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029B1 - Switch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witch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029B1
KR101470029B1 KR1020090085147A KR20090085147A KR101470029B1 KR 101470029 B1 KR101470029 B1 KR 101470029B1 KR 1020090085147 A KR1020090085147 A KR 1020090085147A KR 20090085147 A KR20090085147 A KR 20090085147A KR 101470029 B1 KR101470029 B1 KR 10147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eiving
grip
operation switch
driv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7174A (en
Inventor
토모유키 히로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85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029B1/en
Publication of KR2011002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1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0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60K35/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 안전 및 편의성이 향상된 구조로 개선된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improved in operation safety and convenienc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 부위에 손으로 쥘 수 있게 고정 설치되는 그립과; 상기 그립의 상면에서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와; 상기 그립의 저면에서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푸시스위치와; 상기 그립의 양측면에 빛 투과 가능한 재질로 부착되는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와; 상기 좌측 채광렌즈의 안쪽 내부에서 전후 위치에 배치되는 좌측 수광부 및 좌측 조명부와; 상기 우측 채광렌즈의 안쪽 내부에서 전후 위치에 배치되는 우측 수광부 및 우측 조명부와; 상기 그립의 내부에 설치되어, 좌측 수광부, 좌측조명부, 우측 수광부, 우측 조명부의 공간을 독립적인 공간으로 나누어주는 격벽과; 상기 좌측 수광부, 좌측조명부, 우측 수광부, 우측 조명부들의 제어를 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ring system comprising: a grip which is fixedly installed at a position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front passenger seat so as to be gripably held by a hand; An operation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grip; A push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grip;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grip with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disposed at front and rear positions inside the inside of the left mining lens; A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 right light illuminating portion disposed at front and rear positions inside the inside of the right lighting lens; A partition wall provided inside the grip and dividing a space of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the left illuminating portion,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the right illuminating portion into independent spac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ft light receiving unit, the left illumination unit, the right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right illumination units; And an operating switch device for a vehicle.

차량, 조작스위치 장치, 수광부, 조명부, 손, 운전자, 승객, 제어수단, 채광렌즈 Vehicle, operation switch device, light receiving section, illuminating section, hand, driver, passenger, control means, mining lens

Description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for vehicle}[0001] Switch device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 안전 및 편의성이 향상된 구조로 개선된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improved in operation safety and convenience.

차량내 탑재된 카 네비게이션 등 각종 장치들을 조작함에 있어서, 안전성을 고려하여 주행중에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 이외에 조수석에 있는 사람 등이 조작하려고 하는 경우 조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when a person in the passenger seat attempts to operate a vehicle other than the driver, the vehicle can not be operated because the functions that can be operated during driving are limit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in operating various device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s mounted in the vehicle .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조작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운전에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모든 기능의 조작을 편리하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the operation of all the functions is carried out conveniently because the operation is not hindered when a person other than the driver intends to operate it.

따라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배치된 조작스위치(운전자 및 그 이외의 사람이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모든 스위치)를 누가 조작하고 있는 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judge who is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the driver and all the switches disposed at the operable positions of the other persons) arrang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assistant driver's seat.

조작자를 특정하는 종래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안되고 있다.Conventional methods of specifying an operator are proposed as follows.

첫째, 주행중에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한 방식으로서, 운전석에서 멀 리 떨어진 위치에 조작스위치를 설치하여 주행중 운전자에 의한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방식(일본특허공개번호 평05-164565, 도 1 참조)과, 조작스위치 자체를 양손 모두로 조작 가능하도록 버튼을 분리 배치시킨 방식(일본특허공개번호 2004-216953, 도 2 참조)과, 스티어링 휠에 파지감지부를 설정하여 항상 운전자의 양손이 스티어링 휠에 파지되도록 하여 별도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지 못하게 하는 방식(일본특허공개번호 2007-046906, 도 3 참조) 등이 있다.First, there is a method in which an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at a position far away from the driver's seat so as to make it impossible to operate the driver during driving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5-164565, see FIG.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216953, refer to FIG. 2) in which buttons are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itself with both hands, and a system in which a grip sensing portion is set on the steering wheel so that both hands of the driver are always gripped by the steering wheel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046906, refer to FIG. 3), and the like.

그러나, 위의 첫번째 방식을 채택한 종래의 조작스위치는 주행중 안전성은 높지만,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없어, 조작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perating switch adopting the above-mentioned first method has high safety during driving, but can not be operated by the driver, resulting in a problem that operating convenience is greatly reduced.

둘째, 손의 침입 방향을 감지하여 조작자를 특정하는 방식으로서, 일본특허공개번호 2005-096655(도 4 참조)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해 손의 침입 방향을 검출하여 운전자 또는 이외의 사람에 대한 조작스위치 기능을 한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Second, as a method of detecting the direction of intrusion of a hand and identifying the operator,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96655 (see Fig. 4) discloses a method of detecting an intrusion direction of a hand by using infrared rays, Is disclosed.

셋째, 생체 인증에 의해서 조작자를 특정하는 방식으로서, 일본특허공개번호 2007-132678(도 5 참조)에는 정맥이나 지문의 특징으로부터 운전자나 그 외의 사람을 판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Thir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132678 (refer to Fig. 5) discloses a method of determining a driver or other persons from vein or fingerprint characteristics as a method of specifying an operator by biometric authentication.

그러나, 위의 두번째 방식을 채택한 종래의 조작스위치는 조작자를 특정할 수 있지만, 조작자를 특정하기 위하여 손의 침입 방향을 검출함에 따라 손의 침입 방향이 정확하지 않으며 조작자 특정을 위한 검출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위의 세번째 방식은 운전자 이외의 사람에 대한 정맥 내지 지문을 미 리 인증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고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peration switch adopting the above second method can specify the operator, but the direction of the intrusion of the hand is not accurate as the direction of the intrusion of the hand is detected in order to specify the operator, and the detection operation for the operator identification is performed properly In the third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in or the fingerprint of the person other than the driver is required to be authenticated beforehan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고정 장착하여 운전자 및 조수석 승객 모두 자연스럽게 파지하여 조작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고, 주야간시 주변 밝기 및 그립 파지에 따라 조작스위치를 운전자가 조작하는지 조수석 승객이 조작하는지를 명확하게 판단하여 안정성 및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hich can be fixedly mount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to naturally grasp both driver's and passenger's seat passenger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operation switch device which can clearl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operates the switch or the passenger seat passenger, thereby improving stability and ease of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 부위에 손으로 쥘 수 있게 고정 설치되는 그립과; 상기 그립의 상면에서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와; 상기 그립의 저면에서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푸시스위치와; 상기 그립의 양측면에 빛 투과 가능한 재질로 부착되는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와; 상기 좌측 채광렌즈의 안쪽 내부에서 전후 위치에 배치되는 좌측 수광부 및 좌측 조명부와; 상기 우측 채광렌즈의 안쪽 내부에서 전후 위치에 배치되는 우측 수광부 및 우측 조명부와; 상기 그립의 내부에 설치되어, 좌측 수광부, 좌측조명부, 우측 수광부, 우측 조명부의 공간을 독립적인 공간으로 나누어주는 격벽과; 상기 좌측 수광부, 좌측조명부, 우측 수광부, 우측 조명부들의 제어를 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a grip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a position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so as to be gripped by a hand; An operation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grip; A push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grip;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grip with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disposed at front and rear positions inside the inside of the left mining lens; A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 right light illuminating portion disposed at front and rear positions inside the inside of the right lighting lens; A partition wall provided inside the grip and dividing a space of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the left illuminating portion,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the right illuminating portion into independent spac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ft light receiving unit, the left illumination unit, the right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right illumination units; And an operating switch device for a vehicle.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그립의 설치 위치는 운전자의 힙포인트(Hip Point)의 전방 300mm 이하로 한정하고, 동시에 그립의 상단이 운전자의 힙포인트(Hip Point)로부터 윗쪽으로 100 mm이하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grip is limited to 300 mm or less in front of the hip point of the driver,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end of the grip is 100 mm or less from the hip point of the driver .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격벽은 좌측 수광부와 좌측 조명부를 나누어주어 상호간의 빛을 차단하는 동시에 우측 수광부와 우측 조명부를 나누어주어 상호간의 빛을 차단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메인 벽체와; 상기 메인 벽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좌측 수광부와 우측 수광부를 나누어주며 차단하는 상부 벽체와; 상기 메인 벽체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좌측 조명부와 우측 조명부를 나누어주며 차단하는 하부 벽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artition wall divides the left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left illumination unit to block light from each other, and divides the right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right illumination unit to block mutual light; A top wall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main wall to divide and block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A lower wall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main wall to divide and block the left illumination part and the right illumination part; .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 크기는 손바닥의 폭을 고려하여 60~80mm 정도로 정하고, 폭은 20~40mm 정도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mining lens sizes are determined to be about 60 to 80 mm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palm and about 20 to 40 mm in width.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좌측 및 우측 수광부, 그리고 좌측 및 우측 조명부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와; 실제 명령(Command)을 입력하는 조작스위치 및 푸시스위치인 입력부의 입력이 이루어질 때, 입력에 대한 유효 또는 무효를 판정하여 제어 대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sens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light receiving units, and the left and right illumination unit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validity or invalidity of an input when an operation switch for inputting an actual command and an input for an input unit as a push switch are performed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And a control unit.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 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고정 장착되어, 운전자 및 조수석 승객 모두 자연스럽게 파지하여 조작스위치를 안정된 자세로 사용할 수 있다.The operation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mount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so that both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can naturally grasp the operation switch and use the operation switch in a stable posture.

또한, 조작스위치 그립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이 고정되어 조작 안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stability is improved by fixing the hand with the operation switch grip held.

또한, 조작스위치 그립을 파지한 상태에서만, 조작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낙하물이나 의도하지 않는 접촉에 의한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switch can be operat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witch grip is grasp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alling operation or a malfunction due to unintended contac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 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고정 장착되어, 운전자 및 조수석 승객 모두 자연스럽게 파지하여 조작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고, 운전자는 조작스위치 장치의 그립을 오른손으로 파지하고, 조수석 승객은 왼손으로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조작스위치를 운전자가 조작하는지 조수석 승객이 조작하는지를 명확하게 검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The operation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mount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so that both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can naturally grip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driver can grip the grip of the operation switch device with his right hand, It is possible to clearly detect and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is operated by the driver or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이때,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 장치의 주된 구성인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의 설치 위치(Layout)가 차량 전방쪽에 치우치면, 운전자의 왼손으로도 조작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지만, 이 경우는 주행중 운전 조작에 위험 행위가 되므로, 첨부한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스위치 그립(10)의 첨단을 운전자의 힙포인트(Hip Point)의 전방 300 mm 이하로 한정하고, 동시에 조작스위치 그립(10)의 상단이 힙포인트(Hip Point)로부터 윗쪽으로 100 mm 이하가 되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Layout) of the operation switch assembly, which is the main constitution of the operation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ifted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the operation switch can be operated with the left hand of the driver. In this case, The tip end of the operation switch grip 10 is limited to 300 mm or less in front of the driver's hip point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switch grip 10 is positioned at the hip point Hip Point) to be 100 mm or less.

여기서,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첨부한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8A and 8B are sid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operation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의 콘솔 설치 부위에 손으로 쥘 수 있는 그립(10)이 설치되고, 이 그립(10)의 상면에서 앞쪽에는 조작스위치(12: 예를 들어, 전후좌우로 조작 가능한 레버식 스위치)가 장착되며, 그립(10)의 저면에서 앞쪽에는 푸시스위치(16)가 장착된다.A grip 10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 hand is provided on a console mounting portion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An operation switch 12 (for example, a lever-type switch that can be operated in the front, rear, And a push switch 16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p 10.

또한, 상기 그립(10)의 양측면에는 빛 투과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만들어진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14a,14b)가 각각 장착된다.On both sides of the grip 10,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14a and 14b made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re mounted.

특히, 상기 그립(10)의 내부 즉, 상기 좌측 채광렌즈(14a)의 안쪽에서 그 전후 위치에는 좌측 수광부(18a) 및 좌측 조명부(20a)가 배치되고, 상기 우측 채광렌즈(14b)의 안쪽에서 그 전후위치에는 우측 수광부(18b) 및 우측 조명부(20b)가 배치된다.Particularly,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18a and the left light illuminating portion 20a are arranged at the front and back positions inside the grip 10, that is, inside the left mining lens 14a, And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18b and the right illumination portion 20b are disposed at the front and back positions thereof.

이때, 상기 그립(10)의 내부에는 좌측 수광부(18a), 좌측 조명부(20a), 우측 수광부(18b), 우측 조명부(20b)의 공간을 독립적인 공간으로 나누어주는 격벽(30)이 설치되는 바, 이 격벽(30)은 좌측 수광부(18a)와 좌측 조명부(20a)를 나누어주 어 상호간의 빛을 차단하는 동시에 우측 수광부(18b)와 우측 조명부(20b)를 나누어주어 상호간의 빛을 차단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메인 벽체(32)를 포함한다.At this time, a partition 30 for dividing a space of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18a, the left illuminating portion 20a,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18b, and the right illuminating portion 20b into independent spaces is provided in the grip 10 The partition wall 30 divides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18a and the left illumination portion 20a to divide the light between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18b and the right illumination portion 20b to divide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18b and the right illumination portion 20b, Shaped main wall 32.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좌측 수광부(18a) 또는 우측 수광부(18b), 좌측 조명부(20a) 또는 우측 조명부(20b)에 의한 손 검출 동작의 시기를 정확하게 검출하고자, 상기 격벽(30)은 메인 벽체(32)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좌측 수광부(18a)와 우측 수광부(18b)를 나누어주며 차단하는 상부 벽체(34)와, 메인 벽체(32)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좌측 조명부(20a)와 우측 조명부(20b)를 나누어주며 차단하는 하부 벽체(36)를 더 포함한다.In order to accurately detect the timing of the hand detecting operation by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18a or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18b or the left illuminating portion 20a or the right illuminating portion 20b, An upper wall 34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to divide and block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18a and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18b and an upper wall 34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wall 32 to divide the left illumination portion 20a and the right illumination portion 20b And a lower wall (36) that cuts off and blocks.

한편, 상기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 크기는 손바닥의 폭을 고려하여 전후길이60~80mm 및 상하높이 5~15mm정도로 정하고, 상기 그립의 폭은 20~40mm 정도로 정하는 동시에 높이는 15~30mm로 정하고, 그립의 앞단부에 채광렌즈의 중심까지 80~120mm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ft and right mining lens sizes are determined to be about 60 to 80 mm in front and back length and about 5 to 15 mm in height up and down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palm, the width of the grip is set to about 20 to 40 mm and the height is set to 15 to 30 mm,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mining lens is set to 80 to 120 mm at the front end.

본 발명에 따른 조작스위치 장치는 조작스위치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바, 첨부한 도 13을 참고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switch assembly. Referring to FIG. 13, the operation switch devic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 장치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수광부(18a,18b), 그리고 좌측 및 우측 조명부(20a,20b)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바, 이 센서 제어부(40)는 좌우측의 수광부에서 취득한 밝기의 정보로부터 자체의 ON/OFF를 판정하는 것 이외에 제어부에 센서의 ON/OFF 시기를 전달하며, 차량 정보로부터 전조등 스위치(Head Light Switch) 상태를 전달받아 좌우측 조명부에 대한 ON/OFF 제어를 한다.The operation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eft and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s 18a and 18b and the sensor control portion 40 for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illumination portions 20a and 20b. OFF state of the sensor is informed to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to ON / OFF judgment of itself from the information of the brightness obtain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state of the head light switch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 장치는 실제 명령(Command)을 입력하는 입력부(50)를 포함하는 바, 이 입력부(50)는 상기와 같이 그립의 상면에 장착된 조작스위치(12)와, 그립(10)의 저면에 구비된 푸시스위치(16)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50 for inputting an actual command. The input unit 50 includes an operation switch 12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And a push switch 16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특히,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 장치는 차량 정보의 취득과 센서제어부(40)로부터의 정보를 기본으로 조작스위치(12) 및 푸시스위치(16)의 입력이 이루어질 때, 유효 또는 무효를 판정하는 역할을 하며, 유효한 경우 제어 대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Particularly, the operation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lays a ro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12 and the push switch 16 are enabled or disabled based on the acquisi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control section 40 And a control unit (60)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object when the control signal is vali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 장치의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switch assembly of the operation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내부조명인 좌측 및 우측 조명부가 오프된 주간의 경우In the case of the week when the left and right illumination units, which are internal lights, are turned off

상기 조작스위치 그립(10)을 사용자가 파지하지 않는 경우, 첨부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광이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14a,14b)를 통해 내부로 침입하여 좌측 및 우측 수광부(18a,18b)에 도달한다.When the user does not grasp the operation switch grip 10, the external light enters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14a and 14b as shown in FIG. 9A, and the left and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s 18a and 18b ).

반면에, 상기 조작스위치 그립(10)을 운전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첨부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14a,14b)가 가려짐에 따라, 입사빛이 차단되어 좌측 및 우측 수광부(18a,18b)의 수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or grasps the operation switch grip 10 by hand, incident light is blocked as the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14a and 14b are covered as shown in FIG. 9B, And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s 18a and 18b are not received.

한편, 운전자가 손으로 그립(10)을 파지할 때, 우측 채광렌즈(14b)를 손바닥으로 가린 후, 손가락으로 좌측 채광렌즈(14a)를 가리면서 파지하게 되고, 반면에 조수석 승객이 그립(10)을 파지할 때에는 좌측 채광렌즈(14a)를 손바닥으로 가린 후, 손가락으로 우측 채광렌즈(14b)를 가리면서 파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grasps the grip 10 by hand, the right-side mining lens 14b is covered with the palm of the hand and then grasped while grasping the left mining lens 14a with fingers. On the other hand, The left mining lens 14a is covered with the palm of the hand, and then the right mining lens 14b is grasped while gripping the right mining lens 14b with a finger.

이에, 운전자의 손바닥에 의하여 우측 채광렌즈(14b)가 가려지면서 어두워져 우측 수광부(18b)의 수광 불가가 이루어지는 시기와, 운전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좌측 채광렌즈(14a)가 가려지면서 좌측 수광부(18a)의 수광 불가가 이루어지는 시기간의 차이는 수 100mS~1.5 sec 정도이며, 이 시간내에 밝기의 변화가 없는 경우는 입력을 무효로 한다.Thus, when the left mining lens 14a is covered by the finger of the driver and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18a is closed when the right mining lens 14b is obscured by the driver's palm to darken the light receiving portion 18b, Is about 100 ms to 1.5 sec, and when there is no change in brightness within this time, the input is invalidated.

마찬가지로, 조수석 승객의 손바닥에 의하여 좌측 채광렌즈(14a)가 가려지면서 어두워져 좌측 수광부(18a)의 수광 불가가 이루어지는 시기와, 조수석 승객의 손가락에 의하여 우측 채광렌즈(14b)가 가려지면서 우측 수광부(18b)의 수광 불가가 이루어지는 시기간의 차이도 동일한 조건으로서 수 100mS~1.5 sec 정도이며, 이 시간내에 밝기의 변화가 없는 경우는 입력을 무효로 한다.Likewise, when the left lighting lens 14a is obscured by the palm of the passenger seat passenger and darkened,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18a is blocked by the finger of the passenger seat passenger while the right lighting lens 14b is blocked by the finger of the passenger seat passenger 18b are also in the range of several hundreds ms to 1.5 sec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when there is no change in brightness within this time, the input is invalidated.

이렇게 운전자가 오른손으로 조작스위치 그립(1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지만, 안전상 왼손으로는 파지가 여의치 않게 되며, 그 이유는 왼손으로 그립을 파지하는 경우 밝기의 변화량이 오른손으로 쥘 때와 다르기 때문이다.Although the driver can easily grasp the operating switch grip 10 with his right hand, for safety reasons, the grip can not be grasped with the left hand because the grasp of the grip with the left hand is different from the grasp of the brightness with the right hand to be.

내부조명인 좌측 및 우측 조명부가 온(ON)된 야간의 경우In the case of the night when the left and right illumination units, which are internal lights, are ON

야간에는 외광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좌측 및 우측 조명부를 온시킨다.Since there is no external light at night, the left and right illumination units are turned on.

상기 조작스위치 그립(10)을 사용자가 파지하지 않는 경우, 첨부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조명부(20a,20b)의 빛이 상기 격벽(30)의 메인 벽체(32)에 의하여 좌측 및 우측 수광부(18a,18b)쪽으로 차단되는 동시에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14a,14b)를 통하여 외부로 조사되어진다.When the user does not grasp the operation switch grip 10, the light of the left and right illumination portions 20a and 20b is reflected by the main wall 32 of the partition 30 to the left And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s 18a and 18b and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14a and 14b.

반면에, 운전자가 조작스위치 그립(10)을 파지하는 경우, 첨부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조명부(20a,20b)의 조사빛이 손가락 및 손바닥을 통해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14a,14b)쪽으로 반사되어 좌측 및 우측 수광부(18a,18b)에 의하여 검출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grasps the operation switch grip 10, the irradiation light of the left and right illumination units 20a and 20b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ngers and the palm of the hand to the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14a , 14b and detected by the left and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s 18a, 18b.

한편, 운전자의 손바닥에 의하여 우측 채광렌즈(14b)가 가려지면서 우측 조명부(20b)의 빛을 반사시켜 우측 수광부(18b)의 수광이 이루어지는 시기와, 운전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좌측 채광렌즈(14a)가 가려지면서 좌측 조명부(20a)의 빛을 반사시켜 좌측 수광부(18a)의 수광이 이루어지는 시기간의 차이는 수 100mS~1.5 sec 정도이며, 이 시간내에 밝기의 변화가 없는 경우는 입력을 무효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ight lighting lens 14b is covered by the driver's palm and the light of the right lighting portion 20b is reflected to receive light of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18b and when the left lighting lens 14a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s when the light from the left illumination unit 20a is reflected and the light received by the left light reception unit 18a is reflected is about several hundreds of s to 1.5 seconds and the input is invalidated when there is no change in brightness within this time.

마찬가지로, 조수석 승객의 손바닥에 의하여 좌측 채광렌즈(14a)가 가려지면서 좌측 조명부(20a)의 빛을 반사시켜 좌측 수광부(18a)의 수광이 이루어지는 시기와, 조수석 승객의 손가락에 의하여 우측 채광렌즈(14b)가 가려지면서 우측 조명부(20b)의 빛을 반사시켜 우측 수광부(18b)의 수광이 이루어지는 시기간의 차이도 동일한 조건으로서 수 100mS~1.5 sec 정도이며, 이 시간내에 밝기의 변화가 없는 경우는 입력을 무효로 한다.Likewise, when the left lighting lens 14a is covered by the palm of the passenger seat passenger and the light of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18a is reflected by reflecting the light of the left lighting portion 20a and the time when the light of the right lighting lens 14b Is reflected and the light from the right side illumination unit 20b is reflected so that the light is received by the right light reception unit 18b, the same condition is about 100 ms to 1.5 sec. If there is no change in brightness within this time, It is invali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작스위치 장치의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al flow of the operation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스위치 장치에 대한 전체 작동 흐름은 첨부한 도 14의 순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래그(Flag)의 리셋(Reset)과, 주야간시 휘도를 확인하는 초기 설정 단계와; 운전자 또는 조수석의 사람이 조작 스위치 그립을 파지하고 있는 지를 검출하는 파지 검출 단계와; 조작하고 있는 사람이 운전자 또는 조수 석 승객인지를 판정하는 조작자 판정 단계와; 조작자가 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 입력 단계와; 입력된 명령이 유효한 것인지 판전하는 조작 입력 판정 단계와; 명령에 대한 조작 기능이 조작해도 좋은 기능인지 판단하는 지시 출력 단계와; 그립 파지가 계속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파지 확인 단계 등으로 진행된다.The overall operation flow of the operation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14, which includes a reset of a flag, an initial setting step of checking brightness during day and night, A grip detecting step of detecting whether a driver or a person in the passenger seat grips the operation switch grip; An operator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erson who is operating is a driver or an assistant driver; An operation input step in which an operator inputs an instruction using an operation switch; An operation input judging step of judging whether the input command is valid; An instruction outpu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function for the command is a function that can be operated; And a gripping step for checking whether grip gripping is continuing.

또한, 상기 초기설정 단계는 도 15의 순서도와 같이, 파지 플래그(Flag), 조작 가능 플래그(Flag), 조작 제한 플래그(Flag), 운전자 플래그(Flag)등을 리셋하는 과정과, 파지하지 않은 상태의 센서 즉, 수광부의 밝기를 검출하여 내부 조명의 ON/OFF 등에 이용하는 휘도 검출 과정과, 검출된 밝기 정보로부터 파지상태의 센서 밝기를 휘도 정보를 기본으로 하는 기준치에 대하여 학습하는 휘도 학습 과정등으로 이루어진다.The initialization step may include a step of resetting a grip flag, an operable flag, an operation restriction flag, a driver flag, and the like, A brightness detection process of detect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using it for ON / OFF of the internal illumination, and a brightness learning process for learning the brightness of the sensor in the grip state from the detected brightness information to a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

이때, 파지검출 단계는 첨부한 도 16의 순서도와 같이, 밝기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는 제1과정과, 좌우에 배치되어 있는 수광부 등에 변화가 있는 경우는 파지 플래그를 온시키는 과정으로 천이하는 제2과정과,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제1과정으로 천이하는 제3과정 등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phage detection step may include a first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brightness,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brightness, a step of turning on the gripping flag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light- And a third process for transitioning to the first process if there is no change.

상기 조작자 판정 단계를 첨부한 도 17을 참조로 살펴보면,Referring to Figure 17 with the operator determination step,

[Step 1][Step 1]

터널 등 주변의 밝기가 급변하는 경우, 그립의 좌우 부위 밝기가 동시에 변화하는 경우, 오동작이라고 판단해 Step 8로 천이하고, 동시에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Step 2로 천이하며, 동시 판정 기준은 상기와 같이 변화 시기의 차이가 100 mS이하인 경우로 한다.When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of the tunnel suddenly changes and the brightness of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grip changes simultaneously,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malfunction and transition is made to Step 8. If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change at the same time, the transition is made to Step 2, And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timing is 100 mS or less.

[Step 2][Step 2]

밝기의 변화 순서가 그립 우측에서부터 이루어진 경우, Step 3으로 천이하고, 우측이 아닌 경우(좌측)는 Step 4로 천이한다.If the change order of the brightness is made from the right side of the grip, go to Step 3. If it is not right (left side), go to Step 4.

[Step 3][Step 3]

규정 시간내에 그립 좌측으로 밝기 변화가 있는 경우, 운전자가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해 Step 5로 천이하고, 밝기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오류 검출이라고 판단해 Step 6으로 천이한다.If there is a brightness change to the left side of the grip within the specified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operating and the operation transitions to Step 5. If there is no brightness change, it is determined to be error detection and transition is made to Step 6.

[Step 4][Step 4]

규정 시간내에 그립 우측으로 밝기 변화가 있는 경우, 운전자 이외가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해 Step 7로 천이하고, 변화가 없는 경우 오류 검출이라고 판단해 Step 6으로 천이한다.If there is a brightness change to the right of the grip within the specified time, it is judged that the driver is operating, and transition is made to Step 7. If there is no change, it is determined that error detection is performed and transition is made to Step 6.

[Step 5][Step 5]

운전자가 조작하려고 하고 있다고 판단해, 조작 가능 플래그(Flag) 및 운전자 플래그(Flag)를 ON시킨다.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trying to operate, and the operational flag (Flag) and the driver flag (Flag) are turned ON.

[Step 6/Step 8][Step 6 / Step 8]

검출 실패(NG)로 판단해, 파지 플래그(Flag)를 OFF시킨다.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ion is failed (NG), and the grip flag (Flag) is turned off.

[Step 7][Step 7]

운전자 이외가 조작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조작 가능 플래그(Flag)를 ON시킨다.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other than the driver is operating, and the operable flag (Flag) is turned ON.

상기 조작자 입력 판정 단계를 첨부한 도 18을 참조로 살펴보면,Referring to FIG. 18 with the operator input determining step,

[Step 1][Step 1]

파지 플래그(Flag)가 ON되어 있는 경우 Step 2로 천이하고, OFF의 경우에는 파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해 입력을 파기한다.If the grip flag (Flag) is ON, the process goes to Step 2. If it is OFF, it is determined that the grip is not gripped, and the input is discarded.

[Step 2][Step 2]

조작 가능 플래그(Flag)가 ON인 경우 Step 3으로 천이하고, OFF의 경우에는 조작 불가라고 판단해 Step 8로 천이한다.If the operable flag (Flag) is ON, the process shifts to Step 3. If it is OFF, it is judged that the operation is impossible, and the process goes to Step 8.

[Step 3][Step 3]

운전자 플래그(Flag)가 ON인 경우, 운전자가 조작하고 있기 때문에 Step 4로 천이하고, OFF의 경우에는 운전자 이외가 조작하고 있기 때문에 Step 6으로 천이한다.If the driver flag (Flag) is ON, the operation moves to Step 4 because the driver is operating. If the driver flag (OFF) is selected, the operation moves to Step 6 because the driver is operating.

[Step 4][Step 4]

차속이 규정치 이하의 경우 정차하고 있다고 판단해, Step 5에 천이하고, 차속이 규정치 이상의 경우 주행하고 있다고 판단해, Step 7에 천이하며, 차속의 규정치는 계측 오차등이 있지만 약 0km/h 로 정한다.If the vehicle speed is less than the specified value,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and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when the vehicle speed is above the predetermined value, and the vehicle shifts to Step 7. The prescribed value of the vehicle speed is determined to be about 0 km / h .

[Step 5][Step 5]

파킹 브레이크(PKB)가 ON인 경우, 확실히 정차하고 있다고 판단해 Step 6으로 천이하고, OFF의 경우에는 주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Step 7로 천이한다.If the parking brake (PKB) is O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ationary, and the vehicle transitions to Step 6. If the parking brake (PKB) is OFF,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Step 6][Step 6]

주행중은 아니다(정차중)라고 판단해, 조작 제한 플래그(Flag)를 OFF시킨다.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running (stopped), and the operation restriction flag (Flag) is turned OFF.

[Step 7][Step 7]

주행중으로 판단해, 조작 제한 플래그(Flag)를 ON시킨다.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e operation restriction flag (Flag) is turned on.

[Step 8][Step 8]

그립에 파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해, 입력을 파기한다.It is judged that the grip is not gripped, and the input is discarded.

상기 지시 출력 단계를 첨부한 도 19를 참조로 살펴보면,Referring to FIG. 19 with the instruction output step,

[Step 1][Step 1]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제어 대상에 대한 지시를 작성한다.According to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switch, an instruction for the control object is created.

[Step 2][Step 2]

지시하는 해당 기능이 주행중의 조작 제한의 대상인지를 판단해, 대상이면 Step 3으로 천이하고,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Step 4로 천이한다.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be instructed is the object of the operation restriction during driving. If the object is the object, the transition is made to Step 3. If the object is not the object, the transition is made to Step 4.

조작 제한의 대상인가 아닌가는, 메이커(Maker)의 방침에 근거해 결정되므로, 여기서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다.Whether or not the object of the operation restriction is determin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licy of the maker, and is not specifically defined here.

[Step 3][Step 3]

조작 제한 플래그(Flag)가 ON인 경우, 조작 제한의 대상이 되기 위해 Step 5로 천이하고, OFF인 경우에는 Step 4로 천이한다.When the operation restriction flag (Flag) is ON, transition is made to Step 5 in order to be an object of the operation restriction, and transition is made to Step 4 when the operation restriction flag (OFF) is OFF.

[Step 4][Step 4]

조작 제한의 대상은 아닌, 또는, 조작자가 운전자 이외외로 판단되었기 때문에 조작 대상에 지시를 보낸다.An instruction is sent to the operation target because it is not an object of the operation restriction or the operator is determined to be other than the driver.

[Step 5][Step 5]

조작 제한의 대상이 되어 있거나, 또는 조작자가 운전자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조작 대상에 지시를 파기한다.The instruction to the operation target is canceled because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is restricted or the operator is determined to be the driver.

상기 파지 확인 단계를 첨부한 도 20을 참조로 살펴보면,Referring to FIG. 20 with the above-described fingerprint identification step,

[Step 1][Step 1]

파지 플래그(Flag)가 ON인 경우, Step 2로 천이하고, OFF의 경우에는 파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When the grip flag (Flag) is ON, the process goes to Step 2. When the grip flag (Flag) is OFF, it is judged that the grip flag is not gripped.

[Step 2][Step 2]

운전자 플래그(Flag)가 ON인 경우, Step 5로 천이하고, OFF의 경우에는 조작자가 운전자 이외라고 판단되기 위해 Step 3에 천이한다.If the driver flag (Flag) is ON, the process goes to Step 5. If the driver flag (OFF) is OFF, the process goes to Step 3 to determine that the operator is not the driver.

[Step 3][Step 3]

좌측 센서부의 입력이 ON인 경우, Step 4으로 천이하고, OFF인 경우에는 운전자 이외의 파지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해 Step 6으로 천이한다.If the input of the left sensor unit is 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 If the input is OFF, it is determined that the gripping process other than the driver is complet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

[Step 4][Step 4]

우측 센서부의 입력이 ON인 경우, 운전자 이외의 사람의 파지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OFF의 경우에는 운전자 이외의 사람의 파지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조작자가 운전자인 경우의 오동작이라고 판단되기 위해 Step 7로 천이한다.When the input of the right sensor unit is ON, it is determined that the gripping of a person other than the driver is continued. If the gripping of the person other than the driver is continued, or if the operator is the driver, We move to Step 7.

[Step 5][Step 5]

우측 센서부의 입력이 ON인 경우, 운전자 이외의 사람의 파지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OFF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파지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하여 Step6으로 천이한다.If the input of the right sensor unit is 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gripping of a person other than the driver is continued. If OFF, the driver is judged to have finished gripping,

[Step 6][Step 6]

아무도 파지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여, 파지 플래그(Flag)를 OFF로 한다.It is determined that no one is gripping, and the grip flag (Flag) is turned OFF.

[Step 7][Step 7]

운전자 이외의 사람의 파지가 계속하고 있는지, 또는, 조작자가 운전자인 경우의 오동작이라고 판단해, 조작 제한 플래그(Flag)를 ON으로 한다.It is judged that the gripping of a person other than the driver is continuing, or that the operator is a driver, and the operation restriction flag (Flag) is turned ON.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flow of the operation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첨부한 도 7을 참조하면, 주간시 외광을 이용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엄지를 조작 스위치에 조작 가능하게 거치하며 그립을 파지하되, 도 7의 위쪽 도면에서 보듯이 손바닥 부분이 우측 채광렌즈를 가려서 그 내부가 어두워지고, 연이어 도 7의 아래쪽 도면에서 보듯이 좌측 채광렌즈가 손가락에 의하여 가려지면서 그 내부가 어두워진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uses the outdoor light during daytime, the driver places the thumb on the operation switch so as to be operable to grasp the grip. As shown in the upper diagram of FIG. 7, the palm portion covers the right- As shown in the lower drawing of Fig. 7, the left mining lens is obscured by the fingers, and the inside becomes dark.

물론, 조수석 승객의 경우는 그립을 파지하는 순서가 반대로 진행된다.Of course, in the case of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the order of holding the grips is reversed.

따라서, 내부가 어두워지는 순서를 이용해 운전석의 운전자가 그립을 잡고 조작하는 것인지, 조수석의 승객이 그립을 잡고 조작하는 것인지를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으며, 이때 좌우측 채광렌즈가 가리워지면에 따라 외광이 차단되면 좌측 및 우측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밝기가 기준치 이하가 되면 센서부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어 제어부는 조작스위치 및 푸시스위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인가하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learly specify whether the driver of the driver's seat grips and operates the driver's grip or the passenger of the passenger seat grips the grip by using the procedure of darkening the interior. At this time, as the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are shielded, The sensor unit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brightness detected by the left and right light receiving units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push switch in an operable state.

반면에, 주변이 어두운 야간시, 그립 내부에 배치된 좌측 및 우측 조명부( LED 등)가 점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rroundings are dark at night, the left and right illumination units (LEDs, etc.) disposed in the grip are turned on.

따라서, 손바닥과 손가락으로 좌우측 채광렌즈가 가리워진 경우, 좌우측 조명부의 빛이 손바닥과 손가락에 반사되어 좌우측 수광부의 검출이 이루어지며, 그 검출된 빛의 밝기가 기준치 이상이면 센서부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어 제어부는 조작스위치 및 푸시스위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인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are covered with the palm and fingers, the light from the left and right illumination units is reflected by the palm and fingers to detect the left and right light receiving units. If the brightness of the detected ligh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push switch in an operable state.

여기서, 센서 출력상태에 따른 조작 스위치의 조작 가능 영역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operable area of the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sensor output stat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첨부한 도 11은 운전자가 조작스위치 장치에 대한 조작을 실시하는 경우 주행중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attached herewith shows a state transition during running when the driver performs an operation on the operation switch device.

도 11의 ①구간은 좌우측의 센서부가 모두 OFF 상태로서, 그립을 파지하지 않아 조작할 의사가 없는 구간이며, 이때 오조작 방지를 위하여 그립 상면의 조작스위치는 제어부에 의하여 입력이 불가한 상태로 제어된다.11 is a section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ensor portions are OFF, and the grip is not gripped and is not intended to be operated. To prevent erroneous operation, the control switc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is controlled do.

도 11의 ②구간은 우측 센서부만이 ON으로 된 상태로서, 운전자가 조작하려고 그립을 파지하기 시작한 상태이며, 좌우측 채광렌즈가 완전히 가려지지 않음에 따라 그립 상면의 조작스위치는 제어부에 의하여 입력조작이 불가한 상태로 제어된다.11 is a state in which only the right sensor portion is ON and the driver has begun gripping the grip to operate the sensor. Since the right and left mining lenses are not completely covered, the operation switc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is operated by the control portion Is not controlled.

도 11의 ③구간은 우측 센서부가 ON된 후, 좌측 센서부가 ON되어, 좌우측 센서부 모두가 ON된 상태를 나타내며, 그립을 완전 파지하여 조작 스위치 및 푸시 스위치 조작이 가능한 구간을 나타내며, 주행중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는 조작인 경우 에는 조작 스위치 및 푸시 스위치에 대한 일부 조작 기능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1 shows a section where the left sensor section is turned ON after the right sensor section is turned ON after the right sensor section is turned ON, and the sections where the operation switches and push switches can be operated by fully gripping the grips, It is desirable to restrict some operation functions of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push switch.

도 11의 ④구간은 좌측 센서부가 OFF되고, 우측 센서부가 ON된 상태로서, 운전자가 그립에서 손을 떼기 시작하여 조작스위치에 대한 조작을 종료 또는 중단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조작중인 상태를 고려하여 조작 스위치는 입력 가능한 상태로 제어된다.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ft sensor part is OFF and the right sensor part is ON and the driver starts to release his / her grip and tries to end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At this time, The operation switch is controlled in a state where it can be input.

도 11의 ⑤구간은 좌우측 센서 모두 OFF 상태로서, 운전자가 조작을 종료함과 함께 파지를 해제한 상태이며, 오동작 방지를 위해 조작 및 푸시스위치의 입력조작은 불가한 상태로 제어된다.11 is a state in which both left and right sensors are in the OFF state, and the driver has released the grip while terminating the 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malfunction, the operation and input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are controlled to be in an impossible state.

첨부한 도 12는 조수석 승객이 조작스위치 장치에 대한 조작을 실시하는 경우 주행중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transition during traveling when a passenger in a passenger seat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device. Fig.

도 12의 ⑥구간은 좌우측의 센서부가 모두 OFF 상태로서, 그립을 파지하지 않아 조작할 의사가 없는 구간이며, 이때 오조작 방지를 위하여 그립 상면의 조작스위치는 제어부에 의하여 입력이 불가한 상태로 제어된다.12 is a section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ensor portions are OFF, and the grip is not gripped and is not intended to be operated. In order to prevent erroneous operation, the control switc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is controlled do.

도 12의 ⑦구간은 좌측 센서부만이 ON으로 된 상태로서, 조수석 승객이 조작하려고 그립을 파지하기 시작한 상태이며, 좌우측 채광렌즈가 완전히 가려지지 않음에 따라 그립 상면의 조작스위치는 제어부에 의하여 입력조작이 불가한 상태로 제어된다. 12 is a state in which only the left sensor portion is ON and the passenger of the passenger seat has started grasping the grip to operate it. As the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are not completely covered, the operation switc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is input The operation is controlled to be impossible.

도 12의 ⑧구간은 좌측 센서부가 ON된 후, 우측 센서부가 ON되어, 좌우측 센서부 모두가 ON된 상태를 나타내며, 그립을 완전 파지하여 조작 스위치 및 푸시 스 위치 조작이 가능한 구간을 나타내며, 조수석 승객은 주행중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조작 스위치 및 푸시 스위치에 대한 모든 기능이 조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12 shows a section in which the left sensor section is ON and the right sensor section is ON after all the left and right sensor sections are turned ON after the left sensor section is turned ON and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push switch position can be operated by fully gripping the grip, All functions of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push switch become operable.

도 12의 ⑨구간은 우측 센서부가 OFF되고, 좌측 센서부가 ON된 상태로서, 조수석 승객이 그립에서 손을 떼기 시작하여 조작스위치에 대한 조작을 종료 또는 중단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센서의 채터링(Chattering)등에 의한 오동작을 고려해 조작스위치에 대한 조작 기능 일부가 제한되는 상태로 제어된다.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right sensor part is OFF and the left sensor part is ON and the passenger of the passenger seat starts to release his or her hand and tries to finish or stop the operation on the operation switch. A part of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operation switch is limited in consideration of a malfunction due to chattering or the like.

도 12의 ⑩구간은 좌우측 센서 모두 OFF 상태로서, 조수석 승객이 조작을 종료함과 함께 파지를 해제한 상태이며, 오동작 방지를 위해 조작 및 푸시스위치의 입력조작은 불가한 상태로 제어된다.12, the left and right sensors are in the OFF state, and passengers passengers have completed the operation and released the grip. In order to prevent the malfunction, the operation and input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are controlled to be in an impossible state.

도 1 내지 도 5는 조작자를 특정하는 종래의 조작스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1 to 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operation switch for specifying an operator,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에 대한 설치 위치 및 그립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position and a grip state of the ope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8A and 8B are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의 주간시 파지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Figs. 9A and 9B are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gripping operation in the daytime of the ope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의 야간시 파지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10A and 10B are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nighttime gripp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의 조작 과정을 설명하는 그래프,11 and 12 are graph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ope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13 is an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operation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14 to 20 are flowcharts showing the operation flow of the ope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 그립 12 : 조작스위치10: Grip 12: Operation switch

14a : 좌측 채광렌즈 14b : 우측 채광렌즈14a: Left minus lens 14b: Right minus lens

16 : 푸시 스위치 18a : 좌측 수광부16: push switch 18a: left light-

18b : 우측 수광부 20a : 좌측 조명부18b: right side light receiving portion 20a:

20b : 우측 조명부 30 : 격벽20b: right side illumination part 30:

32 : 메인벽체 34 : 상부벽체32: main wall 34: upper wall

36 : 하부 벽체 40 : 센서 제어부36: lower wall 40: sensor control unit

50 : 입력부 60 : 제어부50: input unit 60:

Claims (5)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 부위에 손으로 쥘 수 있게 고정 설치되는 그립과; A grip which is fixedly installed in the area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so as to be gripped by hand; 상기 그립의 상면에서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와;An operation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grip; 상기 그립의 저면에서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푸시스위치와;A push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grip; 상기 그립의 양측면에 빛 투과 가능한 재질로 부착되는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와;Left and right mining lense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grip with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상기 좌측 채광렌즈의 안쪽 내부에서 전후 위치에 배치되는 좌측 수광부 및 좌측 조명부와;A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disposed at front and rear positions inside the inside of the left mining lens; 상기 우측 채광렌즈의 안쪽 내부에서 전후 위치에 배치되는 우측 수광부 및 우측 조명부와;A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 right light illuminating portion disposed at front and rear positions inside the inside of the right lighting lens; 상기 그립의 내부에 설치되어, 좌측 수광부, 좌측조명부, 우측 수광부, 우측 조명부의 공간을 독립적인 공간으로 나누어주는 격벽과;A partition wall provided inside the grip and dividing a space of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the left illuminating portion,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the right illuminating portion into independent spaces; 상기 좌측 수광부, 좌측조명부, 우측 수광부, 우측 조명부들의 제어를 하는 제어수단;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ft light receiving unit, the left illumination unit, the right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right illumination units;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And an operation switch device for a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립의 설치 위치는 운전자의 힙포인트(Hip Point)의 전방 300mm 이하 로 한정하고, 동시에 그립의 상단이 운전자의 힙포인트(Hip Point)로부터 윗쪽으로 100 mm이하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grip is limited to 300 mm or less forward of the hip point of the driver and at the same time the top of the grip is 100 mm or less from the hip point of the driver Switch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2] The apparatus of claim 1, 좌측 수광부와 좌측 조명부를 나누어주어 상호간의 빛을 차단하는 동시에 우측 수광부와 우측 조명부를 나누어주어 상호간의 빛을 차단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메인 벽체와;A main wall in the form of a diamond which divides the left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left illumination unit to block light from each other and divides the right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right illumination unit to block mutual light; 상기 메인 벽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좌측 수광부와 우측 수광부를 나누어주며 차단하는 상부 벽체와;A top wall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main wall to divide and block the lef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the right light receiving portion; 상기 메인 벽체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좌측 조명부와 우측 조명부를 나누어주며 차단하는 하부 벽체;A lower wall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main wall to divide and block the left illumination part and the right illumination part;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And an operation switch device for a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좌측 및 우측 채광렌즈 크기는 손바닥의 폭을 고려하여 전후길이60~80mm 및 상하높이 5~15mm정도로 정하고, The sizes of the left and right mining lenses are set to be about 60 to 80 mm in front and back length and about 5 to 15 mm in height up and down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palm, 상기 그립의 폭은 20~40mm 정도로 정하는 동시에 높이는 15~30mm로 정하고, 그립의 앞단부에 채광렌즈의 중심까지 80~120mm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용 조작스위치 장치.Wherein the width of the grip is determined to be about 20 to 40 mm and the height is set to 15 to 30 mm and the center of the mining lens is set to 80 to 120 mm at the front end of the gri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좌측 및 우측 수광부, 그리고 좌측 및 우측 조명부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와; A left and a right light receiving unit, and a left and right illumination unit; 실제 명령(Command)을 입력하는 조작스위치 및 푸시스위치인 입력부의 입력이 이루어질 때, 입력에 대한 유효 또는 무효를 판정하여 제어 대상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validity or invalidity of an input when an operation switch for inputting an actual command and an input for an input unit as a push switch are performed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스위치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switch unit.
KR1020090085147A 2009-09-10 2009-09-10 Switch device for vehicle KR1014700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147A KR101470029B1 (en) 2009-09-10 2009-09-10 Switch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147A KR101470029B1 (en) 2009-09-10 2009-09-10 Switch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174A KR20110027174A (en) 2011-03-16
KR101470029B1 true KR101470029B1 (en) 2014-12-05

Family

ID=4393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147A KR101470029B1 (en) 2009-09-10 2009-09-10 Switch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02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687A (en) * 1998-06-25 2000-01-11 Yazaki Corp Onboard equipment switch safety operation system
JP2005254972A (en) * 2004-03-11 2005-09-22 Denso Corp Vehicular oper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687A (en) * 1998-06-25 2000-01-11 Yazaki Corp Onboard equipment switch safety operation system
JP2005254972A (en) * 2004-03-11 2005-09-22 Denso Corp Vehicular op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174A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781B2 (en) Assembly module
JP6814260B2 (en) Assembly module for automobiles
KR101968785B1 (en) Method for opening a movable panel of a motor vehicle
CN104118353B (en) Vehicle mirrors footlights component and generation dynamic image method
US7441800B2 (en) Steering wheel for a motor vehicle
US9771122B1 (en) Motorcycle hand control with optical sensor
CN105677009B (en) Gesture recognition device and vehicle with same
CN109562726B (en) Light emitting unit for vehicle
JP6670759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operating signal
US9919678B2 (en) Assembly module for a motor vehicle with an optical sensor system for monitoring a detection region and an actuation region
KR20160036242A (en) 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88028A (en) Driver monitoring device and driver monitoring method
JP2009057014A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4985967B2 (en) Vehicle door system
CN107856621A (en) semi-autonomous vehicle control system
JP6800120B2 (en) Operation status detector
CN106604843A (en) Ligh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a lighting system
KR101438445B1 (en) Apparatus for operating lamp using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05093A (en) Positioning of non-vehicle objects in the vehicle
KR101470029B1 (en) Switch device for vehicle
KR101237035B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turn signal lamp
JP2016052861A (en) On-vehicle apparatus operation device
JP4561390B2 (en) Sun visor device for vehicle
ES2525594T3 (en) Automatic closing procedure of a vehicle vehicle swing and associated device
KR10153472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urtain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