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070B1 -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070B1
KR101471070B1 KR1020130110967A KR20130110967A KR101471070B1 KR 101471070 B1 KR101471070 B1 KR 101471070B1 KR 1020130110967 A KR1020130110967 A KR 1020130110967A KR 20130110967 A KR20130110967 A KR 20130110967A KR 101471070 B1 KR101471070 B1 KR 10147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reaction unit
circulation line
housing
oxidation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업
이대훈
오승묵
강건용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1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70/00Working-up undefined normally gaseous mixture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C10G11/00, C10G15/00, C10G47/00, C10G51/00
    • C10G70/02Working-up undefined normally gaseous mixture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C10G11/00, C10G15/00, C10G47/00, C10G51/00 by hydroge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2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decomposi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 C01B3/2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decomposi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of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70/00Working-up undefined normally gaseous mixture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C10G11/00, C10G15/00, C10G47/00, C10G51/00
    • C10G70/04Working-up undefined normally gaseous mixture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C10G11/00, C10G15/00, C10G47/00, C10G51/00 by phys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0894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plasm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와 부분산화 반응을 이용하여 탄화수소(HC)를 포함하는 가스연료의 개질 반응을 수행하여 수소 가스가 생성되도록 연료를 개질시키되, 장치의 부피를 크게 형성하지 않고도 수소의 발생량(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질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실제 차량 등에 탑재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Circulation type reformer for gas fuel using plasma reaction}
본 발명은 플라즈마와 열화학적 부분산화 반응을 이용하여 탄화수소(HC)를 포함하는 가스연료의 개질 반응을 수행하여 수소 가스가 생성되도록 연료를 개질시키되, 장치의 부피를 크게 형성하지 않고도 수소의 발생량(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연료 개질장치는 탄화수소(HC)를 포함하는 가스 연료로부터 수소(H2), 일산화탄소(CO), 비활성가스(N2, CO2, H2O) 등을 포함하는 개질 가스를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스연료의 개질방법으로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연료와 수증기를 이용한 수증기 개질(SR, Steam reforming), 가스연료와 공기중의 산소와의 부분산화 반응을 이용한 개질(POX, Partial Oxidation), 가스연료와 수증기 및 산소의 반응을 이용한 개질(SRO, Steam reforming with Oxygen) 등이 있다.
이중 부분산화 반응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가스연료 개질방법은 이론상 개질가스 중 약 30%는 수소 가스가 발생되나, 실제로는 약 15% 수준의 수소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부분산화 반응의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1) C4H10 + 2(O2 + 3.76N2) → 4CO +5H2 + 7.52N2
2) C3H8 + 1.5(O2 + 3.76N2) → 3CO +4H2 + 5.64N2
그런데 이와 같은 개질방법을 이용하는 개질장치는 차량 등에 탑재(On Board)하여 사용 시 수소 발생 수율이 낮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서 부분산화 반응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개질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공기와 가스연료가 공급되어 1차 개질되는 플라즈마 반응부(20)와 1차 개질된 가스연료가 부분산화 반응되어 2차 개질되는 산화 반응부(30)로 형성된다. 이때, 이와 같은 가스연료 개질장치(10)에서 수소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산화 반응부(30)의 부피를 크게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나, 실제 차량 등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경우 설치되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개질장치의 부피를 크게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10-2009-0124074)인 "개질장치 및 개질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9-0124074 A (2009.12.0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와 부분산화 반응을 이용하여 탄화수소(HC)를 포함하는 가스연료의 개질 반응을 수행하여 수소 가스가 생성되도록 연료를 개질시키되, 장치의 부피를 크게 형성하지 않고도 수소의 발생량(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는, 공기 및 가스연료가 공급되고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상기 가스연료를 1차 개질하는 플라즈마 반응부;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에 연결되며,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되는 열과 부분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반응열에 의해 상기 1차 개질된 가스연료를 2차 개질하는 산화 반응부; 및 상기 산화 반응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산화 반응부에서 2차 개질된 가스연료의 일부가 플라즈마 반응부로 리턴되는 순환 라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에 연결되는 순환 라인의 타단은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의 제1하우징에 연결되되,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의 단부 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의 제1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돌출된 교축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 라인의 타단은 상기 교축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 라인에는 리턴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 라인의 일단이 연결된 산화 반응부의 제2하우징 내측면에는 2차 개질된 가스연료가 상기 순환 라인의 일단으로 유입되도록 경사진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의 배플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의 제1하우징 내부의 단면적보다 상기 산화 반응부의 제2하우징 내부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는, 수소 가스가 생성되도록 연료를 개질시키되 장치의 부피를 크게 형성하지 않고도 수소의 발생량(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개질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실제 차량 등에 탑재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가스연료 개질장치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를 가스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전처리 및 후처리에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1000)는, 공기 및 가스연료가 공급되고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상기 가스연료를 1차 개질하는 플라즈마 반응부(100);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100)에 연결되며,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되는 열과 부분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반응열에 의해 상기 1차 개질된 가스연료를 2차 개질하는 산화 반응부(200); 및 상기 산화 반응부(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100)에 타단이 연결되어, 산화 반응부(200)에서 2차 개질된 가스연료의 일부가 플라즈마 반응부(100)로 리턴되는 순환 라인(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플라즈마 반응부(100)는 공급되는 공기 및 가스연료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소로 개질되는 부분이다. 즉, 플라즈마 반응부(100)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의 제1하우징(110)의 일측(좌측)에 전극(120)이 결합되되 절연부재(130)가 그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전원선(140)이 제1하우징(110)과 전극(120)에 각각 연결되어 고전압을 공급하여, 제1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전극(120) 사이에서 플라즈마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전극(120)은 특정한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며, 전극의 단부(우측 단부)는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1하우징(110)에는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 유입구(150)가 형성되고 가스연료가 공급되도록 가스연료 유입구(160)가 형성된다. 이때, 공급되는 공기는 산소 및 질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가스연료는 부탄(C4H10) 및 프로판(C3H8) 등의 액화석유가스(LPG)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화수소(HC)를 포함하는 다른 가스연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플라즈마 반응부(100)에서는 일측(좌측)으로 공기 및 가스연료가 공급되어 타측(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하우징(110)과 전극(120)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그 사이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에 의해 수소가 생성되는 1차 개질반응이 일어난다.
그리고 산화 반응부(200)는 플라즈마 반응부(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플라즈마 반응부(100)에서 1차 개질된 가스연료가 2차 개질되는 부분이다. 이때, 산화 반응부(200)는 플라즈마 반응부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의 열과 산화 반응부(200)에서 부분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반응열을 이용해 1차 개질된 가스연료를 2차 개질한다. 즉, 플라즈마 반응부(100)에서 수소로 개질되지 않은 가스연료를 2차로 개질하여 생성되는 수소의 발생량(수율)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순환 라인(300)은 산화 반응부(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100)에 타단이 연결되어, 산화 반응부(200)에서 2차 개질된 가스연료의 일부가 플라즈마 반응부(100)로 리턴되어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플라즈마 반응부(100)에서 1차 개질된 가스연료는 산화 반응부(200)에서 2차 개질되며, 2차 개질된 가스연료의 일부는 순환 라인(300)을 통해 다시 플라즈마 반응부(100)로 리턴되고 2차 개질된 가스연료의 나머지는 산화 반응부(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2차 개질된 가스연료의 일부가 다시 플라즈마 반응부(100)로 리턴되어 플라즈마에 의해 다시 1차 개질되고 다시 산화 반응부(200)에서 2차 개질된다. 즉, 개질된 연료의 일부가 순환 라인(300)을 통해 리턴되어 순환됨으로써, 산화 반응부(20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개질된 가스연료는 수소의 함량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는, 수소 가스가 생성되도록 연료를 개질시키되 순환 라인을 통해 개질장치의 부피를 크게 형성하지 않고도 수소의 발생량(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개질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실제 차량 등에 탑재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순환 라인(300)은 배관을 굵게 형성하여 하나의 라인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또는 그 이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중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관이 순환 라인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100)에 연결되는 순환 라인(300)의 타단은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100)의 제1하우징(110)에 연결되되,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120)의 단부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플라즈마 반응부(100)의 제1하우징(110)에 순환 라인(300)의 타단이 연결되어, 순환 라인(300)을 통해 리턴되는 가스연료가 플라즈마 반응부(100)의 전극(120)의 단부(우측 단부) 위치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플라즈마는 제1하우징(110)과 전극(120)의 간극이 좁은 부분에서 전극(120)의 우측 단부 부근까지 발생하므로, 리턴되는 가스연료는 플라즈마에 의해 다시 개질될 수 있다. 그리하여 플라즈마 반응부(100)의 좌측에서 공기와 가스연료가 공급되어 제1하우징(110)과 전극(120) 사이를 통과하며 1차 개질되고, 1차 개질된 가스연료와 순환 라인(300)을 통해 리턴되는 연료가 혼합되며 전극(120)의 우측 단부 부근에서 함께 개질되므로 개질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100)의 제1하우징(110)의 내측면에는 돌출된 교축수단(170)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 라인(300)의 타단은 상기 교축수단(1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 내측면에 교축수단(170)을 형성하여 순환 라인(300)을 통해 원활하게 가스연료가 리턴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교축수단(170)은 전극(120)의 우측 단부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교축수단(170)을 통한 압력강하에 의해 순환 라인(300)을 통해 리턴되는 가스연료가 제1하우징(110) 내부로 빨려 들어가도록 할 수 있어, 순환 라인(300)을 통한 가스연료의 순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 라인(300)에는 리턴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순환 라인(300) 상에 솔레노이드 밸브(310)를 설치하여 순환 라인(300)을 통해 리턴되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개질되어 생성되는 수소의 발생량(수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 라인(300)의 일단이 연결된 산화 반응부(200)의 제2하우징(210) 내측면에는 2차 개질된 가스연료가 상기 순환 라인(300)의 일단으로 유입되도록 경사진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의 배플(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역시 마찬가지로 순환 라인(300)을 통해 원활하게 가스연료가 리턴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순환 라인(300)의 일단이 연결된 산화 반응부(200)의 제2하우징(210)의 내측면에 배플(220)이 형성되어, 순환 라인(300)으로 2차 개질된 가스연료의 일부가 유입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배플(220)은 경사진 형태나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저항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100)의 제1하우징(110) 내부의 단면적보다 상기 산화 반응부(200)의 제2하우징(210) 내부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과 같이 산화 반응부(200)의 부피(직경)를 크게 형성하여 부분산화 반응 면적 및 반응 시간을 늘려 수소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며, 실제 차량 등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경우 설치 공간상의 제약이 있으므로 설치 공간에 맞추어 적절히 크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1000)는 실제 차량 등에 탑재되어 개질된 가스연료를 도 4와 같이 엔진(2000)으로 공급하여 엔진의 연소에 바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선택적촉매환원반응(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장치(3000)로 공급하여 SCR환원재로 이용함으로써 배기가스의 NOX 저감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100 : 플라즈마 반응부
110 : 제1하우징 120 : 전극
130 : 절연부재 140 : 전원선
150 : 공기 유입구 160 : 가스연료 유입구
170 : 교축수단
200 : 산화 반응부
210 : 제2하우징 220 : 배플
300 : 순환 라인
310 : 솔레노이드 밸브
2000 : 엔진
3000 : 선택적촉매환원반응(SCR) 장치

Claims (6)

  1. 공기 및 가스연료가 공급되고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상기 가스연료를 1차 개질하는 플라즈마 반응부;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에 연결되며,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되는 열과 부분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반응열에 의해 상기 1차 개질된 가스연료를 2차 개질하는 산화 반응부; 및
    상기 산화 반응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산화 반응부에서 2차 개질된 가스연료의 일부가 플라즈마 반응부로 리턴되는 순환 라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에 연결되는 순환 라인의 타단은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의 제1하우징에 연결되되,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의 단부 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의 제1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돌출된 교축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 라인의 타단은 상기 교축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라인에는 리턴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라인의 일단이 연결된 산화 반응부의 제2하우징 내측면에는 2차 개질된 가스연료가 상기 순환 라인의 일단으로 유입되도록 경사진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의 배플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의 제1하우징 내부의 단면적보다 상기 산화 반응부의 제2하우징 내부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KR1020130110967A 2013-09-16 2013-09-16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KR10147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967A KR101471070B1 (ko) 2013-09-16 2013-09-16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967A KR101471070B1 (ko) 2013-09-16 2013-09-16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070B1 true KR101471070B1 (ko) 2014-12-09

Family

ID=5267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967A KR101471070B1 (ko) 2013-09-16 2013-09-16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188A (ko) * 2019-12-18 2021-06-28 한국기계연구원 암모니아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WO2022270957A1 (ko) * 2021-06-23 2022-12-29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를 이용한 암모니아 발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2837B1 (en) * 2000-07-19 2003-06-03 Ballard Power Systems Inc. Fuel processing system
KR100428402B1 (ko) * 1997-09-01 2004-04-27 락사코 홀딩 리미티드 산소에 의한 경질탄화수소의 전기적으로 보조되는 부분 산화
JP2012035260A (ja) * 2005-10-10 2012-02-23 Korea Inst Of Machinery & Materials プラズマ反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反応方法、難分解性ガスのプラズマ反応方法及び吸蔵触媒方式のNOx低減装置
KR20130082131A (ko) * 2013-06-27 2013-07-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단계 열분해 가스화 장치 및 2단계 열분해 가스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402B1 (ko) * 1997-09-01 2004-04-27 락사코 홀딩 리미티드 산소에 의한 경질탄화수소의 전기적으로 보조되는 부분 산화
US6572837B1 (en) * 2000-07-19 2003-06-03 Ballard Power Systems Inc. Fuel processing system
JP2012035260A (ja) * 2005-10-10 2012-02-23 Korea Inst Of Machinery & Materials プラズマ反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反応方法、難分解性ガスのプラズマ反応方法及び吸蔵触媒方式のNOx低減装置
KR20130082131A (ko) * 2013-06-27 2013-07-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단계 열분해 가스화 장치 및 2단계 열분해 가스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188A (ko) * 2019-12-18 2021-06-28 한국기계연구원 암모니아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KR102316534B1 (ko) * 2019-12-18 2021-10-22 한국기계연구원 암모니아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WO2022270957A1 (ko) * 2021-06-23 2022-12-29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를 이용한 암모니아 발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3263B2 (en) Fuel reformer system for multiple combustion chambers
EP2232622B1 (en) Steam methane reformer and hydrogen station having it using high performing metal fiber burner
US20120186266A1 (en) Reformed multi-fuel premixed low emission combustor and related method
MY151832A (en) Reformed gas production method and reformed gas production apparatus
JP2011216308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
CN104718359A (zh) 氢气冲洗的预燃室
Pasel et al. Advances in autothermal reformer design
KR101471070B1 (ko) 플라즈마 반응을 이용한 순환형 가스연료 개질기
KR20130051539A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 공급장치 및 방법
KR101632633B1 (ko) 이중관 구조의 플라즈마/촉매 일체형 가스 개질 장치 및 가스 개질 방법
US10833341B2 (en) Non-catalytic hydrogen generation process for delivery to a hydrodesulfurization unit and a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combination for auxiliary power unit application
KR20170113955A (ko) 차량용 연료 개질기
JP4975958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内の改質器のためのバーナ
JP2012225324A (ja) 内燃機関
JP2007278244A (ja) 改質ガス利用内燃機関
JP2006294464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2015189648A (ja) 燃料改質装置
JP2011207726A (ja) 水素製造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5648090B1 (ja) 浸炭方法
JP5111040B2 (ja) 燃料電池用改質装置
US20220023823A1 (en) Plasma process and reactor for producing synthesis gas
KR101341249B1 (ko) 개질가스-공기 예혼합 일산화탄소제거기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시스템
KR20240058696A (ko) 수소제조 발전 시스템 및 수조제조 발전 방법
JP2002175828A (ja) 燃料電池用燃料改質システム
JP5630987B2 (ja) 浸炭用ガス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