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752B1 - 분수대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분수대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752B1
KR101469752B1 KR20140057810A KR20140057810A KR101469752B1 KR 101469752 B1 KR101469752 B1 KR 101469752B1 KR 20140057810 A KR20140057810 A KR 20140057810A KR 20140057810 A KR20140057810 A KR 20140057810A KR 101469752 B1 KR101469752 B1 KR 10146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base
fountain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일
장재만
장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Priority to KR2014005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quids, e.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foun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3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urved
    • F21Y2103/33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urved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분수대용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분수대용 조명장치는 지면에 매립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광(光)이 생성되도록 하는 LED모듈; 상기 LED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LED모듈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광이 지상으로 조사되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되는 렌즈커버부; 및 상기 렌즈커버부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커버부를 보호하며, 보행자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외부커버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투명한 렌즈커버부를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외부커버부를 마련함으로써,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렌즈커버부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변색이나 변형 및 파손에 의한 위락시설로서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커버부에 에칭된 요철 문양이 마련됨으로써 미끄러짐에 의한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수대용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FOUNTAIN}
본 발명은 분수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수대 저면에 매립되어 광(光)을 조사하는 분수대용 조명장치의 지면으로 노출되는 면에 요철 문양이 에칭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외부커버부를 마련함으로써, 분수대용 조명장치의 노화와 부식을 방지하고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분수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수대는 저수지, 호수, 하천 및 특수한 시설의 조경을 위한 공간에 설치되어 물과 공기의 정화 그리고, 온도 조절 기능 등을 제공함과 동시에 물줄기의 유동으로 보는 이에게 시각적인 즐거움과 안식을 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분수대에 조명장치가 마련되어 상기와 같은 분수대가 제공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들과 더불어 분수대에 의해 유동되는 물줄기에 조명이 조사됨으로써, 분수대가 줄 수 있는 시각적인 즐거움과 안식이 배가될 수 있는 분수대용 조명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분수를 여러 개 설치하고 음악에 맞추어 각각의 음성신호에 따라 각각의 분수가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하는 음악 분수 등이 각광받고 있으며, 바닥에 다양한 패턴의 분수를 설치하여 어린이 또는 연인들의 놀이 공간을 제공하는 등의 분수대를 이용한 위락시설로서의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분수용 조명장치는 일반적으로 케이스 내부에 발광체를 위치시키고, 발광되는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조사되는 방향인 상부에 렌즈와 상기 렌즈 및 발광체를 보호할 수 있는 투명한 커버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분수대용 조명장치는 안전을 위해 상부 투명한 커버가 아크릴로 마련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변색되거나 강도와 경도가 낮은 아크릴 부재로 인한 변형 및 파손에 의해 심미감이 저하되고 안전사고가 유발되어 위락시설로서의 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에 매립되어 노출되는 분수대 조명장치의 투명한 렌즈커버부의 변색, 변형 및 파손이 경감되도록 하며, 투명한 상부커버가 수중에 노출됨으로써 유체에 의한 마찰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미끄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분수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는, 지면에 매립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광(光)이 생성되도록 하는 LED모듈; 상기 LED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LED모듈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광이 지상으로 조사되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되는 렌즈커버부; 및 상기 렌즈커버부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커버부를 보호하며, 보행자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외부커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부커버부를 에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유체가 상기 LED모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렌즈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전원의 입력과 출력이 가능하도록, 저면에 한 쌍의 전원인입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원인입단자는, 하나의 전원인입단자는 전원의 입력을 위해 개방되되, 나머지 하나의 전원인입단자는 상기 전원의 출력 유무에 따라 개방되거나 밀폐될 수 있도록, 임시로 밀폐되어 마련되는 가(假)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모듈은, 광(光)이 조사되는 경로를 안내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발광을 위해 LED로 마련되는 발광부; 전원과 상기 발광부를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PCB부; 및 상기 발광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PCB부의 냉각을 위해 상기 PCB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전달되는 열이 방열되도록 하는 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커버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는, 열전달 효율이 증대되도록, 상기 PCB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방열패드; 및 상기 방열패드의 저면에 마련되어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방열 면적이 극대화 된 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투명성 및 내광성을 포함하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렌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커버부는, 내충격성 및 투명성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내식성을 포함하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커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수밀을 위해 각각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부가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매립되도록, 상기 외부커버부의 수평한 방향의 외주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그레이팅(Grat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커버부는, 상기 그레이팅과의 결합을 위해, 외주연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지상에 노출되도록 하는 거치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거치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거치대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전 시 수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투명한 렌즈커버부를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외부커버부를 마련함으로써,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렌즈커버부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변색이나 변형 및 파손에 의한 위락시설로서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커버부에 에칭된 요철 문양이 마련됨으로써 미끄러짐에 의한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의 내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의 베이스부의 전원인입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커버부에서 탈착되는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의 냉각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의 내부가 실링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렌즈커버부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에 결합되는 그레이팅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가 수중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의 내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분수대 저면에 설치되어 분사 노즐(N)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분수를 분사할 수 있고, 상기 분사되는 분수에 조명을 조사할 수 있는 장치로 베이스부(110), LED모듈(120), 렌즈커버부(130), 실링부(140) 및 외부커버부(15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호수나 하천 등의 저면에 매립되어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를 구성하는 본체의 일부를 형성하며, 고광택의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재질로 마련된다. 그리고, 그 저면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인입단자(112), 부싱(114) 및 패킹부재(116)을 포함한다.
전원인입단자(112)는 베이스부(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조명을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전원의 입출력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가(假)벽(112a)을 포함한다.
가(假)벽(112a)은 전원이 입출력되지 않는 전원인입단자(112)를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전원인입단자(112) 중 한 개소에 마련된다.
부싱(114)은 지면에 매립되는 베이스부(110)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식성이 마련된 황동 재질로 마련되어 인입되는 전선(C)이 베이스부(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패킹부재(116)는 전선(C)이 전원인입단자(112)에 부싱(114)을 통해 연통되어 고정될 때, 전선(C)의 외주연부와 부싱(114)의 내주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110)의 내부가 실링될 수 있게 한다.
LED모듈(120)은 상술한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광(光)을 생성하여 지면으로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부(122), 발광부(124), PCB부(126) 및 방열부(128)를 포함한다.
렌즈부(122)는 상면이 후술 될 렌즈커버부(130)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면이 발광부(124)의 상부에 안착되어 발광부(124)가 조사하는 광(光)을 평행, 분산 및 집중시켜 렌즈커버부(130)를 통해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조사효율을 위해 아크릴 재질로 마련된다. 그리고, 렌즈커버부(13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술될 렌즈 결합봉(134)과 대응되는 삽입홀(122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렌즈부(122)는 투명성 및 내광성을 포함하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렌즈로 마련된다.
발광부(1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을 통해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광(光)의 조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렌즈부(122)의 하부에 LED로 마련된다.
PCB부(126)는 상기 발광부(124)가 안착되어 상기 발광부(124)에 전원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며, 내부에 역전압 보호회로, 과전압 보호회로, 과전류 보호회로 등이 구비된다. 또한, 발광부(124)와 PCB부(126)는 우레탄으로 성형되어 2차적인 실링구조를 형성한다.
방열부(128)는 발광부(124)를 포함한 PCB부(126)의 저면에 위치하여 전달되는 열을 공기중에 방열하는 것으로, 방열부(128)는 방열패드(128a) 및 방열판(128b)을 포함한다.
방열패드(128a)는 PCB부(126)의 저면에 위치하여 PCB부(126)에 유연하게 접촉함으로써, PCB부(126)의 열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방열판(128b)으로 전달한다.
방열판(128b)은 방열패드(128a)의 저면에 위치하여 전달되는 열을 공기중으로 용이하게 방열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과 방열면적이 최대가 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열부는 발광부(124)의 발열에 의한 PCB부(126)의 과열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커버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본체의 타면을 형성하고 상술한 LED모듈(120)에 의한 광의 분사 또는 조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결합되되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다. 렌즈커버부(13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마련되며, 렌즈 결합홈(132) 및 렌즈 결합봉(134)을 포함한다.
렌즈 결합홈(132)은 렌즈커버부(130)가 베이스부(110)와 결합 시, 베이스부(110)를 향하는 면인 렌즈커버부(130)의 저면에 상기 렌즈부(122)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렌즈부(122)가 렌즈 결합홈(132)에 안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렌즈 결합봉(134)은 상기 렌즈 결합홈(132)의 중심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122)가 렌즈 결합홈(132)에 안착되어 끼워질 때, 렌즈부(122)의 중심에 마련된 삽입홀(122a)에 삽입되어 렌즈부(122)의 렌즈 결합홈(132)의 안착을 유도함으로써, 안착을 용이하게 하고 렌즈부(122)의 렌즈커버부(130)에서의 이탈을 방지한다.
실링부(140)는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내부 LED모듈(120)을 보호하기 위해 LED모듈(120)을 중심에 두고 수평방향의 양측으로 렌즈커버부(130)와 베이스부(110) 사이에 마련되어 지면에 매립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한다.
외부커버부(150)는 수밀을 위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렌즈커버부(130)의 광(光)이 조사되는 경로상의 렌즈커버부(130) 외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면을 보호하기 위해 렌즈커버부(130)에 덧씌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되며, 요철문양의 돌출부(152) 및 체결공(154)을 포함한다.
렌즈커버부(130)는 LED모듈(120)로부터 생성되는 광(光)의 조사효율을 고려하여 광이 조사되는 경로가 투명재질로 마련되어야 하며,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내부 LED모듈(120)이 수밀되어 보호되기 위해 일체형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렌즈커버부(130)는 앞서 말한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기 위해 렌즈커버부(130)의 전면이 모두 투명재질로 일체화되어 마련됨으로써, 지면에 매립되는 베이스부(110)와 달리 장기간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렌즈커버부(130)가 태양광으로 인해 변색되어 심미감이 저하되어 위락시설로서의 본래의 목적을 상실할 수 있고, 예기치 못한 외력에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내충격성과 투명성을 얻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마련되어 지면에 매설되어 수중으로 노출됨으로써, 보행자의 미끄럼을 유발하여 안전 사고를 야기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110)와 실링되어 결합됨으로써 변형 및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렌즈커버부(130)와 달리 불투명 재질로 마련되되, 내식성을 포함하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광이 조사되도는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커버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돌출부(152)는 외부커버부(150)의 상면에서 에칭되어 돌출형성됨으로써, 보행자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돌출부가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고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호피형상으로 에칭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나 어떠한 설치 방법도 본 기술적 사상의 범부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체결공(154)은 목적에 따라 탈착되거나 교체될 수 있는 후술 될 그레이팅(160)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외부커버부(150)의 외주연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된다. 체결공(154)은 지면에 매설된 렌즈커버부(130)와 달리 그레이팅(160)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술한 체결부재와 다른 위치로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저면에 한 쌍의 전원인입단자가 형성된 베이스부(110)가 지면에 매설되어 광(光)을 조사하게 하는 LED모듈(120)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LED모듈(120)을 보호하는 렌즈커버부(130)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기 렌즈커버부(130) 사이에는 내부의 수밀을 위해 실링부(140)가 마련된다.
그리고, 외부커버부(150)가 상기 렌즈커버부(130) 상면에 결합되어 렌즈커버부(130)의 상기 광(光)이 조사되는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면을 보호하도록 하여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렌즈커버부(13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고, 외부커버부(150) 상면으로 요철문양의 돌출부(152)가 에칭되어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전원인입단자(112)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의 베이스부의 전원인입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베이스부(110)는 저면에 한 쌍의 전원인입단자(112)를 포함한다. 이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매설 또는 매립되는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특성에 의해 종래에 전원공급장치에서 병렬로 배치됨으로써,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의 증가문제 그리고, 설치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한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110) 저면에 전원입력단자와 전원출력단자 역할을 할 수 있는 한 쌍의 전원인입단자(112)를 마련하여 개개의 분수대용 조명장치(100)가 전원의 입력과 출력이 가능하게 되어 복수의 분수대용 조명장치(100)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직렬로 연결되어 설치 시간,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원인입단자(112)는 전원입력단자와 전원출력단자 간의 병행 사용이 가능하며, 필수적인 전원입력을 제외한 전원출력이 불필요할 때 내부 실링을 위해 한 쌍의 전원인입단자(112) 중 한 개소의 전원인입단자(112)는 가(假)벽(112a)에 의해 단자가 막혀있는 상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필요 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개구됨으로써,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원인입단자(112)는 전선(C)과 황동 재질의 부싱(114)으로 연결되고 결합됨으로써, 지면 매설로 발생되는 부식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LED모듈(120)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커버부에서 탈착되는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의 냉각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LED모듈(120)은 렌즈부(122), 발광부(124), PCB부(126) 및 방열부(128)를 포함한다.
발광부(124)에 의해 발광되어 렌즈커버부(130)를 통해 지면으로 조사되는 광(光)을 굴절시키도록 하는 렌즈부(122)는 종래에는 렌즈커버부(130)와 일체화되어 마련됨으로써, 평행광, 분산광 그리고 집중광이 조사되기 위해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에서 렌즈커버부(130)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22)는 렌즈커버부(130)에서 탈착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도록 렌즈커버부(130) 저면에 렌즈 결합홈(132)이 형성되고 그 중심에 렌즈 결합봉(134)이 형성된다.
렌즈부(122)는 분산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벌집무늬렌즈와 평행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민무늬 렌즈로 마련된다. 벌집무늬렌즈는 빛의 연색성이 뛰어나고, 눈부심 방지효과가 있는 대신 빛의 밝기가 민무늬 렌즈에 비해 약하며, 민무늬렌즈는 벌집무늬렌즈에 비해 빛의 밝기는 밝으나 눈부심이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렌즈부(122)는 내부에 형성된 상기 렌즈 결합봉(134)에 대응되는 삽입홀(122a)이 형성되어 삽입홀(122a)에 렌즈 결합봉(134)이 끼워짐으로써, 렌즈부(122)가 렌즈 결합봉(134)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렌즈 결합홈(132)에 안착되고 결합된다. 이로써, 렌즈부(122)의 상면이 렌즈커버부(130)의 저면에 고정되고 하면이 발광부(124)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발광부(124)의 광(光)이 투명재질의 렌즈커버부(130)를 통해 분수를 따라 조사된다.
발광부(1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PCB부(126)는 발광부(124)와 우레탄으로 실링되어 내부적인 수밀 구조를 형성한다.
발광부(124)는 장시간 사용 시 발열로 인해 내부 조사효율이 저하되거나 내부기기들의 변형 및 파손에 의해 조명장치의 수명이 저하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PCB부(126) 저면에는 PCB부(126)와의 접촉 면적이 크게 하여 열 전달 효율을 늘리는 방열패드(128a)와 상기 방열패드(128a)에서 전달된 열을 공기 중으로 발열되도록 발열면적이 극대화된 방열판(128b)이 마련된다.
LED모듈(120)의 열을 방출하는 구조는, 1차로 PCB부(126)의 동박을 통해 배출되고 2차로 방열패드(128a)를 거쳐 방열판(128b)을 통해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내부 실링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의 내부가 실링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렌즈커버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하부커버 역할을 하는 베이스부(110)와 상부커버 역할을 하는 렌즈커버부(130)로 본체가 구성된다.
본체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LED모듈(120)이 구비되며, 렌즈커버부(130)와 베이스부(110)의 결합 시, 렌즈커버부(130)와 베이스부(110)의 유격에 의한 내부로의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주연부와 내주연부(분사 노즐(N)의 외주연부)를 따라 각각의 실링부(140)들이 마련되어 렌즈커버부(130)와 베이스부(110)가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내부의 전기적인 LED모듈(120)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의 분해도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이물질이 인입될 수 있는 또 다른 경로인 전원인입단자(112)가 황동재질의 부싱(114)에 의해 결합될 때, 부싱(114)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C)과 상기 부싱(114) 사이에 패킹부재(116)가 마련되어 내부가 실링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그레이팅(16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에 결합되는 그레이팅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분수대 지면에 매설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지면 매설 시, 지반의 침하로 인한 상기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부분 침하 현상이나 부분 돌출 현상으로 인한 보행자의 안전 사고 및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고, 다양한 환경의 지면에 용이하게 매설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며, 배수를 위한 배수공(162)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이 부가되도록 하기 위해 렌즈커버부(130)와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형상의 그레이팅(16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160)은 렌즈커버부(130)와 결합되어 렌즈커버부(130)와 나란하게 마련되며, 그레이팅(160)이 지면과 수평하게 결합됨으로써, 렌즈커버부(13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그레이팅(160), 외부커버(150) 및 렌즈커버부(130)는 결합을 위한 체결공(154)을 포함한다. 체결공(154)은 외부커버(150)가 렌즈커버부(130)에 결합될 때, 전술한 체결부재가 상부로 노출되어 교체가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과 같이, 그레이팅(160) 결합홀 역시 외부로 노출되어 그레이팅(160)의 탈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교체 역시 가능하게 마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가 그레이팅(160)에 의해 노출되지 않도록 체결공(154)의 위치는 체결부재와 상이한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분수대 지면에 매설되는 것이 아니라, 브라켓(210)에 연결되어 지상 어느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켓(210)은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후면 즉, 베이스부(110)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무게중심에서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를 지지하며, 지면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거치대(220)에 의해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의 회전과 수평방향 회전과 동시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분사되는 분수와 결합되지 않고도 지상에 설치되어 조사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일반적인 조명장치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가 수중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분수대 지면에 매설되어 상부로 분수를 분사되도록 하며, 분사되는 분수를 따라 광(光)이 조사되도록 하여 사용자들에게 안식을 주기 위한 위락시설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지면에 매설되어 하부커버 기능을 하는 베이스부(110), 지면에 노출되어 상부커버 기능을 하는 렌즈커버부(130) 및 외부커버부(150)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그 내부에 광(光)이 조사되도록 하는 LED모듈(120)을 포함한다. 또한, 외부커버부(150)가 연장형성되듯 결합되어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상부면과 지면을 나란하게 하는 그레이팅(16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분수대 저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전원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직렬로 공급되어 각각의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설치시간, 비용 및 설치공간이 절약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벌집무늬 렌즈 및 민무늬 렌즈 등을 통해 다양한 평행광, 분산광 그리고, 집중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렌즈, 광(光)을 생성하는 LED, 발광에 따른 발열을 해소하기 위한 방열패드(128a) 및 방열 면적을 신장시켜 냉각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열판(128b)을 포함하는 LED 모듈이 분수대용 조명장치(100)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다양하고 효율적인 분수대용 조명을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수대 저면에 매설되는 것을 고려하여,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베이스부(110)와 렌즈커버부(130) 내부에 마련되는 LED모듈(120)을 보호하기 위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투명재질의 렌즈커버부(130)와 베이스부(110), 그리고, 렌즈커버부(130)와 베이스부(110)가 결합될 때, 유격에 의한 이물질의 내부 인입을 방지하도록 LED모듈(120)을 중심으로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외주연부와 내주연부를 따라 실링부(140)가 마련되고, 저면에 인입되는 전선(C)을 감싸는 패킹부재(116)가 마련됨으로써,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실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렌즈커버부(130)를 보호하기 위해 랜즈커버부에 요철문양이 에칭된 외부커버(150)가 마련되어 렌즈커버부(130)의 광(光)이 조사되는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형 및 파손에 대해 대비할 수 있고, 요철문양을 통해 보행자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외부커버(150)가 외부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변형 및 파손 시 용이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렌즈커버부(130)와 상기 렌즈커버부(130)를 감싸는 외부커버부(150)를 연장시키는 그레이팅(160)을 지면에 안착시킴으로써, 분수대용 조명장치(100)가 부분 함몰되거나 돌출됨 없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상기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변형 및 파손에 대비할 수 있다. 이에 각기 다른 지면에 매설되는 분수대용 조명장치(100)가 각각의 지면의 특성에 적절히 대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배수공(162)과 같은 별도의 기능이 부가된 그레이팅(160)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분수대용 조명장치(100)의 범용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정된 분수대에 결합되어 광(光)이 조사되는 것과는 별도로 거치대(220)에 거치되어 브라켓(210)에 결합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전됨과 함께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분수대용 조명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투명한 상부커버를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외부커버(150)를 마련함으로써,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상부커버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변색이나 변형 및 파손에 의한 위락시설로서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커버(150)에 에칭된 요철 문양이 마련됨으로써 미끄러짐에 의한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분수대용 조명장치 110 : 베이스부
112 : 전원인입단자 112a : 가(假)벽
114 : 부싱 116 : 패킹부재
120 : LED모듈 122 : 렌즈부
122a : 삽입홀 124 : 발광부
126 : PCB부 128 : 방열부
128a : 방열패드 128b : 방열판
130 : 렌즈커버부 132 : 렌즈 결합홈
134 : 렌즈 결합봉 140 : 실링부
150 : 외부커버 152 : 돌출부
154 : 체결공 160 : 그레이팅
162 : 배수공 210 : 브라켓
220 : 거치대 C : 전선(케이블)
N : 분사 노즐

Claims (14)

  1. 지면에 매립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광(光)이 생성되도록 하는 LED모듈;
    상기 LED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LED모듈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광이 지상으로 조사되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되는 렌즈커버부;
    상기 렌즈커버부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커버부를 보호하며, 보행자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외부커버부;
    상기 외부커버부가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매립되도록, 상기 외부커버부의 수평한 방향의 외주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그레이팅(Grating); 및
    외부의 유체가 상기 LED모듈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렌즈커버부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이종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외부커버부를 에칭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외부커버부는,
    수밀을 위해 유입경로가 굴절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렌즈커버부와 결합을 위한 체결공과 상기 그레이팅과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은,
    배수를 위한 복수개의 배수공이 상기 외부커버부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커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수밀을 위해 각각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전원의 입력과 출력이 가능하도록, 저면에 한 쌍의 전원인입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전원인입단자는,
    수밀을 위해 인입되는 전선 사이에 마련되는 패킹부재; 및
    하나의 전원인입단자는 전원의 입력을 위해 개방되고, 나머지 하나의 전원인입단자는 상기 전원의 출력 유무에 따라 개방되거나 밀폐될 수 있도록, 임시로 일체화되어 마련되는 가(假)벽;을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광(光)이 조사되는 경로가 안내되도록 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발광을 위해 LED로 마련되는 발광부; 및
    우레탄 재질로 상기 발광부와 일체화되며, 전원과 상기 발광부를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PCB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커버부는,
    상기 렌즈부의 외주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되어 마련되는 렌즈 결합홈; 및
    상기 렌즈 결합홈 중심에서 돌출형성되는 렌즈 결합봉;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내부 중심에 관통되어 마련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렌즈 결합봉이 끼워지고 외주면이 상기 렌즈 결합홈에 끼워짐으로써, 교환을 위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용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은,
    상기 발광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PCB부의 냉각을 위해 상기 PCB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전달되는 열이 방열되도록 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용 조명장치.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열전달 효율이 증대되도록, 상기 PCB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방열패드; 및
    상기 방열패드의 저면에 마련되어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방열 면적이 극대화 된 방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용 조명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투명성 및 내광성을 포함하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렌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용 조명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커버부는,
    내충격성 및 투명성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내식성을 포함하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용 조명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지상에 노출되도록 하는 거치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거치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거치대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전 시 수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용 조명장치.
KR20140057810A 2014-05-14 2014-05-14 분수대용 조명장치 KR101469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7810A KR101469752B1 (ko) 2014-05-14 2014-05-14 분수대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7810A KR101469752B1 (ko) 2014-05-14 2014-05-14 분수대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752B1 true KR101469752B1 (ko) 2014-12-05

Family

ID=5267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7810A KR101469752B1 (ko) 2014-05-14 2014-05-14 분수대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7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704B1 (ko) * 2015-04-13 2015-07-07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가변형 분수가 토출되는 분수장치
EP3828460A1 (en) * 2019-11-27 2021-06-02 Leedarson Lighting Co., Ltd. Lighting apparatus
EP3665417A4 (en) * 2017-08-11 2021-06-16 Crystal Fountains Holdings Inc. COMPLETELY ENCLOSED LIGHTING TECHNOLOGY
KR102387055B1 (ko) 2021-12-22 2022-04-22 정인영 분수대용 조명 분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632Y1 (ko) * 2006-09-28 2006-12-11 김기창 분수용 조명등
KR20090084029A (ko) * 2008-01-31 2009-08-05 정철우 수중 조명등
KR20140039881A (ko) * 2012-09-25 2014-04-02 박규남 자전거 도로용 발광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632Y1 (ko) * 2006-09-28 2006-12-11 김기창 분수용 조명등
KR20090084029A (ko) * 2008-01-31 2009-08-05 정철우 수중 조명등
KR20140039881A (ko) * 2012-09-25 2014-04-02 박규남 자전거 도로용 발광 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704B1 (ko) * 2015-04-13 2015-07-07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가변형 분수가 토출되는 분수장치
EP3665417A4 (en) * 2017-08-11 2021-06-16 Crystal Fountains Holdings Inc. COMPLETELY ENCLOSED LIGHTING TECHNOLOGY
EP3828460A1 (en) * 2019-11-27 2021-06-02 Leedarson Lighting Co., Ltd. Lighting apparatus
KR102387055B1 (ko) 2021-12-22 2022-04-22 정인영 분수대용 조명 분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752B1 (ko) 분수대용 조명장치
KR100980808B1 (ko) Led 조명 장치
KR101451622B1 (ko) 바(Bar)형 지중 매입등
US20080211429A1 (en) LED lamp
KR101892289B1 (ko) Smps와 scu를 통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
ATE438828T1 (de) Beleuchtungseinrichtung mit vorrichtung zur wärmeableitung
KR200473336Y1 (ko) 바닥매입형 led조명장치
HU223175B1 (hu) Világítótest úszómedencékhez és hasonlókhoz
KR101126586B1 (ko) 조명장치의 밀봉구조
JP5215081B2 (ja) 照明装置
KR101661983B1 (ko) 조명장치
KR20120062173A (ko) 렌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KR101342543B1 (ko) 광학용 필름을 실장한 칩엘이디 렌즈형 전광판모듈
KR101265524B1 (ko)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광고장치
KR101058901B1 (ko) Led 경관 조명 장치
JP6795831B2 (ja) 照明器具
KR101004206B1 (ko) 일체형 발광다이오드 모듈 및 발광다이오드 램프등
KR20150115551A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JP2017147290A (ja) Led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KR100995864B1 (ko) Led조명장치
KR101379319B1 (ko) 조명장치
JP2010146902A (ja) 照明装置
KR20150004557U (ko) 엘이디 모듈 간판
TW201408944A (zh) 照明用罩以及照明裝置
JP2018088427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