 “이름”을 점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이름”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이름”에 링크 연결된 사용자의 담벼락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점자입출력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알림 메뉴(540)는 메뉴 페이지에서 새롭게 수신된 글 또는 새롭게 수신된 소식의 개수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점자입출력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알림 메뉴(540)가 활성화 되는 경우, 알림 페이지는 알림의 내용을 점자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알림 내용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알림 내용에 링크 연결된 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메뉴(5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점자 또는 음성 출력에 관한 사항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이다. 점자입출력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설정 메뉴(550)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담벼락 페이지 또는 상기 뉴스피드 페이지를 구성하는 각 개체의 점자 또는 음성으로의 출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개체의 일 예로 상기 담벼락 페이지 또는 상기 뉴스피드 페이지의 댓글, 좋아요 버튼 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점자입출력장치로부터 페이스북 사용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신호 수신부;
    페이스북 서버로 Graph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신호를 페이스북 서버로 전송하는 요청부;
    상기 서버로부터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으로 인코딩(encoding) 된 페이스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를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PHP 데이터를 점자입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입출력장치를 이용한 점자 페이스북 사용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단축키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에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PHP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대체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시스템.
  4. (a) 사용자 신호 수신부가 하나 이상의 점자입출력장치로부터 페이스북 사용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요청부가 Graph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신호를 페이스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으로 인코딩(encoding) 된 페이스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d) 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페이스북 데이터를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e) 데이터 전송부가 상기 PHP 데이터를 점자입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 관련 신호에 기초하여 개체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개체에 옵션(option)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옵션으로 상기 지정된 개체에 대응되는 개체 데이터를 전송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옵션으로 상기 지정된 개체에 전송하는 개체 데이터를 저장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옵션으로 상기 지정된 개체에 대응되는 개체 데이터를 삭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KR1020130009683A 2013-01-29 2013-01-29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71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683A KR101471424B1 (ko) 2013-01-29 2013-01-29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683A KR101471424B1 (ko) 2013-01-29 2013-01-29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724A KR20140096724A (ko) 2014-08-06
KR101471424B1 true KR101471424B1 (ko) 2014-12-11

Family

ID=5174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683A KR101471424B1 (ko) 2013-01-29 2013-01-29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4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468B1 (ko) 2021-10-26 2022-04-15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용 이료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8520B1 (ko) 2022-07-19 2023-04-05 주식회사 엠브이아이 시각장애인의 디지털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경영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432A (ko) * 2005-05-10 2006-11-15 장완호 점자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KR20070043213A (ko) * 2005-10-20 2007-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점자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1070A (ko) * 2009-08-13 2012-05-2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공유형 서버측 매크로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432A (ko) * 2005-05-10 2006-11-15 장완호 점자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KR20070043213A (ko) * 2005-10-20 2007-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점자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1070A (ko) * 2009-08-13 2012-05-2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공유형 서버측 매크로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468B1 (ko) 2021-10-26 2022-04-15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용 이료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8520B1 (ko) 2022-07-19 2023-04-05 주식회사 엠브이아이 시각장애인의 디지털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경영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724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6394B2 (en) Event listening integration in a collaborative electronic information system
US9552338B2 (en) Mechanisms to compose, execute, save, and retrieve hyperlink pipelines in web browsers
US10003683B2 (en)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smart appliances
KR101425491B1 (ko) 웹 투 앱 연동 콜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36339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23673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services of a device
US115031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ing a service representative using an intelligent voice assistant
US109492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of a device in response to an audible request
US11797948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ing event creation and modification in a group-based communication platform
JP5886103B2 (ja) 応答生成装置、応答生成システム、応答生成方法および応答生成プログラム
CN106055721A (zh) 一种网页无障碍处理方法及相关设备
US20210266366A1 (en) Device linking method
KR101471424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 페이스북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9726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ble support to a service representative during a call
US94674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lying to website update event
KR20160001750A (ko) 웹기반의 모바일명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111452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ble explanation of documents upon request
KR101944188B1 (ko) 시각장애인용 음성서비스 제공 시스템
JP743074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06663A (ko) 시각장애인용 음성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50030A (ko) 부가 정보 관리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2024504304A (ja) 情報処理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KR20210067071A (ko) 동시통역을 이용한 의료 상담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423673B2 (ja) 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108223B1 (ko) 서비스 중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