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182B1 - Reclining apparatus for headrest - Google Patents
Reclining apparatus for headre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0182B1 KR101470182B1 KR20130078514A KR20130078514A KR101470182B1 KR 101470182 B1 KR101470182 B1 KR 101470182B1 KR 20130078514 A KR20130078514 A KR 20130078514A KR 20130078514 A KR20130078514 A KR 20130078514A KR 101470182 B1 KR101470182 B1 KR 101470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y
- module
- headrest
- link
- seatback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를 전동식으로 승하강 및 리클라이닝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머리부를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헤드레스트의 조작 편의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스테이모듈; 링크를 매개로 상기 시트백프레임 및 스테이모듈이 함께 연결되며, 단부에는 승강부재가 승하강 동작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링크가 스테이모듈과는 고정되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 및 승강부재에 대해서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의 승하강 동작시 상기 스테이모듈이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리클라이너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전동식으로 승하강 동작시키는 것은 물론, 전후로 리클라이닝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머리 위치에 적합하게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정하여 승객의 머리를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헤드레스트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lining device for a headrest, which can comfortably and stably support the head of a passenger by making the headrest move up and down and reclining in an electric manner, and improving the operability and precision of the headres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y module comprising: a stay module installed to be rotatabl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a seatback frame; The seatback frame and the stay modu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link, the elevating member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t an end portion thereof, the link is fixed to the stay modul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back frame and the elevating member, And a recliner module configured to rotate the stay modul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atback frame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headrest can be raised and lowered electrically, and also reclined forward and backward, whereby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is adjusted to the hea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body condition of the passenger on the vehicle, The headrest can be more comfortably and stably supported,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can be improved, and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를 전동식으로 승하강 및 리클라이닝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머리부를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헤드레스트의 조작 편의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1),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2), 후두부를 지지함으로 목부상을 방지하는 헤드레스트(3)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있다.In general, the seat of the vehicle includes a
상기 헤드레스트(3)에는 시트백(2)의 윗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스테이(4)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시트백(2)의 상단에는 스테이(4)의 돌출길이를 구속함에 따라 헤드레스트(3)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A pair of stays 4 inserted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러나, 상기한 헤드레스트의 경우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불가능하여 승객의 신체조건에 따라 착좌 자세와 머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headrest described above, it is impossi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support the seating posture and the head according to the body condition of the passenger.
이에, 현재에는 헤드레스트를 승객의 손으로 직접 조작하여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적용되어 있기도 하지만, 이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제어가 정밀하지 못하고, 헤드레스트를 수동으로 조작하는데 따라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0004]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is not precisely controlled and the headrest is manipulated manually so that the headres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
한편, 종래에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08271호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가 소개된바 있다.On the other hand, a "headrest moving device"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08271 has been conventionally introduced.
그러나, 이같은 구조에 의해서도 헤드레스트의 전후 이동동작이 불가능하여 승객의 착좌 자세와 머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even with such a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ckrest movement of the headrest is impossible and the passenger's seating posture and head can not be stably supported.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헤드레스트를 전동식으로 리클라이닝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머리부를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헤드레스트의 조작 편의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 restraint system for reclining a headrest, There is provided a reclining device for a headre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스테이모듈; 링크를 매개로 상기 시트백프레임 및 스테이모듈이 함께 연결되며, 단부에는 승강부재가 승하강 동작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링크가 스테이모듈과는 고정되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 및 승강부재에 대해서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의 승하강 동작시 상기 스테이모듈이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리클라이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pler comprising: a stay module rotatably mounted on a seat back frame; The seatback frame and the stay modu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link, the elevating member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t an end portion thereof, the link is fixed to the stay modul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back frame and the elevating member, And a recliner module configured to rotate the stay modu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eatback frame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is performed.
상기 스테이모듈의 중단에 링크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링크의 일단이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링크의 타단이 상기 승강부재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스테이모듈이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One end of the link is fixed to the suspension of the stay module; One end of the link is hinged to the seatback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is hinged to the elevating member so that the stay module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atback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elevating member.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힌지브라켓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힌지브라켓의 타단에 상기 링크의 일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hinge bracket is fixed to the seatback frame; One end of the link may be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bracket.
상기 링크의 타단 측에 스토퍼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테이모듈이 전방으로 회전시, 상기 스토퍼에 힌지브라켓이 걸려져 상기 스테이모듈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opper is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link so that when the stay module rotates forward, the hinge bracket is hooked on the stopper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stay module.
상기 스테이모듈은, 상단부에 헤드레스트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의 하단부가 끼워지며, 상기 스테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스테이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모터; 및 상기 스테이와 승하강모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스테이에 승하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운동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ay module includes: a stay having a top end coupled to a headrest and moved up and down; A guide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tay; An up / down mo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ay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And first motion direction switching means connected between the stay and the up / down motor for switch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up / down motor to a linear motion to transmit the up / down driving force to the stay.
상기 리클라이너모듈은, 상기 스테이모듈에 고정된 링크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승하강 동작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클라이닝모터; 상기 승강부재와 리클라이닝모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리클라이닝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승강부재에 승하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운동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cliner module includes: a lifting member hinged to an end of a link fixed to the stay module and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A reclining mo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to provide a driving force; And second movement direction switching means connected between the lifting member and the reclining motor for switch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reclining motor to linear motion to transmit the lifting / lowering driving force to the lifting member.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를 전동식으로 승하강 동작시키는 것은 물론, 전후로 리클라이닝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머리 위치에 적합하게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바, 승객의 머리를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ead restraint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passenger on the vehicle by making the head restraint to be raised and lowered electrically as well as reclining back and forth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ead of the passenger is more comfortably and stably supported.
또한, 헤드레스트의 상하 이동 및 전후 회전동작이 전동식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헤드레스트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는 효과도 있다.
Further, the up-and-down movement and the back-and-forth rotation operation of the headrest are carried out electrically,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operation of the headrest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more precisely.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에서 헤드레스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너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리클라이닝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headrest in a seat of a general vehic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recliner module of a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clining operation state of a headrest recl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너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리클라이닝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recliner module of a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recl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clining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21)용 리클라이닝장치는 크게, 스테이모듈(20)과, 리클라이너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 recliner for a headres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 stay module (20) and a recliner module (30).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트백프레임(10)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헤드레스트(21)가 설치된 스테이모듈(20); 링크(40)를 매개로 상기 시트백프레임(10) 및 스테이모듈(20)이 함께 연결되며, 단부에는 승강부재(32)가 승하강 동작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링크(40)가 스테이모듈(20)과는 고정되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10) 및 승강부재(32)에 대해서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32)의 승하강 동작시 상기 스테이모듈(20)이 시트백프레임(10)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리클라이너모듈(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a
즉,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모터의 조작을 위해 스위치를 조작하여 승강부재(32)를 상부로 승강시키면, 상기 승강부재(32)는 스테이모듈(20)과 힌지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32)의 상부 직선운동이 스테이모듈(2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상기 스테이모듈(20)이 전방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스테이모듈(20) 상단에 고정된 헤드레스트(21) 역시 함께 전방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신체조건에 따라 머리 위치에 적합하게 헤드레스트(21)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바, 승객의 머리부를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passenger on the vehicle operates the switch to operate the motor to elevate the
아울러,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모듈(20)의 중단에 링크(40)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링크(40)의 일단이 상기 시트백프레임(10)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링크(40)의 타단이 상기 승강부재(32)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32)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스테이모듈(20)이 상기 시트백프레임(10)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and 3, one end of the
여기서, 상기 링크(40)는 중단이 절곡된 '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32)가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승강부재(32)에 후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40)가 그 후단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상부로 이동되는데, 상기 링크(40)의 전단은 스테이모듈(20)의 중단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스테이모듈(20)이 상기 링크(40)의 전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헤드레스트(21)가 전방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이다.
4, when the
여기서, 상기 시트백프레임(10)에 힌지브라켓(12)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힌지브라켓(12)의 타단에 상기 링크(4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Here, one end of the
즉, 상기 시트백프레임(10) 상단에 하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힌지브라켓(12)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2)의 하단 측부에 링크(40)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테이모듈(20)이 시트백프레임(10)에 대해 전후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이때, 상기 링크(40)의 타단 측에는 스토퍼(4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테이모듈(20)이 전방으로 회전시, 상기 스토퍼(42)에 힌지브라켓(12)이 걸려져 상기 스테이모듈(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되는바, 헤드레스트(21)가 전방으로 과도하게 회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40)의 후단 측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형상으로 스토퍼(4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테이모듈(20)이 전방으로 회전시 힌지브라켓(12)에 상기 스토퍼(42)가 걸려질 수 있게 된다.
The
한편, 상기 스테이모듈(20)은, 상단부에 헤드레스트(21)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스테이(22); 상기 스테이(22)의 하단부가 끼워지며, 상기 스테이(2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23); 상기 스테이(22)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모터(24); 및 상기 스테이(22)와 승하강모터(24)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모터(24)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스테이(22)에 승하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운동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승하강모터(24)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조작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작스위치를 통해 상기 승하강모터(24)의 동작 및 정지에 필요한 신호를 인가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up / down
또한, 상기 제1운동방향전환수단은 스테이(22)의 하단에 승강블록(25)이 연결되며, 상기 승강블록(25)을 관통하여 리드스크류(26)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26)는 상기 승하강모터(24)와 연결시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리드스크류(26)의 양 측에는 승강블록(25)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부호 생략)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direction switching means includes a
즉, 상기 승하강모터(24)의 구동력에 의해 리드스크류(26)가 회전되면, 상기 리드스크류(26)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블록(25)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블록(25)과 연결된 스테이(2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스테이(22)와 고정된 헤드레스트(21)를 함께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at is, when the
아울러, 상기 리클라이너모듈(30)은, 상기 스테이모듈(20)에 고정된 링크(40)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승하강 동작되는 승강부재(32); 상기 승강부재(32)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클라이닝모터(31); 상기 승강부재(32)와 리클라이닝모터(31)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리클라이닝모터(31)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승강부재(32)에 승하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운동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리클라이닝모터(31)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조작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작스위치를 통해 상기 리클라이닝모터(31)의 동작 및 정지에 필요한 신호를 인가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reclining
또한, 상기 제1운동방향전환수단은 승강부재(32)를 관통하여 리드스크류(33)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33)는 상기 리클라이닝모터(31)와 연결시켜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리드스크류(33)의 양 측에는 승강부재(32)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부호생략)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direction switching means is configured such that a
즉,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리클라이닝모터(31)의 구동력에 의해 리드스크류(33)가 회전되면, 상기 리드스크류(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부재(32)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부재(32)와 힌지 결합된 링크(40)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링크(40)와 고정된 스테이모듈(20), 그리고 상기 스테이모듈(20)에 고정된 헤드레스트(21)를 함께 전후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3 and 4, when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
10 : 시트백프레임 12 : 힌지브라켓
20 : 스테이모듈 21 : 헤드레스트
22 : 스테이 24 : 승하강모터
30 : 리크라이너모듈 31 : 리클라이닝모터
32 : 승강부재 40 : 링크
42 : 스토퍼10: seat back frame 12: hinge bracket
20: stay module 21: headrest
22: stay 24: up / down motor
30: recliner module 31: reclining motor
32: lift member 40: link
42: Stopper
Claims (6)
상기 시트백프레임 및 스테이모듈과 링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단부에 승강부재가 승하강 동작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링크가 스테이모듈과는 고정되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 및 승강부재에 대해서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의 승하강 동작시 상기 스테이모듈이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리클라이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모듈의 중단에 링크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링크의 일단이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링크의 타단이 상기 승강부재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스테이모듈이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A stay module installed to be rotatabl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atback frame and having a headrest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link is connected to the seatback frame and the stay module through a link, the elevating member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t an end portion thereof, the link is fixed to the stay modul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back frame and the elevating member, And a recliner module configured to rotate the stay modu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eatback frame during an ascending / descending opera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One end of the link is fixed to the suspension of the stay module;
One end of the link is hinged to the seatback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is hinged to the elevating member so that the stay module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atback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elevating member.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힌지브라켓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힌지브라켓의 타단에 상기 링크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hinge bracket is fixed to the seatback frame;
And one end of the link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bracket.
상기 링크의 타단 측에 스토퍼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테이모듈이 전방으로 회전시, 상기 스토퍼에 힌지브라켓이 걸려져 상기 스테이모듈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stopper is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link so that when the stay module rotates forward, a hinge bracket is hung on the stopper to restrict a rotation angle of the stay module.
상기 스테이모듈은,
상단부에 헤드레스트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의 하단부가 끼워지며, 상기 스테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스테이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모터; 및
상기 스테이와 승하강모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스테이에 승하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운동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y module includes:
A stay in which a headrest is coupled to an upper end and is moved up and down;
A guide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tay;
An up / down mo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ay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And
And a first motion direction switching means connected between the stay and the up / down motor for switch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up / down motor to a linear motion to transmit the up / down driving force to the stay. Lt; / RTI >
상기 리클라이너모듈은,
상기 스테이모듈에 고정된 링크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승하강 동작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클라이닝모터; 및
상기 승강부재와 리클라이닝모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리클라이닝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승강부재에 승하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운동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liner module includes:
An elevating member hinged to an end of the link fixed to the stay module and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A reclining mo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to provide a driving force; And
And second movement direction switching means connected betwee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and the reclining motor for switch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reclining motor to linear motion to transmi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riving force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Lt;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8514A KR101470182B1 (en) | 2013-07-04 | 2013-07-04 | Reclining apparatus for headre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8514A KR101470182B1 (en) | 2013-07-04 | 2013-07-04 | Reclining apparatus for headres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0182B1 true KR101470182B1 (en) | 2014-12-05 |
Family
ID=5267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785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0182B1 (en) | 2013-07-04 | 2013-07-04 | Reclining apparatus for headre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018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4153B1 (en) * | 2016-07-20 | 2017-10-12 | 현대다이모스(주) | Reclining apparatus for headrest |
CN118651141A (en) * | 2024-08-22 | 2024-09-17 | 宁波双林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 Electric adjustable headres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63578A (en) * | 2007-12-14 | 2009-06-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folding headrest device |
-
2013
- 2013-07-04 KR KR20130078514A patent/KR1014701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63578A (en) * | 2007-12-14 | 2009-06-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folding headrest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4153B1 (en) * | 2016-07-20 | 2017-10-12 | 현대다이모스(주) | Reclining apparatus for headrest |
CN118651141A (en) * | 2024-08-22 | 2024-09-17 | 宁波双林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 Electric adjustable headres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5850B1 (en) | Power headrest apparatus | |
KR101601535B1 (en) | Headrest device | |
US11338714B2 (en) | Vehicle seat with cantilevered headrest assembly and positioning system | |
KR101014456B1 (en) | Seat cushion tilting device for automobile | |
KR20150005657A (en) | Seat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vehicle seat, and method for mounting said vehicle seat | |
KR101725414B1 (en) | Leg 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 |
CN106536273B (en) | Head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odule | |
JP2008049845A (en) | Automotive seat device | |
KR101600199B1 (en) | A headrest control device of a seat for a car | |
KR101592754B1 (en) | Lumbar support for vehicle | |
KR101784154B1 (en) | Headrest apparatus | |
JP5921767B2 (en) | Seat adjustment device for vertical adjustment of vehicle seat | |
EP3222462A1 (en) | Headrest for vehicle | |
KR20160110484A (en) | Motor vehicle seat | |
KR101470213B1 (en) |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 |
JP2015515946A5 (en) | ||
KR101593846B1 (en) | Headrest device | |
KR101470182B1 (en) | Reclining apparatus for headrest | |
KR102157274B1 (en) | cervical vertebrae support apparatus on headrest | |
KR101619910B1 (en) | Longitudinal adjustment mechanism for a sea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a seat portion, vehicle seat | |
KR20210082813A (en) | Efficient Car Seat Headrest Adjuster | |
KR101784153B1 (en) | Reclining apparatus for headrest | |
KR101746457B1 (en) |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 |
JP5397883B2 (en) | Vehicle seat | |
KR101945797B1 (en) | Power headres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