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372B1 - Vehicle for washing garb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Vehicle for washing garbag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372B1
KR101471372B1 KR1020140079419A KR20140079419A KR101471372B1 KR 101471372 B1 KR101471372 B1 KR 101471372B1 KR 1020140079419 A KR1020140079419 A KR 1020140079419A KR 20140079419 A KR20140079419 A KR 20140079419A KR 101471372 B1 KR101471372 B1 KR 101471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screen
ai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3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3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7/00Cleaning or disinfecting devices combined with refuse receptacles or refuse vehicles
    • B65F7/005Devices, mounted on refuse collecting vehicl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container wash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hing water that is contaminated by washing a food garbage container is filtered for re-u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that is provided with a washing chamber for food garbage container washing; multiple nozzles that are disposed in the washing chamber to inject water into the food garbage container put into the washing chamber; a water tank that is disposed in the vehicle and stores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nozzles; a first pump that pushe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out for supply to the nozzles; a valve that controls the water pushed out by the first pump and distributes the water to the multiple nozzles; a primary filter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chamber and includes at least one filt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in the washing water; a second pump that transports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primary filter unit to the water tank; a secondary filter unit that removes foreign matters in the washing water which is transported by the second pump; a screen that is disposed in a lower end portion of the washing chamber so as to filter food residue falling with the washing water during washing of the food garbage container; at least one air blow pipe that is disposed to be position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creen and blows air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screen so as to separate food residue remaining in the screen from the screen; and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high-pressure air to the air blow pipe.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Vehicle for washing garbage container}Vehicle for washing garb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적으로 수납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된 세척수를 여과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시스템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bage container washing machine for washing food garbage containers used for temporarily storing food garb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garbage container washing machine for washing food garbage contain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container washing car having a filtr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again for cleaning of a food waste container.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고,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비료화, 사료화, 연료화를 위한 적절한 공정을 거쳐 재활용 자원으로 다시 생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food waste generated in homes and restaurants, it collects food waste generated in homes and restaurants, recycles the collected food waste through appropriate processes for composting, fertilizing, feeding, and fueling. A method of re-producing it as a resource is being used.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을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다른 쓰레기들과 분리하여 수거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특정구역마다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비치하여 주변 거주인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버릴 수 있도록 하며, 수거자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괄적으로 모아 처리장으로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recycle the food waste, the food waste is collected separately from other general waste. For this purpose, a food waste container is provided for each specific area so that nearby residents can throw the food waste into the food waste container , The collector collects the food waste collected in the food garbage container collectively and transfers it to the treatment plant.

한편, 각 구역에 비치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악취에 노출되어 쉽게 오염됨에 따라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ood garbage container provided in each area, continuous management is required as it is easily contaminated by exposure to moisture and odor contained in the food garbage.

따라서 각 구역에 비치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관리하는 단체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주기적으로 세척하는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Therefore, in an organization that manages food waste containers provided in each district, the food waste containers are periodically cleaned using a food waste container washing machine for washing food garbage containers.

상기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의 일례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82423호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above-mentioned garbage container cleaning car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1-0082423.

상기 발명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는, 차량의 운전석 후방에 마련된 적재함 내에 물탱크, 펌프, 노즐과 브러시로 이루어진 세척장치,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적재함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food garbage container cleaning car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comprises a water tank, a pump, a cleaning device composed of a nozzle and a brush, and a lift for transferring the food garbage container to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in a loading box provided behi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는 리프트에 의하여 적재함의 내부로 운반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 물을 고압 분사하고 더불어 브러시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세척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garbage container washing machin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njects water at high pressure into a food garbage container carried to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by a lift and cleans the food garbage container by using a brush.

한편,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된 물은 별도의 오수저장탱크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배출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used to clean food garbage containers, and the polluted water is stored in a separate sewage storage tank and then discharged.

결국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에 따라 작업시간이 결정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As a result, the conventional garbage container washing machin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orking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resulting in poor working efficiency.

즉,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에는 물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물탱크의 물을 다 소진한 경우, 세척작업을 중단하고, 물탱크에 물을 보충한 다음에야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작업을 다시 진행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오수저장탱크에 오수가 가득 찬 경우에도 특정장소에 오수를 배출한 후에야 세척작업을 다시 진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use of water is essential for washing food garbage containers, i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exhausted, the washing operation can be stopped, and the water garbage container washing operation can be resumed Likewise, even if the sewage storage tank is full of sewage, the washing operation can be resumed only after discharging the sewage to a specific place.

이처럼 물탱크에 물을 보충하거나 오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오수를 특정 장소에 배출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의 이동이 요구되므로, 차량 연료와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replenish the water in the water tank or to discharge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to a specific place, movement of the garbage container washing car is required, resulting in a problem of waste of vehicle fuel and time.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82423호 (2001.08.30. 공개)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82423 (published on August 30, 20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된 세척수를 여과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garbage container washing car used for cleaning food garbage contain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찌꺼기에 의한 유로의 막힘을 방지하여 세척수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waste container washing car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circulation of washing water by preventing clogging of a flow path due to food wast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세척실을 구비하는 차량; 상기 세척실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 물을 분사하도록 세척실에 설치된 다수개의 노즐;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로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압 토출하여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제1 펌프; 상기 제1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다수개의 노즐로 분배하고 제어하는 밸브; 상기 세척실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세척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를 포함하는 1차 필터 유닛; 상기 1차 필터 유닛에 저장된 세척수를 물탱크로 이송시키는 제2 펌프; 상기 제2 펌프에 의해 이송되는 세척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 필터 유닛; 상기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떨어지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도록 상기 세척실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을 향하여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스크린에 잔류한 이물질을 스크린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기분사관; 및 상기 공기분사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including a washing chamber for washing a food garbage container; A plurality of nozzles installed in the washing chamber to spray water into the food garbage container charged in the washing chamber; A water tank installed in the vehicle for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nozzle; A first pump for pressurizing and discharg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nozzle; A valve for distributing and controll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pump to a plurality of nozzles; A primary filte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filtering filter for receiving and storing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chamber, and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washing water; A second pump for transferr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first filter unit to the water tank; A secondary filter unit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washing water conveyed by the second pump; A screen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washing chamber to filter food waste falling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process of the food garbage container; At least one air injection pip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creen and spraying air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screen to separate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screen from the screen; And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high-pressure air to the air injection pipe.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 유닛은, 상기 세척실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오수저장탱크; 상기 오수저장탱크의 내부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오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되, 세척수 유입측으로부터 입자가 큰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각기 서로 다른 크기의 공극을 갖는 다수개의 여과필터; 및 상기 오수저장탱크로 유입된 세척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2 펌프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수위감지기;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garbage container washing machine, the primary filter unit may include a waste water storage tank for receiving and storing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chamber; A plurality of filtration filters provided in the sewage storage tank so as to have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waste water and sequentially filter foreign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from the inflow side of the wash water; And a first level sensor for generating a signal for driving the second pump when the level of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삭제delete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바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바는 상광하협의 역삼각형 단면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ood waste container washing machine, the screens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bar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ach of the bars may have an inverted tri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막힘으로 인한 세척실의 수위 증가로 인해 세척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공기공급수단과 공기분사관을 연결하는 관로상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세척실에 설치되는 제2 수위감지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due to an increase in the level of the washing chamber due to the clogging of the screen, the water garbage container washing car, which is installed on the pipe connecting the air supplying means and the air injection pipe, And a second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washing chamber to generate a signal to open the washing chamber.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관은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세척실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사관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 할선과 평행하도록 공기분사관에 형성된 다수개의 노즐공; 및 상기 공기분사관의 회전시 세척수에 저항하여 세척수를 유동시키도록 공기분사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in the food waste container washing machine, the air injection pipe is installed in the cleaning chamber so as to have a rotatabl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nozzle holes formed in the air injection pip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line no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air injection pip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injection tube to flow the washing water against the washing water during rotation of the air injection tube.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 유닛은 다수개의 정수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garbage can cleaner, the secondary filte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filters.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된 세척수를 여과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물탱크의 물 소진으로 인하여 세척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작업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작업과정에서 물을 보충하기 위한 이동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연료 및 시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featur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hing operation from being stopped due to the water exhaustion of the water tank, since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is used for filtering the food wast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cleaning work of the food garbage container and to prevent waste of fuel and time since movement for supplementing water is not required in the process of washing the food garbage container.

또한, 세척실로부터 세척수와 함께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는 것을 스크린을 이용하여 차단하되, 음식물 찌거기에 의하여 스크린 또는 배출구가 막힌 경우, 이를 제2 수위감지기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제2 수위감지기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분사관이 고압의 공기를 스크린과 배출구로 분사하여 스크린 및 배출구의 막힘을 자동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실 내의 세척수가 배출되지 못하여 세척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creen or the discharge port is clogged by the food wastage, it is sensed using the second level sensor, and the second level sensor The air blast pipe injects high-pressure air to the screen and the discharge port based on the signal to automatically block the screen and the discharge por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eaning operation from being delayed There is an effect.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의 요부만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필터 유닛의 상세도,
도 4 는 세척실의 내부에 스크린이 설치된 구조를 보인 세척실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및 공기분사관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및 공기분사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분사관의 또 다른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도 7에 도시된 공기분사관의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tructural view of a food garbage container washing c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ly a substantial part of a garbage container clean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of the primary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chamber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screen is installed in a washing chamber,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creen and the air inject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creen and an air injec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air injec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injection tube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의 구조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의 요부만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1 is a structural view of a garbage container washing c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ly a main part of a garbage container wash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10)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여과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작업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차량(100), 노즐(110), 물탱크(120), 제1 펌프(130), 밸브(140), 1차 필터 유닛(150), 제2 펌프(160), 그리고 2차 필터 유닛(17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The garbage container wash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used for washing the food garbage container 10 is filtered to be used again for cleaning the food garbage container. The car 100, the nozzle 110, A water tank 120, a first pump 130, a valve 140, a first filter unit 150, a second pump 160, and a second filter unit 170.

상기 차량(100)은 다수개의 바퀴와,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차량의 방향을 운전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장치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차량으로, 운전석의 후방에 음식물 세척장비의 탑재가 가능한 공간을 갖는 공지의 트럭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럭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차량의 세부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vehicl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s, an engine for generating power for rotating the wheel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to the wheels, A known truck having a space capable of mounting a food washing equipment at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can be used. Such a truck is already widely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vehicle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100)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세척실(101)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세척실(101)은 작업자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투입받거나, 미도시된 리프트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투입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리프트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세척실(101)의 내부로 이송하고, 리프트로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In the meantime,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shing chamber 101 for washing the food garbage container. The washing chamber 101 receives the food garbage container from the operator, The food garbage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chamber 101 by a lift, and the w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food garbage container is fixed by a lift .

한편, 상기 리프트는 종래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는 물론이고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에 이미 적용되고 있는 주지 관용된 기술이므로, 리프트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since the lift is a well-known technique that has already been applied to the conventional garbage container cleaning car as well as the garbage collection container, the illustration and explanation of the lift will be omitted.

상기 노즐(110)은 세척실(101)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10)로 물을 분사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로 고르게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노즐(110)은 세척실(101)의 내부에 분산된 구조로 설치된다.The nozzle 110 injects water into the food waste container 10 introduced into the cleaning chamber 101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food waste container 101. The nozzle 110 can spray water evenly inside and outside the food waste container 101 And a plurality of nozzles 110 are installed in the cleaning chamber 101 in a distributed manner.

상기 물탱크(120)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탱크로서, 차량(100)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된다.The water tank 120 is a tank for storing water required for cleaning the food garbage container,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fixed to the vehicle 100.

상기 제1 펌프(130)는 물탱크(120)에 저장된 물을 가압 토출하여 노즐(110)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펌프(130)는 공지의 동력인출장치(Power Take Off,PTO)로부터 차량(100)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엔진이나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ump 130 pressurize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and supplies the water to the nozzle 110. The first pump 130 is configured to operate by receiving power generated from a vehicle 100 engine from a known power take-off (PTO), or to transmit power generated by a separate engine or motor And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상기 밸브(140)는 제1 펌프(130)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다수개의 노즐(110)로 분배하고 제어하는 것으로, 제1 펌프(130)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전체 노즐(110)로 분배하거나, 또는 일부 노즐(110)로 분배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밸브(140)는 공지의 솔레노이드 방향 전환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The valve 140 distributes and controls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pump 130 to the plurality of nozzles 110 to distribut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pump 130 to the entire nozzles 110, Or some nozzles 110, and such valve 140 may comprise a known solenoidal directional valve.

상기 1차 필터 유닛(150)은 세척실(101)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여과하는 것으로, 세척실(101)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체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거기의 침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rimary filter unit 150 receives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chamber 101 and filters the washing water to temporarily hold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chamber 101 to induce sedimentation of the food wastes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필터 유닛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3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primary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1차 필터 유닛(150)은 오수저장탱크(151)와 여과필터(152) 및 제1 수위감지기(153)로 구성된다.The primary filter unit 150 is composed of a waste water storage tank 151, a filtration filter 152 and a first water level sensor 153.

상기 오수저장탱크(151)는 차량(100)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며, 세척실(101)과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세척실(101)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제공받아 저장하게 된다.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is installed in a structure fixed to the vehicle 100 and is connected to the washing chamber 101 through a pipe to receive and discharg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chamber 101.

상기 여과필터(152)는 오수저장탱크(151)로 유입된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여과하는 것으로, 다수개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여과필터(152)는 오수저장탱크(151)의 내부에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The filtration filter 15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ration filters for filtering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and the plurality of the filtration filters 152 are disposed inside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And has a structu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다수개의 여과필터(152)는 세척수 유입측으로부터 입자가 큰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각기 서로 다른 크기의 공극을 갖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오수저장탱크(151)로 유입되는 세척수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여과필터(152)의 공극이 가장 크고, 세척수 유입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보다 작은 공극을 갖는 필터로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filtration filters 152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sizes of pores to sequentially filter large particles from the inflow side of the washing water.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ltration filters 15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And a filter having a smaller air gap as the distance from the inflow side of the washing water is larger.

이러한 여과필터(152)는 세선을 그물형태로 꼬아 형성된 메쉬형 필터 또는 부직포와 같은 여과망을 이용한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ing filter 152 may be a mesh type filter formed by twisting the fine lines in a net shape or a filter using a filter net such as a nonwoven fabric.

상기 제1 수위감지기(153)는 오수저장탱크(151)로 유입된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세척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세척수의 배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The first level sensor 153 senses the level of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and generates a signal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when the level of the wash water reaches a preset level.

이러한 제1 수위감지기(153)는 제1 수위레벨센서(1531)와 제2 수위레벨센서(15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1531)는 오수저장탱크(151)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미리 설정된 상한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제2 펌프(160)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수위레벨센서(1532)는 오수저장탱크(151)의 내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제2 펌프(160)의 정지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The first level sensor 153 may include a first level sensor 1531 and a second level sensor 1532. The first level sensor 1531 is installed at an inner upper end of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to generate a signal for operation of the second pump 160 when the wash water reaches a preset upper limit level, The water level sensor 1532 is install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to generate a signal for stopping the second pump 160 when the wash 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lower water level.

상기 제2 펌프(160)는 1차 필터 유닛(150)에 저장된 세척수를 물탱크(120)로 이송시키는 것이다.The second pump 160 transfers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first filter unit 150 to the water tank 120.

이러한 제2 펌프(160)는 제1 펌프(130)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동력인출장치(Power Take Off,PTO)로부터 차량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엔진이나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pump 16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receiving power generated from a vehicle engine from a known power take-off (PTO) as in the case of the first pump 130, And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by receiving the generated power.

상기 2차 필터 유닛(170)은 제2 펌프(160)의 작동에 의하여 물탱크(120)로 이송되는 세척수 중의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정수필터가 세척수의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도록 직렬구조로 배치된 것으로 구성된다.The secondary filter unit 170 further removes foreign substances in the washing water transferred to the water tank 120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ump 160 so that a plurality of water filters can be connected in series As shown in FIG.

한편, 정수필터는 주지된 바와 같이,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필터부재가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어 필터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필터부재를 거치는 과정에서 여과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로는 침전필터, 카본필터, 멤브레인 필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Meanwhile, as is well known, the water filt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lter member is installed in a filter housing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housing is filtered during the passage through the filter member, As the filter member, a precipitation filter, a carbon filter, and a membrane filter are mainly used.

이와 같이 구성된 2차 필터 유닛(170)은 1차 필터 유닛(150)에 의하여 여과 처리된 세척수를 제공받아 세척수 중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 및 세균 등을 제거하게 된다.The secondary filter unit 1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he washing water filtered by the primary filter unit 150 to remove minute foreign substance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부터 떨어지는 비교적 큰 크기의 음식물 찌꺼기를 세척실(101) 내부에서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180)이 세척실(101)에 더 설치된다.In the cleaned food garbage contain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creen 180 for filtering the garbage of relatively large siz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garbage container during the washing process of the garbage container, from the inside of the washing room 101, (101).

도 4는 세척실의 내부에 스크린이 설치된 구조를 보인 세척실의 단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및 공기분사관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및 공기분사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washing chamber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screen is installed in a washing chamber,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screen and an air injec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jetting tube is installed.

상기 스크린(180)은 세척실(101)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 찌거기가 세척실(101)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101a)로 유입되는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바(181)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배치한 것으로 구성된다.The screen 18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chamber 101 so as to block the food wastes falling from the food waste container from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101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chamber 101, )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parallel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스크린(180)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 찌꺼지 중 비교적 입자의 크기가 큰 음식물 찌꺼기는 스크린(180)을 구성하는 바(181)와 바(181)의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180) 상에 잔류하게 되므로, 큰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구(101a)로 유입됨으로써 유로를 폐쇄하거나, 또는 1차 필터 유닛(150)으로 유입되어 1차 필터 유닛(150)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screen 180, food waste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among the food waste falling from the food waste container can not pass between the bar 181 constituting the screen 180 and the bar 18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rge food waste from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101a to close the flow path or prevent the performance of the primary filter unit 150 from flowing into the primary filter unit 150 .

한편,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스크린(180) 상에는 음식물 찌꺼기의 양이 많아지게 되며, 결국에는 음식물 찌꺼기에 의하여 스크린(180)의 공극(바와 바 사이 공간)이 막힘에 따라 세척수의 배출이 불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세척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스크린(180) 상에 적재된 음식물 찌꺼기를 작업자가 제거해 주어야만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food garbage container is progressed, the amount of garbage is increased on the screen 180, and eventually the space (bar space) of the screen 180 is blocked by the food waste, And in this case, the cleaning operation is temporarily stopped, and the operator is required to remove the food waste accumulated on the screen 180, which makes the operation possible.

이에 본 발명은 세척실(101)의 하단부에 스크린(180)을 설치하되, 스크린(180)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관(190)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스크린(180)이 막힌 경우, 이를 손쉽게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creen 18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chamber 101 and the air spraying tube 190 for spraying the air to the screen 180 is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screen 180 can be easily removed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분사관(190)은 스크린(18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세척실(101)의 내부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크린(180)을 구성하는 바(181)와 직교하는 구조를 갖도록 스크린(180)의 하부에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air injection pipe 190 is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chamber 101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screen 180, and preferably has a structure perpendicular to the bar 181 constituting the screen 18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180.

이러한 공기분사관(19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공(191)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The air injection pipe 190 is composed of one or more nozzles and has a plurality of nozzle holes 191 for injecting air.

한편, 상기 노즐공(191)은 스크린(180)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도록 공기분사관(190)의 상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 노즐공(191a)과, 배출구(101a)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도록 공기분사관(190)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 노즐공(191b)으로 구성된다.The nozzle hole 191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nozzle holes 191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injection pipe 190 so as to inject air toward the screen 180, And a plurality of second nozzle holes 191b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injection pipe 190.

이와 같은 공기분사관(190)은 공기공급수단(192)과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게 되며, 이처럼 공기분사관(190)으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는 세척실(101)의 하단부에 고인 세척수를 유동시키고, 더불어 공기분사관(190)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된 기포가 바(191)와 바(191)의 사이로 부상하게 됨으로써, 바(191)와 바(191) 사이를 막고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린(180)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The air injection pipe 19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means 192 and receives the compressed air and injects high pressure air. The high pressur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pipe 190 is supplied to the cleaning chamber 101 And the air bubbles formed by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spraying pipe 190 float between the bar 191 and the bar 191 so that the bar 191 and the bar 19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separating the food waste from the screen 180.

한편, 상기 공기공급수단(192)은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가 압축 저장된 에어 탱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처럼 에어 탱크로 구성되는 공기공급수단(192)은 차량에 구비되는 컴프레서(미도시됨)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air supply means 192 may be constituted by an air tank in which air is compressed and stor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air supply means 192 constituted by the air tank is connected to a compressor (not shown)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pressure.

또한, 공기분사관(190)과 공기공급수단(192)을 연결하는 배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93)가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에만 공기분사관(190)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A solenoid valve 193 is provided in the pipe connecting the air injection pipe 190 and the air supply unit 192 to supply air to the air injection pipe 190 only when necessary.

이처럼 공기분사관(190)을 이용하여 스크린(180)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스크린(180)의 막힘을 해소함에 있어서, 더 나아가서는 스크린(180)의 막힘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자동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e clogging of the screen 180 by spraying the high-pressure air to the screen 180 using the air spraying tube 190, the clogging of the screen 180 is automatically detected, So that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air.

이를 위하여 상기 세척실(101)에는 제2 수위감지기(194)가 더 설치된다.To this end, a second level sensor 194 is further installed in the washing chamber 101.

상기 제2 수위감지기(194)는 스크린(180) 또는 배출구(101a)의 막힘으로 인하여 세척실(101)내 세척수의 수위가 상승하여 제2 수위감지기(194)가 설치된 위치까지 도달하는 경우, 공기공급수단(192)과 공기분사관(190)을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개방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제2 수위감지기(194)는 공지의 수위레벨센서 또는 부표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척실(101) 내부가 쉽게 오염되는 점을 고려하면 부표식 센서로 제2 수위감지기(194)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chamber 101 rises and reaches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194 is installed due to clogging of the screen 180 or the discharge port 101a, The second level sensor 194 is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al for opening a solenoid valve 140 provided in a pipe connecting the supply means 192 and the air injection pipe 190. The second level sensor 194 may be a known level sensor, Senso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level sensor 194 is constituted by an index senso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inside of the cleaning chamber 101 is easily contaminated.

한편, 상기 공기분사관(190)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나 세척수의 흐름에 의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린(180)으로부터 보다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크린(180)을 구성하는 각각의 바(181)는 상광하협의 역삼각형 단면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smoothly separate the food waste from the screen 180 by the flow of bubbles or washing water generated by the air spraying pipe 190, the respective bars 181 constituting the screen 180, Is configured to have an inverted tri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upper light beam.

이처럼 역삼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바(181)로 구성된 스크린(180)의 경우, 바(181)와 바(181)의 사이에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으로 기포가 부상하여 유입되거나 세척수의 흐름이 유입되는 경우, 기포 및 세척수로 인한 물리적 힘이 증가되므로 음식물 찌꺼기를 보다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screen 180 composed of the bar 181 having the inverted tri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 space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is formed between the bar 181 and the bar 181, When the inflow or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lows, the physical force due to the bubbles and the washing water is increased,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removed more smoothl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분사관의 또 다른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공기분사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air injec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air injection tube shown in FIG.

상기 공기분사관(190)을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세척실(101)에 고인 세척수의 유동을 더욱 활발하게 유도함으로써, 스크린(180) 및 배출구(101a)에 잔류한 음식물 찌꺼기를 보다 더 원활하게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air injection pipe 190 is configured to rotate so as to more actively induce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chamber 101 to more smoothly remove the food waste remaining on the screen 180 and the discharge port 101a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분사관(190)의 양 끝단을 세척실(101)에 결합하되, 베어링(B)을 매개로 하여 세척실(101)에 결합하여 공기분사관(190)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air injection pipe 190 are coupled to the cleaning chamber 101, and the air injection pipe 190 is coupled to the cleaning chamber 101 via the bearing B, .

더불어, 공기분사관(19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다수개의 제1 노즐공(191a)과 제2 노즐공(191b)을 형성하되, 각각의 제1 노즐공(191a)과 제2 노즐공(191b)이 공기분사관(190)을 중심을 지나는 않는 할선(L)과 평행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할선(L)은 공기분사관(190)의 단면이 형성하는 원과 교차하되 2개의 교점을 갖는 직선으로, 공기분사관(190)의 단면이 형성하는 원의 중심점을 지나는 않는 직선이다.A plurality of first nozzle holes 191a and a plurality of second nozzle holes 191b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ir injection tube 190,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first nozzle holes 191a and the second nozzle holes 191a 191b are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ircumferential line L no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air injection pipe 190. The cutting line L is a straight line intersecting the circle formed by the cross section of the air injection pipe 190 but having two intersecting points and not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circle formed by the cross section of the air injection pipe 190.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 노즐공(191a)과 제2 노즐공(191b)은 공기분사관(190)의 중심을 향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되며, 제1 노즐공(191a)과 제2 노즐공(191b)을 통해 공기가 고압으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하여 공기분사관(190)이 회전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irst nozzle hole 191a and the second nozzle hole 191b ar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obliquely toward the center of the air injection tube 190, and the first nozzle hole 191a and the second nozzle hole 191b The air spraying tube 190 is rotated by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injecting air at a high pressure through the second nozzle hole 191b.

이와 같이 회전하는 공기분사관(190)이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분사관(190)의 외면에는 공기분사관(190)의 회전시 세척수에 저항하면서 세척수를 유동시키는 다수개의 돌출부(195)가 형성된다.
In order to allow the rotating air spraying pipe 190 to more effectively circulate the washing water, a plurality of projection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spraying tube 190, (Not show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process of cleaning the food garbage container using the food garbage container clean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음식물 쓰레기 용기가 비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세척실(101)의 내부로 투입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투입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세척실(101)의 내부로 투입하거나, 차량(100)에 리프트가 구비된 경우 리프트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세척실(101)의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The food garbage container is moved to a place where the food garbage container is provided, and the food garbage containe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washing chamber 10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food garbage container into the inside of the washing chamber 101 manually or when the vehicle 100 is provided with a lift, the food garbage container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chamber 101 So that it is injected into the inside.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투입이 완료되면, 제1 펌프(130)를 작동시켜 물탱크(120)의 물을 노즐(110)로 공급하게 되며, 이로써 노즐(110)을 통해 고압의 물이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 분사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introduction of the food garbage container is completed, the first pump 130 is operated to supply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20 to the nozzle 110, whereby the high-pressure water is supplied to the food waste container through the nozzle 110 And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food garbage container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와 음식물 찌꺼기는 세척실(101)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때 비교적 큰 입자의 음식물 찌꺼기는 스크린(180)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180) 상에 잔류하게 되며, 나머지 음식물 찌꺼기와 세척수는 세척실(101)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101a)를 통하여 오수저장탱크(151)로 유입된다.In the washing process of the food garbage container, the washing water and the food waste used for washing the food garbage container fall to the bottom of the washing chamber 101. At this time, the food garbage of a relatively large particle can not pass through the screen 180 The remaining food waste and the washing water are introduced in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51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1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chamber 101. [

한편, 세척실(101)의 하단부에 구성된 스크린(180) 또는 배출구(101a)의 막힘으로 인하여 세척실(101)내 세척수의 수위가 제2 수위감지기(194)에 도달하게 되면, 제2 수위감지기(194)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어 솔레노이드 밸브(140)가 개방됨에 따라 공기분사관(190)으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분사된다.When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chamber 101 reaches the second level sensor 194 due to the clogging of the screen 180 or the discharge port 101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chamber 101,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olenoid valve 194 and the solenoid valve 140 is opened so that high pressure air is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pipe 190.

상기 공기분사관(190)으로부터 분사되는 공압의 공기에 의해 세척수가 유동하고, 더불어 공기분사관(190)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기포가 발생되어 부상함에 따라 스크린(180)의 바(181)와 바(181)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린(180)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더욱이 상기 스크린(180)을 구성하는 각각의 바(181)는 역삼각형의 단면구조로 구성되는 바, 기포 또는 세척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물리적 힘을 증가시켜 스크린(180)으로부터 음식물 찌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Bubbles are generated by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ng tube 190, and the air is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ng tube 190 into the bar 181 of the screen 180 So that the food waste sandwiched between the bars 181 is separated from the screen 180. Further, each bar 181 constituting the screen 180 is constituted by an inverted tri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which increases the physical force generated by the flow of bubbles or washing water,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more effectively .

한편, 오수저장탱크(151)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2 펌프(160)가 구동하기 전까지 오수저장탱크(151)에 체류하게 되며, 이때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는 오수저장탱크(151)의 바닥으로 침전되고, 더불어 오수저장탱크(151)에 설치된 여과필터(152)에 의해 여과된다.Meanwhile,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stays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until the second pump 160 is driven. At this time,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And is further filtered by the filtration filter 152 installed in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51. [

한편,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작업이 계속해서 진행됨에 따라 오수저장탱크(151)내의 세척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세척수의 수위 상승으로 인하여 세척수의 수위가 제1 수위레벨센서(1531)에 도달하게 되면, 제1 수위레벨센서(1531)에서 신호가 발생되고, 이러한 신호에 의하여 제2 펌프(160)가 구동하여 오수저장탱크(151)의 세척수를 물탱크(120)로 반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food garbage container continues, the washing water level in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51 rises,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reaches the first level sensor 1531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first level sensor 1531 and the second pump 160 is driven by the signal to return the washing water in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51 to the water tank 120. [

이처럼 오수저장탱크(151)에 세척수가 물탱크(120)로 반환되는 과정에서 세척수는 다수개의 정수필터로 구성된 2차 필터 유닛(170)을 거치게 되며, 2차 필터 유닛(170)은 세척수에 포함된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이나 세균을 제거하게 된다.The washing water is returned to the water tank 120 through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170 composed of a plurality of water filters and the second filter unit 170 is included in the washing water. There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germs from the fine particl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여과하여 물탱크(120)로 반환하고, 이처럼 물탱크(120)로 반환된 세척수를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잦은 물보충이 요구되지 않아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의 운용의 효율성의 세척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container wash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the food garbage container is filtered and returned to the water tank 120, and the washing water returned to the water tank 120 is returned to the food waste container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efficiency of operation of the food waste container washing car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 101: 세척실
110: 노즐 120: 물탱크
130: 제1 펌프 140: 밸브
150: 1차 필터 유닛 151: 오수저장탱크
152: 여과필터 153: 제1 수위감지기
160: 제2 펌프 170: 2차 필터 유닛
180: 스크린 181: 바
190: 공기분사관 191: 노즐공
192: 공기공급수단 193: 밸브
194: 제2 수위감지기 195: 돌출부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vehicle 101: washing chamber
110: nozzle 120: water tank
130: first pump 140: valve
150: Primary filter unit 151: Wastewater storage tank
152: Filtration filter 153: First level sensor
160: Second pump 170: Secondary filter unit
180: Screen 181: Bar
190: air jet 191: nozzle jet
192 air supply means 193 valve
194: second level sensor 195: protrusion

Claims (7)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세척실(101)을 구비하는 차량(100);
상기 세척실(101)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 물을 분사하도록 세척실(101)에 설치된 다수개의 노즐(110);
상기 차량(100)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110)로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20);
상기 물탱크(120)에 저장된 물을 가압 토출하여 상기 노즐(110)로 공급하는 제1 펌프(130);
상기 제1 펌프(130)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다수개의 노즐(110)로 분배하고 제어하는 밸브(140);
상기 세척실(101)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세척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152)를 포함하는 1차 필터 유닛(150);
상기 1차 필터 유닛(150)에 저장된 세척수를 물탱크(120)로 이송시키는 제2 펌프(160);
상기 제2 펌프(160)에 의해 이송되는 세척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 필터 유닛(170);
상기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세척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떨어지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도록 상기 세척실(101)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크린(180);
상기 스크린(18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180)을 향하여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스크린(180)에 잔류한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린(18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기분사관(190); 및
상기 공기분사관(190)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19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A vehicle (100) having a washing chamber (101) in which a cleaning operation of a food garbage container is performed;
A plurality of nozzles 110 installed in the washing chamber 101 for spraying water into the food wast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chamber 101;
A water tank (120) installed in the vehicle (100) and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nozzle (110);
A first pump (130) for pressurizing and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nozzle (110);
A valve 140 for distributing and controll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pump 130 to a plurality of nozzles 110;
A primary filter unit (150) including at least one filtering filter (152) for receiving and storing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chamber (101)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washing water;
A second pump 160 for transferr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primary filter unit 150 to the water tank 120;
A secondary filter unit (170)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washing water conveyed by the second pump (160);
A screen (180)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washing chamber (101) to filter the food waste falling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process of the food waste container;
And one or more air injection pipes 19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creen 180 for spraying air toward the screen 180 at a high pressure to separate the food waste remaining on the screen 180 from the screen 180 ); And
And air supply means (192) for supplying high-pressure air to the air injection pipe (19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 유닛(150)은,
상기 세척실(101)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오수저장탱크(151);
상기 오수저장탱크(151)의 내부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오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되, 세척수 유입측으로부터 입자가 큰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각기 서로 다른 크기의 공극을 갖는 다수개의 여과필터(152); 및
상기 오수저장탱크(151)로 유입된 세척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2 펌프(160)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수위감지기(1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mary filter unit (150)
A wastewater storage tank 151 for receiving and storing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chamber 101;
A plurality of pores having different sizes of pores are disposed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so as to have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remove contaminants in the wastewater, A filter (152); And
And a first level sensor (153) for generating a signal for driving the second pump (160) when the level of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51) reaches a preset level Food waste container washing ca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80)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바(181)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바(181)는 상광하협의 역삼각형 단면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18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rs 181 arranged so as to have a parallel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ach of the bars 181 has an inverted triangular cross- Food waste container washing c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80)의 막힘으로 인한 세척실(101)의 수위 증가로 인해 세척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공기공급수단(192)과 공기분사관(190)을 연결하는 관로상에 설치된 밸브(193)를 개방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세척실(101)에 설치되는 제2 수위감지기(19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reaches a preset posit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chamber 101 due to the clogging of the screen 180, the water level on the pipe connecting the air supplying means 192 and the air injecting pipe 190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or (194) installed in the washing chamber (101) to generate a signal to open the valve (193) instal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관(190)은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세척실(101)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사관(190)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 할선(L)과 평행하도록 공기분사관(190)에 형성된 다수개의 노즐공(191); 및
상기 공기분사관(190)의 회전시 세척수에 저항하여 세척수를 유동시키도록 공기분사관(19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1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injection pipe 190 is installed in the cleaning chamber 101 so as to have a rotatable structure,
A plurality of nozzle holes 191 formed in the air injection pipe 190 so as to be parallel to a circumferential line L no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air injection pipe 190; An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95)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injection pipe (190) so as to flow the washing water against the washing water during rotation of the air injection pipe (190) Washing c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 유닛(170)은 다수개의 정수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ary filter unit (170) comprises a plurality of water filters.
KR1020140079419A 2014-06-27 2014-06-27 Vehicle for washing garbage container KR1014713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419A KR101471372B1 (en) 2014-06-27 2014-06-27 Vehicle for washing garb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419A KR101471372B1 (en) 2014-06-27 2014-06-27 Vehicle for washing garbag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372B1 true KR101471372B1 (en) 2014-12-10

Family

ID=5267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419A KR101471372B1 (en) 2014-06-27 2014-06-27 Vehicle for washing garbag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37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802B1 (en) 2016-09-26 2017-02-09 주식회사 주승 Automatic Discharge Device for Food Waste Remainder and Food Waste Container Cleaning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N109606985A (en) * 2018-11-30 2019-04-12 西安交通工程学院 A kind of food refuse storage cabinet peculiar to vessel
CN113617722A (en) * 2021-07-21 2021-11-09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Cleaning system of hydraulic brick pressing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23A (en) * 2001-06-28 2001-08-30 신승경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cleaning of garbage can
WO2006117103A1 (en) * 2005-05-02 2006-11-09 Klaus Storch Apparatus for washing and/or cleaning refuse bins and/or waste containers by means of a washing/cleaning system which is arranged on a vehicle
KR20120022028A (en) * 2010-08-31 2012-03-09 매크로드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23A (en) * 2001-06-28 2001-08-30 신승경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cleaning of garbage can
WO2006117103A1 (en) * 2005-05-02 2006-11-09 Klaus Storch Apparatus for washing and/or cleaning refuse bins and/or waste containers by means of a washing/cleaning system which is arranged on a vehicle
EP1890949B1 (en) * 2005-05-02 2012-12-12 Klaus Storch Apparatus for washing and/or cleaning refuse bins and/or waste containers by means of a washing/cleaning system which is arranged on a vehicle
KR20120022028A (en) * 2010-08-31 2012-03-09 매크로드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802B1 (en) 2016-09-26 2017-02-09 주식회사 주승 Automatic Discharge Device for Food Waste Remainder and Food Waste Container Cleaning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N109606985A (en) * 2018-11-30 2019-04-12 西安交通工程学院 A kind of food refuse storage cabinet peculiar to vessel
CN113617722A (en) * 2021-07-21 2021-11-09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Cleaning system of hydraulic brick press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6757B2 (en) Sewage treatment system
KR101436281B1 (en) Rai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471373B1 (en) Vehicle for washing garbage container
CN105198137B (en) The pasteurization system purified using process liquid
JP2007098313A (en) Washing device for waste plastic sheet chip
KR101471372B1 (en) Vehicle for washing garbage container
US9611636B2 (en) Mobile water reclaiming system
KR100717430B1 (en) A high efficiency multi-water sprinkle type dust collector
KR102280912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polishing wastewater of lens and system for reducing the polishing wastewater
US6247480B1 (en) Pressure washer containment assembly and method with a passive skimmer
KR101846398B1 (en) Bag filter type dust collector
US5946769A (en) Self-contained, closed-loop, hard surface and carpet cleaning apparatus
KR200475726Y1 (en) Apparatus for washing a vehicle wheel
CN105936409A (en) Powered coal conveyor belt washing equipment
JP2013501610A (en) Swimming pool filtration device
DE102011105944A1 (en) Device for filtering wastewater that is obtained during cleaning using high pressure cleaners, by suctioning wastewater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suction cup into water tank, and passing wastewater through filter basket, and purifying
JP4942225B2 (en) Filter media cleaning device and filter media cleaning method
JP5051921B2 (en) Suction cleaning car with wash water recycling mechanism
KR20170049270A (en) Tunnel type ozone water odor remving facilities
CN108472560A (en) Fiber filter device
CN104370365B (en) A kind of sewage reclamation harmless processes integration apparatus
KR101093207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ste water in the manhole
KR101784886B1 (en) Continuous Filtration Apparatus using Distribution Chamber
KR102298494B1 (en) Suction cleaning vehicle for dust of road
CN205855265U (en) A kind of fine coal belt conveyor clean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