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564B1 -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564B1
KR101468564B1 KR20140096584A KR20140096584A KR101468564B1 KR 101468564 B1 KR101468564 B1 KR 101468564B1 KR 20140096584 A KR20140096584 A KR 20140096584A KR 20140096584 A KR20140096584 A KR 20140096584A KR 101468564 B1 KR101468564 B1 KR 10146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tage
gear
output shaft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호
김광인
강철용
윤장원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정밀 filed Critical (주)엠에스정밀
Priority to KR2014009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6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for commercial vehicles, e.g. buses or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전진 또는 후진 동력에 대한 1속 내지 4속 구현이 가능하고, 자동 주차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윤활 구조를 원활하게 개선함과 더불어 기어열 구조를 단순화하여 변속 단수 확장 등이 가능하도록 한 산업차량용 전후진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토크컨버터와 연결되는 한 축에 전진 또는 후진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과, 전후진 2단 변속 이상이 가능한 변속 구성 등을 집약적으로 설치하여, 기어열의 최적화 및 단순화, 소형화 구현이 가능한 점, 그리고 유성기어 1열과 2개의 클러치를 단순히 더 연결시켜서 전후진 4단 변속으로 확장이 가능한 점, 윤활 구조를 단순하면서도 원활하게 개선함과 더불어 변속단 클러치로 주차브레이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점 등 새롭게 개선된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Driving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은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전진 또는 후진 동력에 대한 1속 내지 4속 구현이 가능하고, 자동 주차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윤활 구조를 원활하게 개선함과 더불어 기어열 구조를 단순화하여 변속 단수 확장 등이 가능하도록 한 산업차량용 전후진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차량(건설기계 장비를 비롯한 각종 산업 전반에 이용되는 차량)의 경우 엔진의 출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주행방향을 전환하거나 주행속도를 바꾸기 위한 변속기인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를 필수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첨부한 도 6은 종래의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를 나타낸다.
도 6에서, 도면부호 2는 토크 컨터버를 지시한다.
상기 토크 컨버터(2)는 토크 컨버터 하우징(3)에 의하여 감싸여져 보호됨과 함께 그 전단부에는 엔진 플라이 휠과 연결되는 플렉시블 플레이트(1)가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입력/후진축(6)이 연결되며, 또한 입력/후진축(6)의 선단부에는 윤활을 위한 기어 펌프(4)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입력/후진축(6)의 말단부에는 PTO 축(7) 및 PTO 출력축(8)이 연결된다.
이때, 차량의 전진주행 출력을 하는 전진축(5)이 입력/후진축(6)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바, 전진축(5) 및 입력/후진축(6)은 기어 및 클러치를 매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입력/후진축(6)과 기어 및 클러치를 매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2단축(9)이 입력/후진축(6)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3단축(10)이 2단축(9)과 기어 및 클러치를 매개로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평행하게 배열되며, 1단축(11)이 2단축(9)과 기어 및 클러치를 매개로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와 같은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는 트랜스미션 앞하우징(12) 및 트랜스미션 뒤하우징(13)에 의하여 감싸여지고, 출력 플랜지(14) 및 출력축(15)을 통하여 최종적인 동력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의 윤활 동작은 트랜스미션 앞하우징(12) 및 트랜스미션 뒤하우징(13)의 바닥에 출력축(15)의 일부가 잠기도록 충진된 윤활유를 기어펌프(4)의 구동에 의거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과정과, 윤활유의 이물질이 스크린(16)에서 여과되는 과정과, 끌어올려진 윤활유가 전진축을 비롯하여 입력/후진축, 1단축, 2단축, 3단축 등의 윤활라인으로 공급되어 각 클러치팩 등을 윤활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전진축 및 입력/후진축을 비롯하여, 1단축, 2단축, 3단축, 출력축 등 총 6개의 축이 평행을 이루며 별도로 배열된 구조를 이룸에 따라, 기계적 구조의 난이 함에 따른 가공성 및 조립성이 떨어진다.
2) 기어펌프를 통하여 출력축의 중심까지 잠겨 있는 윤활오일을 끌어올려 전진축 및 입력/후진축, 1단축, 2단축, 3단축 등의 윤활 라인으로 공급하여 클러치팩을 윤활함에 따라, 부품의 가공성이 난이하고, 윤활 구조가 복잡하여 가공성이 떨어진다.
3) 3단 변속 구조에서 4단 변속 구조로 확장할 경우, 1개의 축과 클러치가 추가됨과 동시에 모든 기어의 배열을 다시 배치하여야 함에 따라, 기어변속의 확장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4) 주차브레이크 기능을 자동변속기 자체내에 구현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별도의 주차브레이크 구조를 장착해야 하므로, 조립 공수가 증가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168894(2012.07.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토크컨버터와 연결되는 한 축에 전진 또는 후진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과, 전후진 2단 변속 이상이 가능한 변속 구성 등을 집약적으로 설치하여, 기어열의 최적화 및 단순화, 소형화 구현이 가능한 점, 그리고 유성기어 1열과 2개의 클러치를 단순히 더 연결시켜서 전후진 4단 변속으로 확장이 가능한 점, 윤활 구조를 단순하면서도 원활하게 개선함과 더불어 변속단 클러치로 주차브레이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점 등 새롭게 개선된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입력축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출력축 장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엔진 플라이 휠과 연결된 토크 컨버터와; 토크 컨버터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케이스의 입력축 장착공간으로 연장되는 입력축과; 토크 컨버터로부터 입력축으로 전달된 동력을 후진을 위한 회전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입력축 장착공간내에 장착되는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와; 토크 컨버터로부터 입력축으로 전달된 동력을 전진을 위한 회전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출력축 장착공간의 일측부에 내설되는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와; 상기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 또는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력축 기어가 외경부에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중심부가 오일레벨과 수평을 이루면서 출력축 장착공간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타측 외경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선기어와, 선기어의 외경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유성기어와, 각 유성기어의 외경부에 맞물리는 링기어와, 각 유성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최종 출력축이 되는 캐리어샤프트를 포함하는 1단 및 2단 변속용 유성기어세트와; 플레이트와 마찰판이 교번 배열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출력축 장착공간내에서 링기어의 외륜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장착되되, 마찰판의 내주단이 링기어의 외륜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장착되는 1단용 클러치팩 및 2단용 클러치팩과; 상기 1단 클러치팩의 우측 위치에 장착되어, 1단 변속시 1단 클러치팩을 가압하여 링기어를 구속시키는 1단 변속기구와; 상기 2단 클러치팩의 좌측 위치에 장착되어, 2단 변속시 2단 클러치팩을 가압하는 동시에 링기어와 출력축을 동기화시켜 상시 회전되도록 한 2단 변속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는: 케이스의 입력축 장착공간내에 배열된 입력축의 일측 외경에 형성되는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와; 입력축의 타측 외경에 베어링을 매개로 장착되어, 출력축의 외경부에 형성된 출력축 기어와 맞물리는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와;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의 내경부와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의 외경부 간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진용 클러치팩과; 후진용 클러치팩의 일측부에 유압에 의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유압 인가시 전진하는 동시에 후진용 클러치팩를 가압하는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과;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에 대한 유압 해제시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을 본래 위치로 후진시키는 후진용 클러치 스프링;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는: 케이스의 출력축 장착공간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보조 입력축과; 보조 입력축의 일측 외경에 형성되어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의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와 상시 맞물림되는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와; 보조 입력축의 타측 외경에 베어링을 매개로 장착되어, 출력축의 외경부에 형성된 출력축 기어와 맞물리는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와;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의 내경부와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의 외경부 간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진용 클러치팩과; 전진용 클러치팩의 일측부에 유압에 의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유압 인가시 전진하는 동시에 전진용 클러치팩를 가압하는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과; 전진용 클러치팩에 대한 유압 해제시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을 본래 위치로 후진시키는 전진용 클러치 스프링;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축의 구간 중, 토크 컨버터의 출력측과 케이스의 입력축 장착공간 사이 구간에는 후진용 클러치팩쪽으로 윤활유를 펌핑하는 기어펌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최종 출력축이 되는 캐리어샤프트의 출력측에 4단 확장용 유성기어세트와, 이 유성기어세트의 기어 작동요소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어 작동요소를 구속하는 2개 이상의 4단 확장용 클러치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1단 변속기구는: 1단 클러치팩의 플레이트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1클러치 드럼과; 1단 클러치팩의 플레이트와 마찰판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1클러치 드럼의 이면에 배치되는 1단 피스톤과; 1단 피스톤의 이면과 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압축 및 탄성복원 가능하게 배치되는 1단 스프링과; 제1클러치 드럼과 1단 피스톤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1단 오일유입 체적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2단 변속기구는: 일단부는 2단 클러치팩의 플레이트와 스플라인 결합되고, 타단부는 출력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클러치 드럼과; 2단 클러치팩의 플레이트와 마찰판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2클러치 드럼의 전면에 배치되는 2단 피스톤과; 2단 피스톤의 이면과 제2클러치 드럼의 전면 사이에 압축 및 탄성복원 가능하게 배치되는 2단 스프링과; 출력축으로부터 2단 피스톤의 전면 공간으로 연장 형성된 2단 오일유입 체적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출력기어 한 축에 전진 또는 후진 동력이 전달됨과 함께 전후진 2단 변속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어열의 최적화 및 단순화를 실현함으로써, 소형화 구현이 가능하다.
2) 출력축 및 전진용 클러치팩의 중심까지 채워진 오일에 의하여 1단 및 2단 클러치 팩을 비롯하여 전진용 클러치팩 등에 대한 윤활 작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보다 높은 위치에 놓인 후진용 클러치팩에 대한 윤활은 기어펌프를 이용함으로써, 윤활 구성을 위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전후진 2단 변속 구조에서 출력 기어열과 동일한 축선상의 뒷 부분에 유성기어세트 1열과 2개의 클러치를 단순히 더 연결시키는 것만으로도 전후진 4단 변속 구성이 가능하여, 변속 확장성을 도모할 수 있다.
4) 출력기어에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변속단 클러치로 주차브레이크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주차브레이크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음으로 조립 공수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의 2속 동력전달 계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의 4속 구현을 위한 동력전달 계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의 2속 및 4속 기어비 선택 조건을 대비한 동력전달 계통표,
도 6은 종래의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부에 입력축 장착공간(102)이 형성되고, 하부에 출력축 장착공간(104)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입력축 장착공간(102)에는 토크 컨버터(400)의 출력측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입력축(110)이 배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토크 컨버터(400)의 입력측에는 엔진 플라이 휠과 연결되고, 토크 컨버터(400)의 출력측에는 케이스(100)의 입력축 장착공간(102)으로 연장되는 입력축(11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입력축 장착공간(102)보다 낮은 위치를 이루는 케이스(100)의 출력축 장착공간(104)내에는 출력축(12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토크 컨버터(400)로부터 입력축(110)으로 전달된 동력을 출력축(120)에 대하여 후진을 위한 회전방향으로 변경 출력하는 일종의 클러치 작동기구로서,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200 : CR, Clutch Reverse)가 입력축 장착공간(102)내의 입력축(110) 외경부 위치에 집약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200)의 일 구성으로서, 케이스(100)의 입력축 장착공간(102)내에서 입력축(110)의 일측 외경에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입력축(110)의 타측 외경에는 베어링을 매개로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는 출력축(120)의 외경부에 형성된 출력축 기어(122)와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의 내경부와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의 외경부 사이공간에는 후진방향 회전동력을 출력축(120)의 출력축기어(122)로 전달하기 위하여 다수의 플레이트와 마찰판이 교번 배열된 후진용 클러치팩(203)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후진용 클러치팩(203)의 일측부에는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이 유압에 의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 이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은 그 이면쪽에 유압이 인가될 때 전진 운동하여 후진용 클러치팩(203)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의 전면쪽에는 후진용 클러치 스프링(205)이 압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 이 후진용 클러치 스프링(205)은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에 대한 유압 인가시 압축되었다가, 후진용 클러치팩(203)에 대한 유압 해제시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을 본래 위치로 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토크 컨버터(400)로부터 입력축(110)으로 전달된 동력을 출력축(120)에 대하여 전진을 위한 회전방향으로 변경 출력하는 일종의 클러치 작동기구로서,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300 : CF, Clutch Forward)가 출력축 장착공간(104)내에서 출력축(120)과 인접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300)의 일 구성 중, 케이스(100)의 출력축 장착공간(104)내에 보조 입력축(306)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보조 입력축(306)은 출력축(120)과 동일한 높이로 배열된다.
특히, 상기 보조 입력축(306)의 일측 외경에는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200)의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와 상시 맞물림되는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30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보조 입력축(306)의 타측 외경에는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2)가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2)도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와 마찬가지로 출력축(120)의 외경부에 형성된 출력축 기어(122)에 맞물리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301)의 내경부와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2)의 외경부 사이공간에는 전진방향 회전동력을 출력축(120)의 출력축기어(122)로 전달하기 위하여 다수의 플레이트와 마찰판이 교번 배열된 전진용 클러치팩(303)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전진용 클러치팩(303)의 일측부에는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304)이 유압에 의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 이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304)은 그 이면쪽에 유압이 인가될 때 전진 운동하여 전진용 클러치팩(303)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304)의 전면쪽에는 전진용 클러치 스프링(305)이 압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 이 전진용 클러치 스프링(305)은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304)에 대한 유압 인가시 압축되었다가, 전진용 클러치팩(303)에 대한 유압 해제시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304)을 본래 위치로 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출력축 장착공간(104)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출력축(120)의 외경부에는 출력축 기어(122)가 형성되는 바, 이 출력축 기어(122)에는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200)의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 및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300)의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3)가 각각 동시에 맞물리게 되어, 상기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200)의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로부터의 후진 동력 또는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300)의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3)로부터의 전진 동력이 출력축(120)의 출력축 기어(122)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출력축 장착공간(104)내에 배열되는 출력축(120)및 보조 입력축(306)의 중심부는 오일 케이스내의 윤활용 오일레벨내에 잠기게 되어 오일레벨과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출력축(120)에 장착되는 1단 및 2단 클러치 팩 등에 대한 윤활 작용이 별도의 윤활수단없이 출력축 회전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110)의 구간 중, 토크 컨버터(400)의 출력측과 케이스(100)의 입력축 장착공간(102) 사이 구간에는 기어펌프(402)가 장착되며, 이 기어펌프(402)가 오일 케이스 바닥쪽의 윤활용 오일을 펌핑하여 입력축(110)내에 형성된 윤활라인(404)을 통해 후진용 클러치팩(203)으로 공급함으로써, 후진용 클러치팩(203)에 대한 윤활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출력축(120)의 타측 외경부에는 1단 및 2단 변속을 위한 유성기어세트(130)가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1단 및 2단 변속용 유성기어세트(130)는 출력축(120)의 타측 외경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선기어(132)와, 선기어(132)의 외경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유성기어(134)와, 각 유성기어(134)의 외경부에 맞물리는 링기어(136)와, 각 유성기어(134)와 동축으로 연결되면서 출력축(120)의 타측에 배열되어 최종 출력축이 되는 캐리어샤프트(13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1단 및 2단 변속용 유성기어세트(130)의 구성 중, 링기어(136)의 외륜에는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이 교번 배열을 이루는 1단 클러치팩(141)과 2단 클러치팩(142)이 나란히 장착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출력축 장착공간(104)내에서 링기어(136)의 외륜에 길이방향을 따라 1단용 클러치팩(141) 및 2단용 클러치팩(142)이 나란히 장착되되, 각 클러치 팩의 마찰판(144)의 내주단이 링기어(136)의 외륜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장착된다.
이때, 상기 1단 클러치팩(141)의 우측 위치에는 1단 변속시 1단 클러치팩(141)을 가압하여 링기어(136)를 구속시키는 1단 변속기구(150)가 조립되고, 또한 상기 2단 클러치팩(142)의 좌측 위치에는 2단 변속시 2단 클러치팩(142)을 가압하는 동시에 링기어(136)와 출력축(120)을 동기화시켜 상시 회전되도록 한 2단 변속기구(160)가 조립된다.
상기 1단 변속기구(150)의 일 구성으로서, 제1클러치 드럼(151)이 출력축 장착공간(104)내에서 1단 클러치팩(141)의 플레이트(143)와 스플라인 결합되고, 제1클러치 드럼(151)의 이면에는 1단 클러치팩(141)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을 가압할 수 있는 1단 피스톤(152)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1단 피스톤(152)의 이면과 케이스(100)의 내면 사이에는 압축 및 탄성복원 가능한 1단 스프링(153)이 배치되고, 상기 제1클러치 드럼(151)과 1단 피스톤(152)의 경계부에는 작동유압유가 유입 및 배출되는 1단 오일유입 체적부(15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1단 오일유입 체적부(154)에 작동유압유가 유입되면 1단 피스톤(152)이 유압에 의하여 후진하게 되고, 연이어 1단 피스톤(152)의 후진에 의하여 1단 스프링(153)의 압축시 1단 클러치팩(141)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된다.
반면, 상기 1단 오일유입 체적부(154)에 작동유압유에 의한 유압이 해제되면, 1단 스프링(1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1단 피스톤(152)이 본래 위치로 전진하면서 1단 클러치팩(141)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2단 변속기구(160)의 일 구성인 제2클러치 드럼(161)의 일단부가 2단 클러치팩(142)의 플레이트(143)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동시에 제2클러치 드럼(161)의 타단부는 출력축(120)에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클러치 드럼(161)의 전면에는 2단 클러치팩(142)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을 가압할 수 있는 2단 피스톤(162)이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2단 피스톤(162)의 이면과 제2클러치 드럼(161)의 전면 사이에는 압축 및 탄성복원 가능한 2단 스프링(163)이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120)으로부터 2단 피스톤(162)의 전면 공간쪽으로 2단 오일유입 체적부(164)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2단 오일유입 체적부(164)에 작동유압유가 유입되면 2단 피스톤(162)이 유압에 의하여 후진하게 되고, 연이어 2단 피스톤(162)의 후진에 의하여 2단 스프링(163)의 압축시 2단 클러치팩(142)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된다.
반면, 상기 2단 오일유입 체적부(164)에 작동유압유에 의한 유압이 해제되면, 2단 스프링(16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2단 피스톤(162)이 본래 위치로 전진하면서 2단 클러치팩(142)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을 가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최종 출력축이 되는 캐리어샤프트(138)의 출력측에 4단 확장용 유성기어세트(500)와, 이 유성기어세트(500)의 기어 작동요소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어 작동요소를 구속하는 2개 이상의 4단 확장용 클러치(502)가 더 연결됨으로써, 전후진 4속 변속 구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설장비 및 산업차량용 기어박스 구동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진 동력전달
먼저, 토크 컨버터(400)로부터 입력축(110)으로 정방향 회전 동력이 전달되어, 입력축(110)에 장착된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가 회전을 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의 회전력이 상기 보조 입력축(306)의 일측 외경에 장착된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301)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와 상기 보조 입력축(306)의 일측 외경에 장착된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301)가 상시 맞물림 상태이므로,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의 회전방향이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301)에서 역방향 회전방향으로 전환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304)의 이면에 유압이 인가되어,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304)이 전진하는 동시에 전진용 클러치팩(303)을 구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와 마찰판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전진용 클러치팩(303)이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301)의 회전력을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2)로 전달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2)의 회전력이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2)와 맞물린 출력축(120)의 출력축기어(122)로 전달되면서 정방향 회전으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에는 유압이 인가되지 않아, 후진용 클러치팩(203)을 구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와 마찰판이 가압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출력축(120)의 출력축기어(122)로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출력축(120)이 정방향(전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연이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종 출력축에 대하여 1단 또는 2단 변속 동작에 의한 1단 동력전달 또는 2단 동력전달 과정이 이루어진다.
후진 동력전달
먼저, 토크 컨버터(400)로부터 입력축(110)으로 정방향 회전 동력이 전달되어, 입력축(110)에 장착된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의 이면에 유압이 인가되어,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이 전진하는 동시에 후진용 클러치팩(203)을 구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와 마찰판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후진용 클러치팩(203)이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의 회전력을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로 전달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304)에는 유압이 인가되지 않아, 전진용 클러치팩(303)을 구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와 마찰판이 가압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2)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의 회전력이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와 맞물린 출력축(120)의 출력축기어(122)로 전달되면서 역방향 회전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상기 출력축(120)의 출력축기어(122)로 역방향(후진방향)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출력축(120)이 후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연이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종 출력축에 대하여 1단 또는 2단 변속 동작에 의한 1단 동력전달 또는 2단 동력전달 과정이 이루어진다.
1단 동력전달
상기와 같이, 전진을 위한 전진방향 회전력 또는 후진을 위한 후진방향 회전력이 출력축 기어(122)를 통하여 출력축(120)으로 전달되면, 상기 출력축(120)에 일체로 된 선기어(132)가 회전하는 동시에 선기어(132)에 유성기어(134)가 선기어(132)를 따라 공전하며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1단 오일유입 체적부(154)에 작동유압유에 의한 유압이 해제되어, 1단 스프링(1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1단 피스톤(152)이 본래 위치로 전진하면서 1단 클러치팩(141)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2단 오일유입 체적부(164)에 작동유압유가 유입되는 동시에 2단 피스톤(162)이 유압에 의거 2단 스프링(163)을 압축시키면서 후진하게 되어, 2단 클러치팩(142)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1단 클러치팩(141)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1단 클러치팩(141)의 마찰판(144) 내주단과 스플라인 결합된 링기어(136)가 구속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축(110)으로부터 출력축(120)으로 전달된 동력이 선기어(132)에서 유성기어(134)로 전달된 후, 유성기어(134)가 구속 상태인 링기어(136)의 내접면을 따라 회전을 하게 되고, 유성기어(134)와 동축으로 연결되면서 출력축(120)의 타측에 배열되는 최종 출력축 즉, 캐리어샤프트(138)를 통하여 1단 동력이 출력된다.
2단 동력전달
상기와 같이, 전진을 위한 전진방향 회전력 또는 후진을 위한 후진방향 회전력이 출력축 기어(122)를 통하여 출력축(120)으로 전달되면, 상기 출력축(120)에 일체로 된 선기어(132)가 회전하는 동시에 선기어(132)에 유성기어(134)가 선기어(132)를 따라 공전하며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2단 오일유입 체적부(164)에 작동유압유에 의한 유압이 해제되어, 2단 스프링(16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2단 피스톤(162)이 본래 위치로 전진하면서 2단 클러치팩(142)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1단 오일유입 체적부(154)에 작동유압유가 유입되는 동시에 1단 피스톤(152)이 유압에 의하여 1단 스프링(153)을 압축시키면서 후진하게 되어, 1단 클러치팩(141)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고, 링기어(136)에 대한 구속상태도 해제된다.
이렇게 상기 2단 클러치팩(142)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을 가압하게 되면, 2단 클러치팩(142)의 마찰판(144)이 링기어(136)의 외륜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2단 클러치팩(142)의 플레이트(143)에 제2클러치 드럼(161)의 일단부가 스플라인 결합되는 동시에 제2클러치 드럼(161)의 타단부가 출력축(120)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링기어(136)와 출력축(120)이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기화 상태가 되어, 링기어(136)와 출력축(120)이 동시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축(120)과 링기어(136)가 서로 동기화되면서 상시 회전을 하고, 이와 함께 입력축(110)에서 출력축(120)으로 전달된 동력이 선기어(132)를 통해 유성기어(134)로 전달됨에 따라, 회전하고 있는 링기어(136)를 따라 유성기어(134)가 보다 빠르게 회전을 하여, 유성기어(134)와 일체로 된 캐리어샤프트(138)를 통하여 2단 동력이 출력된다.
윤활 작용
상기 케이스(100)의 출력축 장착공간(104)내에 배열되는 출력축(120)및 보조 입력축(306)의 중심부가 오일 케이스내의 윤활용 오일레벨과 수평을 이루는 동시에 출력축(120)및 보조 입력축(306)의 중심부 아래부분이 윤활용 오일내에 잠기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윤활구조 내지 기구(예를 들어, 펌프)없이도 출력축(120)의 회전시 1단 및 2단 클러치 팩(141,142)을 비롯하여 전진용 클러치팩(303) 등에 대한 윤활 작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110)의 구간 중, 토크 컨버터(400)의 출력측과 케이스(100)의 입력축 장착공간(102) 사이 구간에 장착된 기어펌프(402)의 펌핑 동작에 의하여 오일 케이스 바닥쪽의 윤활용 오일이 입력축(110)내에 형성된 윤활라인(404)을 통해 후진용 클러치팩(203)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후진용 클러치팩(203)에 대한 윤활이 이루어진다.
주차브레이크 기능
차량이 완전 정지 상태가 되면, 1단 오일유입 체적부(154) 및 2단 오일유입 체적부(164)에 작용하는 유압을 해제시킨다.
연이어, 1단 스프링(153) 및 2단 스프링(16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각각 1단 피스톤(152)과 2단 피스톤(162)이 전진되고, 1단 및 2단 피스톤의 전진에 의거 1단 및 2단 클러치팩(141,142)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이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제1클러치 드럼(151)과 링기어(136)가 구속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클러치 드럼(151) 및 링기어(136)가 구속되면, 출력축(120)이 움직이지 않게 구속되는 상태가 되므로, 결국 입력축(110)의 회전력이 출력축(120)에 전달되지 못하여 주차브레이크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4속 변속 기능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의 4속 구현을 위한 동력전달 계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의 2속 및 4속 기어비 선택 조건을 대비한 동력전달 계통표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최종 출력축이 되는 캐리어샤프트(138)의 출력측에 4단 확장용 유성기어세트(500)와, 이 유성기어세트(500)의 기어 작동요소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어 작동요소를 구속하는 2개 이상의 4단 확장용 클러치(502)가 더 연결됨으로써, 도 5에서 보듯이 전후진 3속 및 4속 변속 구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전후진 3속 및 4속 변속 과정은 상기와 같이 1속 및 2속과 같은 방식으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출력축(120)의 둘레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출력축(120)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부식, 마모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이 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출력축(120)의 둘레에 코팅된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코팅층이 출력축(120)의 둘레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출력축(120)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출력축(120)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중량%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출력축(120)의 녹방지, 마모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출력축(120)의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출력축(120)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로 빈번히 노출되는 출력축(120)의 둘레에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출력축(120)이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출력축(120)의 산화 방지, 마모 방지에 의해 자동변속기 구동장치의 수명이 연장되어서 유지 보수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100 : 케이스 102 : 입력축 장착공간
104 : 출력축 장착공간 110 : 입력축
120 : 출력축 122 : 출력축 기어
130 : 1단 및 2단 변속용 유성기어세트
132 : 선기어 134 : 유성기어
136 : 링기어 138 : 캐리어샤프트
141 : 1단 클러치팩 142 : 2단 클러치팩
143 : 플레이트 144 : 마찰판
150 : 1단 변속기구 151 : 제1클러치 드럼
152 : 1단 피스톤 153 : 1단 스프링
154 : 1단 오일유입 체적부
160 : 2단 변속기구 161 : 제2클러치 드럼
162 : 2단 피스톤 163 : 2단 스프링
164 : 2단 오일유입 체적부 200 :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
201 :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 202 :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
203 : 후진용 클러치팩 204 :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
205 : 후진용 클러치 스프링 300 :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
301 :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 302 :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
303 : 전진용 클러치팩 304 :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
305 : 전진용 클러치 스프링 306 : 보조 입력축
400 : 토크컨버터 402 : 기어펌프
404 : 윤활라인 500 : 4단 확장용 유성기어세트
502 : 4단 확장용 클러치

Claims (7)

  1. 상부에 입력축 장착공간(102)이 형성되고, 하부에 출력축 장착공간(104)이 형성된 케이스(100)와;
    엔진 플라이 휠과 연결된 토크 컨버터(400)와;
    토크 컨버터(400)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케이스(100)의 입력축 장착공간(102)으로 연장되는 입력축(110)과;
    토크 컨버터(400)로부터 입력축(110)으로 전달된 동력을 후진을 위한 회전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입력축 장착공간(102)내에 장착되는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200)와;
    토크 컨버터(400)로부터 입력축(110)으로 전달된 동력을 전진을 위한 회전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출력축 장착공간(104)의 일측부에 내설되는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300)와;
    상기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200) 또는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300)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력축 기어(122)가 외경부에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중심부가 오일레벨과 수평을 이루면서 출력축 장착공간(104)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출력축(120)과;
    상기 출력축(120)의 타측 외경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선기어(132)와, 선기어(132)의 외경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유성기어(134)와, 각 유성기어(134)의 외경부에 맞물리는 링기어(136)와, 각 유성기어(134)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최종 출력축이 되는 캐리어샤프트(138)를 포함하는 1단 및 2단 변속용 유성기어세트(130)와;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이 교번 배열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출력축 장착공간내에서 링기어의 외륜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장착되되, 마찰판의 내주단이 링기어의 외륜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장착되는 1단용 클러치팩(141) 및 2단용 클러치팩(142)과;
    상기 1단 클러치팩(141)의 우측 위치에 장착되어, 1단 변속시 1단 클러치팩(141)을 가압하여 링기어(136)를 구속시키는 1단 변속기구(150)와;
    상기 2단 클러치팩(142)의 좌측 위치에 장착되어, 2단 변속시 2단 클러치팩(142)을 가압하는 동시에 링기어(136)와 출력축(120)을 동기화시켜 상시 회전되도록 한 2단 변속기구(1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200)는:
    케이스(100)의 입력축 장착공간(102)내에 배열된 입력축(110)의 일측 외경에 형성되는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와;
    입력축(110)의 타측 외경에 베어링을 매개로 장착되어, 출력축(120)의 외경부에 형성된 출력축 기어(122)와 맞물리는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와;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의 내경부와 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202)의 외경부 간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진용 클러치팩(203)과;
    후진용 클러치팩(203)의 일측부에 유압에 의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유압 인가시 전진하는 동시에 후진용 클러치팩(203)를 가압하는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과;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에 대한 유압 해제시 후진용 클러치 피스톤(204)을 본래 위치로 후진시키는 후진용 클러치 스프링(205);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300)는:
    케이스(100)의 출력축 장착공간(104)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보조 입력축(306)과;
    보조 입력축(306)의 일측 외경에 형성되어 후진용 클러치 작동기구(200)의 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201)와 상시 맞물림되는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301)와;
    보조 입력축(306)의 타측 외경에 베어링을 매개로 장착되어, 출력축(120)의 외경부에 형성된 출력축 기어(122)와 맞물리는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2)와;
    전진용 입력 클러치기어(301)의 내경부와 전진용 출력 클러치기어(302)의 외경부 간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진용 클러치팩(303)과;
    전진용 클러치팩(303)의 일측부에 유압에 의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유압 인가시 전진하는 동시에 전진용 클러치팩(303)를 가압하는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304)과;
    전진용 클러치팩(303)에 대한 유압 해제시 전진용 클러치 피스톤(304)을 본래 위치로 후진시키는 전진용 클러치 스프링(305);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10)의 구간 중, 토크 컨버터(400)의 출력측과 케이스(100)의 입력축 장착공간(102) 사이 구간에는 후진용 클러치팩(203)쪽으로 윤활유를 펌핑하는 기어펌프(402)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종 출력축이 되는 캐리어샤프트(138)의 출력측에 4단 확장용 유성기어세트(500)와, 이 유성기어세트(500)의 기어 작동요소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어 작동요소를 구속하는 2개 이상의 4단 확장용 클러치(502)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단 변속기구(150)는:
    1단 클러치팩(141)의 플레이트(143)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1클러치 드럼(151)과;
    1단 클러치팩(141)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1클러치 드럼(151)의 이면에 배치되는 1단 피스톤(152)과;
    1단 피스톤(152)의 이면과 케이스(100)의 내면 사이에 압축 및 탄성복원 가능하게 배치되는 1단 스프링(153)과;
    제1클러치 드럼(151)과 1단 피스톤(152)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1단 오일유입 체적부(15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단 변속기구(160)는:
    일단부는 2단 클러치팩(142)의 플레이트(143)와 스플라인 결합되고, 타단부는 출력축(120)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클러치 드럼(161)과;
    2단 클러치팩(142)의 플레이트(143)와 마찰판(144)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2클러치 드럼(161)의 전면에 배치되는 2단 피스톤(162)과;
    2단 피스톤(162)의 이면과 제2클러치 드럼(161)의 전면 사이에 압축 및 탄성복원 가능하게 배치되는 2단 스프링(163)과;
    출력축(120)으로부터 2단 피스톤(162)의 전면 공간으로 연장 형성된 2단 오일유입 체적부(16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KR20140096584A 2014-07-29 2014-07-29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KR10146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6584A KR101468564B1 (ko) 2014-07-29 2014-07-29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6584A KR101468564B1 (ko) 2014-07-29 2014-07-29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564B1 true KR101468564B1 (ko) 2014-12-04

Family

ID=5267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6584A KR101468564B1 (ko) 2014-07-29 2014-07-29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5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7227A (zh) * 2018-04-08 2018-07-24 昆山德拉特兰传动科技有限公司 两速变速器
CN109132903A (zh) * 2018-11-08 2019-01-04 南京禄口起重机械有限公司 电动葫芦双速电机慢速驱动装置
CN114278713A (zh) * 2021-12-22 2022-04-05 采埃孚合力传动技术(合肥)有限公司 一种小吨位叉车液力变速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410A (ja) * 1992-07-28 1994-02-22 Komatsu Ltd 遊星歯車式変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410A (ja) * 1992-07-28 1994-02-22 Komatsu Ltd 遊星歯車式変速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7227A (zh) * 2018-04-08 2018-07-24 昆山德拉特兰传动科技有限公司 两速变速器
CN108317227B (zh) * 2018-04-08 2024-04-12 昆山德拉特兰传动科技有限公司 两速变速器
CN109132903A (zh) * 2018-11-08 2019-01-04 南京禄口起重机械有限公司 电动葫芦双速电机慢速驱动装置
CN114278713A (zh) * 2021-12-22 2022-04-05 采埃孚合力传动技术(合肥)有限公司 一种小吨位叉车液力变速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28089B (zh) 具有四个行星齿轮组的九速变速器
CN100478583C (zh) 具有四个行星齿轮组的八速变速箱
KR101444742B1 (ko) 건설장비 및 산업차량용 기어박스 구동장치
US7128683B2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EP1865226B1 (en) Double clutch transmission
KR930010446B1 (ko) 자동 변속기
US10247280B2 (en) Four planetary-gearset step-ratio automatic transmission
EP1762753A2 (en) Automatic transmission
KR20090025657A (ko) 8속 자동 변속기
US9103414B1 (en) Six shift-element step-ratio automatic transmission
KR101468564B1 (ko) 산업차량용 자동변속기 구동장치
US20080220928A1 (en) Automatic transmission
US8419586B2 (en) Automatic transmission
JP2006194435A (ja) 発進クラッチ装置及び自動変速機
US20070037658A1 (en) Multiple-speed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a two-speed input and a Simpson gearset
US7344470B2 (en) Multi-speed planetary transmission
US8356528B2 (en) Transmission for industrial vehicle
JPS63145847A (ja) 自動変速機
KR100741202B1 (ko) 자동 변속기
JP4697075B2 (ja) 自動変速機
CN113417977B (zh) 一种变速箱倒挡结构
JP4517839B2 (ja) 変速装置
US6773371B2 (en) Family of multi-speed transmissions having interconnected planetary gearsets and input clutches
CN110985620B (zh) 一种双行星齿轮多级变速器
JPS6293545A (ja) 自動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