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891B1 -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891B1
KR101468891B1 KR1020110060942A KR20110060942A KR101468891B1 KR 101468891 B1 KR101468891 B1 KR 101468891B1 KR 1020110060942 A KR1020110060942 A KR 1020110060942A KR 20110060942 A KR20110060942 A KR 20110060942A KR 101468891 B1 KR101468891 B1 KR 101468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act
personal
relationship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180A (ko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객전략연구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객전략연구센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객전략연구센터
Priority to KR102011006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8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맥형성에 따른 관계유지를 위한 연락수단에 대한 정보와 해당 인맥대상의 신상정보 등을 저장하는 인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연락수단으로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의 항목별 송수신 이력이 저장되는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인맥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기간동안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 상기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락수단의 송수신 이력을 기준으로 해당 기간내 가장 최근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 등의 가중치를 산정하여 사용자의 인맥관리 특성을 패턴화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을 통해 산정되어진 사용자의 인맥관리 특성이 패턴화되면, 이에 따라 상기 인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진 인맥대상 그 각각에 대해 실시간적으로 인맥관계등급을 부여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부여되는 인맥관계등급이 하향조정되는 인맥대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using the infrastructure of smart phones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weighted and how to manage them}
본 발명은 스마트폰(Smart Phone)의 인프라를 이용한 인맥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맥 리스트내의 각 개체별로 사용자 본인과의 커뮤니케이션 양태에 따른 양방향적인 관계의 정도를 관계지수로 실시간적으로 산정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인맥관계 정도를 파악하고 임의의 개체와의 관계지수에 변화발생에 따른 등급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변화의 알림을 통해 현재의 관계에 대해 상기 시켜주거나 자동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은 많은 관계의 끈을 맺으며 생활한다. 즉, 사람 간의 관계라는 것은 일상생활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며 이러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커뮤니케이션인데, 실제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관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사람들은 과연 몇이나 될까?’라는 질문에 긍정적인 대답을 표현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 실정이다.
그 예로써 2009년 리서치 갤럽에서 ‘현재 당신의 인생에서 인맥 및 유대감이 중요하다고 느끼십니까?’ 라는 설문조사를 한 결과 약 92%의 응답자가 중요하다고 응답을 하였으나, 인맥관리를 본인이 스스로 효율적으로 행하기에는 너무 많은 사람과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인맥관리를 자동적이며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관리해주는 주요 도구도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주먹구구식의 관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현재 국내, 국외에서 다양한 방식의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는 데, 이러한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의 공통점은 모든 매체를 고려하지 않고, 두 매체의 가중치를 동등하다는 판단 하에 통화나 SMS의 빈도로 랭크화시켰다는 점과 알림 기능만 있을 뿐 자동적인 메세징 기능은 존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인과 개인 간의 관계 형성 및 인맥확보를 위해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LBS(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이용하여 유저 간의 네트워킹을 형성하는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유저의 의지에 따라 Following을 통해서 SNS Activity를 행하거나 위치 기반 서비스를 활용하여 거리가 가까운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등의 수동적이고 유저와 상대방 간의 양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편적인 인맥관리만을 서비스 할 뿐이다.
즉, 단순 업무로 잦은 통화를 하는 사람은 매우 높은 위치의 인맥리스트에 랭크되고, 중요하고 소중한 인맥이지만 조심스러워 자주 연락하지 못하는 사람은 매우 낮은 위치의 인맥리스트에 랭크되게 되며 심지어는 인맥리스트에서 삭제(버퍼기능을 통해 리스트 가용범위를 채운 경우 신규 개체가 등록되면 최하위 개체를 리스트에서 강제 삭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임)되는 경우마저 발생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당황스럽게 만드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제 근래까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수준의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들은 그 자체적인 기술적 한계성으로 인해 실제적으로 수첩 이상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기 어려우며, 사용자가 단순히 사용 중인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신뢰하지 않는 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맥 리스트내의 각 개체별로 사용자 본인과의 커뮤니케이션 양태에 따른 양방향적인 관계의 정도를 관계지수로 실시간적으로 산정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인맥관계 정도를 파악하고 임의의 개체와의 관계지수에 변화발생에 따른 등급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변화의 알림을 통해 현재의 관계에 대해 상기 시켜주거나 자동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한 인맥관리 특성 패턴화 방법 및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한 인맥관리 특성 패턴화 방법은, 인맥형성에 따른 관계유지를 위한 연락수단에 대한 정보와 해당 인맥대상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인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연락수단으로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의 항목별 송수신 이력이 저장되는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기기의 전반적인 운영을 제어하는 제어처리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한 인맥관리 특성 패턴화 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부에 의해 일정기간동안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락수단의 송수신 이력을 기준으로 해당 기간 내 연락수단인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에 대한 각각의 발생수치의 합으로 개개의 연락수단별 발생수치를 나누어 해당 연락수단별 가중치를 산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어처리부에 의해 해당 기간 내 가장 최근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에 할당된 비중에 상기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맥관리 특성을 패턴화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에 할당된 비중은 연락시점(R)의 경우 60%이고, 연락의 빈도성(F)의 경우 30%이며, 사용량(Q)의 경우 10%의 비중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는, 인맥형성에 따른 관계유지를 위한 연락수단에 대한 정보와 해당 인맥대상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인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연락수단으로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의 항목별 송수신 이력이 저장되는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구비한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인맥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일정기간동안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락수단의 송수신 이력을 기준으로 해당 기간 내 연락수단인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에 대한 각각의 발생수치의 합으로 개개의 연락수단별 발생수치를 나누어 해당 연락수단별 가중치를 산출하는 개인 특성별 가중치 산출과정과; 상기 해당 기간내 가장 최근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에 할당된 비중에 상기 개인 특성별 가중치 산출과정에서 산출되어진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맥관리 특성을 패턴화하는 사용자 특성 인식과정과; 상기 사용자 특성 인식과정을 통해 산정되어진 사용자의 인맥관리 특성이 패턴화되면, 이에 따라 상기 인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진 인맥대상 그 각각에 대해 실시간적으로 인맥관계등급을 부여하는 인맥등급 부여과정; 및 상기 인맥등급 부여과정을 통해 부여되는 인맥관계등급이 하향조정되는 인맥대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인맥관리 요청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특성 인식과정에서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 에 할당된 비중은 연락시점(R)의 경우 60%이고, 연락의 빈도성(F)의 경우 30%이며, 사용량(Q)의 경우 10%의 비중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맥관리 요청과정은 완전자동/반자동/통지로 구분되는 세 가지 모드에 따른 요청방식으로, 완전자동 설정은 기 설정된 메시지가 등급이 하락한 관리 인맥의 연락처로 자동 발신되어 자동 발신함에 저장되는 모드이며; 알리미 설정은 메시지가 자동적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등급 별 변화가 있거나, 이벤트가 있을 시에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통지방식으로 경고하는 모드이고; 반자동 설정은 상기 알리미 설정과 동일하게 기 설정된 통지방식으로 등급 별 변화를 경고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전송 버튼을 눌러야만 기 설정된 메시지가 등급이 하락한 관리 인맥의 연락처로 전송이 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인맥 리스트내의 각 개체별로 사용자 본인과의 커뮤니케이션 양태에 따른 양방향적인 관계의 정도를 관계지수로 실시간적으로 산정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인맥관계 정도를 파악하고 임의의 개체와의 관계지수에 변화발생에 따른 등급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변화의 알림을 통해 현재의 관계에 대해 상기 시켜주거나 자동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기존의 수동적이고 단편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에서 벗어나, 연락처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과의 인맥관리를 객관적이고 자동적인 방식을 통해 효율적 인맥관리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놓치기 쉬운 관계의 끈을 이어나가 인맥관리의 효용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의 개념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맥대상의 그룹관리를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맥대상의 등급관리를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가중치 산정 기준일 및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관계지수 산정 방식 및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RM Process 기반의 등급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Auto Messaging 자동 발신함 및 문구 설정 Process 예시도
도 9는 도 8의 적용에 따른 Auto Messaging 자동여부에 따른 Display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의 부가적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현 시대에 흐름에 발맞추어 보다 효과적인 개인용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로 인한 인맥관계 관리를 객관적이고 자동적으로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을 개발하려 것을 목적으로, 스마트폰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CRM 방법론에 기반하여 객관적인 인맥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새로운 지식서비스의 산출물이 구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프로그램 구동 및 데이터 통신, PC 연동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고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칭하는 것으로, 휴대전화와 개인용 휴대정보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시킨 복합형 무선통신기기이며, 통상적으로 휴대전화의 기능에 PDA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음성통신은 물론 PC 연동, 개인정보관리, 무선 인터넷, 팩스 송수신 등이 가능하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일반 휴대전화와 비슷하다. 그러나 키패드와 전자펜 입력방식을 모두 지원하여 문자입력이 한층 편리하다. 휴대전화에 비해 대용량 메모리를 채택하고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사용이 가능하며,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추가·삭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두뇌 역할을 하는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PDA와 유사하지만, PDA는 개인정보관리 기능이 주가 되는 반면, 스마트폰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의 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상술한 개념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의 개념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맥대상의 그룹관리를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맥대상의 등급관리를 위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가중치 산정 기준일 및 정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관계지수 산정 방식 및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RM Process 기반의 등급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Auto Messaging 자동 발신함 및 문구 설정 Process 예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적용에 따른 Auto Messaging 자동여부에 따른 Display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의 부가적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우선,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 아키텍처를 살펴보면, Presentation Layer에서 시스템 개발 Logic Processing 작업 및 메뉴 구성 Session 정립 단계를 지나 System Layer의 Business Layer에서 현재의 알고리즘 구현을 통해 기존에 모바일 폰에 저장되어 있는 Contact Data를 활용하여 가용한 정보를 추출하고 통합하여 User에게 구현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또한, 도 2에 나타나 있는 영문표현의 모듈들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User Layer: Integration Layer에서 가공된 Data 및 System을 User에게 구현함.
- System Layer
1) Presentation Layer: 로직을 설정하고 전체적인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세션을 정의함.
2) Business Layer: 로직 및 전반적인 프레임워크에 대한 알고리즘을 정의함.
3) Integration Layer: Contact Date (Call, Message, Mail, SNS Activity)를 추출하고 도출된 로직 및 알고리즘에 의해 가공하여 통합함.
- Database Layer: Mobile 내의 Contact Data 저장소
첨부한 도 1과 도 2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을 우선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인맥형성에 따른 관계유지를 위한 연락수단에 대한 정보와 해당 인맥대상의 신상정보 등을 저장하는 인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연락수단으로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의 항목별 송수신 이력이 저장되는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구비한 스마트폰에서 활용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 특성을 패턴화시켜야 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첨부한 도 5와 도 6의 설명에서 상세히 언급하기로 하고,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일정기간(예를 들어 1달 혹은 2달)동안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 상기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락수단의 송수신 이력을 기준으로 해당 기간내 가장 최근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 등의 가중치를 산정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개인적인 특성은 해당하는 사용자의 직업이나 인맥정도 혹은 주변상황 등으로 인해 형제간에도 그 특성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전술한 사용자의 인맥관리 특성을 패턴화가 일정기간동안 완성되어지면, 해당 패턴에 따라 상기 인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진 인맥대상 그 각각에 대해 실시간적으로 인맥관계등급을 부여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에 대한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인맥관리를 하기 위해 고객을 가지고 있는 대다수의 기업에서 사용하는 CRM Process 방법론의 경우,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관계 획득, 유지, 강화를 활용하여 관계 형성, 관계 안정화, 관계 유지로 접근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이탈 임박과, 완전 이탈의 내용을 포함하여 원활한 인맥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며 유보라는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User)가 임의로 할당하여 잠정적으로 이탈로의 방지를 막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인맥 관리 솔루션의 사용중에 임의의 인맥대상의 인맥관계등급이 하향 조정되는 인맥대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게 되는데, 이때 인맥대상의 인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문자메시지 혹은 기타의 방식에 따른 인맥유지를 위한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시킬 수도 있다.
우선, 보다 정확한 인맥관리를 위해서는 자신의 연락처에 저장되어 있는 사람들의 정확한 분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진 예에서와 같이 유저의 편의에 따라 가족, 친구, 직장, 학교 등의 원하는 Group을 생성하여 Group 별 관리를 가능하게 해주고 Group 별 단체 메일 및 메시지 전송, Group 별 관계 등급 및 스코어(평균) 확인 기능을 제공하여 인맥 관리를 유용하게 해주는 솔루션의 기본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진 예시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맥대상의 등급관리를 위한 것으로, 등급 관리는 본 솔루션에서 네 가지 매체로 산정한 관계지수 스코어링을 이용하여 관계 상태를 부여한 것을 등급 별로 확인 할 수 있는 카테고리로써, 각 관계 상태 별 인원 수 및 개인 별 구성원 확인이 가능하다. 관계 상태 하위 단계인 개인 별 구성원 확인부터는 Group Management와 동일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다. 등급 관리에서는 관계지수 산정과 CRM Process 관점에서 구분한 관계 형성, 관계 안정화, 관계 유지, 관계 이탈임박, 관계 이탈의 다섯 가지 등급을 활용하여 Warning Message 및 Auto Messaging을 위한 초석을 이루는 카테고리이다.
상술한 제반과정이 완료된 이후,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진 사용자 개인특성과 그에 따른 관계지수 선정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도시되어진 가중치 산정 기준일 및 정의를 살펴보면, CRM 방법론을 활용하여 인맥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본 솔루션의 핵심 기능 중의 하나로 Mobile Device 내의 모든 매체 (전화, 메시지, Mail, SNS Activity)를 통해 유저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상대방과의 관계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척도화하여 관계 지수를 통해 관계 상태를 부여 받게 되고, 각 각의 등급에 따른 Activity 정립에 베이스를 이루는 기능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개별적인 인맥관리 특성에 따른 가중치 자동 산정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을 적용시킨 후 1개월의 학습기간을 통해 개인 별 도출된 가중치를 산정하고, 학습기간 종료 후 매체 (전화, 메시지, 메일, SNS) 및 항목 (최근성, 빈도성, 대량성)의 개인 별로 실시간 가중치 산정하게 된다.
이후, 도 6은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관계지수 산정 방식 및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지난 1개월 학습기간을 통해 전화, 메시지, 메일, SNS 매체의 송수신 이력을 모두 합쳐 전체 항목에서 해당 매체가 차지하는 비중을 가중치로 사용하고, 매체 별 가중치와 최근성(Recency), 빈도성(Frequency), 대량성(Quantity), 가중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관계지수를 산정함에 있어서 모의실험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때 일정기간동안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 상기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락수단의 송수신 이력을 기준으로 해당 기간내 연락수단인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에 대한 각각의 발생수치의 합으로 개개의 연락수단별 발생수치를 나누어 해당 연락수단별 가중치를 산출하고, 해당 기간내 가장 최근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 등에 할당된 비중에 상기 가중치를 곱산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맥관리 특성을 패턴화하는 데, 상기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 등에 할당된 비중은 연락시점(R)의 경우 60%이고, 연락의 빈도성(F)의 경우 30%이며, 사용량(Q)의 경우 10%의 비중으로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단에서 간략히 언급되었던 도 7에 도시되어진 본 발명이 적용되는 CRM Process 기반의 등급 프로세스는, 초기 연락처가 지정되고 연락이 1회 이상 이루어졌을 시 관계가 형성되게 되며, 형성 대상자 중 2회 째 연락이 이루어져 추가적인 연락이 유도되는 단계가 안정화 단계이다. 이러한 안정화 단계가 지속되면서 일정한 주기 별 반복적 연락이 가능해지는 등급은 관계유지이며, 관계등급 대상자 정의에 근간하여 등급이 하향되었을 경우 또다시 연락이 이어져 관계 전환이 가능한데, 이러한 상황일 때는 등급 하락 전의 단계보다는 한 단계 올라갈 것이다.
이때 도 7에서 ①로 지칭되는 프로세스의 진행은 관계형성 즉, 등록 후 1개월 내 연락이 없는 형태일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②로 지칭되는 프로세스의 진행은 관계형성단계에서 이탈임박단계로 진행했던 대상자 중 1개월 내 연락이 존재하여 관계가 회복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며, ③로 지칭되는 프로세스의 진행은 상술한 ②로 지칭되는 프로세스의 진행과는 반대로 안정화 단계 이동 후 2개월 내 연락이 존재하지 않아 이탈임박단계로 진행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④로 지칭되는 프로세스의 진행은 관계안정화단계에서 이탈임박단계로 진행했던 대상자 중 1개월 내 연락이 존재하여 관계가 회복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며, ⑤로 지칭되는 프로세스의 진행은 상술한 ④로 지칭되는 프로세스의 진행과는 반대로 관계유지 단계 이동 후 사용자 개인별 MCI(최대 연락주기)이내 연락이 없었던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⑥으로 지칭되는 프로세스의 진행은 이탈임박 단계 이동 후 1개월 내 연락이 없는 경우이며, ⑦로 지칭되는 프로세스의 진행은 관계형성→이탈임박→이탈 대상자로 진행되어진 대상자중 1개월 내 연락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며, ⑧로 지칭되는 프로세스의 진행은 두 가지 경우의 수를 가지는데, 첫 번째로는 안정화→유지→이탈임박→이탈 대상자 중 1개월 내 연락이 존재하는 경우이며, 다른 하나의 경우는 안정화→이탈임박→이탈 대상자 중 1개월 내 연락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관계등급이 하락하여 이탈임박으로 전환 됐을 시에 유보(관계산정제외)를 통해 완전 이탈로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든 관계 등급은 리스트 및 Warning Message, Auto Messaging을 통해 User에게 경각심을 주거나, 관계 회복의 기회를 제공한다.
CRM Process 기반의 형성, 안정화, 유지, 이탈임박, 이탈, 유보의 각 단계 별로 목표 및 대상자 정의, 제안 Action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등급 별 정립은 아래의 표 1과 같이 정리된다.
Figure 112011047720815-pat00001
상술한 인맥 관리 솔루션의 사용 중에 임의의 인맥대상의 인맥관계등급이 하향 조정되는 인맥대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게 되는데, 그 예가 첨부한 도 8과 도 9에 도시되어진 것이다.
즉, 인맥대상의 인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문자메시지 혹은 기타의 방식에 따른 인맥유지를 위한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시킬 수도 있는데, 통상 기존의 형성, 안정화, 유지 단계에 있던 사람의 이탈이 임박하거나 결과적으로 이탈이 일어났을 때 본 솔루션은 상대방에게 정해진 등급에 따른 문구를 자동/반자동/알리미 전송을 가능하게 해주며, User에게 Warning Message를 통해 경각심을 일깨워주어 효율적인 인맥관리를 제공한다. 이러한 Auto Messaging은 자동 발신함, 매크로 설정, 자동여부 설정의 세 가지 카테고리로 이루어져 있다.
자동 발신함에서 전송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일시 별로 묶어 등급 별 전송 대상자를 알려주고, 자동 메시지가 전송될 예정인 관계 상태 별 대상자들의 List를 일시 별로 제공한다. 문구 설정에서는 시스템 서버의 지속적인 Updating을 통해 문구가 Renewal되면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자동여부 설정에서는 완전자동/반자동/알리미의 세 가지 방식으로 편의를 돕는데, 그 대상과 동작을 예로써 정이하면 아래의 표 2와 같다.
완전자동 설정은 메시지가 자동적으로 발신되어 자동 발신함에 저장되고, 반자동 설정은 전송 버튼을 눌러야만 전송이 되는 형태로 메시지 수정이 가능하다. 알리미 설정은 메시지가 자동적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등급 별 변화가 있거나, 이벤트가 있을 시에 User에게 알리는 기능만을 제공한다.
종류 대상자 설명
완전자동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비즈니스 사무 관계를 주로 하는 사람 대상자 유저에게 알림 없이 스마트폰 자체 내에서 메시지 전송
반자동 주기적인 관리를 통해 관계를 맺고자 하는 사람 유저에게 팝업 창을 보여주고 확인을 눌러야 전송 가능.
컨텐츠 수정 가능 (문구 수정과 별도)
알리미 User가 직접 연락을 통해 관계를 맺고자 하는 사람 유저에게 팝업 창만을 보여주어 유저가 직접 메시지를 전송
이때 자동발신 메시지는 범용성을 갖는 몇몇 시안 중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직접 작성도 가능하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방법의 부가적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10은 설정과정에 관한 것인데, 설정에서는 각종 Update 및 공지사항 알림, 버전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Warning Message 사용 여부와 Push 빈도를 일 1회, 주 1회, 15일 마다, 월 1회의 네 가지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등급 지정을 통해 초기 설정된 개인 별 연락처에 등급을 부여하여 초기 사용에 적합한 프로세스를 갖춘다. 그리고 튜토리얼 기능을 통해 시연에 필요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고 유저의 편의를 돕는다.
또한, 도 11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이를 접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설명하고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듀토리얼(Tutorial)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모든 메뉴 별로 하위 메뉴를 클릭 하면 화면이 표시되어 어떤 내용을 전달하는지를 알려주고, 그에 대한 상세 도움말 상자가 나타나 유저의 편의를 높이는 것을 주안점을 둔다.
또한, 도 12의 도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인맥관리 방법이 본격적으로 사용도기 위한 상태를 만들어주기 위하여, 기존 연락처를 동기화하여 본 솔루션 자체 내에서 형성, 안정화, 유지, 이탈임박, 이탈, 유보의 6단계로 등급을 지정해주고 (초기 1회) 관계지수 산정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데 초석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인맥형성에 따른 관계유지를 위한 연락수단에 대한 정보와 해당 인맥대상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인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연락수단으로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의 항목별 송수신 이력이 저장되는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기기의 전반적인 운영을 제어하는 제어처리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한 인맥관리 특성 패턴화 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부에 의해 일정기간동안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락수단의 송수신 이력을 기준으로 해당 기간 내 연락수단인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에 대한 각각의 발생수치의 합으로 개개의 연락수단별 발생수치를 나누어 해당 연락수단별 가중치를 산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어처리부에 의해 해당 기간 내 가장 최근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에 할당된 비중에 상기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맥관리 특성을 패턴화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한 인맥관리 특성 패턴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에 할당된 비중은 연락시점(R)의 경우 60%이고, 연락의 빈도성(F)의 경우 30%이며, 사용량(Q)의 경우 10%의 비중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한 인맥관리 특성 패턴화 방법.
  3. 인맥형성에 따른 관계유지를 위한 연락수단에 대한 정보와 해당 인맥대상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인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연락수단으로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의 항목별 송수신 이력이 저장되는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구비한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인맥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일정기간동안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락수단의 송수신 이력을 기준으로 해당 기간 내 연락수단인 전화통신, E-메일, 문자, SNS활용에 대한 각각의 발생수치의 합으로 개개의 연락수단별 발생수치를 나누어 해당 연락수단별 가중치를 산출하는 개인 특성별 가중치 산출과정과;
    상기 해당 기간내 가장 최근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에 할당된 비중에 상기 개인 특성별 가중치 산출과정에서 산출되어진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맥관리 특성을 패턴화하는 사용자 특성 인식과정과;
    상기 사용자 특성 인식과정을 통해 산정되어진 사용자의 인맥관리 특성이 패턴화되면, 이에 따라 상기 인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진 인맥대상 그 각각에 대해 실시간적으로 인맥관계등급을 부여하는 인맥등급 부여과정; 및
    상기 인맥등급 부여과정을 통해 부여되는 인맥관계등급이 하향조정되는 인맥대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인맥관리 요청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인식과정에서 연락시점(R), 연락의 빈도성(F), 사용량(Q) 에 할당된 비중은 연락시점(R)의 경우 60%이고, 연락의 빈도성(F)의 경우 30%이며, 사용량(Q)의 경우 10%의 비중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맥관리 요청과정은 완전자동/반자동/통지로 구분되는 세 가지 모드에 따른 요청방식으로,
    완전자동 설정은 기 설정된 메시지가 등급이 하락한 관리 인맥의 연락처로 자동 발신되어 자동 발신함에 저장되는 모드이며;
    알리미 설정은 메시지가 자동적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등급 별 변화가 있거나, 이벤트가 있을 시에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통지방식으로 경고하는 모드이고;
    반자동 설정은 상기 알리미 설정과 동일하게 기 설정된 통지방식으로 등급 별 변화를 경고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전송 버튼을 눌러야만 기 설정된 메시지가 등급이 하락한 관리 인맥의 연락처로 전송이 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60942A 2011-06-23 2011-06-23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1468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942A KR101468891B1 (ko) 2011-06-23 2011-06-23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942A KR101468891B1 (ko) 2011-06-23 2011-06-23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180A KR20130012180A (ko) 2013-02-01
KR101468891B1 true KR101468891B1 (ko) 2014-12-10

Family

ID=4789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942A KR101468891B1 (ko) 2011-06-23 2011-06-23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6575B2 (en) 2014-10-30 2018-06-12 Twitter, Inc. Automated social message stream population
CN105262905A (zh) * 2015-11-20 2016-01-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管理联系人的方法及装置
KR20170103266A (ko) * 2016-03-03 2017-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소셜 데이터 분석장치 및 그 방법
KR102482400B1 (ko) * 2022-07-11 2022-12-29 주식회사 비케이플랜 Sns 광고 관리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174A (ko) * 2008-11-03 2010-05-25 주식회사 케이티 Ims 기반의 지인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130003A (ko) * 2009-06-02 2010-12-1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174A (ko) * 2008-11-03 2010-05-25 주식회사 케이티 Ims 기반의 지인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130003A (ko) * 2009-06-02 2010-12-1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180A (ko)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2145B2 (en) Query processing for online social networks
CN107683486B (zh) 用户事件的具有个人影响性的改变
Kurniawan Older people and mobile phones: A multi-method investigation
US1116572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bimodal auto-response mechanism for messaging applications
WO20141286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act-related information items
US89493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human relations based on analysis of lo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6070888B1 (ja) 健康管理情報処理装置
JP2014523564A (ja) インターネット名刺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468891B1 (ko) 스마트폰의 인프라를 이용한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인맥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US201702869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90392400A1 (en) Social Meeting System
Braithwaite et al. “Love needs to be exchanged”: A diary study of interaction and enactment of the family kinkeeper role
KR102137961B1 (ko)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실시간 즉석만남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3025397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ork schedules
JP6306254B1 (ja) 予約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aliker et al. Remapping the topography of couples’ daily interactions: Electronic messages
Force New considerations for survey researchers when planning and conducting RDD telephone surveys in the US with respondents reached via cell phone numbers
WO2011017699A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and utilize "social dynamic rating" for contacts stored by mobile device users
WO20141286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act-related information items
JP7239124B1 (ja) 地域関心度測定システム、地域関心度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26233A (ko) 보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보험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보험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US20220261735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Personalized Productivity Goals and Monitoring Productivity Behaviors of an Individual Towards the Productivity Goals
JP2018190271A (ja) 評価装置
JP5958173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160133981A (ko)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