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327B1 -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327B1
KR101468327B1 KR1020130119656A KR20130119656A KR101468327B1 KR 101468327 B1 KR101468327 B1 KR 101468327B1 KR 1020130119656 A KR1020130119656 A KR 1020130119656A KR 20130119656 A KR20130119656 A KR 20130119656A KR 101468327 B1 KR101468327 B1 KR 10146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erver
terminal
transmission message
ser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이동철
신귀영
조용화
박정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119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63Application servers providing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서 통신 중계 처리를 수행하는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향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현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상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RELAY SERV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서 신호 또는 메시지의 중계를 수행하는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단말기의 상태와 관련된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도 한다.
이때 단말기는 소정의 중계 서버를 경유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계 서버는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통신 경로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단말기의 소정의 요청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중계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응답 신호를 단말기로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를 중계 한다는 것은 수신된 신호를 그대로 넘겨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새로운 신호를 넘겨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런데 단말기의 상태 정보와 같이 단말기가 중계 서버를 경유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정보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여 단말기가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정상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반복하여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문제가 있다.
IMS 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과 같다.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경유하여 SIP Publish 메소드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CSCF는 SIP Publish 메소드를 어플리케이션 서버(AS:Application Server)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장애로 인해 CSCF에 아무런 응답도 하지 못하는 예가 도 1(a)이고, 어플리케이션 서버 스스로 장애 발생을 인지하여 장애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도 1(b)이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아무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CSCF는 단말기에 무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장애 응답 신호를 수신한 CSCF는 단말기에 장애 응답 신호를 전달한다.
어느 경우라도 단말기는 자신이 전송한 SIP Publish 메소드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정상적으로 도달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하여 SIP Publish 메소드를 다시 전송하는 것이다. 특별한 제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기는 SIP Publish 메소드를 전송하는 과정을 무한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결국 단말기는 지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계속하여 SIP Publish 메소드를 전송함으로써 과도한 통신 트래픽을 발생시키고, 또한 단말기의 불필요한 리소스를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공개특허 제10-2008-008210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단말기가 동일한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서 통신 중계 처리를 수행하는 중계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향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현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상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서 통신 중계 처리를 수행하는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향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현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상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통신 단말기가 동일한 소정의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발송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불필요한 트래픽 발생을 줄이고 통신 단말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중계 서버(일 예로 CSCF)가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달하지 않아 불필요한 트래픽 발생을 추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종래의 중계서버( 일 예로 CSCF)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중계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중계 서버의 구체적인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전체 통신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20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와 중계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2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해당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기(200)는 스마트폰으로서, IMS(IP Multimedia Subsystem)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는 통신 단말기(200)에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른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거나,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는 IMS 망에 구비되어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AS(Application Server)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중계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20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300) 사이에서 통신 중계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 중계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요청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중계 서버(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중계 서버(100)는 상태 확인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전송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로 향하는 전송 메시지가 수신되면, 현재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상 응답 신호를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 중계 서버(100)는 IMS 망에 구비되는 CSCF(100)(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CFCF의 기능 블록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CF(100)는 판단부(110), 수신부(120), 전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판단부(1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100)는 소정의 확인 이벤트가 감지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상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인 이벤트라는 것은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발생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발생한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확인 이벤트가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발생하는 주기적인 이벤트인 경우 그 주기는 관리자가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10)는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관리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또는 외부의 특정 장치로부터 특정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상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의 응답 여부 또는 응답 내용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써 판단부(1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푸시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수신부(120)는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로 향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200)의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통신 단말기(2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는 직접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CSCF(100)를 경유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20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는 IMS 규격에 따른 'PUBLISH 메소드'와 'MESSAGE 메소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전송부(130)는 통신 단말기(200)의 전송 메시지가 수신되면 현재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 그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상 응답 신호를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송부(130)가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정상 응답 신호는 예를 들어 '200 OK'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전송부(130)는 이처럼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는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도 1의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종래에는 단말기의 전송 메시지에 대응되는 요청 신호를 무조건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하고 그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응답이 없는 경우 에러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송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송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 메시지가 수신되어도 그 전송 메시지에 대응되는 요청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 발생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통신 단말기(200)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상 응답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통신 단말기(200)가 수차례(극단적으로 무한 반복적으로) 전송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전송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200)의 전송 메시지가 IMS 규격에 따른 'PUBLISH 메소드'또는 'MESSAGE 메소드'일 때만 상술한 처리-즉,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장애에도 불구하고 정상 응답 신호를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0)의 호 연결 신호(INVITE 신호)일 때에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의 처리-즉, 어플리케이션 서버(300)가 장애 발생 상태인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정상 응답 신호를 통신 단말기(200)가 수신해도 문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처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송부(130)는 또한 현재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상 응답 신호를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신 단말기(200)에 에러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전송부(130)는 원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라도 통신 단말기(200)에 정상 응답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러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신 단말기(200)에 에러 발생 신호를 전송하여 통신 단말기(200)로 하여금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장애 발생 상태를 알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CF(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CSCF(10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또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태 확인 메시지를 송수신하고(단계 S1), 이에 따라 CSCF(1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확인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가 먼저 CSCF(100)에 푸시 방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라고 가정한다(단계 S3).
이러한 상태에서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SIP Publish 메소드가 수신된 경우(단계 S5), CSCF(100)는 통신 단말기(200)에 정상 응답 신호 즉, 200 OK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7). 여기서 SIP Publish 메소드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따른 Publish 메소드를 의미한다.
도 5는 이러한 CSCF(10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CSCF(100)는 우선 변수 n에 0을 설정한다(단계 S11). 여기서 변수 n은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장애 발생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통신 단말기(200)에 정상 응답 신호를 전송한 횟수에 해당한다.
이어서 CSCF(100)는 주기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상태를 확인한다(단계 S13).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SIP Publish 메소드가 수신될 수 있는데(단계 S15),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SIP Publish 메소드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PUBLISH sip:presentity@example.com SIP/2.0
Via: SIP/2.0/UDP pua.example.com;branch=hG4bK652hsge
To: <sip:presentity@example.com>
From: <sip:presentity@example.com>;tag=1234wxyz
Call-ID: 81818181@pua.example.com
CSeq: 1 PUBLISH
Max-Forwards: 70
Expires: 3600
Event: presence
Content-Type: application/pidf+xml
Content-Length: ...
이러한 SIP Publish 메소드가 수신된 경우 CSCF(1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가 현재 장애 상태인 경우에는(단계 S17) 변수 n의 값이 기 설정된 상수 m 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
여기서 상수 m은 CSCF(10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장애 발생 상태에서 통신 단말기(200)에 정상 응답 신호 대신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할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값이다.
n이 m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CSCF(100)는 정상 응답 신호 즉, 200 OK 신호를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고(단계 S25), n의 값일 1 증가 시킨다(단계 S27).
CSCF(100)가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200 OK 신호의 예는 다음과 같다.
SIP/2.0 200 OK
Via: SIP/2.0/UDP pua.example.com;branch=hG4bK652hsge;received=192.0.2.3
To: <sip:presentity@example.com>;tag=1a2b3c4d
From: <sip:presentity@example.com>;tag=1234wxyz
Call-ID: 81818181@pua.example.com
CSeq: 1 PUBLISH
SIP-ETag: dx200xyz
Expires: 1800
만일 n이 m보다 큰 경우에는(단계 S23) CSCF(100)는 통신 단말기(200)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여(단계 S29) 통신 단말기(200)로 하여금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장애 발생 사실을 알도록 한다.
만일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SIP Publish 메소드가 수신된 시점에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장애 발생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단계 S17), CSCF(1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0)에 SIP Publish 메소드를 전달하고(단계 S19), 그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SIP Publish 메소드에 대응되어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통신 단말기(200)에 전달한다(단계 S21).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중계 서버 200 : 통신 단말기
300 : 어플리케이션 서버 110 : 판단부
120 : 수신부 130 : 전송부

Claims (9)

  1. 단말기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서 통신 중계 처리를 수행하는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향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c) 현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상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메시지는 IMS 규격에 따른 'PUBLISH 메소드'와 'MESSAGE 메소드'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정상 응답 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정상 동작함을 의미하는 '200 OK' 신호이며,
    현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상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에러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는 상기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6. 단말기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서 통신 중계 처리를 수행하는 중계 서버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향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현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상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메시지는 IMS 규격에 따른 'PUBLISH 메소드'와 'MESSAGE 메소드'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정상 응답 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정상 동작함을 의미하는 '200 OK' 신호이며,
    상기 전송부는 현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상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에 에러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는 상기 전송 메시지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버.
  8. 삭제
  9. 삭제
KR1020130119656A 2013-10-08 2013-10-08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 KR10146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656A KR101468327B1 (ko) 2013-10-08 2013-10-08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656A KR101468327B1 (ko) 2013-10-08 2013-10-08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327B1 true KR101468327B1 (ko) 2014-12-03

Family

ID=5267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656A KR101468327B1 (ko) 2013-10-08 2013-10-08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3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644A (ko) * 2008-01-30 2010-08-31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노드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644A (ko) * 2008-01-30 2010-08-31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노드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5819B2 (ja) 機械を、ipリンクを介して遠隔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1599924B (zh) 通信系统
US2007007098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eferred Messages
CN102739411A (zh) 提供证明服务
CN100496043C (zh) 获取会话初始协议网络节点状态的方法及系统
RU260846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ысокоэффективной доставки уведомлений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с малым временем задержки
US20140006630A1 (en)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for message throttling
US20140359340A1 (en) Subscriptions that indicate the presence of application servers
EP1891781A1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US1055448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a quality of service problem
CN103685163A (zh) Ims网络中的容灾方法、系统和设备
KR101468327B1 (ko) 중계 서버 및 중계 서버의 제어방법
RU2011118351A (ru) Управление группами в сети связи
KR102412226B1 (ko) 메시지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CN101404674B (zh) 一种呼叫路由选择的方法、代理服务器和中继设备
JP2012015629A (ja) 通信システムのアプリケーション監視方法
US8996685B2 (en) Management of the distribution of contents
JP2007183714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中継サーバ及び中継管理サーバ
KR102412225B1 (ko) 메시지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KR102052481B1 (ko) 무선중계기 제어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US20180176280A1 (en) Data compression device and data compression approval device
CN113572855B (zh) 混合网络下的设备连接处理方法及系统
KR20130050452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 관리 방법
CN114257630B (zh) 课堂实时交互方法、系统、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20102015A (ja) 警備センタ及び警備センタ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