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442B1 -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442B1
KR101468442B1 KR1020130074489A KR20130074489A KR101468442B1 KR 101468442 B1 KR101468442 B1 KR 101468442B1 KR 1020130074489 A KR1020130074489 A KR 1020130074489A KR 20130074489 A KR20130074489 A KR 20130074489A KR 101468442 B1 KR101468442 B1 KR 10146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ource
broadcast
frequency information
broadcasting
source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호
사공석진
미야자끼유이치
신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to KR102013007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방송 송신장치에서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고, 다중 방송 수신장치에서는 수신되는 방송 소스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주파수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각 방송 소스 신호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시킴으로서 다중 방송 장비에서의 방송 수신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EXAMINING BROADCASTING STATE}
본 발명은 다중 방송 장비의 방송상태 검사에 관한 것으로, 다중 방송 송신장치에서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다중 방송 수신장치에서는 수신되는 방송 소스 신호를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여 주파수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각 방송 소스 신호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시킴으로서 다중 방송 장비에서의 방송 수신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중 방송 장비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와 다중화/역다중화(multiplexing/de-multiplexing) 장치, 방송 송/수신장치, 앰프(amp), 스피커(speaker)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비를 말한다.
이와 같은 다중 방송 장비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가 제대로 송신되고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방송 상태 검사를 위해서는 다중 방송 장비의 수신장치에서 순차적으로 하나의 방송씩 번갈아 가면서 수신 상태를 측정하여 방송 상태를 검사하도록 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방송 시스템의 장비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위 도 1에서와 같이 방송 소스,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앰프,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방송 시스템에서는 방송하는 방송 소스가 많아지는 경우 방송 소스의 수신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방송 소스를 수신하는 앰프와 스피커의 수량도 많아 지게 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다중화기, 역다중화기의 조합으로 다중 방송을 매트릭스(matrix)하는 경우에도 방송 소스가 많아지면 이를 수신하는 앰프와 스피커의 수량이 많아지게 된다.
위와 같이 방송 소스의 수가 증가하여 방송 소스의 수신을 위한 장비가 많아지는 경우 N개의 소리가 동시에 들리는 상황에서 정확한 방송 송수신의 매트릭스 라우팅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중 방송 장비의 수신장치에서 순차적으로 하나의 방송씩 번갈아 가면서 수신 상태를 측정하는 경우 방송 상태 검사과정이 번거로우며, N개의 방송 소스와 앰프, 스피커 등의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도 크게 소요되고, 공간도 많이 필요하게 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148203호(등록일자 2012년 05월 15일)에는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송출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방송 송신장치에서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다중 방송 수신장치에서는 수신되는 방송 소스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주파수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각 방송 소스 신호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시킴으로서 다중 방송 장비에서의 방송 수신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방송 송신 장치로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입력받는 방송 소스 입력부와, 상기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별로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해당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주파수 정보가 포함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된 방송 소스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파수 정보는, 가청 주파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로서, 다중화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를 통해 추출된 상기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각각의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별 수신 여부의 확인을 위해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해 해당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응되는 가청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송신 방법으로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해당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시키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정보가 포함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다중화하여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방법으로서,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중화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역다중화를 통해 추출된 상기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각각의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별 수신 여부의 확인을 위해 상기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를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파수 정보는,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응되는 가청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방송 송신장치에서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다중 방송 수신장치에서는 수신되는 방송 소스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주파수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각 방송 소스 신호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시킴으로서, 다중 방송 장비에서의 방송 수신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방송 시스템의 장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송 장비에서의 방송 상태 검사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신 장치와 방송 수신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송 장비의 방송 상태 검사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의 동작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송 장비의 방송 상태 검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위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상태 검사가 가능한 다중 방송 장비에서는 먼저 음원 소스 측에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방송 장치의 송신측(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장치의 송신측(300)에서는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의 식별을 위해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설정하여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예를 들어 송신측(300)에서는 주파수 정보로서 가청 주파수 정보를 설정하고, 서로 다른 가청 주파수 정보를 서로 다른 웨이브 파형의 신호로 정의하여 각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방송 장치의 송신측(300)에서는 예를 들어 각 방송 소스 신호에 해당하는 가청 주파수 정보를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써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시켜 방송 장치의 수신측(35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위와 같은 가청 주파수 정보는 각각의 가청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미리 정의된 웨이브(wave) 파형의 신호로 해당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된 후, 시분할(time division)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어, 위와 같은 주파수 정보 등의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는 다중화기(multiplexer)와 역다중화기(de-multiplexer) 등의 방송 중간 장치(320)에서 다중화되고, 다시 역다중화되어 방송 장치의 수신측(350)으로 수신된다.
그러면 방송 장치의 수신측(350)에서는 방송 소스의 식별 정보로써 포함된 가청 주파수 정보 등을 시분할하여 디코딩(decoding)하는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의 방송 소스의 식별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함으로써 해당 방송 소스 신호가 제대로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방송 소스 신호에 대해 가청 주파수 정보 등을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제공하고, 수신측에서 이와 같은 식별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해당 방송 소스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다원화 방송내 포함된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의 방송상태를 보다 쉽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신 장치와 방송 수신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400)와 방송 수신 장치(450)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방송 송신 장치(400)는 방송소스 입력부(402), 제어부(404), 다중화부(406), 통신부(4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소스 입력부(402)는 음원 소스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입력받아 다중화부(multiplexer)(406)로 제공한다.
제어부(404)는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방송소스 입력부(402)로 제공하여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해당 주파수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한다.
다중화부(406)는 각각의 주파수 정보가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포함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방송소스 입력부(402)로부터 제공받아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해 다중화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다중화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는 통신부(408)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45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음원 소스 측에서는 위와 같은 주파수 정보로 각 방송 소스 신호에 대응되는 가청 주파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제어부(404)에서는 이와 같은 주파수 정보를 각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웨이브 파형의 신호로 정의하여 각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방송 송신 장치(400)의 제어부(404)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가청 주파수 정보를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써 방송소스 입력부(402)로 제공하여, 가청 주파수 정보가 방송소스의 식별정보로써 해당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되도록 한다. 이때, 위와 같은 가청 주파수 정보는 각각의 가청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미리 정의된 웨이브 파형의 신호로 해당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된 후, 시분할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송 수신 장치(450)는 통신부(452), 역다중화부(454), 신호처리부(456), 제어부(458), 표시부(4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52)는 방송 송신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수신하여 역다중화부(454)에 제공한다.
역다중화부(454)는 통신부(452)로부터 수신된 다중화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제공받고, 역다중화를 통해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추출한다.
신호 처리부(456)는 역다중화를 통해 추출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각각의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주파수 정보가 시분할되어 전송된 경우 방송 소스의 식별 정보로써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시분할하여 디코딩하는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의 식별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어부(458)는 신호 처리부(456)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460)를 통해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의 식별정보로 표시시킨다.
따라서, 위와 같이 방송 소스 신호에 대해 가청 주파수 정보 등을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제공하고 수신측에서 이와같은 식별정보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방송 소스 신호의 수신 여부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송 장비의 방송 상태 검사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송 송신 장치(400)에서는 예를 들어 80개의 방송 소스 신호를 0001 0080의 문자에 해당하는 가청 주파수 정보(510)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450)에서는 방송 소스 신호별로 포함된 가청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각각의 주파수 정보를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의 식별정보(520)로 변환하여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520)를 확인하여 송신측 방송 소스 신호가 수신 지역에 정확히 방송이 되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520)는 0001 0080 등의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신 장치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방송 송신 장치(400)는 음원 소스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입력받는다(S600).
이어, 방송 송신 장치(400)는 각각 서로 다른 가청 주파수 등의 주파수 정보를 해당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시킨다(S602).
이때, 방송 송신 장치(400)는 위와 같은 주파수 정보를 각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웨이브 파형의 신호로 정의하여 각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식별정보가 포함된 방송 소스 신호를 시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어, 방송 송신 장치(400)는 식별정보가 포함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다중화시킨 후(S604), 방송 수신 장치(450)로 전송한다(S60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방송 수신 장치(450)는 방송 송신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수신한다(S700).
이어, 방송 수신 장치(450)는 다중화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해 역다중화를 수행하여(S702)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추출한다(S704).
이어, 방송 수신 장치(450)는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각각의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706).
이때, 방송 수신 장치(450)는 주파수 정보가 시분할되어 전송된 경우 방송 소스의 식별 정보로써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시분할하여 디코딩하는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의 식별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어, 방송 수신 장치(450)는 각각의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를 표시부(460)를 통해 표시하여(S708) 방송 시스템의 운용자가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의 방송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위 도 6과 도 7의 동작 제어 흐름에서와 같이 송신측에서는 방송 소스 신호에 대해 가청 주파수 정보 등을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제공하고 수신측에서 이와같은 식별정보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방송 소스 신호의 수신 여부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방송 송신장치에서는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고, 다중 방송 수신장치에서는 수신되는 방송 소스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주파수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각 방송 소스 신호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시킴으로서 다중 방송 장비에서의 방송 수신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400 : 방송 송신 장치 402 : 방송소스 입력부
404 : 제어부 406 : 다중화부
408 : 통신부 450 : 방송 수신 장치
452 : 통신부 454 : 역다중화부
456 : 신호 처리부 458 : 제어부
460 : 표시부

Claims (8)

  1. 삭제
  2.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입력받는 방송 소스 입력부와,
    상기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별로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해당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주파수 정보가 포함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된 방송 소스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정보는, 가청 주파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3. 삭제
  4. 다중화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를 통해 추출된 상기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각각의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별 수신 여부의 확인을 위해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해 해당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5. 다중화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를 통해 추출된 상기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각각의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별 수신 여부의 확인을 위해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응되는 가청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6.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 정보를 해당 방송 소스 신호에 포함시키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정보가 포함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다중화하여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정보는, 가청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중화된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역다중화를 통해 추출된 상기 다수의 방송 소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주파수 정보를 각각의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별 수신 여부의 확인을 위해 상기 방송 소스의 식별정보를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각각의 방송 소스 신호에 대응되는 가청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KR1020130074489A 2013-06-27 2013-06-27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46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489A KR101468442B1 (ko) 2013-06-27 2013-06-27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489A KR101468442B1 (ko) 2013-06-27 2013-06-27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442B1 true KR101468442B1 (ko) 2014-12-04

Family

ID=5267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489A KR101468442B1 (ko) 2013-06-27 2013-06-27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4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092A (ja) * 2000-01-20 2001-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の伝送方法、デジタル放送受信機、デジタル放送局システム
KR20060088235A (ko) * 2005-02-01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정보 표시 장치와 방법
JP2008067319A (ja) * 2006-09-11 2008-03-21 Ntt Docomo Inc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放送チャンネル設定方法
KR101148203B1 (ko) * 2011-11-25 2012-05-24 주식회사 케빅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송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092A (ja) * 2000-01-20 2001-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の伝送方法、デジタル放送受信機、デジタル放送局システム
KR20060088235A (ko) * 2005-02-01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정보 표시 장치와 방법
JP2008067319A (ja) * 2006-09-11 2008-03-21 Ntt Docomo Inc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放送チャンネル設定方法
KR101148203B1 (ko) * 2011-11-25 2012-05-24 주식회사 케빅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송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6161A3 (en) Audio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udio signal, audio system, and au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thereof
MX2010002572A (es) Un metodo y un aparato para descodificar una señal de audio.
EP2076060A3 (en) Audio signal receiving apparatus, audio signal receiving method and audio signal transmission system
EP2031904A3 (en) Audio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udio signal receiving apparatus, audio signal transmission system, au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US8553902B2 (en) Multi-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ing digital matrix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MX2010002144A (es) Receptor de radiodifusion digital y metodo para controlar el mismo.
WO2007089863A3 (en) Methods and systems for avoiding transmission-channel disruptions
EP2172015A4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CN103138860B (zh) 一种模拟广播信号的自动监测方法和装置
MX2009013814A (es) Sistema de radiodifusion digital y metodo de procesamiento de datos.
WO2011046338A3 (en)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10085083A3 (en)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WO2010087627A3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coding an audio signal
WO2012030177A3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3d 컨텐트 처리 방법
PH12019502159A1 (en) Nr broadcast channel transmission
WO2008036633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opportunistic security for physical communication channels
CN115119104A (zh) 一种无线音响连接系统及方法
KR101468442B1 (ko) 방송상태 검사가 가능한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645174B1 (ko) 음파 통신을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
KR20060031551A (ko) 스테레오 단말기 및 스테레오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통화방법
EP1734749A3 (en) Broadcast reception system, broadcast receiver, display apparatus and broadcast reception method
WO2009025501A3 (en) Positioning method using digital audio broadcasting and transmitter for the same
JP2017069642A5 (ja) 放送システム及び放送送受信方法
US8203655B2 (en) Multimedia television system
MX2009010913A (es) Sistema digital de difusion y un metodo de procesamiento de dat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