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598B1 - 이종 네트워크들에서 잡음 패딩 기술들 - Google Patents

이종 네트워크들에서 잡음 패딩 기술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598B1
KR101468598B1 KR1020127029750A KR20127029750A KR101468598B1 KR 101468598 B1 KR101468598 B1 KR 101468598B1 KR 1020127029750 A KR1020127029750 A KR 1020127029750A KR 20127029750 A KR20127029750 A KR 20127029750A KR 101468598 B1 KR101468598 B1 KR 101468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uplink transmission
noise
received
pa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103A (ko
Inventor
하오 수
팅팡 지
렌퀴우 왕
듀가 프라사드 말라디
마드하반 스리니바산 바자페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04J11/00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6Inter-base st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방법은 사용자 장비의 수신된 업링크 송신에서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그리고 주파수 도메인 파티션, 서브프레임이 보호되는지 여부, 및/또는 사용자 장비 유형에 또한 기초하여, 수신된 업링크 송신이 잡음 패딩된다.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들에서 잡음 패딩 기술들{NOISE PADDING TECHNIQUES IN HETEROGENEOUS NETWORKS}
본 출원은, 2010년 4월 13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NOISE PADDING TECHNIQUES IN HETEROGENEOUS NETWORKS (HETNET)"인 미국 가특허출원 제 61/323,855호에 대한 이익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의 개시는 그 전체가 명백하게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이종(heterogeneou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잡음 패딩(padding)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널리 배치되어 있다. 이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및 싱글 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기지국은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UE에 송신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은, 이웃 기지국들로부터 또는 다른 무선 라디오 주파수(RF) 송신기들로부터의 송신들에 기인한 간섭에 직면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의 송신은, 이웃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다른 UE들의 업링크 송신들로부터 또는 다른 무선 RF 송신기들로부터의 간섭에 직면할 수 있다. 이 간섭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모두에 대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를 계속함에 따라, 더 많은 UE들이 장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고 더 많은 단거리 무선 시스템들이 지역사회들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혼잡한 네트워크들 및 간섭의 가능성들이 증가한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모바일 통신들에 의한 사용자 경험을 진보시키고 향상시키기 위해, UMTS 기술들을 진보시키려는 조사 및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의 수신된 업링크 송신에서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신된 업링크 송신은,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그리고 주파수 도메인 파티션, 서브프레임이 보호되는지 여부 및/또는 사용자 장비 유형에 또한 기초하여 잡음 패딩된다(noise padded).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에서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증가된 간섭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력 제어 커맨드 및/또는 레이트 제어 커맨드는 계산된 간섭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에 직접 시그널링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사용자 장비의 수신된 업링크 송신에서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는 또한,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그리고 주파수 도메인 파티션, 서브프레임이 보호되는지 여부 및/또는 사용자 장비 유형에 기초하여, 수신된 업링크 송신을 잡음 패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에서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증가된 간섭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계산된 간섭에 응답하여 전력 제어 커맨드 및/또는 레이트 제어 커맨드를 UE에 직접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이 또한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개시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의 수신된 업링크 송신에서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다.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그리고 주파수 도메인 파티션, 서브프레임이 보호되는지 여부 및/또는 사용자 장비 유형에 기초하여, 수신된 업링크 송신을 잡음 패딩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에서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개시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고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증가된 간섭을 계산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다.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계산된 간섭에 응답하여 전력 제어 커맨드 및/또는 레이트 제어 커맨드를 UE에 직접 시그널링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프로세서(들)는 UE(사용자 장비)의 수신된 업링크 송신에서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또한,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그리고 주파수 도메인 파티션, 서브프레임이 보호되는지 여부 및/또는 사용자 장비 유형에 기초하여, 수신된 업링크 송신을 잡음 패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에서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메모리 및 메모리에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다. 프로세서(들)는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고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증가된 간섭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계산된 간섭에 응답하여 전력 제어 커맨드 및/또는 레이트 제어 커맨드를 UE에 직접 시그널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이 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특징들 및 기술적 이점들을 오히려 광범위하게 요약하였다. 본 개시의 추가적 특징들 및 이점들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는 본 개시의 동일한 목적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구조들을 변형 또는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인식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한 구조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기술되는 본 개시의 교시들을 벗어나지 않음을 당업자들은 인식해야 한다. 추가적 목적들 및 이점들과 함께 본 개시의 특징으로 믿어지는 본 개시의 구성 및 동작 방법 모두에 대한 것으로서의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각각의 도면들은 오직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개시의 제한들에 대한 정의로 의도되지 않음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의 특징들, 성질들 및 이점들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아래에서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고,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도면 전체에서 대응하도록 식별된다.
도 1은 전기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전기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업링크 통신들에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되는 기지국/eNodeB 및 UE의 설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라 이종 네트워크에서 적응형 자원 파티셔닝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6c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라 펨토 기지국의 수신기 프론트 엔드(front end)에서 상이한 포인트들에서의 잡음 패딩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른 서브프레임-기반 잡음 패딩을 도시하는 일례이다.
도 8a-8b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잡음 패딩을 이용하는 캐주얼(casual) 및 넌-캐주얼 자동 이득 보상(AGC)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9a-9b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잡음 패딩 기술들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들을 도시하는 블록도들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표현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개념들이 이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몇몇 예들에서,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공지된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싱글-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은 종종 상호교환하여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은 광대역-CDMA(W-CDMA) 및 로우 칩 레이트(LCR)를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UTRA(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플래쉬-OFDM®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유니버셜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롱 텀 에볼루션(LTE)은,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다가올 릴리스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된다.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된다. 이 다양한 라디오 기술들 및 표준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명확화를 위해, 이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은 LTE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고, 하기 설명의 대부분에서 이러한 LTE 용어가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종종 상호교환하여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TIA(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의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기술은 광대역 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 기술은 EIA(Electronics Industry Alliance) 및 TIA로부터의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쉬-OFDM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 기술들은 유니버셜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및 LTE-어드밴스드(LTE-A)는,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더 새로운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전술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이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은 LTE 또는 LTE-A(대안적으로 이들은 함께 "LTE/-A"로 지칭됨)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고, 하기 설명의 대부분에서 이러한 LTE/-A 용어를 이용한다.
도 1은 LTE-A 네트워크일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이볼브드 노드 B들(eNodeB들)(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eNodeB는 UE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일 수 있고, 또한 기지국,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eNodeB(11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3GPP에서, 용어 "셀"은 이 용어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eNodeB의 이러한 특정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ode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eNodeB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유형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반경이 수 킬로미터인 영역)을 커버하고,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한 서비스 가입들을 갖는 UE들에 의한 제한 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 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더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 있고,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한 서비스 가입들을 갖는 UE들에 의한 제한 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 셀은 또한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집)을 커버할 수 있고, 제한 없는 액세스에 부가하여, 또한 그 펨토 셀과 연관성을 갖는 UE들(예를 들어,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UE들, 집의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eNodeB는 매크로 eNodeB로 지칭될 수 있다. 피코 셀에 대한 eNodeB는 피코 eNodeB로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펨토 셀에 대한 eNodeB는 펨토 eNodeB 또는 홈 eNodeB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eNodeB들(110a, 110b 및 110c)은 각각 매크로 셀들(102a, 102b 및 102c)에 대한 매크로 eNodeB들이다. eNodeB(110x)는 피코 셀(102x)에 대한 피코 eNodeB이다. 그리고, eNodeB들(110y 및 110z)은 각각 펨토 셀들(102y 및 102z)에 대한 펨토 eNodeB들이다. eNodeB는 하나 또는 다수의(예를 들어, 2개, 3개, 4개 등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중계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국은, 상위 스테이션(예를 들어, eNodeB 또는 UE)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수신하고 하위 스테이션(예를 들어, UE 또는 eNodeB)으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이다. 중계국은 또한, 다른 UE들에 대한 송신들을 중계하는 UE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중계국(110r)은 eNodeB(110a)와 UE(120r)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eNodeB(110a) 및 UE(120r)와 통신할 수 있다. 중계국은 또한 중계 eNodeB, 중계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어, 매크로 eNodeB들, 피코 eNodeB들, 펨토 eNodeB들, 중계기들 등과 같은 상이한 유형들의 eNodeB들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 상이한 유형들의 eNodeB들은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상이한 송신 전력 레벨들,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 및 상이한 간섭 영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eNodeB들은 높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어, 20 와트)을 가질 수 있는 한편, 피코 eNodeB들, 펨토 eNodeB들 및 중계기들은 더 낮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어, 1 와트)을 가질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동기식 동작의 경우, eNodeB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eNodeB들로부터의 송신들은 대략적으로 시간상 정렬될 수 있다. 비동기식 동작의 경우, eNodeB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eNodeB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상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100)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또는 시분할 듀플렉스(TDD) 동작 모드들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FDD 또는 TDD 동작 모드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eNodeB들(110)의 세트에 커플링할 수 있고, 이 eNodeB들(110)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백홀을 통해 eNodeB들(110)과 통신할 수 있다. eNodeB들(110)은 또한, 예를 들어, 유선 백홀 또는 무선 백홀을 통해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들(120)은 무선 네트워크(100)에 걸쳐 산재되고, 각각의 UE는 고정식이거나 이동식일 수 있다. UE는 또한 단말, 이동국,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UE는 셀룰러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탑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태블릿 등일 수 있다. UE는 매크로 eNodeB들, 피코 eNodeB들, 펨토 eNodeB들, 중계기들 등과 통신 가능할 수 있다. 도 1에서, 이중 화살표들을 갖는 실선은 UE와 서빙 eNodeB 사이의 원하는 송신들을 표시하고, 서빙 eNodeB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eNodeB이다. 이중 화살표들을 갖는 점선은 UE와 eNodeB 사이에서 간섭하는 송신들을 표시한다.
LTE는 다운링크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및 업링크 상에서 싱글-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SC-FDM)을 이용한다. OFDM 및 SC-FDM은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K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셔닝하며, 이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통상적으로 톤(tone)들, 빈(bin)들 등으로 지칭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에서 및 SC-FDM에 의해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인접한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간격(spacing)은 고정될 수 있고, 서브캐리어들의 총 수(K)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들의 간격은 15 kHz일 수 있고, 최소 자원 할당('자원 블록'으로 지칭됨)은 12개의 서브캐리어들(또는, 180 kHz)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칭 FFT 사이즈는 1.25, 2.5, 5, 10 또는 20 메가헤르쯔(MHz)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28, 256, 512, 1024 또는 2048과 동일할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부대역(sub-band)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대역은 1.08 MHz(즉, 6개의 자원 블록들)를 커버할 수 있고, 1.25, 2.5, 5, 10 또는 20 MHz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 2, 4, 8 또는 16개의 부대역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LTE에서 이용되는 다운링크 FDD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다운링크에 대한 송신 타임라인은 라디오 프레임들 단위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예를 들어, 10 밀리초(ms))을 가질 수 있고, 0 내지 9의 인덱스들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0 내지 19의 인덱스들을 갖는 20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L개의 심볼 기간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의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경우 7개의 심볼 기간들 또는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경우 6개의 심볼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의 2L개의 심볼 기간들은 0 내지 2L-1의 인덱스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이용가능한 시간 주파수 자원들은 자원 블록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블록은 하나의 슬롯 내에 N개의 서브캐리어들(예를 들어,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커버할 수 있다.
LTE에서, eNodeB는 eNodeB 내의 각각의 셀에 대해 기본(primary) 동기화 신호(PSC 또는 PSS) 및 보조(secondary) 동기화 신호(SSC 또는 SSS)를 전송할 수 있다. FDD 동작 모드의 경우, 기본 및 보조 동기화 신호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의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갖는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들 0 및 5 각각에서 심볼 기간들 6 및 5에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동기화 신호들은 셀 검출 및 획득을 위해 UE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FDD 동작 모드의 경우, eNodeB는 서브프레임 0의 슬롯 1 내의 심볼 기간들 0 내지 3에서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을 전송할 수 있다. PBCH는 특정한 시스템 정보를 반송(carry)할 수 있다.
eNode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 1 심볼 기간에서 물리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을 전송할 수 있다. PCFICH는 제어 채널들에 대해 이용되는 심볼 기간들의 수(M)를 전달할 수 있고, M은 1, 2 또는 3과 동일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마다 변할 수 있다. M은 또한, 예를 들어, 10개 미만의 자원 블록들을 갖는 작은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서는 4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M=3이다. eNode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최초 M개의 심볼 기간들에서 물리 HARQ 표시자 채널(PHICH)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PDCCH 및 PHICH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최초 3개의 심볼 기간들에 포함된다. PHICH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HARQ)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PDCCH는 업링크 채널들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 및 UE들에 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eNode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심볼 기간들에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전송할 수 있다. PDSCH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대해 스케줄링되는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다.
eNodeB는, eNodeB에 의해 이용되는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1.08 MHz에서 PSC, SSC 및 PBCH를 전송할 수 있다. eNodeB는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PCFICH 및 PHICH를 전송할 수 있고,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이 채널들이 전송된다. eNodeB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한 부분들에서 UE들의 그룹들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eNodeB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한 부분들에서 UE들의 그룹들에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eNodeB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모든 UE들에 PSC, SSC, PBCH, PCFICH 및 PHICH를 전송할 수 있고,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한 UE들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한 UE들에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다수의 자원 엘리먼트들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엘리먼트는 하나의 심볼 기간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를 커버할 수 있고, 실수 또는 복소수 값일 수 있는 하나의 변조 심볼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 채널들에 이용되는 심볼들의 경우,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기준 신호에 이용되지 않은 자원 엘리먼트들은 자원 엘리먼트 그룹(REG)들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REG는 하나의 심볼 기간에 4개의 자원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PCFICH는 4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고, 이들은 심볼 기간 0에서 주파수에 걸쳐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PHICH는 3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고, 이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성가능한 심볼 기간들에서 주파수에 걸쳐 확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CH에 대한 3개의 REG들은 모두 심볼 기간 0에 속할 수 있거나, 심볼 기간들 0, 1 및 2에서 확산될 수 있다. PDCCH는 9, 18, 36 또는 72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고, 이들은, 최초 M개의 심볼 기간들에서, 이용가능한 REG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PDCCH에 대해 REG들의 특정한 조합들만이 허용될 수 있다.
UE는 PHICH 및 PCFICH에 대해 이용되는 특정한 REG들을 알 수 있다. UE는 PDCCH에 대해 REG들의 상이한 조합들을 탐색할 수 있다. 탐색할 조합들의 수는 통상적으로 PDCCH의 모든 UE들에 대해 허용되는 조합들의 수 미만이다. eNodeB는, UE가 탐색할 조합들 중 임의의 조합에서 UE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UE는 다수의 eNodeB들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수 있다. 이 eNodeB들 중 하나가 UE를 서빙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서빙 eNodeB는 수신 전력, 경로 손실, 신호-대-잡음비(SNR)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업링크 롱 텀 에볼루션(LTE) 통신들에서 예시적인 FDD 및 TDD(특수하지 않은 서브프레임 전용) 서브프레임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업링크에 대해 이용가능한 자원 블록(RB)들은 데이터 섹션 및 제어 섹션으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제어 섹션은 시스템 대역폭의 2개의 에지(edge)들에 형성될 수 있고, 구성가능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섹션의 자원 블록들은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UE들에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섹션은 제어 섹션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자원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설계는 데이터 섹션이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게 하고, 이것은, 단일 UE가 데이터 섹션의 모든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을 할당받게 할 수 있다.
UE는 제어 정보를 eNodeB에 송신하기 위해 제어 섹션의 자원 블록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UE는 또한 데이터를 eNodeB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섹션의 자원 블록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UE는 제어 섹션의 할당받은 자원 블록들 상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UE는 데이터 섹션의 할당받은 자원 블록들 상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서 데이터만을 송신하거나 데이터 및 제어 정보 모두를 송신할 수 있다. 업링크 송신은 서브프레임의 두 슬롯들 모두에 걸쳐있을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에 걸쳐 홉핑(hop)할 수도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완화된(relaxed) 싱글 캐리어 동작에서, UL 자원들 상에서 병렬 채널들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및 데이터 채널, 병렬 제어 채널들 및 병렬 데이터 채널들이 UE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LTE/-A에서 이용되는 PSC, SSC, CRS, PBCH, PUCCH, PUSCH 및 다른 이러한 신호들 및 채널들은,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로 명명된 3GPP TS 36.211에 제시되어 있고, 이는 공개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기지국들/eNodeB들 중 하나 및 UE들 중 하나일 수 있는, 기지국/eNodeB(110) 및 UE(120)의 일 설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기지국(110)은 도 1의 매크로 eNodeB(110c)일 수 있고, UE(120)는 UE(120y)일 수 있다. 기지국(110)은 또한 몇몇 다른 유형의 기지국일 수 있다. 기지국(110)에는 안테나들(434a 내지 434t)이 구비될 수 있고, UE(120)에는 안테나들(452a 내지 452r)이 구비될 수 있다.
기지국(110)에서, 송신 프로세서(420)는 데이터 소스(412)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440)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PBCH, PCFICH, PHICH, PDC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데이터는 PDS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볼 맵핑)하여,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 심볼들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또한, 예를 들어, PSS, SSS 및 셀-특정 기준 신호에 대해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TX)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프로세서(430)는, 적용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또는 기준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예를 들어,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변조기들(MODs)(432a 내지 432t)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432)는 각각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4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로 프로세싱(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변조기들(432a 내지 432t)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434a 내지 434t)을 통해 각각 송신될 수 있다.
UE(120)에서, 안테나들(452a 내지 452r)은 기지국(110)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기들(DEMODs)(454a 내지 454r)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4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454)는 입력 샘플들을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추가로 프로세싱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456)는 모든 복조기들(454a 내지 454r)로부터의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하다면 수신된 심볼들에 대해 MIMO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458)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고, UE(120)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460)에 제공하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480)에 제공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는, UE(120)에서, 송신 프로세서(464)가 데이터 소스(462)로부터의 (예를 들어, PUSCH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480)로부터의 (예를 들어, PUCCH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464)는 또한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64)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466)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변조기들(454a 내지 454r)에 의해 (예를 들어, SC-FDM 등을 위해) 추가로 프로세싱되고, 기지국(110)에 송신될 수 있다. 기지국(110)에서, UE(120)에 의해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UE(12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434)에 의해 수신되고, 복조기들(432)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436)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 프로세서(438)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438)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439)에 제공할 수 있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440)에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441)를 통해 메시지들을 다른 기지국들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440 및 480)은 기지국(110) 및 UE(120)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direct)할 수 있다. 기지국(110)에서의 프로세서(4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대한 다양한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UE(120)에서의 프로세서(48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도 9a-9b에 도시된 기능 블록들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대한 다른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442 및 482)은 기지국(110) 및 UE(120)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444)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라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TDM 파티셔닝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블록들의 제 1 행은 펨토 eNodeB에 대한 서브프레임 할당들을 도시하고, 블록들의 제 2 행은 매크로 eNodeB에 대한 서브프레임 할당들을 도시한다. eNodeB들 각각은 정적 보호된 서브프레임을 갖고, 그 동안 다른 eNodeB는 정적 금지된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예를 들어, 펨토 eNodeB는, 서브프레임 0에서 금지된 서브프레임(N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서브프레임 0에서 보호된 서브프레임(U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유사하게, 매크로 eNodeB는, 서브프레임 7에서 금지된 서브프레임(N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서브프레임 7에서 보호된 서브프레임(U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서브프레임들 1-6은 보호된 서브프레임들(AU), 금지된 서브프레임들(AN) 및 공통 서브프레임들(AC) 중 하나로서 동적으로 할당된다. 서브프레임들 5 및 6에서 동적으로 할당된 공통 서브프레임들(AC) 동안, 펨토 eNodeB 및 매크로 eNodeB 모두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U/AU 서브프레임들과 같은) 보호된 서브프레임들은, 침략(aggressor) eNodeB들이 송신하는 것이 금지되기 때문에, 감소된 간섭 및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다. (N/AN 서브프레임들과 같은) 금지된 서브프레임들은 어떠한 데이터 송신도 갖지 않아서, 피해(victim) eNodeB들이 낮은 간섭 레벨들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허용한다. (C/AC 서브프레임들과 같은) 공통 서브프레임들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웃 eNodeB들의 수에 의존하는 채널 품질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이웃 eNodeB들이 공통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으면, 공통 서브프레임들의 채널 품질은 보호된 서브프레임들보다 더 낮을 수 있다. 공통 서브프레임들 상의 채널 품질은 또한, 침략 eNodeB들에 의해 강하게 영향받는 확장된 경계 영역(EBA) UE들의 경우 더 낮을 수 있다. EBA UE는 제 1 eNodeB에 속할 수 있지만, 또한 제 2 eNodeB의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펨토 eNodeB 커버리지의 레인지 한계 근처에 있는 매크로 eNodeB와 통신하는 UE가 EBA UE이다.
LTE/-A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간섭 관리 방식은 느린-적응형 간섭 관리이다. 간섭 관리에 대해 이 접근방식을 사용하면, 스케줄링 인터벌들보다 훨씬 더 큰 시간 스케일들 동안 자원들이 협상 및 할당된다. 이 방식의 목적은, 네트워크의 전체 활용도를 최대화시키는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들의 전부에 대해, 송신하는 eNodeB들 및 UE들의 전부에 대한 송신 전력들의 조합을 발견하는 것이다. "활용도"는 사용자 데이터 레이트들, 서비스 품질(QoS) 플로우들의 지연들, 및 공정성(fairness) 메트릭들의 함수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최적화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든 정보로의 액세스를 갖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어기(130; 도 1)와 같이, 송신하는 엔티티들 모두에 대한 제어를 갖는 중앙 엔티티에 의해 컴퓨팅될 수 있다. 이 중앙 엔티티는 항상 실용적이지는 않거나 심지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대안적인 양상들에서, 특정한 세트의 노드들로부터의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자원 이용 판정들을 수행하는 분산형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느린-적응형 간섭 알고리즘은 중앙 엔티티를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이 알고리즘을 네트워크의 다양한 세트들의 노드들/엔티티들에 분산시킴으로써 배치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들의 배치들에서, UE는 지배적(dominant) 간섭 시나리오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시나리오에서 UE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간섭하는 eNodeB들로부터 높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지배적인 간섭 시나리오는 제한된 연관(association)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UE(120y)는 펨토 eNodeB(110y)에 근접할 수 있고, eNodeB(110y)에 대해 높은 수신 전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UE(120y)는 제한된 연관에 기인하여 펨토 eNodeB(110y)에 액세스가능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크로 eNodeB(110c) 또는 또한 더 낮은 수신 전력을 갖는 펨토 eNodeB(110z)(도 1에는 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다. 그 다음, UE(120y)는 다운링크 상에서 펨토 eNodeB(120y)로부터 높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고, 또한 업링크 상에서 eNodeB(110y)에 높은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향상된 간섭 조정을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들은, 자신의 자원들의 일부를 포기하는 간섭하는 셀에 의한 간섭을 감소 및/또는 제거하기 위해 자원들을 조정하도록 서로 협상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조정된 간섭 관리(coordinated interference management)를 이용하여, 매크로 eNodeB(110c) 및 펨토 eNodeB(110y)는 자원들을 협상하기 위해 백홀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 협상에서, 펨토 eNodeB(120y)는 자신의 채널 자원들 중 하나를 통한 송신을 중단하는 것에 동의하여, UE(120y)가 그와 동일한 채널을 통해 eNodeB(110c)와 통신할 때와 같이 큰 간섭을 펨토 eNodeB(110y)로부터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펨토 eNodeB(110y)가 자원들을 양보하도록 협상함으로써, 펨토 셀 커버리지 영역 하의 매크로 UE(120y)는 이 양보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서빙 매크로 셀(102c)에 여전히 액세스가능할 수 있다. OFDM을 이용하는 라디오 액세스 시스템에서, 양보된 자원들은 시간 기반, 주파수 기반 또는 이 둘의 조합일 수 있다. 조정된 자원 파티셔닝이 시간 기반인 경우, 간섭하는 셀은 시간 도메인에서 서브프레임들의 일부를 단순히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조정된 자원 파티셔닝이 주파수 기반인 경우, 간섭하는 셀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서브캐리어들을 양보할 수 있다. 조정된 자원 파티셔닝이 주파수 및 시간 모두의 조합인 경우, 간섭하는 셀은 주파수 및 시간 자원들을 양보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배적 간섭 시나리오에서 UE들에서 관측되는 신호 전력에서의 불일치(discrepancy)들에 부가하여, 심지어 동기식 시스템들에서도, UE들과 다수의 eNodeB들 사이의 상이한 거리들에 기인하여 다운링크 신호들의 타이밍 지연들이 또한 UE들에 의해 관측될 수 있다. 동기식 시스템의 eNodeB들은 시스템에 걸쳐 추정적으로(presumptively) 동기화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매크로 eNodeB로부터 5 ㎞의 거리에 있는 UE를 고려하면, 그 매크로 eNodeB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다운링크 신호들의 전파 지연은 대략 16.67 ㎲ (5 ㎞ ÷ 3 x 108(즉, 광속 'c')) 지연될 것이다. 매크로 eNodeB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훨씬 더 가까운 펨토 eNodeB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와 비교하면, 타이밍 차는 타임-투-라이브(TTL; time-to-live) 에러의 레벨에 근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타이밍 차는 UE에서의 간섭 제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간섭 제거는 종종 동일한 신호의 다수의 버전들의 조합 사이의 상호 상관 특성들을 이용한다. 동일한 신호의 다수의 카피들을 결합함으로써 간섭은 더 쉽게 식별될 수 있는데, 이것은, 신호의 각각의 카피에 대해 간섭이 존재할 것이지만 이 간섭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합된 신호들의 상호 상관을 이용하여, 실제 신호 부분이 결정될 수 있고 간섭으로부터 구별될 수 있고, 따라서, 간섭이 제거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전력 클래스들은 상이한 eNodeB들에 걸쳐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들은 46 dBm의 공칭 송신 전력을 가질 수 있고, 피코 셀들은 30 dBm의 공칭 송신 전력을 가질 수 있고, 펨토 셀들은 21 dBm의 공칭 송신 전력을 가질 수 있다. 모든 UE들이 매크로 및 피코 셀들에 접속할 수 있는 반면, 선택된 UE들만이 펨토 셀들에 접속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매크로 및 펨토 셀 간섭 관리의 예들이 도시 및 설명되지만, 잠재적인 간섭은 피코 셀, 다른 펨토 셀, 중계기, WiFi 액세스 단말 또는 블루투스 트랜시버 등과 연관된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매크로 셀과 펨토 셀 사이의 송신 전력 차들에 기인하여, UE가 펨토 셀을 발견하기 전에 또는 UE가 라디오 링크 실패(RLF)를 선언하기 전에, UE는 펨토 셀에 높은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매크로 UE와 펨토 UE 사이의 대략 18 dB의 송신 전력 차에 기인하여, UE가 매크로 및/또는 펨토 셀로부터 동일한 다운링크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UE는 펨토 셀에 더 높은 업링크 간섭을 가질 것이다. 릴리스 8 UE는 어드밴스드 ICIC 방식들을 수행하지 못할 것이다. 릴리스 8 UE가 펨토 셀에 점점 더 근접하게 이동함에 따라, 다운링크 간섭은 더 강해질 것이다. 다운링크 간섭이 너무 강한 경우, UE는 라디오 링크 실패를 선언하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상실할 것이다. TDM 자원 파티셔닝은 다운링크 간섭을 감소시키는 하나의 방법이지만, TDM 파티셔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업링크 간섭은 계속될 것이다.
릴리스 8 UE들의 경우, 특정한 채널들(예를 들어, CQI(채널 품질 표시자), SRS(사운딩(sounding) 기준 신호들) 및 SR(스케줄링 요청))의 디폴트 주기성은 8의 배수들이 아니고, 채널들은 특정한 인터벌들에서 펨토 eNodeB의 보호된 서브프레임들(즉, U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릴리스 8 매크로 UE가 인근에 있는 동안 펨토 eNodeB는 이러한 제어 채널들로부터 간섭을 겪을 수 있다.
이종 환경에서, 강한 재머(jammer)는 몇몇 서브프레임들과 간섭할 수 있지만, 다른 서브프레임들에서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간섭 조건들에 따라, 상이한 전력 제어 루프들, 레이트 제어 루프들, 소거 통계들, 및 라디오 링크 모니터링(RLM)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간섭 조건들을 처리하기 위해 잡음 패딩을 활용한다. 잡음 패딩 기술들은 수신된 신호들을 정규화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잡음 패딩은 강한 재머의 검출시에 트리거링될 수 있고, 재머가 멀어질 때 잡음 패딩으로부터 전이하기 위해 지수적 패딩 감쇠(exponential padding decay)가 활용될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은 언제 재머가 멀어지고 간섭을 끝낼지를 알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지수적 패딩 감쇠는, 일단 잡음 패딩이 트리거링되고 트리거링 이벤트들이 사라졌을 때, 잡음 패딩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한다.
일 예에서, 잡음 패딩의 이용은 제어 루프들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신호-대-잡음비 및 입력 신호 변동(variation)들은 감소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잡음 패딩은 높은 간섭 변동들을 방지하기 위해 eNodeB 측에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강한 간섭 변동들이 존재하는 경우 큰 AGC(자동 이득 제어) 스윙(swing)을 방지하기 위해, 잡음 패딩은 UE 측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잡음 패딩은 다양한 이벤트들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음 패딩은 잠재적 간섭자들에 대해 eNodeB들 사이에서 명시적으로 교환된 정보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의 경우, 잡음 패딩은 간섭 레벨 변경들의 학습 또는 eNodeB 측정들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잡음 패딩은 다양한 수단들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음 패딩은 간섭 정보에 대해 eNodeB들 사이에서 명시적으로 교환된 정보에 의해, 간섭자의 소멸을 관측하는 측정들에 의해, 또는 간섭이 사라진 후 지수적으로 감쇠하는 함수와 같은 몇몇 함수에 따라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잡음 패딩은 펨토 기지국에서 수신된 업링크 송신에 적용된다. 도 6a-6c는 펨토 기지국(110c)의 수신기 단(end) 및 잡음 패딩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펨토 기지국의 수신기 단은 안테나 포트(602), 아날로그 라디오 주파수(RF) 회로(604), 자동 이득 보상(AGC) 회로(606),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608), 고속 푸리에 변환(FFT) 회로(610) 및 모뎀(6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잡음 패딩은 시간 도메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는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AGC 회로(606) 이전에 수행되는 잡음 패딩 삽입(614a)을 도시한다. 추가적으로, 도 6b는, 디지털 도메인에서 FFT 회로(610) 이전에 잡음 패딩 삽입(614b)이 발생하는 대안적 예를 도시한다. 이 양상들의 경우, 시간 도메인에서 화이트 또는 가우시안 잡음(vn)이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잡음 패딩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는 FFT 회로(610) 이후 주파수 도메인에서 수행되는 잡음 패딩 삽입(614c)을 도시한다.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잡음 패딩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 선택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준에 기초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의 경우, 잡음 패딩은 채널-의존적일 수 있고, 여기서 잡음 패딩은 특정한 채널들 상에서는 수행될 수 있지만 다른 채널들에서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양상들의 경우, 잡음 패딩은 부분적인(fractional) 주파수 재사용을 위해 부대역-의존적일 수 있고, 여기서, 잡음은 특정한 부대역들에는 추가될 수 있지만 다른 부대역들에는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4개의 부대역들로 분할된 5 MHz 서브프레임 대역폭에서, 잡음은 제 1 및 제 2 부대역들에는 삽입될 수 있지만, 제 3 및 제 4 부대역들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잡음 패딩에 대한 몇몇 예들에서, 매크로 셀은 네트워크 백본(backbone)을 통해 펨토 셀과 통신할 수 있고, 펨토 셀에 채널 또는 부대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펨토 셀은, 측정된 간섭 레벨들에 기초하여 잡음을 추가할 채널들 또는 부대역들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건물에서, 펨토 셀은 간섭하는 이웃의 WiFi 액세스 단말의 대역을 학습할 수 있고, 이 대역에 간섭을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가상 잡음 패딩을 활용할 수 있다. 잡음 삽입 대신에, 펨토 기지국은 최악의 간섭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전력 제어 및/또는 레이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지만, 간섭없는 서브프레임을 이용하기 위해 조기 종료를 허용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의 경우, 일단 펨토 기지국이 높은 간섭을 관측하면, 펨토 기지국은 인위적으로 더 보수적인(conservative) 제어 루프 업데이트들을 이용한다. 다른 양상들의 경우, 펨토 기지국은 간섭을 이용하여 또는 간섭을 이용하지 않고 상이한 제어 루프 파라미터들을 완전히 이용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의 경우, 잡음 패딩은 서브프레임 마다 또는 시분할 멀티플렉싱된(TDM) 파티션 마다의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펨토 기지국은, AC 서브프레임과 같이, eNodeB가 서브프레임 간섭 레벨을 확신하지 못하는 서브프레임에만 패딩을 적용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기반 잡음 패딩의 일례로서, 도 7은 서브프레임들 n-1 및 n+1에 잡음을 추가하지만 서브프레임 n에는 잡음을 추가하지 않는 것을 도시한다.
서브프레임-기반 또는 TDM-파티션-기반 잡음 패딩의 경우, 매크로 셀은 네트워크 백본을 통해 펨토 셀과 통신할 수 있고, 펨토 셀에 서브프레임 또는 TDM 파티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펨토 셀은 측정된 간섭 레벨들에 기초하여 잡음을 추가할 서브프레임들 또는 TDM 파티션들을 학습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의 경우, 잡음 패딩은 캐주얼 또는 넌-캐주얼 자동 이득 제어(AGC)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a는 캐주얼 AGC의 일례를 도시한다. 더 상세하게는, 서브프레임 n의 간섭이 결정되고, 그 다음, 서브프레임 n에 대해 결정된 간섭에 기초하여 후속 서브프레임 n+1에 잡음 패딩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캐주얼 AGC는 지연 및 버퍼링을 구현하지 않는다.
반대로, 도 8b는 넌-캐주얼 AGC를 이용한 잡음 패딩을 도시한다. 서브프레임 n의 제 1 부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n의 제 1 심볼)의 간섭이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 서브프레임 n의 제 1 부분에 대해 결정된 간섭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 n의 나머지 부분에 잡음 패딩이 적용될 수 있다. 후속 서브프레임 n+1에서, 서브프레임 n+1의 제 1 부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n+1의 제 1 심볼)의 간섭이 또한 결정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서브프레임 n+1의 제 1 부분에 대해 결정된 간섭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 n+1의 나머지 부분에 잡음 패딩이 적용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의 경우, 잡음 패딩은 릴리스 유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수신된 업링크 송신이 릴리스 8 UE로부터의 송신인지 릴리스 10 UE로부터의 송신인지 여부에 따라 잡음 패딩이 수행될 수 있다. 즉, UE들이 시간, 공간 및/또는 주파수에서 몇몇 방식으로 릴리스 8과 릴리스 10 사이에서 파티셔닝되면, 잡음 패딩은 릴리스 8 UE들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송신들에만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릴리스 유형(예를 들어, 릴리스 8 또는 릴리스 10)에 따라 수행되는 잡음 패딩의 경우, 매크로 셀은 네트워크 백본을 통해 펨토 셀과 통신할 수 있고, 펨토 셀에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펨토 셀은 UE들 중 어떤 UE들이 릴리스 8 UE들인지를 학습할 수 있고, 이들로부터의 업링크 송신들에만 잡음을 적용할 수 있다.
도 9a는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들에 잡음을 추가하기 위한 방법(901)을 도시한다. 블록(910)에서, 수신된 업링크 송신에서 업링크 간섭이 검출된다. 블록(912)에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그리고 주파수 도메인 파티션, 서브프레임이 보호되는지 여부 및/또는 사용자 장비 유형에 기초하여, 수신된 업링크 송신에 잡음이 삽입된다. 도 9b는 가상 잡음 패딩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902)을 도시한다. 블록(920)에서, 업링크 송신에서 간섭이 검출된다. 블록(922)에서,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증가된 간섭이 계산된다. 블록(924)에서, 검출된 업링크 송신에 응답하여, 전력 증가(up) 커맨드 및/또는 레이트 제어 커맨드가 UE에 직접 시그널링된다.
일 구성에서, eNodeB(110)는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다. 일 양상에서, 검출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나열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신 프로세서(438)일 수 있다. eNodeB(110)는 또한 수신된 업링크 송신에 잡음을 삽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상에서, 삽입 수단은, 송신 수단에 의해 나열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프로세서(438)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나열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또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구성에서, eNodeB(110)는 또한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다. 일 양상에서, 검출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나열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신 프로세서(438)일 수 있다. eNodeB(110)는 또한 증가된 간섭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상에서, 계산 수단은 이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신 프로세서(438)일 수 있다. eNodeB(110)는 또한 UE에 직접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상에서, 시그널링 수단은 시그널링 수단에 의해 나열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프로세서(420)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나열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또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과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들을 포함하는 통신 매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 또는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수단(connection)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전술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한다.

Claims (22)

  1. 수신되는 UE(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분에서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에서 검출된 업링크 간섭에 기초하여, 그리고 서브프레임이 보호되는지 여부 및 사용자 장비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간의 간섭 변동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을 잡음 패딩(noise pad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이한,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에 잡음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하는 단계는, 상기 UE의 전력 제어를 지시(direct)하는 것 및 상기 UE의 송신 레이트를 제어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링(trigger)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하는 단계는, 펨토 기지국의 수신기 프론트 엔드(front end)에서, 간섭에 기인한 입력 신호 변동(variation)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하는 단계는 시간 도메인 파티션에 기초하고, 상기 업링크 간섭이 검출된 시간 기간과 동일한 시간 기간의 상기 제 2 부분에서 발생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에 후속하는 부분인,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하는 단계는 시간 도메인 파티션에 기초하고, 상기 업링크 간섭이 검출된 이후의 후속 시간 기간에 발생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하는 단계는 주파수 도메인 파티션에 기초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제 1 채널에는 잡음을 삽입하지만 제 2 채널에는 잡음을 삽입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2 부분에 포함되고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제 1 부분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하는 단계는 주파수 도메인 파티션에 기초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대역(subband)에는 잡음을 삽입하지만 제 2 부대역에는 잡음을 삽입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대역은 상기 제 2 부분에 포함되고 상기 제 2 부대역은 상기 제 1 부분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 방법.
  9. 무선 통신에서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방법으로서,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분에서의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송신의 제 2 부분에 대해 증가된 간섭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간섭에 응답하여, 간섭 변동(variation)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력 제어 커맨드 및 레이트 제어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를 UE에 직접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방법.
  10. 수신되는 UE(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분에서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검출된 업링크 간섭에 기초하여, 그리고 서브프레임이 보호되는지 여부 및 사용자 장비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간의 간섭 변동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을 잡음 패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이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 무선 통신에서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장치로서,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분에서의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송신의 제 2 부분에 대해 증가된 간섭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계산된 간섭에 응답하여, 간섭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력 제어 커맨드 및 레이트 제어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를 UE에 직접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장치.
  12.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기록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수신되는 UE(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분에서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에서 검출된 업링크 간섭에 기초하여, 그리고 서브프레임이 보호되는지 여부 및 사용자 장비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간의 간섭 변동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을 잡음 패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이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 무선 통신에서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기록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고,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분에서의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송신의 제 2 부분에 대해 증가된 간섭을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계산된 간섭에 응답하여, 간섭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력 제어 커맨드 및 레이트 제어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를 UE에 직접 시그널링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수신되는 UE(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분에서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검출된 업링크 간섭에 기초하여, 그리고 서브프레임이 보호되는지 여부 및 사용자 장비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간의 간섭 변동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을 잡음 패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이한,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은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에 잡음을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은, 상기 UE의 전력 제어를 지시하는 것 및 상기 UE의 송신 레이트를 제어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링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는, 펨토 기지국의 수신기 프론트 엔드에서, 간섭에 기인한 입력 신호 변동을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은 시간 도메인 파티션에 기초하고, 상기 업링크 간섭이 검출된 시간 기간과 동일한 시간 기간의 상기 제 2 부분에서 발생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상기 제 1 부분에 후속하는 부분인,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은 시간 도메인 파티션에 기초하고, 상기 업링크 간섭이 검출된 이후의 후속 시간 기간에 발생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은 주파수 도메인 파티션에 기초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제 1 채널에는 잡음을 삽입하지만 제 2 채널에는 잡음을 삽입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2 부분에 포함되고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제 1 부분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패딩은 주파수 도메인 파티션에 기초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대역에는 잡음을 삽입하지만 제 2 부대역에는 잡음을 삽입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대역은 상기 제 2 부분에 포함되고 상기 제 2 부대역은 상기 제 1 부분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22. 무선 통신에서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업링크 송신의 제 1 부분에서의 업링크 간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송신의 제 2 부분에서의 증가된 간섭을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된 간섭에 응답하여, 간섭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력 제어 커맨드 및 레이트 제어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를 UE에 직접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가상 잡음 패딩을 위한 시스템.
KR1020127029750A 2010-04-13 2011-04-13 이종 네트워크들에서 잡음 패딩 기술들 KR101468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385510P 2010-04-13 2010-04-13
US61/323,855 2010-04-13
US13/084,407 2011-04-11
US13/084,407 US8798547B2 (en) 2010-04-13 2011-04-11 Noise padding techniques in heterogeneous networks
PCT/US2011/032345 WO2011130424A1 (en) 2010-04-13 2011-04-13 Noise padding techniques in heterogeneous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103A KR20130028103A (ko) 2013-03-18
KR101468598B1 true KR101468598B1 (ko) 2014-12-04

Family

ID=4476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750A KR101468598B1 (ko) 2010-04-13 2011-04-13 이종 네트워크들에서 잡음 패딩 기술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98547B2 (ko)
EP (1) EP2559317A1 (ko)
JP (1) JP5646729B2 (ko)
KR (1) KR101468598B1 (ko)
CN (1) CN103098538B (ko)
WO (1) WO2011130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3477B2 (en) * 2010-10-29 2014-10-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heterogeneous communications systems
WO2012060886A1 (en) 2010-11-05 2012-05-10 Mark Cummings, Ph.D. Orchestrating wireless network operations
US10285094B2 (en) * 2010-11-05 2019-05-07 Mark Cummings Mobile base station network
US10694402B2 (en) 2010-11-05 2020-06-23 Mark Cummings Security orchestration and network immune system deployment framework
US10531516B2 (en) 2010-11-05 2020-01-07 Mark Cummings Self organizing system to implement emerging topologies
US10687250B2 (en) 2010-11-05 2020-06-16 Mark Cummings Mobile base station network
KR20140001226A (ko) * 2011-01-06 2014-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실패를 회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626228B1 (en) * 2011-02-07 2014-01-07 Sprint Spectrum L.P. Access-provisioning node in a radio access network
US9191905B2 (en) * 2011-06-22 2015-11-1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etting a radio frequency gain
US9398585B2 (en) * 2011-11-07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ximity detection
WO2015144221A1 (en) * 2014-03-27 2015-10-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mproved radio receiver desensitization
CN105277924A (zh) * 2015-11-06 2016-01-27 中国科学院上海天文台 一种多波段噪声开关控制装置
US9924408B1 (en) * 2016-08-24 2018-03-20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cell search
US11477667B2 (en) 2018-06-14 2022-10-18 Mark Cummings Using orchestrators for false positive detection and root cause analysi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5395A1 (en) * 2005-12-29 2007-07-05 Nandu Gopalakrishnan Scheduling mobile users based on cell load
US20070218847A1 (en) * 2006-03-06 2007-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4352B1 (en) * 2000-05-04 2004-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gh accuracy receiver forward and reflected path test injection circuit
US8315583B2 (en) * 2006-08-23 2012-11-20 Quellan, Inc. Pre-configuration and control of radio frequency noise cancellation
US20070165753A1 (en) * 2006-01-16 2007-07-19 Shun-An Yang Impulse noise remover and related method
US7995688B2 (en) * 2007-03-08 2011-08-09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Industry, Through The Communications Research Centre Canada Channel estimation and ICI cancellation for OFDM
US8744510B2 (en) * 2007-03-13 2014-06-03 Pranav Dayal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8223901B2 (en) * 2007-05-25 2012-07-17 Nokia Corporation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devices
US20090061886A1 (en) * 2007-08-29 2009-03-05 Carmela Cozzo System and Method for Activity-Based Power Control Target Adjust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066306B2 (en) * 2007-09-21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control
US8285321B2 (en) 2008-05-15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virtual noise fig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1067841A1 (ja) * 2009-12-02 2011-06-09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信号品質測定方法
US8588205B2 (en) * 2010-02-12 2013-11-19 Mediatek Inc. Uplink power control message indexing in wireless OFDMA systems
US20110235582A1 (en) * 2010-03-25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Subframe dependent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anagement
US9398585B2 (en) * 2011-11-07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ximity det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5395A1 (en) * 2005-12-29 2007-07-05 Nandu Gopalakrishnan Scheduling mobile users based on cell load
US20070218847A1 (en) * 2006-03-06 2007-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 RAN WG1 #57, R1-092239, "Carrier Aggreg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Qualcomm Europe, 2009.5.4~8 *
3GPP TSG RAN WG1 #57, R1-092239, "Carrier Aggreg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Qualcomm Europe, 2009.5.4~8*
3GPP TSG-RAN WG4 #47-bis R4-081345, "HNB and Macro Uplink Performance with Adaptive Attenuation at HNB", Qualcomm Europe, 2008.6.16~20 *
3GPP TSG-RAN WG4 #47-bis R4-081345, "HNB and Macro Uplink Performance with Adaptive Attenuation at HNB", Qualcomm Europe, 2008.6.16~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9317A1 (en) 2013-02-20
JP5646729B2 (ja) 2014-12-24
KR20130028103A (ko) 2013-03-18
CN103098538A (zh) 2013-05-08
US8798547B2 (en) 2014-08-05
US20110250911A1 (en) 2011-10-13
WO2011130424A1 (en) 2011-10-20
CN103098538B (zh) 2016-02-10
JP2013530568A (ja)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598B1 (ko) 이종 네트워크들에서 잡음 패딩 기술들
KR101496133B1 (ko) 사운딩 기준 신호(srs) 구성에 의한 조정된 사일런트 기간
KR101441665B1 (ko)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 범위 확장
KR101601855B1 (ko) 동일한 물리적 셀 아이덴티티(pci)를 갖는 원격 라디오 헤드들(rrh)에 대한 위치 확인
KR10155587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로의 eNodeB 물리 계층 시그널링
KR101541003B1 (ko) 이종 네트워크들에 대한 라디오 링크 모니터링(rlm)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측정
EP2564546B1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1498477B1 (ko) 크로스-서브프레임 할당에 의한 전력 제어
US9356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actions for time-domain partitioned cells
JP5973000B2 (ja) クロスデバイス干渉の緩和
KR101521869B1 (ko) 강화된 간섭 조정 및 소거를 이용한 무선 링크 실패의 결정
KR101423599B1 (ko) Ofdma 무선 시스템들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포착 및 추적
US9762426B2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1424672B1 (ko) 간섭 시나리오들에서 업링크 커버리지를 강화
KR101708609B1 (ko) 블라인드 crs 검출
EP3130093B1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1624491B1 (ko) 제어 및 데이터 채널 간섭 제거를 위한 서빙 셀과 간섭 셀들 사이의 제어 스팬들의 미스매치 핸들링
WO2013120265A1 (en) Srs power control for coordinated scheduling in tdd heterogeneou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