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797B1 - 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797B1
KR101468797B1 KR1020130025925A KR20130025925A KR101468797B1 KR 101468797 B1 KR101468797 B1 KR 101468797B1 KR 1020130025925 A KR1020130025925 A KR 1020130025925A KR 20130025925 A KR20130025925 A KR 20130025925A KR 101468797 B1 KR101468797 B1 KR 10146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control valve
air chamber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1729A (en
Inventor
원영식
Original Assignee
원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식 filed Critical 원영식
Priority to KR102013002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797B1/en
Publication of KR2014011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7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7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5Control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by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04B37/16Means for nullifying unswept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3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유해물질을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봉뚜껑이 구비되는 되고, 상기 밀봉뚜껑을 관통하는 흡입관을 가지는 회수통과; 상기 밀봉뚜껑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공기 흡입관과; 상기 공기 흡입관에서 분기되고 제1 제어밸브가 구비되는 제1 관과; 상기 공기 흡입관에서 분기되고 제2 제어밸브가 구비되는 제2 관과; 상기 제1 관이 연결되는 제1 공기통을 가지며, 제1 공기통에는 제1 배기제어밸브를 가지는 제1 배기관이 구비되고, 제1 공기통의 내부에는 공기의 배기와 주입에 의해 수축되고 팽창되는 제1 공기챔버가 구비되는 제1 공기흡입부와; 상기 제2 관이 연결되는 제2 공기통을 가지며, 제2 공기통에는 제2 배기제어밸브를 가지는 제2 배기관이 구비되고, 제2 공기통의 내부에는 공기의 주입과 배기에 의해 수축되고 팽창되는 제2 공기챔버가 구비되는 제2 공기흡입부와; 상기 제1 공기챔버와 상기 제2 공기챔버에 연결되게 구비되고, 제1 공기챔버와 제2 공기챔버의 공기를 순환 이동시켜 제1 공기챔버와 제2 공기챔버를 상호 반대되게 수축 또는 팽창시키는 공기 순환부와; 상기 제1 제어밸브, 제2 제어밸브, 제1 배기제어밸브, 제2 배기제어밸브 및 공기 순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vacuum inhaler for securing the safety of an operator who removes harmful substances by instantaneously and rapidly sucking out harmful substances in a liquid state, and is provided with a sealing li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Withdrawal passage having a suction pipe penetrating the lid; An air suction pipe penetrating the sealing lid; A first pipe branched from the air suction pipe and having a first control valve; A second pipe branching from the air suction pipe and having a second control valve; A first exhaust pipe having a first exhaust control valve is provided in a first air passage, and a first exhaust pipe having a first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 first air intake part having an air chamber; A second exhaust pipe having a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is provided in the second air passage, and a second exhaust pipe, which is contracted and expanded by the injection and exhaust of air, is provided in the second air passage, A second air intake part having an air chamber; And a second air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chamber and the second air chamber to circulate the air in the first air chamber and the second air chamber to circulate the air in the first air chamber and the second air chamber, A circulation par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 valve, the second control valve,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and the air circulation unit; And further comprising:

Description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유해물질을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피부와 접촉이 없이 유해물질을 흡입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vacuum suction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uctioning and removing harmful substances in a liquid state instantaneously and quickly,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workers who remove harmful substan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vacuum inhaler which can be easily removed.

최근 들어 공장등에서 액상의 유해물질이 빈번하게 누출되어 상수원을 오염시키거나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다. 특히 무색의 자극성 액체로 공기 중에서 발연하는 유독성 물질인 불산의 누출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hazardous substances in liquids have frequently leaked from factories, polluting water sources, or polluting the soil. Especially, leakage of hydrofluoric acid, which is a toxic substance that fires in air due to a colorless irritating liquid, is becoming a big problem.

이러한 액상의 유해물질의 누출은 유해물질을 탱크롤리에 옮기는 과정이나, 또는 탱크롤리의 유해물질을 공장의 저장탱크로 옮기는 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제품의 제조 공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나 노후화 된 공장 시설로 인하여 액상 유해물질의 누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Such leakage of harmful substances from the liquid phase frequently occur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harmful substances to the tank rollers, or in transferring the harmful substances of the tank rollers to the storage tanks of the factory. In addition, frequent leakage of harmful substances from liquid due to operator's mistake or aged factory facili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oduct occurs frequently.

그런데 종래에는 유해물질이 누출되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걸레나 흡착포 등을 이용하여 액상 유해물질을 닦아내어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걸레나 흡착포로 액상 유해물질을 닦아내어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Conventionally, when harmful substances leak out, it is common to wipe out liquid harmful substances by using a mop or an absorbent which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s. 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arise in the process of wiping and removing liquid harmful substances with a rag or an absorbent.

먼저 걸레나 흡착포를 사용하여 유해물질을 닦아낼 경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됨에 따라 액상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가 유해물질에 장시간 동안 노출됨으로써,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유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In the case of wiping out harmful substances using a mop or an absorbent, it takes a lot of time, and an operator who removes the harmful substances from the liquid has been exposed to the harmful substances for a long time, thereby giving a deadly harm to the workers.

또한 걸레나 흡착포를 이용하여 유해물질을 닦아내는 과정에서 유해 유해물질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피부에 치명적인 상처를 주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wiping off harmful substances using a rag or an absorbent, hazardous harmful substances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skin, thereby causing a fatal wound to the skin.

또한 유해물질을 닦아낸 걸레나 흡착포 등을 일반 폐기물과 함께 처리함으로써, 유해물질이 하수에 유입되어 상수원을 오염시키거나 토양에 침투되어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있었고, 또한 걸레나 흡착포 등을 소각 처리할 경우에는 유해물질에 포함된 유해 성분이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harmful substances are infiltrated into sewage to pollute the water source or contaminate the soil by contamination of the soil by treating the mop or the absorbent which is wiped with the harmful substance together with the general wastes, There is a problem that harmful components contained in harmful substances ar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nd pollute the atmospher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57785호 “진공흡입장치”(2011.06.01.)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057785 " Vacuum suction device " (2011.06.0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의 유해물질이 누출되면 유해물질을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하고, 작업자의 피부와 접촉이 없이 유해물질을 흡입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인체에 해로운 액상의 유해물질을 고속으로 회전되는 공기펌프에 접촉되거나 흡입되지 않게 별도의 흡입통을 통해 간접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ucking and removing hazardous substances instantaneously and quickly when liquid harmful substances leak, and capable of sucking and removing harmful substances without touching the skin of a worker, The suction port of the vacuum pump can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of the vacuum pump.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제1 공기챔버와 제2 공기챔버를 상호 반대되게 수축 또는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공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suction device which allows a first air chamber and a second air chamber to contract or expan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해가스의 발생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inhal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harmful gas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harmful substanc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물질이 채워진 회수통을 분리하여 세정한 다음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vacuum inhaler which is capable of separating and cleaning a collection box filled with harmful substances and then reusing 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상부에 밀봉뚜껑이 구비되고, 밀봉뚜껑을 관통하는 흡입관을 가지는 회수통과; 상기 밀봉뚜껑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공기 흡입관과; 상기 공기 흡입관에서 분기되고 제1 제어밸브가 구비되는 제1 관과; 상기 공기 흡입관에서 분기되고 제2 제어밸브가 구비되는 제2 관과; 상기 제1 관이 연결되는 제1 공기통을 가지며, 제1 공기통에는 제1 배기제어밸브를 가지는 제1 배기관이 구비되고, 제1 공기통의 내부에는 공기의 배기와 주입에 의해 수축되고 팽창되는 제1 공기챔버가 구비되는 제1 공기흡입부와; 상기 제2 관이 연결되는 제2 공기통을 가지며, 제2 공기통에는 제2 배기제어밸브를 가지는 제2 배기관이 구비되고, 제2 공기통의 내부에는 공기의 주입과 배기에 의해 수축되고 팽창되는 제2 공기챔버가 구비되는 제2 공기흡입부와; 상기 제1 공기챔버와 상기 제2 공기챔버에 연결되게 구비되고, 제1 공기챔버와 제2 공기챔버의 공기를 순환 이동시켜 제1 공기챔버와 제2 공기챔버를 상호 반대되게 수축 또는 팽창시키는 공기 순환부와; 상기 제1 제어밸브, 제2 제어밸브, 제1 배기제어밸브, 제2 배기제어밸브 및 공기 순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관은, 상기 공기 흡입관의 중간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관을 분리 가능하면서 밀봉되게 연결하는 분리형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overy lid having a sealing li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suction pipe penetrating the sealing lid; An air suction pipe penetrating the sealing lid; A first pipe branched from the air suction pipe and having a first control valve; A second pipe branching from the air suction pipe and having a second control valve; A first exhaust pipe having a first exhaust control valve is provided in a first air passage, and a first exhaust pipe having a first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 first air intake part having an air chamber; A second exhaust pipe having a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is provided in the second air passage, and a second exhaust pipe, which is contracted and expanded by the injection and exhaust of air, is provided in the second air passage, A second air intake part having an air chamber; And a second air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chamber and the second air chamber to circulate the air in the first air chamber and the second air chamber to circulate the air in the first air chamber and the second air chamber, A circulation par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 valve, the second control valve,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and the air circulation unit; And the air suction pipe further includes a detachable connector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air suction pipe to detachably and hermetically connect the air suction pi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의 상기 공기 순환부는, 상기 제1 공기챔버에서 인출되며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3 제어밸브와 공기펌프 및 제4 제어밸브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제3 관과, 상기 제2 공기챔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3 제어밸브와 공기펌프 사이의 제1 관에 연결되고 제5 제어밸브가 구비되는 제4 관과, 상기 제4 제어밸브와 공기펌프 사이의 제1 관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 공기챔버와 연결되고 제6 제어밸브가 구비되는 제5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ir circulation unit of the " portable vacuum suction apparatus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control valve, an air pump, and a fourth control valve sequentially arranged in a direction of being drawn out from the first air chamber, A fourth pipe drawn out of the second air chamber and connected to a first pipe between the third control valve and the air pump and having a fifth control valve and a fourth pip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between the fourth control valve and the air pump, And a fifth pipe extending from the pipe and connected to the first air chamber and having a sixth control val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의 상기 제1 공기통은 내부에 구비되어 제1 공기챔버의 팽창을 감지하여 팽창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기통은 내부에 구비되어 제2 공기챔버의 팽창을 감지하여 팽창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근접센서로부터 제1 공기챔버의 팽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3,4 제어밸브 및 제2 배기제어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5,6 제어밸브 및 제1 배기제어밸브를 닫히게 하고, 반대로 상기 제2 근접센서로부터 제2 공기챔버의 팽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5,6 제어밸브 및 제1 배기제어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3,4 제어밸브 및 제2 배기제어밸브를 닫히게 하는 제어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first air chamber of the " portable vacuum suction apparatus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proximity sensor provided inside the first air chamber for sensing the expansion of the first air chamber and outputting an expans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second air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ximity sensor provided inside the second air chamber to sense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hamber and output an expans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are opened to close the second, fifth, and sixth control valves and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and conversely, the second air When the expansion signal of the chamber is inputted, the control is repeated to open the second, fifth, and sixth control valves and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and to close the first,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의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공기챔버가 팽창되는 시간과 반대로 상기 제2 공기챔버가 팽창되는 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공기챔버가 팽창되는 시간이 되면 상기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5,6 제어밸브 및 제1 배기제어밸브를 닫히게 하며, 반대로 제2 공기챔버가 팽창되는 시간이 되면 상기 제2,5,6 제어밸브 및 제1 배기제어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3,4 제어밸브 및 제2 배기제어밸브를 닫히게 하는 제어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control unit of the " portable vacuum suction apparatus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r sets the time at which the second air chamber is inflated as opposed to the time at which the first air chamber is inflated, The first,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1, V3 and V4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are opened and the second, fifth and sixth control valves and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are closed, 2 control valve and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and closes the first,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when the air chamber expand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의 상기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상기 제2 배기관과 제2 배기관에 연결되는 연결 배기관과; 상기 연결 배기관에 연결되는 가스 디텍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ortable vacuum inhaler of the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ion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exhaust pipe and the second exhaust pipe; A gas det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xhaust pipe; And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액상의 유해물질을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고, 작업자의 피부와 접촉이 없이 유해물질을 흡입 제거하여 작업자의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액상의 유해물질을 공기펌프에 접촉되거나 흡입되지 않게 흡입통을 통해 간접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이 공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예방하고, 유해물질이 공기펌프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에 발생되는 펌프의 부식 등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of securing the safety of an operator who removes harmful substances instantaneously and quickly by removing harmful substances in a liquid phase instantaneously and has an effect of sucking and removing toxic substances without contacting the skin of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rmful substances from being diffused into the air by indirectly sucking and removing harmful substances from the liquid through the suction pipe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or inhale the air pump,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s such as corrosion of the pump, which are generated when the pump is introduced into the pump.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제1 공기챔버와 제2 공기챔버를 상호 반대되게 수축 또는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 흡입장치의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chamber and the second air chamber can be contracted or inflat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a simple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acuum suction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액상이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해가스의 발생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해가스의 누출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whether or not a harmful gas i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harmful substances from the liquid phase, so that it is possible to take quick measures when the harmful gas leaks.

또한 본 발명은, 유해물질이 채워진 회수통을 분리하여 세정한 다음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의 영구적으로 회수통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effect of enabling to use the recovery cask almost permanently by separating and cleaning the recovery cask filled with toxic substances and then reus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동 흡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제1 공기흡입부의 작동 상태를,
도 2b는 제1 공기흡입부와 제2 공기 흡입부의 순간 정지 상태를,
도 2c는 제2 공기흡입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vibration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air intake portion,
FIG. 2B shows the instantaneous stop state of the first air intake part and the second air intake part,
2C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air intake p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밀봉뚜껑(11)이 구비되고 밀봉뚜껑(11)을 관통하는 흡입관(12)을 가지는 회수통(1)과, 상기 밀봉뚜껑(11)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공기 흡입관(2)과, 상기 공기 흡입관(2)에서 분기되고 제1 제어밸브(V1)가 구비되는 제1 관(3)과, 상기 공기 흡입관(2)에서 분기되고 제2 제어밸브(V2)가 구비되는 제2 관(4)과, 제1 관(3)이 연결되는 제1 공기흡입부(5)와, 제2 관(4)이 연결되는 제2 공기흡입부(6)와, 제1 공기흡입부(5)와 제2 공기흡입부(6)에 연결되게 구비되는 공기 순환부(7)와, 상기 제1 제어밸브(V1), 제2 제어밸브(V2), 제1 배기제어밸브(521), 제2 배기제어밸브(621) 및 공기 순환부(7)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됨)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tube 1 having a sealing lid 11 and having a suction pipe 12 passing through the sealing lid 11, a sealing lid 11 A first pipe 3 branched from the air suction pipe 2 and provided with a first control valve V1 and a second pipe 3 branched from the air suction pipe 2, A first air intake part 5 connected to the first pipe 3 and a second air intake part 5 connected to the first pipe 3 and a second pipe 4 having a control valve V2, An air circulation part 7 connected to the first air intake part 5 and the second air intake part 6 and the first control valve V1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V2 A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a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ir circulation unit 7.

상기 회수통(1)은 액상의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저장하는 저장탱크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회수통(1)은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봉뚜껑(1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수통(1)은 액상의 유해물질에 대하여 내식성이 강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또는 유리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overy tank (1) serves as a storage tank for sucking and storing liquid harmful substances. And the recovery bin 1 serving as such includes a sealing lid 11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overy cylinder 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metal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having a high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liquid harmful substances.

상기 밀봉뚜껑(11)은 상기 회수통(1)의 상부에 공지된 나사결합이나 억지끼움 또는 걸림 결합 등으로 밀봉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aling lid 11 is preferably hermetic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covery tube 1 by known screwing, interference fit, or engaging.

상기 공기 흡입관(2)은 바닥 등으로 누출된 액상의 유해물질에 접촉되어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공기 흡입관(2)은 직관으로 구성될 수 있고, 길이 조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코일 형상으로 꼬여지게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코일 형상으로 꼬여지게 구성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관(2)은 액상의 유해물질에 대하여 내식성이 강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ir suction pipe (2) is in contact with harmful substances in the liquid which leaks to the floor and plays a role of sucking harmful substances. The air suction pipe 2 having such a function can be constituted by an intuitive pipe, and can be configured to be twisted into a coil shape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In the drawings, the state is shown to be twisted into a coil shape. The air suction pipe 2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liquid harmful substances.

또한, 상기 공기 흡입관(2)은 회수통(1)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를 배기시켜 회수통(1)의 내부에 진공 압력이 걸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공기 흡입관(2)은 상기 밀봉뚜껑(11)에 관통되어 회수통(1)과 연통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관(2)의 중간에는 공기 흡입관(2)을 분리 가능하면서 밀봉되게 연결하는 분리형 커넥터(C)가 더 구비됨으로써, 분리형 커넥터(C)의 분리를 통해 회수통(1)을 용이하게 장치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air suction pipe 2 serves to exhaust the air filled in the collection box 1 to apply a vacuum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ox 1. The air suction pipe 2 having such a function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covery cylinder 1 through the sealing lid 11. The separable connector C separates the air suction pipe 2 from the air suction pipe 2 so that the air suction pipe 2 is detachably and hermetically connected to the air suction pipe 2,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apparatus.

상기 분리형 커넥터(C)는 상기 공기 흡입관(2)을 상호 밀봉되게 연결하고 상호 분리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parable connector C serves to seal the air suction pipes 2 to each other and to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Various types of air suction pipes 2 are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상기 제1 관(3)은 상기 공기 흡입관(2)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공기흡입부(5)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관(4)은 상기 공기 흡입관(2)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 공기흡입부(6)에 연결되는 것이다. The first pipe 3 is branched from the air suction pipe 2 and connected to the first air suction unit 5 and the second pipe 4 is branched from the air suction pipe 2,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intake part (6).

상기 제1 관(3)의 중간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제1 관(3)을 개폐시키는 제1 제어밸브(V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관(4)의 중간에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제2 관(4)을 개폐시키는 제2 제어밸브(V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제어밸브(V1)와 제2 제어밸브(V2)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밸브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
A first control valve (V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pipe (3)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pipe (3)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second control valve (V2) for opening / closing the second pipe (4)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pipe (4). That is, the first control valve V1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V2 are opened or clos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these control valves are already known.

또한, 상기 제1 공기흡입부(5)는 상기 제1 관(3)이 연결되어 회수통(1)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빨아드림으로써 회수통(1)의 내부에 진공 압력이 걸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air intake part 5 is connected to the first pipe 3 and forcibly sucks the air in the recovery cylinder 1 to thereby apply a vacuum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recovery cylinder 1 do.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1 공기흡입부(5)는 상기 제1 관(3)이 연결되는 제1 공기통(51)과, 제1 공기통(51)에 구비되어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가지는 제1 배기관(52)과, 제1 공기통(51)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배기에 의해 수축되고 공기의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제1 공기챔버(53)를 포함한다. The first air intake part 5 has a first air chamber 51 to which the first pipe 3 is connected and a first air discharge control valve 521 provided in the first air chamber 51, And a first air chamber 53 provided inside the first air chamber 51 and contracted by the exhaust of air and expanded by the injection of air.

상기 제1 공기통(51)은 공기를 저장시켰다가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형태가 변형되지 않게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구성되는 바람직하고, 상부와 하부가 막혀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ir cylinder (51) serves to store and discharge air. The first air cylinder (51)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so that its shape is not deformed. desirable.

상기 제1 배기관(52)은 상기 제1 공기통(51)에 채워진 공기를 배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배기제어밸브(521)는 제1 공기통(51)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배출 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배기제어밸브(521)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는데 이러한 배기제어밸브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The first exhaust pipe (52) serves to exhaust air filled in the first air chamber (51).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discharges the air exhausted from the first air cylinder 51.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is opened and clos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Lt; / RTI >

상기 제1 공기챔버(53)는 상기 제1 공기통(51)의 상부에 고정되어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수축성을 가지게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부와 하부가 막혀있는 주름관의 형태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1 공기챔버(53)로 공기가 주입되면 주름관이 하부로 펼쳐져 제1 공기챔버(53)가 팽창되고, 제1 공기챔버(53)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면 주름관이 상부로 접혀져 제1 공기챔버(53)가 수축되는 것이다.
The first air chamber 53 is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ir chamber 51 and protrudes downward. The first air chamber 53 may have various constructions such as shrinkag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Accordingly,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air chamber 53, the corrugated tube is inflated downward to inflate the first air chamber 53. When the air in the first air chamber 53 is exhausted, the corrugated tube is folded upward, The air chamber 53 is contracted.

또한, 상기 제2 공기흡입부(6)는, 상기 제2 관(4)이 연결되어 회수통(1)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빨아드림으로써 회수통(1)의 내부에 진공 압력이 걸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air intake part 6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4 to forcibly suck the air in the recovery bottle 1 to thereby apply a vacuum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recovery bottle 1 .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2 공기흡입부(6)는 상기 제2 관(4)이 연결되는 제2 공기통(61)과, 제2 공기통(61)에 구비되어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가지는 제2 배기관(62)과, 제1 공기통(51)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배기에 의해 수축되고 공기의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제2 공기챔버(63)를 포함한다. The second air intake part 6 serving as the second air intake part 6 has a second air hole 61 to which the second pipe 4 is connected and a second air discharge control valve 621 provided in the second air hole 61, And a second air chamber 63 provided inside the first air chamber 51 and contracted by the exhaust of air and expanded by the injection of air.

상기 제1 공기통(51)은 공기를 저장시켰다가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형태가 변형되지 않게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구성되는 바람직하고, 상부와 하부가 막혀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ir cylinder (51) serves to store and discharge air. The first air cylinder (51)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so that its shape is not deformed. desirable.

상기 제2 배기관(62)은 상기 제2 공기통(61)에 채워진 공기를 배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배기제어밸브(621)는 제2 공기통(61)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배출만 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 배기제어밸브(621)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는데 이러한 배기제어밸브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The second exhaust pipe (62) serves to exhaust air filled in the second air chamber (61).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opens only the air exhausted from the second air cylinder 61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is opened and clos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re already known.

상기 제2 공기챔버(63)는 상기 제2 공기통(61)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수축성을 가지게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부와 하부가 막혀있는 주름관의 형태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2 공기챔버(63)로 공기가 주입되면 주름관이 상부로 펼쳐져 제2 공기챔버(63)가 팽창되고, 제2 공기챔버(63)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면 주름관이 하부로 접혀져 제2 공기챔버(63)가 수축되는 것이다.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air chamber 61 so as to protrude upward. The second air chamber 63 may have various constructions such as shrinkage.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Accordingly,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econd air chamber 63, the corrugated tube is unfolded upward to exp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When the air inside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exhausted, the corrugated tube is folded downward, The air chamber 63 is contracted.

또한, 상기 공기 순환부(7)는 상기 제1 공기챔버(53)와 상기 제2 공기챔버(63)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공기챔버(53)와 제2 공기챔버(63)의 공기를 순환 이동시켜 제1 공기챔버(53)와 제2 공기챔버(63)를 상호 반대되게 수축 또는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air circulation unit 7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so that the air of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the air of the second air chamber 63 Thereby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in opposite directions.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공기 순환부(7)는 상기 제1 공기챔버(53)에서 인출되며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3 제어밸브(V3)와 공기펌프(P) 및 제4 제어밸브(V4)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제3 관(71)과, 상기 제2 공기챔버(63)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3 제어밸브(V3)와 공기펌프(P) 사이의 제1 관(3)에 연결되고 제5 제어밸브(V5)가 구비되는 제4 관(72)과, 상기 제4 제어밸브(V4)와 공기펌프(P) 사이의 제1 관(3)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 공기챔버(53)와 연결되고 제6 제어밸브(V6)가 구비되는 제5 관(73)을 포함한다. The air circulation unit 7 having the above functions is provided with a third control valve V3, an air pump P and a fourth control valve V4 in the direction of being drawn out from the first air chamber 53 A third pipe 71 connected to the first pipe 3 between the third control valve V3 and the air pump P and drawn out from the second air chamber 63, A fourth pipe 72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V5 and a third pipe 72 extending from the first pipe 3 between the fourth control valve V4 and the air pump P, And a fifth pipe 73 connected to the sixth control valve V6.

상기 제3 제어밸브(V3) 및 제4 제어밸브(V4)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밸브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5 제어밸브(V5) 및 제6 제어밸브(V6)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밸브도 이미 공지된 것이다.The third control valve V3 and the fourth control valve V4 are opened or clos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Such a control valve is already known. The fifth control valve V5 and the sixth control valve V6 are opened or clos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상기 공기펌프(P)는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되는 팬을 이용하는 등의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펌프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펌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air pump P sucks and discharges air and uses a fan rotated at a high speed. Such a pump is well known in the art.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ump is omitted. .

따라서 상기 공기 순환부(7)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상기 제1 공기챔버(53)와 제2 공기챔버(63)를 상호 반대되게 수축 또는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 흡입장치의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can be contracted or infl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a simple structure like the air circulation unit 7,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acuum suction apparatus can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상기 제1 공기통(51)은 내부에 구비되어 제1 공기챔버(53)의 팽창을 감지하여 팽창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 근접센서(S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기통(61)은 내부에 구비되어 제2 공기챔버(63)의 팽창을 감지하여 팽창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근접센서(S2)를 더 포함한다. The first air cylinder 51 further includes a first proximity sensor S1 disposed inside the first air chamber 51 to sense the expansion of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output an expans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61)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ximity sensor (S2) provided in the second air chamber (63) to sense the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hamber (63) and output an expans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근접센서(S2)로 부터 제1 공기챔버(53)의 팽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닫히게 하고, 반대로 상기 제2 근접센서(S1)로 부터 제2 공기챔버(63)의 팽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닫히게 하는 제어를 반복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한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When the expansion signal of the first air chamber 53 is input from the first proximity sensor S2,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1, V3, V4, The first and second air control valves 621 and 622 and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control valves 521 and 521 are clos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valves V1, V2, V3, and V3 are opened when the expansion signal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63, , V4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are closed.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configur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상기 제2 배기관(62)과 제2 배기관(62)에 연결되는 연결 배기관(8)과, 상기 연결 배기관(8)에 연결되는 가스 디텍터(9)를 더 포함한다. The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exhaust pipe 8 connected to the second exhaust pipe 62 and the second exhaust pipe 62 and a gas detector 9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xhaust pipe 8 .

상기 가스 디텍터(9)는 제1 공기통(51) 또는 제2 공기통(61)에서 배기되는 공기에 유해가스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검출하면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가스 디텍터(9)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gas detector 9 serves to exhaust air to the outside while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ir cylinder 51 or the second air cylinder 61 contains harmful gas. Are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연결 배기관(8)과 가스 디텍터(9)의 연결은 가스 디텍터(9)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 배기관(8)과 가스 디텍터(9)를 밀봉되게 연결하는 분리형 커넥터(C)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커넥터(C)는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upling exhaust pipe 8 and the gas detector 9 are connected to a detachable connector C for sealingly connecting the exhaust pipe 8 and the gas detector 9 so that the gas detector 9 can be easily separated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m. Since various types of the detachable connector C are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기 가스 디텍터(9)를 통해, 액상이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해가스의 발생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해가스의 누출시 신속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유해가스의 대형 누출사고를 예방하는 장점도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armful gas is generated in the course of removing the harmful substances through the gas detector 9. Therefore,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preventing a large leakage accident of harmful gas by taking prompt action in case of leakage of harmful gas.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동 흡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제1 공기흡입부의 작동 상태를, 도 2b는 제1 공기흡입부와 제2 공기 흡입부의 순간 정지 상태를, 도 2c는 제2 공기흡입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FIG. 2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air s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air suction unit, And 2c denotes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air intake part.

한편 본 발명에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에 앞서, 작동 전에 제1 공기챔버(53)가 팽창되고 제2 공기챔버(63)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Before describ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first air chamber 53 is inflated 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in a contracted state before the operation.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사용하여 누출된 액상의 유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흡입관(12)을 누출된 액상의 유해물질에 접촉시킨다. 1 and 2, the suction tube 12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eaked liquid harmful substance by using the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다음, 외부의 조작을 통해 작동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되면, 상기와 같이 제1 공기챔버(53)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 근접센서(S1)로부터 제1 공기챔버(53)의 팽창 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에서는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닫히게 하며, 공기펌프(P)를 작동시킨다.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external operation, the first air chamber 53 is kept in the expanded state as described above, An infla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Then, the control unit opens the first,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1, V3 and V4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and opens the second and fifth and sixth control valves V2, V5 and V6, The exhaust control valve 521 is closed, and the air pump P is operated.

그러면 상기 제1 공기챔버(53)에 채워진 공기가 공기펌프(P)의 작동을 통해 제2 공기챔버(63)로 이동됨으로써 제1 공기챔버(53)가 수축되고, 이로 인해 제1 공기통(51)의 내부에 진공 압력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기챔버(53)가 수축되는 과정에서 제1 관(3)을 통해 회수통(1)에 채워진 공기가 제1 공기통(51)으로 유입됨으로써, 회수통(1)의 내부에서는 진공압력이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흡입관(12)으로부터 액상의 유해물질이 흡입되어 회수통(1)의 내부에 채워진다. The air filled in the first air chamber 53 is moved to the second air chamber 63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P so that the first air chamber 53 is contracted and the first air chamber 51 The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In the process of contracting the first air chamber 53, the air filled in the recovery tube 1 flows into the first air cylinder 51 through the first tube 3, So that liquid harmful substances are sucked from the suction pipe 12 and filled in the inside of the recovery cylinder 1. [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 공기챔버(53)가 수축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2 공기챔버(63)의 내부로 제1 공기챔버(53)의 공기가 제3 관(71)을 통해 유입됨으로써 제2 공기챔버(63)가 팽창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 공기챔버(63)가 팽창되는 과정에서는 제2 공기통(61)에 채워진 공기가 상기 제2 배기관(62)과 가스 디텍터(9)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process of contracting the first air chamber 53 as described above, the air of the first air chamber 53 flows into the second air chamber 63 through the third pipe 71, The air chamber 63 is inflate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second air chamber 63, air filled in the second air chamber 61 passes through the second exhaust pipe 62 and the gas detector 9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다음, 상기와 같이 제2 공기챔버(53)가 팽창되면, 상기 제2 근접센서(S2)로부터 제2 공기챔버(63)의 팽창 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다시 닫히게 한다. Next, when the second air chamber 53 is inflated as described above, an inflation signal of the second air chamber 63 from the second proximity sensor S2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Then, the control unit opens the second, fifth, and sixth control valves V2, V5, and V6 and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to open the first,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1, V3, And the exhaust control valve 621 is closed again.

그러면 제2 공기챔버(63)가 팽창된 후에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가 개방됨으로써, 공기펌프(P)의 작동에 의해 제2 공기챔버(63)의 채워진 공기가 제1 공기챔버(53)로 다시 이동됨으로써 제2 공기챔버(63)가 수축되고, 이로 인해 제2 공기통(61)의 내부에서는 진공 압력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기챔버(63)가 수축되는 과정에서 제2 관(4)을 통해 회수통(1)에 채워진 공기가 제2 공기통(61)으로 유입됨으로써, 회수통(1)의 내부에서는 진공압력이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흡입관(12)으로부터 액상의 유해물질이 흡입되어 회수통(1)의 내부에 채워진다.The fifth, sixth, and sixth control valves V2, V5, and V6 and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are opened after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inflated, The filled air in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moved back to the first air chamber 53 so that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contracted so that a vacuum pressure is applied inside the second air chamber 61. In the process of contracting the second air chamber 63, the air filled in the recovery tank 1 flows into the second air chamber 61 through the second pipe 4, So that liquid harmful substances are sucked from the suction pipe 12 and filled in the inside of the recovery cylinder 1. [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2 공기챔버(63)가 수축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 공기챔버(53)의 내부로 제2 공기챔버(63)의 공기가 제4 관(72)과 제5 관(73)을 통해 유입됨으로써 제1 공기챔버(53)가 다시 팽창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 공기챔버(53)가 다시 팽창되는 과정에서는 제1 공기통(51)에 채워진 공기가 상기 제1 배기관(52)과 가스 디텍터(9)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process of contracting the second air chamber 63 as described above, the air in the second air chamber 63 flows into the first air chamber 53 through the fourth pipe 72 and the fifth pipe 73 So that the first air chamber 53 is inflated again. In the process of re-inflating the first air chamber 53, the air filled in the first air chamber 51 passes through the first exhaust pipe 52 and the gas detector 9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상기 공기펌프(P)가 작동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 공기챔버(53)와 제2 공기챔버(63)가 상호 반대되게 수축 또는 팽창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액상의 유해물질을 회수통(1)으로 연속되게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air pump P, the process of shrinking or expanding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in opposite directions is repeated, (1).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회수통(1)이 유해물질이 채워지면 공기펌프(P)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액상의 유해물질의 흡입 회수를 완료한다.Finally, when the recovery cylinder 1 is filled with toxic substances,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P is stopped to complete the suction and recovery of the liquid harmful substance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상기와 같이 액상의 유해물질을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Accordingly, the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invention for securing the safety of an operator who removes harmful substances by instantaneously and quickly sucking and removing harmful substances in the liquid phase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상기와 같이, 액상의 유해물질을 공기펌프(P)에 접촉되거나 흡입되지 않게 별도의 흡입통(1)을 통해 간접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이 공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해물질이 공기펌프(P)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에 발생되는 공기펌프(P)의 부식 등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rmful substances from being diffused into the air by indirectly sucking and removing harmful substances from the liquid via the separate suction pipe 1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or sucked into the air pump P. And it is a useful invention to prevent damage such as corrosion of the air pump P generated when harmful substances flow into the inside of the air pump P in advance.

한편, 상기와 같이 액상의 유해물질을 흡입 회수한 다음, 회수통(1)에 채워진 액상의 유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관(3)의 중간에 구비되는 분리형 커넥터(C)를 분리 조작하여 제1 관(3)을 분리한 다음, 회수통(1)을 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내부에 채워진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내부를 청소하는 과정을 통해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Meanwhile, when the harmful substances in the liquid phase are removed by sucking and recovering the liquid harmful substances as described above, the detachable connector C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tube 3 The separa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remove the first pipe 3, and then the waste bin 1 is moved to the waste disposal site to remove the harmful substances therein, and the harmful substances are removed through the cleaning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유해물질이 채워진 회수통(1)을 분리하여 내부를 청소한 다음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의 영구적으로 회수통(1)을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the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almost permanently use the recovery box 1 by separating the recovery bin 1 filled with toxic substances, cleaning the inside of the bin, and reusing it.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제어부는, 상기 제1 공기챔버(53)가 팽창되는 시간과 반대로 상기 제2 공기챔버(63)가 팽창되는 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l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table vacuum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ime when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inflated can be set as a timer as opposed to the time when the first air chamber 53 is expanded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공기챔버(53)가 팽창되는 시간과 상기 제2 공기챔버(63)가 팽창되는 시간이 세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기챔버(53)가 팽창되는 시간이 되면 상기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닫히게 하며, 반대로 제2 공기챔버(63)가 팽창되는 시간이 되면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닫히게 하는 제어를 반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the control unit of the 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chamber 53 is opened 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inflated, with the time of the expansion of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the time of the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hamber 63 set.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1, V3, and V4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are opened while the second, fifth, and sixth control valves V2, V5, and V6 are opened,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control valves 521 and 521 are closed and when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inflated the second and fifth and sixth control valves V2, V5 and V6 and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and to close the first,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1, V3, V4)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따라서 시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6 제어밸브(V1~V6)들과 제1,2 배기제어밸브(521,621)들을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first to sixth control valves V1 to V6 and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control valves 521 and 6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You can do i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회수통
11 : 밀봉뚜껑
12 : 흡입관
2 : 공기 흡입관
3 : 제1 관
4 : 제2 관
5 : 제1 공기흡입부
51 : 제1 공기통
52 : 제1 배기관
521 : 제1 배기제어밸브
53 : 제1 공기챔버
6 : 제2 공기흡입부
61 : 제2 공기통
62 : 제2 배기관
621 : 제2 배기제어밸브
63 : 제2 공기챔버
7 : 공기 순환부
71 : 제3 관
72 : 제4 관
73 : 제5 관
8 : 연결 배기관
9 : 가스 디텍터
P : 공기펌프
V1 ~ V6 : 제1 제어밸브 ~ 제6 제어밸브
C : 분리형 커넥터
1:
11: Sealing lid
12: suction pipe
2: air suction pipe
3: 1st pipe
4: The second pipe
5: First air intake part
51:
52: First exhaust pipe
521: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3: first air chamber
6: Second air intake part
61: Second reservoir
62: Second exhaust pipe
621: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3: second air chamber
7: Air circulation part
71: PART 3
72: Fourth Pipe
73: The fifth tube
8: Connection exhaust pipe
9: Gas detector
P: air pump
V1 to V6: first to sixth control valves
C: Detachable connector

Claims (6)

상부에 밀봉뚜껑(11)이 구비되고, 밀봉뚜껑(11)을 관통하는 흡입관(12)을 가지는 회수통(1)과;
상기 밀봉뚜껑(11)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공기 흡입관(2)과;
상기 공기 흡입관(2)에서 분기되고 제1 제어밸브(V1)가 구비되는 제1 관(3)과;
상기 공기 흡입관(2)에서 분기되고 제2 제어밸브(V2)가 구비되는 제2 관(4)과;
상기 제1 관(3)이 연결되는 제1 공기통(51)을 가지며, 제1 공기통(51)에는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가지는 제1 배기관(52)이 구비되고, 제1 공기통(51)의 내부에는 공기의 배기와 주입에 의해 수축되고 팽창되는 제1 공기챔버(53)가 구비되는 제1 공기흡입부(5)와;
상기 제2 관(4)이 연결되는 제2 공기통(61)을 가지며, 제2 공기통(61)에는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가지는 제2 배기관(62)이 구비되고, 제2 공기통(61)의 내부에는 공기의 주입과 배기에 의해 수축되고 팽창되는 제2 공기챔버(63)가 구비되는 제2 공기흡입부(6)와;
상기 제1 공기챔버(53)와 상기 제2 공기챔버(63)에 연결되게 구비되고, 제1 공기챔버(53)와 제2 공기챔버(63)의 공기를 순환 이동시켜 제1 공기챔버(53)와 제2 공기챔버(63)를 상호 반대되게 수축 또는 팽창시키는 공기 순환부(7)와;
상기 제1 제어밸브(V1), 제2 제어밸브(V2), 제1 배기제어밸브(521), 제2 배기제어밸브(621) 및 공기 순환부(7)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관(2)은, 상기 공기 흡입관(2)의 중간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관(2)을 분리 가능하면서 밀봉되게 연결하는 분리형 커넥터(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1) having a sealing lid (11) on its upper part and having a suction pipe (12) penetrating the sealing lid (11);
An air suction pipe 2 penetrating the sealing lid 11;
A first pipe (3) branched from the air suction pipe (2) and provided with a first control valve (V1);
A second pipe (4) branched from the air suction pipe (2) and provided with a second control valve (V2);
A first exhaust pipe 52 having a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is provided in the first air cylinder 51 and a second exhaust pipe 52 having a first exhaust pipe 521 is provided in the first air cylinder 51. The first air cylinder 51 is connected to the first pipe 3, 51) includes a first air intake part (5) having a first air chamber (53) which is contracted and inflated by exhausting and injecting air;
A second exhaust pipe 62 having a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is provided in the second air pipe 61 and a second exhaust pipe 62 having a second exhaust pipe 621 is provided in the second air pipe 61. The second air pipe 61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4, 61) includes a second air intake part (6) having a second air chamber (63) which is contracted and expanded by the injection and exhaust of air;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irculate the air in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to circulate the air in the first air chamber 53 ) 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opposite to each oth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 valve V1, the second control valve V2,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and the air circulation unit 7; Including,
Wherein the air suction pipe (2) further comprises a detachable connector (C)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air suction pipe (2) and detachably and sealingly connecting the air suction pipe (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부(7)는,
상기 제1 공기챔버(53)에서 인출되며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3 제어밸브(V3)와 공기펌프(P) 및 제4 제어밸브(V4)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제3 관(71)과,
상기 제2 공기챔버(63)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3 제어밸브(V3)와 공기펌프(P) 사이의 제1 관(3)에 연결되고 제5 제어밸브(V5)가 구비되는 제4 관(72)과,
상기 제4 제어밸브(V3)와 공기펌프(P) 사이의 제1 관(3)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 공기챔버(53)와 연결되고 제6 제어밸브(V6)가 구비되는 제5 관(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irculation unit (7)
A third pipe 71 in which a third control valve V3, an air pump P and a fourth control valve V4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being drawn out from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a fourth pipe (5) which is drawn out from the second air chamber (63) and connected to the first pipe (3) between the third control valve (V3) and the air pump 72,
A fifth pipe (5) connected to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having a sixth control valve (V6) drawn out from the first pipe (3) between the fourth control valve (V3) and the air pump 73)
Wherein the vacuum suction device is a vacuum suc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통(51)은 내부에 구비되어 제1 공기챔버(53)의 팽창을 감지하여 팽창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 근접센서(S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기통(61)은 내부에 구비되어 제2 공기챔버(63)의 팽창을 감지하여 팽창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근접센서(S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근접센서(S1)로부터 제1 공기챔버(53)의 팽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닫히게 하고, 반대로 상기 제2 근접센서(S1)로부터 제2 공기챔버(63)의 팽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닫히게 하는 제어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ir cylinder (51) further includes a first proximity sensor (S1) provided inside and sensing an expansion of the first air chamber (53) and outputting an infl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second air chamber (61)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ximity sensor (S2) provided inside the second air chamber (61) to sense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hamber (63) and output an expans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expansion signal of the first air chamber 53 is input from the first proximity sensor S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1, V3, V4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521 are closed and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opened from the second proximity sensor S1,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1, V3, and V4 are opened when the expansion signal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2, V5, and V6 and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are opened, And the control for closing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are repe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공기챔버(53)가 팽창되는 시간과 반대로 상기 제2 공기챔버(63)가 팽창되는 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공기챔버(53)가 팽창되는 시간이 되면 상기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닫히게 하며, 반대로 제2 공기챔버(63)가 팽창되는 시간이 되면 상기 제2,5,6 제어밸브(V2,V5,V6) 및 제1 배기제어밸브(5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3,4 제어밸브(V1,V3,V4) 및 제2 배기제어밸브(621)를 닫히게 하는 제어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sets a time at which the second air chamber (63) expands, as opposed to a time at which the first air chamber (53) is inflated, as a timer,
When the first air chamber 53 expands, the first,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1, V3, and V4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are opened, The control valves V2, V5 and V6 and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are closed and when the second air chamber 63 is inflated, ) And the first exhaust control valve (521) are opened and the first, third and fourth control valves (V1, V3, V4) and the second exhaust control valve (621) are closed. Vacuum suction devic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상기 제2 배기관(62)과 제2 배기관(62)에 연결되는 연결 배기관(8)과;
상기 연결 배기관(8)에 연결되는 가스 디텍터(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n the portable vacuum inhaler,
A connection exhaust pipe 8 connected to the second exhaust pipe 62 and the second exhaust pipe 62;
A gas detector (9)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xhaust pipe (8);
Wherein the vacuum su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KR1020130025925A 2013-03-12 2013-03-12 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 KR1014687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925A KR101468797B1 (en) 2013-03-12 2013-03-12 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925A KR101468797B1 (en) 2013-03-12 2013-03-12 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729A KR20140111729A (en) 2014-09-22
KR101468797B1 true KR101468797B1 (en) 2014-12-08

Family

ID=5175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925A KR101468797B1 (en) 2013-03-12 2013-03-12 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79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951A (en) * 1999-11-16 2001-08-03 Reika Kogyo Kk Metering pump device
KR20110057785A (en) * 2009-11-25 2011-06-01 지효근 The dirt automatic exhaust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951A (en) * 1999-11-16 2001-08-03 Reika Kogyo Kk Metering pump device
KR20110057785A (en) * 2009-11-25 2011-06-01 지효근 The dirt automatic exhaust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729A (en)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72557B (en) A kind of purging purifica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CN205367708U (en) High pure chemistry liquid discharge apparatus
CN101121056A (en) Medical negative pressure suction device using disposable collecting bag
KR102028094B1 (en) A transformer vacuum oil filter
KR101552679B1 (en) Pipe cleaning devices that provides the ability to detect leaks
KR101468797B1 (en) 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
JP6547105B2 (en) How to clean the tank
KR101522658B1 (en) A cleaning and check device of a underground facility
CN201470640U (en) Ultrasonic container for washing battery shell
KR101538925B1 (en) Vacuum cleaner for cleaning chemical
KR101437765B1 (en) 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
CN105344141A (en) Suction filtration device for laboratory
JP3151843U (en) Gas introduction device
CN201073497Y (en) Medical vacuum suction device using disposable collecting bag
JP2009029448A (en) Filling apparatus
KR101259830B1 (en) removing apparatus for vapour and scum of in-situ soil purification system
KR200475559Y1 (en) Fume removal apparatu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hamber
CN210427479U (en) Detect tail gas and prevent suck-back processing apparatus
CN205538111U (en) Medicine bottle leakproofness detection device for biological medicine
CN109655367A (en) It is a kind of to be drawn platform and be drawn the cleaning detection method of platform using this
JP6319744B2 (en) Decontamination liquid spraying device
CN206448914U (en) A kind of defeated power set changed trains or buses of harmful liquid
CN211828161U (en) Movable retention equipment for treating radioactive inert gas in container
CN211317869U (en) Extraction liquid and heterogeneous liquid sample separation device
KR20060047121A (en) Recovery device of chemical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