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411B1 -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411B1
KR101470411B1 KR1020120113255A KR20120113255A KR101470411B1 KR 101470411 B1 KR101470411 B1 KR 101470411B1 KR 1020120113255 A KR1020120113255 A KR 1020120113255A KR 20120113255 A KR20120113255 A KR 20120113255A KR 101470411 B1 KR101470411 B1 KR 101470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mage
patient
displaying
medical
l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268A (ko
Inventor
박승철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2011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411B1/ko
Priority to US14/052,163 priority patent/US20140104311A1/en
Publication of KR20140047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각각의 촬영 부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환자에 대해 미리 결정된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이 제어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의료 영상과 중요 영상을 사용자(의사)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환자의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의료 상태를 확인하기 용이하며, 사용자에게 환자의 의료 정보를 확인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Medical image display method using virtual patient mode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환자에 맞는 가상적인 인체 모형도를 환자의 의료 영상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을 상이하게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의료 영상과 중요 영상을 사용자(의사)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10038419, 과제명: 지능형 영상진단 및 치료지원 시스템].
오늘날 전산화 단층촬영(CT) 장치, 자기 공명 촬영(MRI) 장치, X-ray 장치 등의 방사선 기기는 진단 장비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방사선과는 필름에 이미지를 생성하는 X-ray 장치와 같은 기기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진단 장비로부터 환자의 다양한 의료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환자의 의료 상태를 분석하고 진단한다.
X-ray 기기는 관심 영역에 대한 다른 각도로 많은 X-ray 이미지를 획득하고, 의사는 이렇게 획득된 다양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의료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의료 분야에서,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형태로 이미지를 저장하고, 분배하고, 확인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PACS; Picture Archival and Communication Systems)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PACS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미지 데이터는 CT, MRI 등의 의료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되고, 이렇게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는 컴퓨터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이미지 데이터 파일의 크기는 이미지의 크기와 해상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인 진단용 가슴 X-ray 이미지 파일은 10[MB] 단위의 크기를 가진다.
이런 이미지 데이터 파일은 기본적인 포맷 또는 널리 사용되는 포맷으로 형성되고, 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미지 포맷은 DICOM 포맷이다. DICOM 이미지 데이터 파일은 네트워크를 통해 DICOM 이미지 파일을 고해상도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는 특화된 뷰잉 스테이션(viewing station)으로 분배될 수 있다.
종래 환자에 대해 저장된 정보는, 도 1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환자 ID와 환자의 의료 영상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키는 텍스트 기반으로 제공되며, 환자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항목(110)을 선택하고, 선택된 항목(110)에 대한 상세 정보(120)를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텍스트로 확인해야 했다. 즉, 종래 기술은 텍스트 기반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환자의 의료 상태와 의료 영상을 직관적으로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환자에 대한 정보와 촬영된 의료 영상들을 사용자 또는 의사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미국등록특허 제7890498호 (등록일 2011.02.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환자에 맞는 가상적인 인체 모형도에 환자의 의료 영상들을 촬영 부위에 맞게 배치시킴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의료 영상과 중요 영상을 사용자(의사)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환자의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사용자에 의한 입력 또는 환자의 의료 영상들에 포함된 병변의 위치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중요 영상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환자에 대한 정보와 인체 모형도의 촬영 부위에 배치된 환자의 의료 영상들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의료 상태를 확인하기 용이하고, 사용자에게 환자의 의료 정보를 확인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각각의 촬영 부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환자에 대해 미리 결정된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이 제어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맞추어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미리 결정된 축적에 비례하여 크기를 조절한 후 상기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복수의 의료 영상들이 동일한 촬영 부위에 해당하는 경우 영상의 종류, 촬영 시간,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들 중 어느 하나를 해당 촬영 부위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들의 개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들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촬영 부위가 특정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촬영 부위에 미리 결정된 다이어그램(diaphragm) 또는 색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는 복수의 병변들이 존재하는 경우 병변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사용자의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병변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미리 결정된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 중 상기 환자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인체 모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각각의 촬영 부위를 확인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 중 상기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인체 모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기 인체 모형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정된 상기 인체 모형도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에 맞추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이 제어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각각의 촬영 부위를 확인하는 촬영 부위 확인부; 미리 결정된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 중 상기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인체 모형도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상기 인체 모형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이 제어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맞는 가상적인 인체 모형도에 환자의 의료 영상들을 촬영 부위에 맞게 배치시킴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의료 영상과 중요 영상을 사용자(의사)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환자의 촬영된 의료 영상 (CT, MR, PET, Angiography, CR/DR, Fundoscopy, EKG 등의 의료 영상)을 촬영 부위별로 환자의 가상적인 인체 모형도에 배치시키고,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사용자에 의한 입력 또는 환자의 의료 영상들에 포함된 병변의 위치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중요 영상을 원하는 방향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시킬 때 3차원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환자의 의료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병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3차원 의료 영상 (MPR, MIP, VR 등)을 환자의 인체 모형도 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환자의 전체적인 검사 현황, 환자의 실제 해부학적 구조물, 병변의 상태를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의료 영상이 동일한 촬영 부위인 경우 썸네일 영상을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촬영 부위의 의료 영상들을 비교하거나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텍스트 기반으로 의료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S290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계 S34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는 추가적인 일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계 S29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방향이 제어된 환자의 인체 모형도와 의료 영상들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환자의 인체 모형도에 의료 영상들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복수의 의료 영상들이 동일한 촬영 부위에 해당하는 경우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환자의 정보와 의료 영상을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환자의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해 환자의 어느 신체 부위를 촬영한 것인지 확인한다(S210, S220).
이 때,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은 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PACS)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의료 영상별 신체 촬영 부위는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해 저장된 의료 영상 데이터 예를 들어, DICOM 헤더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환자의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한 이미지 처리와 분석 과정을 통해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한 촬영 부위를 확인할 수도 있다.
환자에 대한 의료 영상은 CT, MRI 등의 의료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되어 재구성된 3차원 의료 영상 (MPR, MIP, VR 등)일 수도 있고, X-ray와 같은 의료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된 2차원 의료 영상일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의료 영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ET, Angiography, CR/DR, Fundoscopy, EKG 등에 의해 촬영된 환자에 대한 모든 의료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에 대한 가상적인 인체 모형도를 결정하는데, 미리 결정된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 중에서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에 대응되는 인체 모형도를 환자의 인체 모형도로 결정한다(S230).
이 때,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은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 등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환자의 인체 모형도는 환자의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 등에 대응되는 인체 모형도를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로부터 선택/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은 복수의 환자들에 대한 통계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단계 S210에서 획득된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과정을 통해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40, S250).
단계 S250 판단 결과,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병변을 포함하는 의료 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방향 예를 들어, 전면 방향의 환자의 인체 모형도에 환자의 의료 영상을 배치하는데, 단계 S220에 의해 확인된 촬영 부위에 의료 영상을 배치시키고, 이렇게 촬영 부위에 환자의 의료 영상이 배치된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한다(S290, S300).
이 때, 의료 영상과 촬영 부위가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매칭시킬 수도 있다.
반면, 단계 S250 판단 결과,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병변을 포함하는 의료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환자의 인체 모형도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한다(S260).
이 때, 제어되는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은 병변을 포함하는 의료 영상에서 병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향일 수 있으며, 병변 위치에 따라 병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향은 촬영 부위별, 병변 위치별, 성별, 나이 등이 고려되어 이미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병변의 경우 해당 의료 영상을 정면에서 좌측 30도로 회전시켜 확인할 때 제1 병변이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면 제1 병변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향은 좌측 30도 위치가 되는 것이다.
나아가,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복수의 병변들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복수의 병변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병변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사용자(의사)의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복수의 병변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물론, 복수의 병변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내용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병변 또는 병변이 포함된 의료 영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환자의 인체 모형도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향이 결정되면, 환자의 의료 영상을 결정된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재구성한다(S270).
이 때, 재구성되는 환자의 의료 영상은 3차원 의료 영상 (MPR, MIP, VR 등)일 수 있으며, 2차원 의료 영상은 디스플레이 방향과 무관하게 그 영상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의료 영상이 디스플레이 방향에 맞게 재구성되면 재구성된 환자의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 방향이 제어된 환자의 인체 모형도 상에 배치하는데, 환자의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해 확인된 촬영 부위의 인체 모형도 상에 의료 영상들을 배치하고, 환자의 의료 영상이 배치된 환자의 가상적인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한다(S280, S290).
이 때, 인체 모형도에 디스플레이되는 환자의 의료 영상은 미리 결정된 축적에 비례하여 크기가 조절된 후 크기가 조절된 의료 영상이 해당 촬영 부위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며, 의료 영상과 촬영 부위가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매칭시킬 수도 있다.
이런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병변을 포함하는 의료 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좌측의 인체 모형도와 같이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방향의 인체 모형도에 환자의 의료 영상이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며 병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향이 전면이 아닌 좌측 방향인 경우에는 우측의 인체 모형도와 같이 디스플레이 방향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된 인체 모형도가 제공되며, 이런 인체 모형도 상에 좌측 방향으로 재구성된 환자의 의료 영상을 배치함으로써, 병변을 사용자(의사)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우측 인체 모형도에서 환자의 의료 영상이 2차원적으로 회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인체 모형도만 회전되고 의료 영상들은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재구성되어 해당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병변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고, 이에 대해 의료 영상을 재구성하여 배치하였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방향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환자의 의료 영상이 재구성되어 제어된 인체 모형도 상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환자의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라 제어 예를 들어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데, 디스플레이되는 인체 모형도는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라 환자의 인체 모형도를 다시 생성하거나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라 미리 생성된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물론, 일정 각도 단위의 인체 모형도를 미리 생성하고, 일정 각도 사이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결정되면 미리 생성된 인체 모형도들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으며, 신체 부위와 병변 종류에 따라 병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면 신체 부위와 병변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른 인체 모형도들을 미리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신체 부위와 병변 종류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향은 많은 환자들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환자에 따라 동일한 신체 부위를 여러 번 촬영하거나 여러 의료 영상 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환자의 인체 모형도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할 의료 영상을 결정하고, 나머지 의료 영상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 3과 도 4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S290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의료 영상이 배치된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90)는 환자의 의료 영상들 중 단계 S220에서 확인된 촬영 부위에서 동일한 촬영 부위에 해당하는 복수의 의료 영상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10).
단계 S310 판단 결과, 환자의 동일한 신체 부위에 대해 촬영된 복수의 의료 영상들이 존재하면 해당 촬영 부위에 대한 복수의 의료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의료 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의료 영상을 해당 촬영 부위에 배치시키며, 그 촬영 부위에 복수의 의료 영상들에 대한 개수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S320, S330).
이 때, 복수의 의료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의료 영상은 영상의 종류, 촬영 시간,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우선 순위는 환자의 의료 영상을 확인하는 사용자(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문 분야, 관심 분야 등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렇게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의료 영상과 해당 신체 부위 또는 촬영 부위에 해당하는 의료 영상의 개수를 함께 디스플레이한 환자의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한다(S340).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두상에 대해 촬영된 의료 영상이 4개 이고, 오른쪽 무릎에 대해 촬영된 의료 영상이 2개인 경우로, 4개의 두상에 대한 의료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의료 영상(710)을 환자의 인체 모형도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개수(720)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마찬가지로, 2개의 오른쪽 무릎 의료 영상 중 어느 하나(730)의 의료 영상을 인체 모형도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개수(740)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의료 영상의 개수는 해당 촬영 부위에 디스플레이된 의료 영상을 포함하는 개수일 수도 있고, 해당 촬영 부위에 디스플레이된 의료 영상을 제외한 개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동일한 촬영 부위에 대한 복수의 의료 영상들 중 어느 하나만을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나머지 의료 영상은 썸네일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도 4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계 S34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는 추가적인 일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환자의 인체 모형도에서 복수의 의료 영상들이 존재하는 촬영 부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촬영 부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의료 영상들을 도 8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썸네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410, S420).
즉, 도 8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인체 모형도에서 두상을 선택하면 두상을 촬영한 환자의 의료 영상들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810)에 디스플레이하고, 오른쪽 무릎 부위를 선택하면 오른쪽 무릎을 촬영한 환자의 의료 영상들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영역(82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썸네일 영상은 촬영 시간, 촬영 장치별 등에 의한 순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썸네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많은 의료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썸네일 영상들만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썸네일 영상들이 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 부위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한번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버튼이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고, 환자의 의료 영상 모두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한번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버튼 또한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썸네일 영상에 대응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430, S440).
여기서, 썸네일 영상에 대응하는 의료 영상은 인체 모형도의 해당 부위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고 드래그하여 인체 모형도의 특정 부위에 배치시킬 수도 있으며, 이 때 특정 부위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썸네일 영상 또는 썸네일 영상에 대응하는 의료 영상일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계 S29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촬영 부위가 아주 작아 직접 인체 모형도에 디스플레이하기 어려운 경우 의료 영상이 촬영되었음을 알릴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이 배치된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90)는 확인된 의료 영상의 촬영 부위 중에서 촬영 부위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기준 크기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510).
여기서, 기준 크기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다.
단계 S510의 판단 결과, 촬영 부위의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작으면 해당 촬영 부위에 미리 결정된 다이어그램(diaphragm) 또는 색상을 디스플레이하고, 환자의 다른 의료 영상과 다이어그램(diaphragm) 또는 색상을 디스플레이된 환자의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한다(S520, S53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병변의 위치에 따른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인체 모형도를 회전시키며, 환자의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재구성하여 회전된 인체 모형도의 해당 촬영 부위에 배치시킴으로써, 환자의 전체적인 검사 현황, 환자의 실제 해부학적 구조물, 병변의 상태를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촬영 부위에 복수의 의료 영상이 존재하고, 이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해당 촬영 부위에 대한 검사의 종류, 중요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환자에 대한 정보, 의료 영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들에 의해 사용자의 뷰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자에 대한 정보(1010), 의료 영상이 배치된 환자의 인체 모형도(1020) 그리고, 썸네일 영상들(10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썸네일 영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유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환자의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해 환자의 어느 신체 부위를 촬영한 것인지 확인한다(S910, S920).
이 때,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은 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PACS)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의료 영상별 신체 촬영 부위는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해 저장된 의료 영상 데이터 예를 들어, DICOM 헤더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고,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한 이미지 처리와 분석 과정을 통해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한 촬영 부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때, 환자에 대한 의료 영상은 CT, MRI, PET, Angiography, CR/DR, Fundoscopy, EKG 등에 의해 촬영된 환자에 대한 모든 의료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에 대한 가상적인 인체 모형도를 결정하는데, 미리 결정된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 중에서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에 대응되는 인체 모형도를 환자의 인체 모형도로 결정한다(S930).
이 때, 환자의 고유 정보는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의 환자를 구별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 다음,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할 것인지 판단한다(S940). 즉, 기본적인 인체 모형도 예를 들어, 정면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는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결정한다.
단계 S940의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방향에 대한 인체 모형도에 환자의 의료 영상을 배치하는데, 단계 S920에 의해 확인된 촬영 부위에 의료 영상을 배치시키고, 이렇게 촬영 부위에 환자의 의료 영상이 배치된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한다(S970, S980).
이 때, 디스플레이 방향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병변이 포함된 경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환자에 대한 인체 모형도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시킬 수도 있고,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 후 병변이 포함된 경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환자의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는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거나 변경하는 내용을 앞서 기술하였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환자의 인체 모형도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되면, 환자의 의료 영상을 변경된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재구성한다(S950).
이 때, 재구성되는 환자의 의료 영상은 3차원 의료 영상 (MPR, MIP, VR 등)일 수 있으며, 2차원 의료 영상은 디스플레이 방향과 무관하게 그 영상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의료 영상이 디스플레이 방향에 맞게 재구성되면 재구성된 환자의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된 환자의 인체 모형도 상에 배치하는데, 환자의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해 확인된 촬영 부위에 해당하는 인체 모형도 상에 배치하고, 환자의 의료 영상이 배치된 환자의 가상적인 인체 모형도를 디스플레이 한다(S960, S970).
이 때, 인체 모형도에 디스플레이되는 환자의 의료 영상은 미리 결정된 축적에 비례하여 크기가 조절된 후 크기가 조절된 의료 영상이 해당 촬영 부위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며, 의료 영상과 촬영 부위가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매칭시킬 수도 있다.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법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이 함께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런 과정에 의해 사용자의 뷰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자에 대한 정보(1010), 의료 영상이 배치된 환자의 인체 모형도(1020) 그리고, 썸네일 영상들(10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썸네일 영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유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영상 획득부(1110), 촬영 부위 확인부(1120), 결정부(1130), 판단부(1140), 제어부(1150), 재구성부(1160), 디스플레이부(1170) 및 사용자 입력부(1180)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1110)는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획득한다.
이 때, 영상 획득부(1110)는 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PACS) 등을 통해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예를 들어, CT, MRI, PET, Angiography, CR/DR, Fundoscopy, EKG 등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촬영 부위 확인부(1120)는 영상 획득부(1110)에 의해 획득된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각각의 촬영 부위를 확인한다.
이 때, 촬영 부위 확인부(1120)는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해 저장된 의료 영상 데이터 예를 들어, DICOM 헤더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고,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해 이미지 처리와 분석 과정을 통해 의료 영상 각각에 대한 촬영 부위를 확인할 수도 있다.
결정부(1130)는 미리 결정된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 중 환자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인체 모형도를 결정한다.
이 때, 환자의 고유 정보는 환자의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140)는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150)는 판단부(1140)에 의한 판단 결과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환자의 인체 모형도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150)는 환자의 의료 영상에 복수의 병변들이 존재하는 경우 병변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사용자(의사)의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복수의 병변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병변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내용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병변 또는 병변이 포함된 의료 영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재구성부(1160)는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되면, 환장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인체 모형도의 변경된 디스플레이 방향에 맞추어 재구성한다.
이 때, 재구성되는 의료 영상은 환자의 의료 영상들 중 3차원 의료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1170)는 환자의 인체 모형도에 환자의 의료 영상들을 확인된 촬영 부위에 각각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디스플레이부(1170)는 환자의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 또는 제어된 인체 모형도에 재구성된 의료 영상들을 각각의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1170)는 환자의 의료 영상들 중 복수의 의료 영상들이 동일한 촬영 부위에 해당하는 경우 영상의 종류, 촬영 시간,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복수의 의료 영상들 중 어느 하나를 해당 촬영 부위에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의료 영상들의 개수를 해당 부위에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170)는 복수의 의료 영상들이 동일한 촬영 부위에 해당하는 경우 복수의 의료 영상들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의료 영상에 대해 확인된 촬영 부위가 특정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촬영 부위에 미리 결정된 다이어그램(diaphragm) 또는 색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80)는 사용자가 직접 인체 모형도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의료 영상의 배치를 직접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썸네일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등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구성이다.
이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기술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각각의 촬영 부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환자에 대해 미리 결정된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이 제어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맞추어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미리 결정된 축적에 비례하여 크기를 조절한 후 상기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복수의 의료 영상들이 동일한 촬영 부위에 해당하는 경우 영상의 종류, 촬영 시간,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들 중 어느 하나를 해당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들의 개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들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촬영 부위가 특정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촬영 부위에 미리 결정된 다이어그램(diaphragm) 또는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는
    복수의 병변들이 존재하는 경우 병변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사용자의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병변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리 결정된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 중 상기 환자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인체 모형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0.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각각의 촬영 부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리 결정된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 중 상기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인체 모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결정된 상기 인체 모형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상기 인체 모형도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에 맞추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이 제어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 각각의 촬영 부위를 확인하는 촬영 부위 확인부;
    미리 결정된 복수의 인체 모형도들 중 상기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인체 모형도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상기 인체 모형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병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이 제어된 상기 인체 모형도의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인체 모형도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맞추어 재구성하는 재구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재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영상을 상기 확인된 촬영 부위에 배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의료 영상들이 동일한 촬영 부위에 해당하는 경우 영상의 종류, 촬영 시간,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들 중 어느 하나를 해당 촬영 부위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들의 개수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의료 영상들이 동일한 촬영 부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들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촬영 부위가 특정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촬영 부위에 미리 결정된 다이어그램(diaphragm) 또는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13255A 2012-10-12 2012-10-12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1470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255A KR101470411B1 (ko) 2012-10-12 2012-10-12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14/052,163 US20140104311A1 (en) 2012-10-12 2013-10-11 Medical image display method using virtual patient model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255A KR101470411B1 (ko) 2012-10-12 2012-10-12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268A KR20140047268A (ko) 2014-04-22
KR101470411B1 true KR101470411B1 (ko) 2014-12-08

Family

ID=5047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255A KR101470411B1 (ko) 2012-10-12 2012-10-12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04311A1 (ko)
KR (1) KR101470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54A1 (ko) * 2019-11-13 2021-05-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KR20210058622A (ko) * 2019-11-13 2021-05-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3588A1 (en) * 2013-11-14 2015-05-21 Dexcom, Inc. Indicator and analytics for sensor insertion in a continuous analyte monito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WO2015183753A1 (en) 2014-05-30 2015-12-03 Zonare Medical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imaging workflow
KR102388132B1 (ko) * 2014-12-15 2022-04-1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대상체를 나타내는 바디 마커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121274B2 (en) * 2015-04-16 2018-11-06 Canon Kabushiki Kaisha Medical image processing system,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D777191S1 (en) * 2015-04-16 2017-01-24 Polimeni Medical Information Technologies, LLC Display panel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RU2714665C2 (ru) 2015-05-20 2020-02-18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На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пациента для медицинской визуализации
KR102531117B1 (ko) * 2015-10-07 2023-05-10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대상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JP6797557B2 (ja) * 2016-05-17 2020-12-09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診断装置、医用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10586017B2 (en) * 2017-08-31 2020-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generation of UI from annotation templates
CN108542351A (zh) * 2018-01-26 2018-09-18 徐州云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学影像断层图像与三维解剖图像的同步显示系统
KR101998516B1 (ko) * 2018-03-12 2019-07-10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촬영 모의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출력영상의 처리방법
CN109543059A (zh) * 2018-11-07 2019-03-29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患病位置可视化方法、设备、终端及可读介质
EP3653124A1 (en) * 2018-11-15 2020-05-20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for adjusting a relative position of an interior body portion relative to an x-ray sensitive surface
CN109584148A (zh) * 2018-11-27 2019-04-05 重庆爱奇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在vr设备中处理二维界面的方法和装置
KR102273923B1 (ko) * 2018-12-18 2021-07-06 (주)제노레이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치료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11236B1 (ko) * 2019-01-08 2019-08-14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증강현실 기반 심혈관계 시술 가상훈련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83920B2 (ja) * 2019-02-26 2023-05-30 富士フイルムヘルスケア株式会社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417757B1 (ko) * 2020-08-27 2022-07-06 (주)비주얼터미놀로지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
KR102417229B1 (ko) * 2021-11-10 2022-07-06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피부 부위별 분류를 위한 바디맵 제공 장치
KR102429640B1 (ko) * 2021-12-16 2022-08-05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신체 영상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0498B1 (en) * 2001-11-26 2011-02-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interface for a medical informatics system that incorporates an examination timeline
KR20110065388A (ko) * 2009-12-07 2011-06-15 광주과학기술원 의료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206340B1 (ko) * 2011-04-29 2012-11-29 주식회사 코어메드 영상수술 리허설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7336B1 (en) * 1996-10-02 2005-01-25 Jerome H. Lemelson Selectively controllable heads-up display system
US20090226065A1 (en) * 2004-10-09 2009-09-10 Dongqing Chen Sampling medical images for virtual histology
WO2008015565A2 (en) * 2006-08-04 2008-02-07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Biophysical virtual model database and applications
US20120321759A1 (en) * 2007-01-05 2012-12-20 Myskin, Inc. Characterization of food materials by optomagnetic fingerprinting
US8698795B2 (en) * 2008-01-24 2014-04-15 Koninklijke Philips N.V. Interactive image segmentation
CN101959454B (zh) * 2008-03-07 2013-11-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通过磁共振图像的自动分割进行ct替代
US10580325B2 (en) * 2010-03-24 2020-03-03 Simbionix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computerized simulation of a medical procedure
GB2479406A (en) * 2010-04-09 2011-10-12 Medaphor Ltd Ultrasound Simulation Training System
JP5765913B2 (ja) * 2010-10-14 2015-08-19 株式会社東芝 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方法
EP2919194B1 (en) * 2011-03-09 2020-08-19 Osaka University Imag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apparatus
JP5011455B1 (ja) * 2011-06-30 2012-08-29 医療法人社団神▲崎▼循環器クリニック X線診断装置
EP2797512A4 (en) * 2011-12-30 2015-09-09 Philip D Gole MEDICAL DEVICES FOR ASSESSING IMAGE SUPPORT AND PROCEDURE
US20140088411A1 (en) * 2012-09-26 2014-03-27 Terumo Kabushiki Kaisha Catheter insertion supporting system, catheter insertion supporting metho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ed with program for catheter insertion supporting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US10460076B2 (en) * 2013-08-16 2019-10-29 Sohi, Llc Superimposed verified photo with order or request
US9761053B2 (en) * 2013-08-21 2017-09-12 Nantmobile, Llc Chroma key cont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6490985B2 (ja) * 2014-03-11 2019-03-27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処理装置および医用画像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0498B1 (en) * 2001-11-26 2011-02-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interface for a medical informatics system that incorporates an examination timeline
KR20110065388A (ko) * 2009-12-07 2011-06-15 광주과학기술원 의료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206340B1 (ko) * 2011-04-29 2012-11-29 주식회사 코어메드 영상수술 리허설 제공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54A1 (ko) * 2019-11-13 2021-05-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KR20210058622A (ko) * 2019-11-13 2021-05-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KR102500378B1 (ko) 2019-11-13 2023-02-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268A (ko) 2014-04-22
US20140104311A1 (en)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411B1 (ko)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10452252B2 (en) Image handling and display in X-ray mammography and tomosynthesis
JP6392387B2 (ja) 画像診断装置
JP6422486B2 (ja) 高度医用画像処理ウィザード
KR101898575B1 (ko) 진행성 병변에 대한 미래 상태를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109588B1 (ko) 유방 조직 이미지를 프로세싱하고, 디스플레잉하고,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US82947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monitors with medical diagnostic imaging workstations
JP478624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7602953B2 (en) Method for acquisition, analysis and representation of a medical image data set
JP5345934B2 (ja) 観察のための三次元レンダリングからのデータ集合の選択
KR101287382B1 (ko) 속성 정보와 영상 특성 정보를 활용하는 의료 영상 처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4487978B (zh) 用于基于来自放射医生的输入来生成报告的系统和方法
EP2889743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cal image
CN112740285A (zh) 在虚拟环境中对医学图像的叠加和操纵
KR20130018168A (ko) 의료 이미지 데이터 세트의 정합 품질의 시각화 방법 및 장치
US20130216112A1 (en) Structured, image-assisted finding generation
US10037405B2 (en) Medical image generation apparatus, medical image storage apparatus, medic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dical image display system
KR20150090117A (ko) 제 1 랜더링된 투영 및 제 2 랜더링된 투영간의 전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6131573A (ja) トモシンセシス撮影の制御装置、放射線撮影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03848A (ja) 医用画像処理方法、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9082465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CN105307572B (zh) 控制装置、摄像装置、摄像系统和控制方法
JP2007072649A (ja) 読影レポート作成装置
US200602803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loading and postprocessing of digital three-dimensional data
CN110546684B (zh) 时变数据的定量评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