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543B1 -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 Google Patents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543B1
KR101467543B1 KR20130134218A KR20130134218A KR101467543B1 KR 101467543 B1 KR101467543 B1 KR 101467543B1 KR 20130134218 A KR20130134218 A KR 20130134218A KR 20130134218 A KR20130134218 A KR 20130134218A KR 101467543 B1 KR101467543 B1 KR 10146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ample
pneumatic cylinder
containe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임홍재
권승희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3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ceramics; glass; bri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42Pneumatic or hydraulic means

Abstract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블리딩 시험을 위한 기공성 재질의 샘플을 담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에 담긴 샘플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샘플을 상기 용기의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에 일정한 크기의 공기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 실린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가압판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가압판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측정부, 및 상기 용기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샘플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PRESSURIZED BLEEDING TESTER}
본 발명은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압을 받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배합의 블리딩 측정을 위한 가압시, 공기가 샘플 콘크리트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샘플 콘크리트에 스며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압밀량, 배수량, 배수율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리딩(bleeding) 현상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와 같은 기공성 재질(이하, 콘크리트를 예로 들어 설명함)의 특징 중 하나로서, 혼합수가 시멘트 입자와 골재의 침전에 의해 윗받향으로 떠올라 발생되는 일종의 재료 분리 현상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발생되는 블리딩 현상은 침하 및 균열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몰드면에 생기는 모래길이나 물줄기가 생기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콘크리트의 내부에서는 골재나 철근의 밑면에 물틈새를 만들게 되어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을 저하시키거나 강도 저하를 일으키며,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콘크리트의 기본적 성질로 불리딩 현상이 어느 정도 발생하는 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블리딩의 정량적인 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블리딩을 측정하고 있다.
이러한 블리딩을 측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체로 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하여 가라 앉는 정도를 측정하는 자중식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자중식 방법은 시험 비커에 시험을 원하는 콘크리트 샘플을 넣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콘크리트 내의 고체입자들이 시험 비커 바닥으로 가라 앉고, 콘크리트에 함유된 물이 분리되면서 콘크리트 표면 위로 떠오르게 되는데, 이 때 콘크리트가 가라 앉은 정도, 즉 압밀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중식 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가라 앉은 정도만을 측정할 수 있을 뿐, 콘크리트 내부의 물틈새 등으로 대표되는 블리딩량 또는 콘크리트에 가해지는 추가적인 압력에 따른 압밀량을 측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일정한 크기 이상의 고압에서 시간에 따라 콘크리트로부터 물의 빠짐 비율을 나타내는 배수율, 및 압밀에 따른 배수량을 측정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수직압을 받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배합의 블리딩 측정을 위한 가압시, 공기가 샘플 콘크리트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샘플 콘크리트에 스며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압밀량, 배수량, 배수율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블리딩 시험을 위한 기공성 재질의 샘플을 담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에 담긴 샘플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샘플을 상기 용기의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에 일정한 크기의 공기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 실린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가압판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가압판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측정부, 및
상기 용기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샘플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부를 포함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판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샘플로부터 스며 나온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함수량 측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압 실린더에는 공압 실린더 내의 피스톤에 일정한 크기의 공기압을 가할 수 있도록 압축 공기가 저장된 압력 용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의 상단부에는 상기 공압 실린더 내의 피스톤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 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에는 상기 압력 용기와 연결을 위한 연결관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압력 용기로부터 상기 공압 실린더로 압축 공기의 공급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압력 용기로부터 상기 공압 실린더로 공급되는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공압 제어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변위 측정부는 상기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의 가압시 상기 피스톤 로드와 일체로 이동되는 변위 부재, 및
상기 공압 실린더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의 가압시 상기 변위 부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 측정 센서는 상기 공압 실린더의 상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장착 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공압 실린더에 지지되는 지지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압판의 가압시 상기 샘플에서 스며 나오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샘플에 수직 방향으로 인가되는 수직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수량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멍,
상기 배출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물의 배출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과 배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의 배수율은 상기 샘플의 투수계수 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압을 받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배합의 블리딩 측정을 위한 가압시, 공기가 샘플 콘크리트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샘플 콘크리트에 스며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압밀량, 배수량, 배수율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의 시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압력에 따라 대기압과 부가 압력하에서 시간에 따른 용기 내에 존재하는 물의 배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의 시험 상태를 샘플의 상태에 따라 2단계로 분류하여 도시한 것으로, (a)는 비배수 상태에서 굳지 않은 샘플 위에 가압판이 얹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샘플의 표면에 압력이 인가되어 샘플이 압밀되면서 샘플로부터 물이 빠져 나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는, 내부에 블리딩 시험을 위한 기공성 재질의 샘플(10)을 담기 위한 용기(100),
상기 용기(100)에 담긴 샘플(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샘플(10)을 상기 용기(100)의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200),
상기 가압판(200)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200)에 일정한 크기의 공기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 실린더(300),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300)에 의하여 상기 가압판(200)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가압판(200)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측정부(400), 및
상기 용기(100)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200)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샘플(10)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0)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판(200)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샘플(10)로부터 스며 나온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함수량 측정부(6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 실린더(300)에는 공압 실린더 내의 피스톤(310)에 일정한 크기의 공기압을 가할 수 있도록 압축 공기가 저장된 압력 용기(7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샘플(10)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fresh concrete) 등과 같은 기공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0)는 제작이 용이함과 아울러 세척이 용이하도록 원통형상 또는 다면체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샘플(10)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를 밀폐하여 덮어주기 위한 덮개(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0)는 상기 가압판(200)의 샘플 가압에 견딜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 이상의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200)은 상기 용기(100) 내에서 상기 용기(100)의 수직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되면서 상기 용기(100) 내의 샘플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100)와 동일한 중심을 갖고 상기 용기(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100)의 내측면 또는 내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200)의 상단부 중앙에는 상기 공압 실린더(300) 내의 피스톤(310)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 로드(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압 실린더(300)에는 상기 압력 용기(600)로부터 상기 피스톤(310)의 상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구멍(30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구멍(301)에는 상기 압력 용기(600)와 연결을 위한 연결관(80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800)에는 상기 압력 용기(600)로부터 상기 공압 실린더(300)로 압축 공기의 공급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압력 용기(800)로부터 상기 공압 실린더(300)로 공급되는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공압 제어 밸브(8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압 실린더(300)의 피스톤(310)의 가압면적 크기는 상기 공압 실린더(300)의 피스톤(310)에 인가되는 압력을 적어도 3배 이상 증대시켜 상기 가압판(200)에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면적 크기보다 적어도 3배 이상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위 측정부(400)는 상기 공압 실린더(300)의 피스톤 로드(32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시 상기 피스톤 로드(320)와 일체로 이동되는 변위 부재(410), 및
상기 공압 실린더(300)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시 상기 변위 부재(4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측정 센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 측정 센서(420)는 상기 공압 실린더(300)의 상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장착 부재(430)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 부재(430)는 상기 공압 실린더(300)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는 지지 부재(440)와 일정한 각도로 이루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측정부(500)는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200)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샘플(10)에 수직 방향으로 인가되는 수직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 센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측정 센서(510)는 상기 샘플(10)에 수직 방향으로 인가되는 수직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측정 센서(510)는 밀폐 압력으로 적어도 0 내지 대기압의 30배(30 bar) 이상까지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시 상기 샘플(10)에서 스며 나오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52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여과부재(520)는 상기 샘플(10)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샘플(10)로부터 스며 나온 물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520)는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시 상기 샘플(10)에서 스며 나온 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함과 아울러 상기 가압판(200)이 용이하게 상기 샘플(10)을 가압할 수 있도록 다공성 스톤(porous ston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을 여과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샘플의 배수율 측정을 위해 여과부재(520)의 배수율은 상기 샘플의 투수계수 보다 크다.
또한, 상기 함수량 측정부(600)는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100)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멍(610),
상기 배출구멍(610)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멍(610)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620), 및
상기 배출관(620)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관(620)으로부터 물의 배출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배출관(620)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과 배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0)의 하부에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620)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9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의 상기 용기(100) 내에 블리딩 시험을 위한 샘플(10)로서 다공성 재질 중 물을 일정 비율 함유하고 있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일정량 담는다.
이 때, 상기 가압판(200)은 아직 샘플(10)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이며, 즉 상기 압력 용기(700)의 공압 제어 밸브(810)가 닫힌 상태로서 상기 압력 용기(700)의 압축 공기가 상기 공압 실린더(300) 내부로 공급되지 않고 있어, 상기 가압판(200)이 상기 샘플(10)의 표면에 얹혀 있게 되며, 또한, 상기 변위 측정 센서(420)는 상시 상기 가압판(200)이 아직 샘플(10)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변위 측정 부재(410)까지 거리를 측정(기준 거리)한다.
그리고, 상기 공압 제어 밸브(810)를 열어주면, 상기 압력 용기(700)의 일정한 크기의 압력(예컨대, 3 bar)의 압축 공기가 상기 연결관(800)을 통하여 상기 공압 실린더(300) 내로 공급된다.
상기 연결관(800)을 통하여 상기 공압 실린더(300) 내로 일정한 압력의 압축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310)에는 압축 공기의 압력이 인가되고, 상기 피스톤(310)에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310)은 상기 공압 실린더(300)의 수직 하방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변위 측정 센서(420)는 상기 변위 부재(4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는데, 상기 측정된 거리와 기준 거리의 차이가 상기 샘플의 압축(압밀) 길이가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310)이 일정한 거리만큼 상기 공압 실린더(300)의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피스톤(310)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 로드(320)에 의하여 상기 가압판(200)도 상기 용기(100)의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압판(200)은 상기 샘플(10)의 표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샘플(10)을 상기 용기(100)의 수직 하방으로 일정한 크기의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310)의 가압면적이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면적보다 예컨대, 3배 큰 것으로 하면, 상기 가압판(200)에는 예컨대, 9 bar 정도의 압력이 인가된다.
이 때, 상기 샘플(10)에 인가되는 압력은 압력 측정 센서(510)에 의하여 측정된다.
상기 샘플(10)이 상기 가압판(200)에 의하여 상기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샘플(10)은 압축되면서 압밀(compaction) 상태로 되어 상기 샘플(10)에 함유되어 있는 물이 스며 나오게 된다.
상기 샘플(10)로부터 스며 나온 물은 상기 여과부재(520)를 통하여 여과되면서 상기 용기(100)의 배출구멍(610)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배출관(620)에 장착된 유량 제어 밸브(630)를 열어주면, 상기 유량 제어 밸브(630)는 상기 배출관(6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양과 배수율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배출관(620)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과 배수율을 측정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의 배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라 콘크리트로부터 빠져 나오는 물의 빠짐(배출) 비율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샘플의 투수계수(permeability)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변위 측정 센서가 상기 변위 부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압력 측정 센서가 상기 샘플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압 실린더 또는 가압판의 압력에 따라 샘플이 얼마나 압밀(가압)되는지 알 수 있는 탄성계수(odeometric modulus)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의 시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물이 여과부재를 통하여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될 때, 압력에 따라 대기압과 부가 압력하에서 시간에 따른 용기 내에 존재하는 물의 배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대기압은 1 bar로 하고, 부가 압력은 2.5 bar로 하였다. 물의 배출(water drainage)은 시간(time)에 대하여 선형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물 배출 곡선의 경사도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의 시험 상태를 샘플의 상태에 따라 2단계로 분류하여 도시한 것으로, (a)는 비배수 상태에서 굳지 않은 샘플 위에 가압판이 얹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샘플의 표면에 압력이 인가되어 샘플이 압밀되면서 샘플로부터 물이 빠져 나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샘플의 표면에는 2.5 bar의 압력이 인가되며, 상기 샘플에 인가되는 압력은 상기 샘플의 하부에 위치한 압력 측정 센서로 측정된다. 상기 샘플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서, 모르타르(mortar), 페이스트(paste), 물, 공기, 자갈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샘플이 가압됨에 따라, 일정한 거리(s)만큼 압축되고, 상기 샘플로부터 물이 빠져 나와 저장 용기에 일정한 높이(w)만큼 저장된다.
100: 용기 200: 가압판
300: 공압 실린더 400: 변위 측정부
500: 압력 측정부 600: 함수량 측정부
700: 압력 용기 800: 연결관
900: 저장 용기

Claims (11)

  1. 내부에 블리딩 시험을 위한 기공성 재질의 샘플을 담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에 담긴 샘플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샘플을 상기 용기의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에 일정한 크기의 공기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 실린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가압판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가압판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측정부, 및
    상기 용기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샘플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부
    를 포함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판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샘플로부터 스며 나온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함수량 측정부를 구비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실린더에는 공압 실린더 내의 피스톤에 일정한 크기의 공기압을 가할 수 있도록 압축 공기가 저장된 압력 용기가 연결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의 상단부에는 상기 공압 실린더 내의 피스톤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 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에는 상기 압력 용기와 연결을 위한 연결관이 장착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압력 용기로부터 상기 공압 실린더로 압축 공기의 공급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압력 용기로부터 상기 공압 실린더로 공급되는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공압 제어 밸브가 설치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부는 상기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의 가압시 상기 피스톤 로드와 일체로 이동되는 변위 부재, 및
    상기 공압 실린더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판의 가압시 상기 변위 부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 센서는 상기 공압 실린더의 상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장착 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공압 실린더에 지지되는 지지 부재와 결합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압판의 가압시 상기 샘플에서 스며 나오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가 설치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에 공기압이 작용할 때 상기 샘플에 수직 방향으로 인가되는 수직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량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멍,
    상기 배출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물의 배출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과 배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의 배수율은 상기 샘플의 투수계수 보다 큰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KR20130134218A 2013-11-06 2013-11-06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KR10146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4218A KR101467543B1 (ko) 2013-11-06 2013-11-06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4218A KR101467543B1 (ko) 2013-11-06 2013-11-06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543B1 true KR101467543B1 (ko) 2014-12-02

Family

ID=5267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4218A KR101467543B1 (ko) 2013-11-06 2013-11-06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5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811A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제조방법 및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KR101806493B1 (ko) 2016-10-31 2017-12-07 (주)제이스코리아 굳지 않은 콘크리트 공기량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량 시험방법
CN109374490A (zh) * 2018-08-27 2019-02-22 中国石油大学(北京) 渗吸萃取装置及渗吸萃取实验方法
KR20200107594A (ko) * 2019-03-08 2020-09-1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소형 가압식 고액분리 효율 평가장치 및 평가방법
CN116380748A (zh) * 2023-04-19 2023-07-04 西南石油大学 一种微生物固化黄土的渗透性及抗侵蚀性测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23Y1 (ko) 2003-02-18 2003-05-16 (주)이화기술단 압밀시험기
JP3446813B2 (ja) * 1998-11-05 2003-09-16 株式会社大林組 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の含水量計測方法及び装置
KR100661340B1 (ko) 2004-10-08 2006-12-27 치 호 서 압력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가압장치
KR100966435B1 (ko) 2008-01-07 2010-06-28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주입용 모르타르의 블리딩 측정기구 및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6813B2 (ja) * 1998-11-05 2003-09-16 株式会社大林組 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の含水量計測方法及び装置
KR200312823Y1 (ko) 2003-02-18 2003-05-16 (주)이화기술단 압밀시험기
KR100661340B1 (ko) 2004-10-08 2006-12-27 치 호 서 압력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가압장치
KR100966435B1 (ko) 2008-01-07 2010-06-28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주입용 모르타르의 블리딩 측정기구 및 측정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811A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제조방법 및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KR102124824B1 (ko) * 2016-01-07 2020-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제조방법 및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KR101806493B1 (ko) 2016-10-31 2017-12-07 (주)제이스코리아 굳지 않은 콘크리트 공기량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량 시험방법
CN109374490A (zh) * 2018-08-27 2019-02-22 中国石油大学(北京) 渗吸萃取装置及渗吸萃取实验方法
CN109374490B (zh) * 2018-08-27 2020-02-14 中国石油大学(北京) 渗吸萃取装置及渗吸萃取实验方法
KR20200107594A (ko) * 2019-03-08 2020-09-1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소형 가압식 고액분리 효율 평가장치 및 평가방법
KR102259840B1 (ko) * 2019-03-08 2021-06-0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소형 가압식 고액분리 효율 평가장치 및 평가방법
CN116380748A (zh) * 2023-04-19 2023-07-04 西南石油大学 一种微生物固化黄土的渗透性及抗侵蚀性测定装置
CN116380748B (zh) * 2023-04-19 2023-11-10 西南石油大学 一种微生物固化黄土的渗透性及抗侵蚀性测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543B1 (ko) 가압식 블리딩 시험기
KR100972969B1 (ko) 고압송 콘크리트 물성 평가 장치
CN103048174A (zh) 一种低液限粉质土三轴制样器及制样方法
CA2691189C (en) Determination of slurry concentration
CN104913959A (zh) 高密封性制样装置及其制样方法
CN107322763B (zh) 一种透水混凝土抗压强度试件成型装置及成型方法
KR101513248B1 (ko) 공압식 블리딩 측정 장치
KR200438330Y1 (ko) 투수시험용 샘플홀더
WO2022206145A1 (zh) 土壤测试装置
CN104914029A (zh) 大尺寸城市固废骨架和孔隙水体积变化系数测量装置
CN109520909A (zh) 混凝土抗渗性试验装置
CN209167305U (zh) 一种全自动常水头渗透固结交叉试验装置
CN206504989U (zh) 一种测量粗颗粒盐渍土变形和渗透的试验装置
CN209841628U (zh) 一种土工试验气压固结渗透仪
CN110514570A (zh) 一种变压渗透实验装置
WO2006016660A1 (ja) 粉体の比表面積測定用サンプルの形成装置
CN201116909Y (zh) 数字直读混凝土拌和物含气量测定仪
CN112985948A (zh) 一种空心圆柱试样的安装方法、拆卸方法及使用方法
KR20130018017A (ko) 압축 및 비압축 조건하에서의 투수 및 압밀시험장치
CN116519409A (zh) 模拟渗流-潜蚀及测量水土特征的粗粒土制样装置及方法
CN204694600U (zh) 一种大尺寸城市固废骨架和孔隙水体积变化系数测量装置
CN105203361A (zh) 一种重塑土的固结方法及固结装置
KR200312823Y1 (ko) 압밀시험기
CN214224894U (zh) 一种应力相关的粗粒土渗透变形特性测试仪
KR100661340B1 (ko) 압력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가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